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토양 칼럼의 경계흐름과 계면활성제가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정승우,주병규 유기성자원학회 2009 유기물자원화 Vol.17 No.1

        수리전도도는 다공성매체 시스템의 중요한 특성인자이다. 수리전도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실외측정방법과 실내측정방법이 있다. 수리전도도의 실내측정은 일반적으로 투수측정기를 이용한다. 기존의 투수측정방식으로 산정한 수리전도도는 경계흐름의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모든 유체가 수직으로 이동한다는 가정으로 결정되었다. 하지만 실제 토양에서 유체는 수직, 좌우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경계흐름을 배제한 투수계를 이용하여 경계흐름이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기존방식으로 산정한 수리전도도에 비해 경계흐름을 배제한 수리전도도가 약 1/3에 해당하였다. 투수측정기를 이용한 수리전도도 측정에 있어 경계흐름에 대한 영향을 고려한 수리전도도 결정이 필요하다. 또한 토양 입경과 계면활성제가 수리전도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토양입경과 수리전도도는 비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계면활성제는 수리전도도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계면활성제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리전도도는 보다 많이 감소하였다. 수리전도도를 결정하는 물리적 특성을 평가한 결과 유체의 점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porous media is the most important property in soil characteristics. The hydraulic conductivity is determined by outdoor and indoor methods. Indoor methods normally use soil columns for flow test. Assumption of the column test is that fluid one-dimensionally flows through the column. However, fluids may flow toward the wall of the column, resulting in "boundary flow".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boundary flow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by using a permeameter excluding boundary flow.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draulic conductivity excluding boundary flow was much smaller than the hydraulic conductivity employing the conventional determination method.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article size and surfactant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As the particle size increased,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increased. The hydraulic conductivity was reduced by increasing surfactant concentration. The result showed that the viscosity of fluid significantly affected the determin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 KCI등재

        김해 딴섬의 고투수성 누수 피압대수층에서 수리전도도의 규모종속효과

        김태영 ( Tae Yeong Kim ),강동환 ( Dong Hwan Kang ),김성수 ( Sung Soo Kim ),김병우 ( Byung Woo Kim ),권병혁 ( Byung Hyuk Kwon ) 대한지질공학회 2008 지질공학 Vol.18 No.4

        강변여과수 개발예정지역인 낙동강과 밀양강의 합류지점에 위치한 김해시 딴섬 지역에 형성된 지표면하 25~35 m 구간의 고투수성 누수 피압대수층 내 수리전도도의 규모종속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양수시험이 수행되었다. 양수시험 시 관측정은 양수정(PW)을 기준으로 남서 방향(MW1, MW2), 북동 방향(MW3, MW4)에 2 m와 5 m 간격으로 개발되었다. 양수시험은 2,500 m3/day의 양수율로 수행되었으며, 양수 후 경과시간에 따른 수위변화 자료를 AQTESOLV 3.5 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수리전도도를 산정하였다. 양수정에서 산정된 수리전도도는 1.745 × 10(-3) m/sec 이었으며, 양수정과 MW1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452 × 10(-3)m/sec, 양수정과 MW2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161 × 10(-3) m/sec, 양수정과 MW3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270 × 10(-3)m/sec, 양수정과 MW4공 사이의 수리전도도는 2.591 × 10(-3) m/sec로 산정되었다. 양수정과 관측정의 이격거리(d)에 따른 수리전도도(K) 증가함수는 남서 방향(PW-MW1-MW2 라인)에서는 log K= 0.0693logd - 2.671, 북동 방향(PW-MW3-MW4 라인)에서는 logK = 0.0817logd - 2.655로 추정되었다. 양수정을 기준으로 남서 방향과 북동 방향 대수층에서의 이격거리에 대한 수리전도도 증가함수는 유사하였다. Schulze-Makuch et al. (1999)의 규모지수 산정방법을 적용하여, 시험대수층의 시험부피에 대한 수리전도도의 규모지수를 산정하였다. 본 시험대수층의 규모지수는 0.15로서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시험대수층이 고투수성 자갈층으로서 불균질성이 매우 낮음을 의미한다. 양수시험에 의해 산정된 투수량계수, 양수시험 시 최대수위변화, 양수정과 관측공 간의 거리 및 양수율에 의해 산정된 영향반경은 남서 방향 7.148 m, 북동 방향 6.912 m로 산정되었다. 양수정에서 영향반경까지의 수리전도도 증가율은 남서 방향 1.40배, 북동 방향 1.49배 정도로서 본 시험대수층 매질의 불균질성이 북동 방향에서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Pumping test was conducted to understand hydraulic conductivity for leaky confined aquifer with high permeability. Test aquifer was formed in 25~35 m below ground surface at predetermined site of riverbank filtration which junction of Nakdong river and Milyang river in the Ttaan isle, Gimhae city, Korea Monitoring wells were located at intervals of 2 m and 5 m from pumping well in south-west direction (MW1 and MW2 wells) and northeast direction (MW3 and MW4 wells), respectively. Pumping test was continuously conducted for constant pumping rate of 2,500 m3/day, hydraulic conductivity was estimated using AQTESOLV 3.5 program. Hydraulic conductivity were estimated to be 1.745 × 10(-3) m/sec for pumping well (PW), 2.452 × 10-3 m/sec for between PW and MW1 wells, 2.161 × 10(-3) m/sec for between PW and MW2 wells, 2.270 × 10(-3) m/sec for between PW and MW3 wells and 2.591 × 10(-3) m/sec for between PW and MW4 wells. The func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K) as monitoring distance (d) were estimated to be logK=0.0693logd - 2.671 for south-west direction (PW-MW1-MW2 line), logK=0.0817logd - 2.655 for north-east direction (PW-MW3-MW4 line). Scale exponent of hydraulic conductivity as test volume was estimated using Schulze-Makuch et al.(1999) method. Scale exponent of this aquifer was estimated to be 0.15. It means that test aquifer has very low heterogeneity. The radius of influence estimated using transmissivity, maximum groundwater level displacement, distance from pumping well and pumping rate during pumping test were 7.148 m for south-west direction and 6.912 m for north-east direction. The increasing rate of hydraulic conductivity from pumping well to maximum radius of influence were estimated to be 1.40 times for south-west direction and 1.49 times for north-east direction. Thus, heterogeneity of test aquifer was a little higher in north-east direction.

      • KCI등재

        GSI 및 절리의 방향이 수리전도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

        윤용균(Yong-Kyun Yoon) 한국암반공학회 2010 터널과지하공간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절리에 작용하는 수직변형과 전단 팽창을 고려할 수 있는 수정된 3차원 변형률 의존성 수리전도도 변화 방정식을 제안하였다. 현지 암반을 직교절리가 발달한 매질로 가정하기 때문에 제시된 방정식을 사용하여 수리전도도의 이방성을 평가할 수 있다. 현지암반의 변형계수를 필요로 하는 탄성계수감소비를 손쉽게 결정하기 위하여 GSI와 교란계수를 기초로 하는 경험식을 사용하였다. 현지 암반 내에 존재하는 절리는 일반적으로 전체좌표계와 평행하지 않고 기울어져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기울어진 방향에서의 수리전도도를 구하기 위하여 변형률 회전식을 사용하였다. 해석 결과 GSI가 증가함에 따라 수리전도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란계수는 수리전도도의 변화 거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GSI가 50 이상인 암반의 수리전도도 변화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절리의 경사도 수리전도도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n this study, a newly modified 3-dimensional strain-dependent hydraulic conductivity modification relation which incorporates the influences of normal deformation and shear dilation is suggested. Since rock mass is simulated as a orthogonally jointed medium, an anisotropic hydraulic conductivity field can be evaluated using that relation. The empirical relationship on the basis of GSI and disturbance factor has been used to estimate the value of a modulus reduction ratio (ratio of rock mass deformation modulus to rock matrix elastic modulus). Principal hydraulic conductivity directions is not generally coincident with the global coordinate due to the inclining of joint and the influence of joint inclination is evaluated under strain rotation. Result shows that change of hydraulic conductivity does decreases with the increase of GSI and disturbance factor has much effects on the hydraulic conductivity of rock mass getting GSI value above 50. It is found that the inclination of joint impacts on the variation of hydraulic conductivity.

      • KCI등재

        The Method for Evaluating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Bentonite-buffer Using Relative Humidity

        Hang-Bok Lee,Jin-Seop Kim,Young-Chul Choi,Heui-Joo Choi,Kyungsu Kim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4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2 No.1

        상대습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토나이트 완충재 블록의 불포화 수리전도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불포화 매질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분석해를 통해 상대습도를 통한 불포화 수리전도도 계산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실제 수행한 실내 물 유입 실험 결과에 적용하여 포화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완충재 불포화 수리전도도 양상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포화 상태와는 확연히 다르게 수두 구배와 물의 유출량이 시간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불포화 수리전도도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흡수로 인한 벤토나이트 입자 팽창 때문으로 인한 매질 내 공극의 부피 및 크기 확대가 불포화 수리전도도값의 증가를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완충재 블록의 팽창 정도와 수리전도도의 상관성에 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불포화 수리전도도 평가 방안은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 완충재의 장기적인 수리학적 성능평가에 유용한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상대습도를 이용한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불포화 수리전도도 평가방안

        이항복,김진섭,최영철,최희주,김경수,Lee, Hang-Bok,Kim, Jin-Seop,Choi, Young-Chul,Choi, Heui-Joo,Kim, Kyungsu 한국방사성폐기물학회 2014 방사성폐기물학회지 Vol.12 No.1

        상대습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벤토나이트 완충재 블록의 불포화 수리전도도 변화를 평가하였다. 불포화 매질에서의 물의 흐름을 나타내는 일반적인 분석해를 통해 상대습도를 통한 불포화 수리전도도 계산방안을 도출하였고, 이를 실제 수행한 실내 물 유입 실험 결과에 적용하여 포화가 진행됨에 따라 변화하는 완충재 불포화 수리전도도 양상을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포화 상태와는 확연히 다르게 수두 구배와 물의 유출량이 시간에 따라 불규칙하게 변화하는 결과를 나타냈으며, 벤토나이트 완충재의 불포화 수리전도도는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수분 흡수로 인한 벤토나이트 입자 팽창 때문으로 인한 매질 내 공극의 부피 및 크기 확대가 불포화 수리전도도값의 증가를 야기하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이러한 결과는 완충재 블록의 팽창 정도와 수리전도도의 상관성에 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된 불포화 수리전도도 평가 방안은 방사성폐기물 처분 시 완충재의 장기적인 수리학적 성능평가에 유용한 기술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of the bentonite-buffer was evaluated using the relative humidity data. The method for calculating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as deduced from the general analytical equation representing the movement of water in unsaturated media, which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results of water infiltration tests for identifying the behavior of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according to the water saturation. Unlike the saturated condition, the hydraulic gradient and water flux were irregularly changed, and the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the experimental time. Swelling of bentonite grains due to the water absorption increased the volume and size of pore within bentonite, resulting in the increase of water velocity and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This result suggested the necessity of further investigation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welling degree of bentonite-buffer and unsaturated hydraulic conductivity. The method used in this study can be useful technique for evaluating long-term hydraulic performance of bentonite-buffer in the radioactive waste disposal system.

      • KCI등재

        터널 굴착에 의한 화강암 대수층의 수리 수문 및 지하수위변동 분석

        정상용 ( Sang Yong Chung ),김병우 ( Byung Woo Kim ),강동환 ( Dong Hwan Kang ),심병완 ( Byoung Ohan Shim ),정상원 ( Sang Won Cheong ) 대한지질공학회 2007 지질공학 Vol.17 No.4

        수락산 터널지역 내 8개 시추공에서 조사된 기반암의 평균 수리전도도 2.64×10-8m/sec, 평균 RQD 78%, 평균공극율 0.51% 및 지하수위는 77.06~125.97 m의 범위이었다. 지하수위와 표고간의 회귀분석 결과를 이용하여 수락산 터널 지역내 두 개의 정상부에서 지하수위를 추정하여 구한 터널 구간의 평균적인 수평수리경사는 0.267 이었다. 수락산 터널 구간에서 현장투수시험에 의해 구해진 최소 수리전도도는 5.56×10-9m/sec, 최대 수리전도도는 6.12×10(-8)m/sec, 평균 수리전도도는 2.64×10(-8) m/sec 이었다. 최소, 최대 및 평균 수리전도도와 평균적인 수평수리경사를 이용하여 산정된 수락산터널 구간 내에서의 단위 길이 당 지하수 유출량은 각각 0.00585 m2/day, 0.06434 m2/day 및 0.02775 m2/day 이었다. 물수지분석에 의한 연구지역 내 단위함양유역 당 순수지하수함양율은 224 mm/yr로 산정되었다. 터널굴착이 완료된 후 최소, 최대 및 평균 수리전도도를 적용한 지하수위 변동예측 모사에 의하면 수리전도도가 낮을수록 터널 내로의 유출량은 적었지만, 지하수위 강하량은 크게 나타났다. 그리고, 최대 수리전도도를 적용한 모사 시에는 터널로의 유출량이 크지만, 대수층으로의 충진이 빠르게 발생하여 지하수위가 짧은 시간에 회복되었다.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y was 2.64× 10(-8) m/sec, average RQD was 78%, average porosity was 0.51%, and range of groundwater level was 77.06~125.97 m by measured in 8 boreholes at the Surak Mt. tunnel area. Groundwater level of two peaks in the Surak Mt. tunnel area were estimated through linear regression analysis for groundwater level versus elevation. And, average horizontal hydraulic gradient in the Surak Mt. tunnel area was calculated 0.267.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that estimated by field tests were 5.56× 10(-9) m/ sec, 6.12× 10(-8) m/sec, and 2.64× 10(-8) m/sec, respectively. Groundwater discharge rates per 1 meter that estimated using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and average horizontal hydraulic gradient were 0.00585 m2/day, 0.06434 m2/day, and 0.02775 m2/day, respectively. Pure groundwater recharge rate per unit recharge area was calculated 223.96 mm/yr through water balance analysis. Prediction simulation of groundwater level fluctuation with minimum, maximum, and average hydraulic conductivities were conducted. Discharge rate into the Surak Mt. tunnel for minimum hydraulic conductivity was small, but groundwaer drawdown was highly. Discharge rate into the Surak Mt. tunnel for maximum hydraulic conductivity was higher, but groundwaer level was recovered quickly.

      • KCI등재

        경상분지 백악기 화강암 암반에 대한 삼차원 수리전도텐서 추정사례

        엄정기,이다혜 대한지질공학회 2022 지질공학 Vol.32 No.1

        A workflow is presented to estimate the size of a representative elementary volume and 3-D hydraulic conductivity tensor based on fluid flow analysis for a discrete fracture network (DFN). A case study is considered for a Cretaceous granitic rock mass at Gijang in Busan, Korea. The intensity and size of joints were calibrated using the first invariant of the fracture tensor for the 2-D DFN of the study area. Effective hydraulic apertures were obtained by analyzing the results of field packer tests. The representative elementary volume of the 2-D DFN was determined to be 20 m square by investigating the variations in the directional hydraulic conductivity for blocks of different sizes. The directional hydraulic conductivities calculated from the 2-D DFN exhibited strong anisotropy related to the hydraulic behavior of the study area. The 3-D hydraulic conductivity tensor for the fractured rock mass of the study area was estimated from the directional block conductivities of the 2-D DFN blocks generated for various directions in 3-D. The orientations of the principal components of the 3-D hydraulic conductivity tensor were found to be identical to those of delineated joint sets in the study area. 본 연구는 부산 기장지역에 분포하는 백악기 흑운모 화강암에 대한 사례연구를 통하여 DFN(discrete fracture network) 유동해석 기반의 REV(representative elementary volume) 크기 및 삼차원 수리전도 텐서 추정을 위한 워크플로우를 제시하였다. 연구지역을 대표하는 이차원 DFN에 대하여 절리텐서의 일차불변량을 이용하여 절리의 빈도 및 길이가 보정되었다. 현장수압시험을 수행하여 선형의 등가유로관으로 취급된 현장의 절리에 대한 유효수리간극이 추정되었다. 연구지역의 이차원 DFN 블록에 대한 REV의 크기는 블록 크기에 따른 지향적 블록수리전도도의 변화를 분석하여 20 m × 20 m으로 결정하였다. 연구지역의 이차원 DFN에 대하여 산정된 지향적 블록수리전도도는 현장의 수리적 거동과 관련하여 강한 이방성을 지시한다. 다양한 방향으로의 이차원 DFN에서 산정된 지향적 블록수리전도도를 바탕으로연구지역의 절리성 암반에 대한 삼차원 수리전도텐서가 추정되었다. 삼차원 수리전도텐서의 주성분 방향은 현장에서 구분된 주 절리군의 방향과 일치한다.

      • KCI등재후보

        수리전도도가 지하수 수리특성에 미치는 영향

        박동일 ( Dong-il Park ),안승섭 ( Seung-seop Ahn ) 한국환경기술학회 2014 한국환경기술학회지 Vol.15 No.4

        수리전도도는 지하수분석에 있어 중요한 매개변수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ODFLOW모형을 이용하여 수리전도도의 변화가 지하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리전도도의 증가에 비해 감소 할 경우 모형 적용 오차가 점차 커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리전도도 증감에 따른 영향반경의 형상이나 영향길이는 큰 변화가 없으나, 지하수위에 미치는 영향은 큰 것으로 분석되어 지하수위 해석에 있어 정확한 수리전도도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Hydraulic conductivity acts as an important parameter for groundwater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change of hydraulic conductivity on the groundwater using MODFLOW model. As a result, if reduced compared to the increase in hydraulic conductivity, it was analyzed that model applied error increased. Though there was not a change in influencing distance or a shape of capture zone due to increase or decrease of hydraulic conductivity, it was analyzed that the influence on groundwater level was large; it is determined that the application of accurate hydraulic conductivity is significant for interpretation of underground-water level.

      • KCI등재

        수리영역 개념을 적용한 단열암반의 지하수유동체계 해석

        조성일 ( Sung Il Cho ),김천수 ( Chun Soo Kim ),배대석 ( Dae Seok Bae ),김경수 ( Kyung Su Kim ),송무영 ( Moo Young Song ) 대한지질공학회 2006 지질공학 Vol.16 No.1

        본 연구는 지하유류저장공동 굴착 시 조사된 단열체계 및 수리인자를 토대로 투수성구조영역과 수리암반영역으로 세분화하여 연구지역의 불규칙하고 복잡한 지하수유동체계를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지하공동 내에서 확인된 단열분포특성과 지하공동굴착과 동시에 지표관측공 28개를 통해 측정된 지하수위 및 수평수벽공 95개와 수직수벽공 63개에 의해 일별로 계측된 압력 및 주입량을 통해 연구지역은 지하수의 방벽역할을 하는 3개의 투수성구조영역과 4개의 수리암반영역으로 구분이 가능하였다. 공동심도에 발달된 투수성 구조는 국지적 큰 규모 단열대인 NE-1과 2개의 국지규모 단열대로 구성되고 있으나, 수리암반영역은 국지규모 단열대에 의하여 4개영역으로 구분된다. FZ-2 구조대와 인접한 수리암반영역 Domain-A와 B는 수평수벽공의 초기압이 최대 약 15 kg/cm2까지 높으며, 지하공동 굴착 시 상·하부의 지하수위변화의 차이가 10 ~ 40 m로 상·하부의 수리적 연결성이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 반면, FZ-1 구조대와 인접한 Domain-C와 D는 이중수위측정시설 설치 시 상부와 하부의 지하수위차는 최대 약 120 m로 매우 크게 나타났으며, 상부지하수는 공동굴착 시 수위가 크게 변화하지 않았다. Domain C, D의 하부암반의 수리전도도(7.2 × 10(-10) m/sec)는 상대적으로 낮은 지하수 함양량의 원인을 제공하고 있으며, 연속체개념의 지하수유동모델링을 통해 계산된 4개영역의 함양량은 연구지역의 20년간 평균 강수량(1,356 mm/year)의 2 %로 계산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valuate a complex groundwater flow system around the underground oil storage caverns using the concept of hydraulic compartment. For the hydrogeological analysis, the hydraulic testing data, the evolution of groundwater levels in 28 surface monitoring boreholes and pressure variation of 95 horizontal and 63 vertical water curtain holes in the caverns were utilized. At the cavern level, the Hydraulic Conductor Domains(fracture zones) are characterized one local major fracture zone(NE-1)and two local fracture zones between the FZ-1 and FZ-2 fracture zones. The Hydraulic Rock Domain(rock mass) is divided into four compartments by the above local fracture zones. Two Hydraulic Rock Domains(A, B) around the FZ-2 zone have a relatively high initial groundwater pressures up to 15 kg/cm2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upper and lower groundwater levels, measured from the monitoring holes equipped with double completion, are in the range of 10 and 40 m throughout the construction stage, indicating relatively good hydraulic connection between the near surface and bedrock groundwater systems. On the other hand, two Hydraulic Rock Domains(C, D) adjacent to the FZ-1, the groundwater levels in the upper and lower zones are shown a great difference in the maximum of 120 m and the high water levels in the upper groundwater system were not varied during the construction stage. This might be resulted from the very low hydraulic conductivity(7.2 × 10(-10) m/sec) in the zone, six times lower than that of Domain C, D. Groundwater recharge rates obtained from the numerical modeling are 2% of the annual mean precipitation(1,356mm/year) for 20 years.

      • KCI등재

        수리전도도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학률론적 지하수 유동해석에 관한 연구

        류동우(Dong-Woo Ryu),손봉기(Bong-Ki Son),송원경(Won-Kyoung Song),주광수(Kwang-Soo Joo) 한국암반공학회 2005 터널과지하공간 Vol.15 No.2

        도심지 지하철 및 산악 터널의 굴착과 관련한 지하수 유동 해석 및 환경 영향 평가를 위해 3차원 유한차분 모형인 MODFLOW가 널리 이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수치해석 결과는 일반적으로 경계조건, 초기조건, 개념 모델 설정 및 수리 물성치 등에 의해 차이가 난다. 따라서 대상 해석 영역의 실제 상황을 반영한 지하수 모델링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지하수 유동 해석과 관련한 많은 경우, 경계 조건 설정보다는 수리 물성치의 결정에 어려움이 많으며, 이는 제한된 조사나 실험 결과로부터 전체 대상 영역의 매질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모의 담금질(SA : Simulated Annealing) 기법을 활용하여 지반 조사 자료, 특히 물리탐사 결과 이미지와 제한된 개소의 수리 전도도 자료를 병합하여 수리 매질들을 실현시켰다. 지구통계학적 등가 매질들을 대상으로 하여 수리 전도도의 불확실성을 고려한 지하수 유동 해석을 수행하였다. 지하수 환경 영향 평가 및 터널 내 유입 지하수 문제에 있어 수리 전도도의 불확실성을 고려함으로써 확률론적 접근이 가능하였다. MODFLOW, 3-D finite difference code, is widely used to model groundwater flow and has been used to assess the effect of excavations on the groundwater system due to construction of subways and mountain tunnels. The results of numerical analysis depend on boundary conditions, initial conditions, conceptual models and hydrogeological properties. Therefore, its accuracy can only be enhanced using more realistic and field oriented input parameters. In this study, SA(simulated annealing) was used to integrate hydraulic conductivities from a few of injection tests with geophysical reference images. The realizations of hydraulic conductivity random field are obtained and then groundwater flows in each geostatisticallv equivalent media are analyzed with a numerical simulation. This approach can give probabilistic results of groundwater flow modeling considering the uncertainty of hydrogeological medium. In other words, this approach makes it possible to quantify the propagation of uncertainty of hydraulic conductivities into groundwater flo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