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나옹혜근과 송광사

        이철헌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Naong Hyekeun found enlightenment through studying domestic Jokye-zen and went to China. He returned to his country after succeeding the law of Jigong and Cheorim. Jokye-zen, Hyekeun performed, was domestic trend that carried out zen idea and wisdom at the same time and was systemized by Jinul after Nine Mountain Monasteries, which was formed from late unified Silla until early Goryeo, and philosophy of Beobanjong Yeongmyeong Yeonsu in early Goryeo. King Gongmin appointed Hyekeun as a king's instructor in 1371 and made him stay in Temple Songkwang. Although Hyekeun's term in Temple Songkwang was 3 years, he rarely stayed in Temple Songkwang because he went to Temple Hoeam in the following year and wandered Mountains like Mt. Seoun and Mt. Kilsang. Nevertheless, the connection between Temple Songkwang and Hyekeun is really important. Hyekeun's disciples like Moohak Jacho, Hwanam Honsoo, Gobong Beobjang took the position of chief monk at Temple Songkwang and the last national priest of 16 Temple Songkwang's national priests including Jinul was Gobong Beobjang who was also Hyekeun's disciple. There were scholars who tried to understand chief monks in Temple Songkwang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Hyekeun faction(Mt. Sagul Monastery), Bowoo faction(Mt. Gaji Monastery). In fact, they are all Mt. Sagul Monastery. In late Goryeo, each Monasteries integrated with Suseonsa at the center. Jinul who opened Suseonsa, Hyekeun and his disciples were all from Mt. Sagul Monastery and Hyekeun's disciples interacted with monks of Suseonsa. Although Jinul did not go to China to learn Imje-zen directly, he set the tradition of Jokye-zen after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Imje Ganhwa-zen by practicing asceticism on his own. Jinul's disciples succeeded Jokye-zen tradition and interacted with monks of Imjejong of China and set the tradition of Ganhwa-zen by accepting the idea of Monk Mongsan Deokyi. In the pedigree of Temple Songkwang, Mt. Sagul Monastery faction took the position of chief monks with Hyekeun and his students at the center. Hyekeun succeeded the zen idea of Jinul and passed down to Cheongheo Hyujeong in middle time of Joseon dynasty. Heogun stated in the Samyung's tombstone that Jinul and Hyekeun earned the will of Hongin and their lineage continued to Samyung Yujeong and early disciples of Chungheo at the time admitted this. Yet, late disciples of Chungheo in the middle Joseon regarded Bowoo as the first Zen master by putting up Imje-zen centered lineage and insisting Honsoo, Hyekeun's student, to be student of Taego Bowoo. Opinion of monks who insisted on Imje-zen lineage by converting Honsoo into Bowoo's disciple not Hyekeun's disciple turned out to be false by study of scholars of today. 나옹혜근은 국내에서 조계선을 수학하여 깨침을 얻고 중국으로 들어가 西天 108祖 指空(1289~1363)과 임제종 平山處林(1279~1361)의 법을 이어 귀국한다. 혜근이 국내에서 수행한 조계선은 통일신라말부터 고려초까지 형성된 구산선문의 흐름에 고려초 법안종 영명연수의 사상이 들어오고, 지눌에 의해 선정과 지혜를 함께 수행하는 국내 선풍이라 할 수 있다. 공민왕은 20년(1371)에 혜근을 왕사로 책봉하고 동방제일도량이라며 송광사에 머물도록 했다. 혜근이 송광사에 주석한 기간은 3년이지만 주지한 다음해 회암사에 머물고 瑞雲,吉祥 등의 산을 돌아다니다 돌아오고 해서 실제 송광사에 주석한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광사와 혜근의 인연은 매우 중요하다. 혜근의 뒤를 이어 제자인 무학자초․환암혼수․고봉법장 등이 송광사에 주지했으며, 지눌을 비롯한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마지막 국사가 혜근의 제자인 高峯국사이다. 송광사 주지계보에 나타난 주지들을 혜근계(사굴산문계)와 보우계(가지산문계)로 나누어 이해하려는 학자도 있으나, 송광사 주지들은 모두 사굴산문 출신들이라 할 수 있다. 修禪社 開祖인 普照국사 知訥(1158~1210)과 혜근 그리고 제자들은 모두 闍崛山門출신이므로, 혜근의 제자들은 수선사 선사들과의 교류하고 있다. 지눌은 중국에 들어가 임제선을 직접 배워온 것은 아니나 국내에서 독자 수행하여 임제 간화선의 참뜻을 깨달아 조계선의 전통을 세웠다. 지눌의 제자들은 조계선 전통을 계승하면서 중국 임제종 선사를 초청하여 교류하고, 蒙山德異(1231~1308)의 사상을 받아들여 간화선 전통을 확립했다. 혜근은 지눌의 선사상을 계승하여 조선중기 청허휴정에 전하고 있다. 허균은 「石藏碑」에서 지눌과 혜근이 5조 홍인의 종지를 얻었으며 지눌과 혜근의 도맥이 사명유정에까지 전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당시 청허의 上代제자들은 이를 인정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조선중기 청허의 下代제자들이 임제선 중심의 법맥을 내세우면서 혜근의 제자인 혼수를 보우의 제자로 주장하면서, 태고를 해동초조로 삼았다. 혼수를 혜근의 제자가 아닌 보우의 제자로 바꾸면서까지 임제선 법맥을 주장하는 선사들의 주장은 오늘날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허구로 밝혀졌다.

      • KCI등재

        懶翁惠勤과 松廣寺

        이철헌(Lee Cheol heon)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나옹혜근은 국내에서 조계선을 수학하여 깨침을 얻고 중국으로 들어가 西天 108祖 指空(1289~1363)과 임제종 平山處林(1279~13 61)의 법을 이어 귀국한다. 혜근이 국내에서 수행한 조계선은 통일신라말부터 고려초까지 형성된 구산선문의 흐름에 고려초 법안종 영명연수의 사상이 들어오고, 지눌에 의해 선정과 지혜를 함께 수행하는 국내 선풍이라 할 수 있다. 공민왕은 20년(1371)에 혜근을 왕사로 책봉하고 동방제일도량이라며 송광사에 머물도록 했다. 혜근이 송광사에 주석한 기간은 3년이지만 주지한 다음해 회암사에 머물고 瑞雲,吉祥 등의 산을 돌아다니다 돌아오고 해서 실제 송광사에 주석한 시간은 그리 많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송광사와 혜근의 인연은 매우 중요하다. 혜근의 뒤를 이어 제자인 무학자초 · 환암혼수 · 고봉법장 등이 송광사에 주지했으며, 지눌을 비롯한 송광사 16국사 가운데 마지막 국사가 혜근의 제자인 高峯국사이다. 송광사 주지계보에 나타난 주지들을 혜근계(사굴산문계)와 보우계(가지산문계)로 나누어 이해하려는 학자도 있으나, 송광사 주지들은 모두 사굴산문 출신들이라 할 수 있다. 修禪社 開祖인 普照국사 知訥(1158~1210)과 혜근 그리고 제자들은 모두 ??山門출신이므로, 혜근의 제자들은 수선사 선사들과의 교류하고 있다. 지눌은 중국에 들어가 임제선을 직접 배워온 것은 아니나 국내에서 독자 수행하여 임제 간화선의 참뜻을 깨달아 조계선의 전통을 세웠다. 지눌의 제자들은 조계선 전통을 계승하면서 중국 임제종 선사를 초청하여 교류하고, 蒙山德異(1231~1308)의 사상을 받아들여 간화선 전통을 확립했다. 혜근은 지눌의 선사상을 계승하여 조선중기 청허휴정에 전하고 있다. 허균은 「石藏碑」에서 지눌과 혜근이 5조 홍인의 종지를 얻었으며 지눌과 혜근의 도맥이 사명유정에까지 전하고 있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당시 청허의 上代제자들은 이를 인정하고 있었다. 그럼에도 조선중기 청허의 下代제자들이 임제선 중심의 법맥을 내세우면서 혜근의 제자인 혼수를 보우의 제자로 주장하면서, 태고를 해동초조로 삼았다. 혼수를 혜근의 제자가 아닌 보우의 제자로 바꾸면서까지 임제선 법맥을 주장하는 선사들의 주장은 오늘날 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허구로 밝혀졌다. Naong Hyekeun found enlightenment through studying domestic Jokye-zen and went to China. He returned to his country after succeeding the law of Jigong and Cheorim. Jokye-zen, Hyekeun performed, was domestic trend that carried out zen idea and wisdom at the same time and was systemized by Jinul after Nine Mountain Monasteries, which was formed from late unified Silla until early Goryeo, and philosophy of Beobanjong Yeongmyeong Yeonsu in early Goryeo. King Gongmin appointed Hyekeun as a king's instructor in 1371 and made him stay in Temple Songkwang. Although Hyekeun's term in Temple Songkwang was 3 years, he rarely stayed in Temple Songkwang because he went to Temple Hoeam in the following year and wandered Mountains like Mt. Seoun and Mt. Kilsang. Nevertheless, the connection between Temple Songkwang and Hyekeun is really important. Hyekeun's disciples like Moohak Jacho, Hwanam Honsoo, Gobong Beobjang took the position of chief monk at Temple Songkwang and the last national priest of 16 Temple Songkwang's national priests including Jinul was Gobong Beobjang who was also Hyekeun's disciple. There were scholars who tried to understand chief monks in Temple Songkwang by dividing them into two categories: Hyekeun faction(Mt. Sagul Monastery), Bowoo faction(Mt. Gaji Monastery). In fact, they are all Mt. Sagul Monastery. In late Goryeo, each Monasteries integrated with Suseonsa at the center. Jinul who opened Suseonsa, Hyekeun and his disciples were all from Mt. Sagul Monastery and Hyekeun's disciples interacted with monks of Suseonsa. Although Jinul did not go to China to learn Imje-zen directly, he set the tradition of Jokye-zen after realizing the true meaning of Imje Ganhwa-zen by practicing asceticism on his own. Jinul's disciples succeeded Jokye-zen tradition and interacted with monks of Imjejong of China and set the tradition of Ganhwa-zen by accepting the idea of Monk Mongsan Deokyi. In the pedigree of Temple Songkwang, Mt. Sagul Monastery faction took the position of chief monks with Hyekeun and his students at the center. Hyekeun succeeded the zen idea of Jinul and passed down to Cheongheo Hyujeong in middle time of Joseon dynasty. Heogun stated in the Samyung's tombstone that Jinul and Hyekeun earned the will of Hongin and their lineage continued to Samyung Yujeong and early disciples of Chungheo at the time admitted this. Yet, late disciples of Chungheo in the middle Joseon regarded Bowoo as the first Zen master by putting up Imje-zen centered lineage and insisting Honsoo, Hyekeun's student, to be student of Taego Bowoo. Opinion of monks who insisted on Imje-zen lineage by converting Honsoo into Bowoo's disciple not Hyekeun's disciple turned out to be false by study of scholars of today.

      • KCI등재

        나옹혜근의 고려말 불교 주도와 여말선초 나옹혜근 문도의 활약

        이철헌(Lee Cheol-heon) 보조사상연구원 2021 보조사상 Vol.61 No.-

        고려말 삼사 경한‧보우‧혜근 가운데 실질적으로 불교계를 주도한 이는 공민왕사 혜근이다. 혜근이 고려말 불교를 주도한 배경에는 서천 108조인 지공(指空, 1300~1361)의 후광과 공민왕이 주관한 공부선의 시험관 그리고 민중친화력이 있었다. 그리고 입적할 당시 많은 이적이 나타났고, 수많은 사리를 남겨 민중들이 열광적으로 추모했다. 혜근이 왕사가 된 이후 머물렀던 사찰로 대표 문도들이 주지를 했던 사찰 가운데 송광사와 회암사가 매우 중요한 사찰이다. 송광사는 고려중기 선종을 대표하는 지눌을 비롯해 수선사계의 많은 소승을 배출한 사굴산문의 대표 사찰로 동방제일도량이라 불렸다. 고려말 나옹혜근과 그 문도인 환암혼수·무학자초·혜암상총‧고봉법장이 주지를 했다. 송광사는 혜근의 선법을 이은 혼수와 증명삼화상의 계보를 이은 자초가 모두 주지를 하고 있다. 오늘날 송광사 16국사에 국사인 환암혼수는 제외하고 고봉법장을 넣어 16국사라 말한다. 법장은 국사가 아니었음에도 불구하고 조선초 송광사를 크게 중창한 인물로 국사전에 봉안되었기 때문이다. 기산(綺山)은 송광사연혁(松廣寺沿革)에서 고봉법장 대신에 환암혼수를 16국사에 넣고 있으며, 보조이하 수선사계의 법을 나옹과 무학이 잇고 있다고 했다. 16국사에 대한 역사적 배경을 살펴 16국사에 대한 인식을 바꾸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송광사는 ‘지눌-…-혜근-혼수’의 국내 조계선 법맥을 이어온 사찰이고, 회암사는 ‘지공-나옹-무학’ 삼화상의 법맥을 이어온 사찰이다. ‘혜근-혼수’가 공부선을 통한 사법전등이라면 ‘혜근-자초’는 민중친화의 교화전등이라 할 수 있다. 회암사는 폐사되어 사라졌으니 이제 송광사가 조계선과 삼화상 법맥을 모두 아우르는 중심사찰이 되어야 한다. Among the three monks of the Late Goryeo Dynasty, Gyeonghan, Bowoo, and Hyegeon, the one who actually led the Buddhist society was Hyegeon, the mentor of King Gongmin. In the background of Hyegeon leading Buddhism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ere were the halo of Jigong, the 108th of the Indian Lineage, the examiner of Kunghu zen, which was supervised by King Gongmin, and the friendliness of the people. When he died, many miracles appeared, and he left many relics, which the people enthusiastically commemorated. Songkwang temple and Hoiam temple are very important temples among the temples that Hyegeon stayed at after becoming the mentor of king and where Hyegeon’s leading disciples became the chief priest. Songkwang temple was called the best temple of Korea as the representative temple of Sakulsanmoon, which produced many monks of the Sooseon Temple Lineage, including Jinul who represented the Zen sect of the middle Goryeo Dynasty. At the end of the Goryeo Dynasty, Naong Hyegeon and his disciples, Hwanam Honsoo, Muhak Jacho, Hyeam Sangchong, and Gobong Beobjang became the chief priest at the temple. Honsoo, who succeeded Hyegeon s Zen Linage, and Jacho, who inherited the genealogy of the three monks become the chief priest at Songkwang temple. Today, 16 National Preceptors of Songkwang temple are called 16 National Preceptors by adding Gobong Beobjang, excluding Hwanam Honsoo, a National Preceptor. This is because, although Beobjang was not a National Preceptor, he was enshrined in the house of National Preceptors as an important figure who rebuilt Songkwang templ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Gisan said that in The History of Songkwang temple, Hwanam Honsoo is included in the 16 National Preceptors of Songkwang temple instead of Gobong Beobjang, and Naong and Muhak succeeded the law of the Suseonsagye after Bojo. By examining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16 National Preceptors, the necessity of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history of the 16 National Preceptors is raised. Songkwang temple is a temple that has continued the Lineage of domestic Jogye Zen of ‘Jinul-…-Hyegeon-Honsoo’, and Hoiam temple is a temple that has continued the Lineage of the three monks, ‘Jigong-Naong-Muhak’. If ‘Hyegeon-Honsoo’ is the transmission of Zen, ‘Hyegeon-Jacho’ is the people-friendly transmission of enlightenment. Since Hoiam temple was ruined and disappeared, Songkwang temple should now become the central temple encompassing the Lineage of Jogye Zen and the three monks.

      • KCI등재

        여말선초 수선사 16국사 고봉과 송광사 18주지 무학

        황인규(Hwang In gyu) 보조사상연구원 2015 보조사상 Vol.43 No.-

        본 논문은 여말선초 나옹혜근의 문도 고봉법장과 무학자초가 각기 수선사 제 16국사와 송광사 18주지로 추념된 사실을 살핀 연구이다. 무학자초는 고려말 지공의 제자 나옹과 함께 양주 회암사를 불교계의 중심 세터로 중흥시키려고 한 바 있으며, 특히 조선 건국 직후 왕사로 책봉되어 회암사를 중심으로 불교계를 중흥하고자 하였다. 고봉법장은 무학 왕사를 비롯한 불교계의 도움으로 조선초 퇴락한 송광사를 중창하였으며, 그의 부도가 송광사에 봉안되었다. 고봉이 수선사 제 16국사로 추념된 것은 조선중기 임진난을 전후하여 송광사의 고승의 활약에 힘입은 바 크다. 무학은 조선후기에 이르러 스승 지공ㆍ나옹과 함께 삼화상으로 존숭되면서 스승 나옹과 더불어 송광사 제 17ㆍ18주지로 추념되었다. 이렇듯 고봉이 수선사 16국사로, 무학과 그의 스승 나옹이 송광사 18주지로 추념되면서 송광사는 통도사와 해인사와 더불어 한국 불교계를 대표하는 삼보종찰로 정립되었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tatus and significance of the sixteenth Guksa, Gobong of the Suseon temple & Eighteenth great Monk, Muhak of the Songgwang temple Their disciples ware appointed of the head preist of Suseon Temple such as Muhak & Gobong who were Naong's disciples. Muhak became a head priest of main Buddhist temple, Song Kwang-Sa and participated in reconstruction of Hwe-am-sa. Since the death of Hae-keun, Muhak concentrated himself on Buddhist rituals and services for cherishing Hae-keun, Chi-kong. At the Same time, he participated in establishing new Dynasty with Yi, Sung-kye. The detail story was well preserved in the official document, Jeong-Jo Sillok of Yi dynasty. As soon as the new dynasty was founded, Muhak discharged his obligation as the King's official tudor. Gobong was not designated as a national monk, because the system of a king's adviser and a national monk had been abolished. And Gobong had reconstructed the Songgwang temple by the aid of Muhak in the period of early Joseon dynasty. Gobong's stupa was built after his death in the Songgwang temple. Gobong was cherished the memory of the Sixteenth Guksa in the period of middle Joseon Dynasty Muhak was payed a tribute to the memory of the eighteenth Guksa at the Songgwang temple in the period of late Joseon Dynasty. Therefore, Songgwang temple has produced the sixteen master monks and eighteenth great Monk in the period of late Joseon Dynasty. and the Songgwang temple was designated as the sangha treasure temple. Ever since, Songgwang temple with Haein temple and Tongdo temple are called the three treasure monasteries in Korea.

      • KCI등재

        仙巖寺高麗時代石造浮屠의 建立時期와 意義

        嚴基杓(Eom Gi Pyo) 역사문화학회 2009 지방사와 지방문화 Vol.12 No.1

        SeonAm-Temple was located to the central point in the JoGae-Mountain. This temple had been established in the late of Unified Silla Period. It was the center of buddhist culture from Unified Silla Period to Goryeo Dynasty in Honam Country. At present, there are three stone-stupas still left. First, north stone-stupa. Second, stone-stupa of DaeGak-Hermitage. Third, east stonestupa. But, we don’t know when they made. They are very important. Because, they had been established to 1 temple space, in the same age. Recently, study on the form and style of Goryeo Stone-Stupas accumulate. A store of knowledge asks to reconsider the building time, significance and front and rear. Three stone-stupas are much alike in character of form and style. North stone-stupa involves various side of the Unified Silla stone-stupa. DaeGak-Hermitage stone-stupa and East stonestupa have the new trimming stone technique and style. This character showed the form and style of Goryeo Dynasty. East stone-stupa distinguished simplicity and formality in style. Building Time, according to the style, North stone-stupa is first, DaeGak-Hermitage stone-stupa is second, East stone-stupa is third. In the present age, stone-stupa and tabbi were established each one in 1 temple. The fact, three stone-stupas in the same age of SeonAm-Temple, is unique in the history of Goryeo stonestupas. 仙巖寺는 호남 명산인 曹溪山자락에 위치한 사찰로 분명한 창건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관련 기록과 남아 있는 유적 유물들로 보아 적어도 신라 말기에는 창건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후 고려시대 들어와 大覺國師義天에 의하여 크게 중창된다. 그리고 조선시대 들어와서도 법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었으며, 각종 법회가 열리고 불경이 간행되는 등 호남지역 불교문화의 중심이었다. 현재 선암사에는 고려시대 건립된 3기의 석조부도가 남아있는데, 탑비가 남아있지 않아 구체적인 건립 시기와 배경, 주인공들의 행적에 대해서 알려진 것이 없지만 한 사찰에 동시대에 건립된 3기의 석조부도가 전하고 있다는 것만으로도 주목을 끌어왔다. 최근 고려시대 석조부도에 대한 전체적인 파악과 양식에 대한 계열적인 연구 성과가 축적되면서 새롭게 접근해야 될 필요성이 요구된다. 선암사에 건립된 고려시대 석조부도 3기는 유사한 양식을 보이면서도 북부도는 기단부와 탑신부의 양식이 신라적인 요소가 강하게 남아있으며, 대각암 석조부도와 동부도는 고려화된 치석 수법과 양식을 함유하고 있다. 세부 장식과 치석 수법에서는 동부도가 간략화와 형식화의 경향이 강하게 진전되었다. 이러한 사실로 보아 3기의 석조부도는 모두 고려전기에 건립되었지만 북부도 → 대각암 석조부도 → 동부도 순으로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신라와 고려시대의 경우 1寺-1僧-1塔-1塔碑가 세워지는 것이 관행이었다. 그런데 한 사찰에 동시대 건립된 3기의 석조부도가 있다는 것은 당대 선암사의 위상이 상당히 높았음을 간접적으로 시사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지눌 정혜결사의 근현대적 계승 고찰

        보경(Bokyoung)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보조국사 지눌은 고려후기의 수행자며 사상가이기도 하다. 지눌은 고려사회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격동의 역사와 궤를 맞춰갈 수밖에 없었던 시대상황 속에서 불교 내부의 선종과 교종의 융합이라는 전혀 새로운 불교의 시원을 열어보였다. 선과 교가 분리될 수 없음을 일깨워 고려불교에 통일성을 기하고 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혁신, 나아가 요익중생의 종교본분을 모색하였다. 그 사상의 근간이 바로 정혜결사운동이다. 결사는 단순히 수선사에 그치지 않고 고려후기를 거쳐 억불숭유의 조선과 근현대사의 질곡을 극복할 사상적 대안이 되었다. 본 논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정혜쌍수라는 지눌의 선사상과 그 사상의 실천이라 할 결사가 오늘의 근현대에서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한국불교가 심한 부침을 겪으면서 사상의 단절은 필연적인 결과였다. 근현대 선사상을 새롭게 정립한 경허와 한암의 결사계승, 나아가 수선사 16대 마지막 국사였던 고봉의 몽중수기를 받은 효봉이 송광사를 불교중흥의 근본도량으로 인식하고 제자인 구산이 조계총림과 국제선원을 세워 선의 대중화를 실천하고 제2정혜결사운동을 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 산중에서 천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그 나라의 종교사상을 주도해나간 역사가 흔하지 않다. 여기에 착안하여 과연 통시대적인 지눌의 결사정신이 무엇이며, 교단과 사회가 혼미한 때일수록 자기정화의 실천대안으로 정혜결사가 주목받는 역사를 천착해봄으로서 미래사회의 불교역할을 모색해 본 것이다. 즉 시대를 달리하여 자기 극복 내지는 교단정화의 씨줄날줄로 작용하는 결사정신의 가치에 대한 고찰이다. Bojokuksa Chinul is a discipliner and ideologist in the second half of Goryo Dynasty. Chinul showed the totally new initiation of Buddhism that is the fusion of zen sect and non-zen sect inside the Buddhism in the midst of the social situation to be in line with the dynamic history of East Asia and Goryo Society as well. He contributed to the unification of the Goryo Buddhism by enlightening the no separation of zen and non-zen and explored the innovation of the Buddhism and the duty of the religion for benefiting sentient beings based on this. The base of the thought was the samadhi and prajna movement. The prajna was not popular in Susun Temple only but it became the id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hoseon Dynasty which restricted Buddhism and pursued Confucianism and the fetters of modern history. This thesis is to consider how the zen thought of Chinul that is the both study of zen and knowledge and the association which can be the carry out of the ideology is succeeded in modern times. The disconnection of the thought was an eventual result during the severe twists and turns in Korean Buddhism. Gyunghuh and Hanam succeeded the association which is the new establishment of modern zen thought. Furthermore, Hyobong who received the instruction during dreaming of Gobong who was the 16th and the last national zen master of Susun Temple recognized the Songkwang Temple as the fundamental place for the revival of Buddhism and his student, Kusan performed the publication of the zen by establishing the Chogye Chongrim and international zen center and it reached today by declaring the second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The history of dominating the religious facility for a period of nearly one thousand years in the deep mountain was rare. By taking an idea from this point, this study explored what is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of Chinul and explored the role of the Buddhism in the future society by scrutinizing the history of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of Chinul which draw attention as a practical alternative in the self purification in the chaotic times of the religion organization and society. Consequently, this thesis considered the value of throughout times which acts for the basic pattern for the self overcoming and the purification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in different times.

      • KCI등재

        지눌 정혜결사의 근현대적 계승 고찰

        전행욱(보경) 보조사상연구원 2011 보조사상 Vol.36 No.-

        Bojokuksa Chinul is a discipliner and ideologist in the second half of Goryo Dynasty. Chinul showed the totally new initiation of Buddhism that is the fusion of zen sect and non-zen sect inside the Buddhism in the midst of the social situation to be in line with the dynamic history of East Asia and Goryo Society as well. He contributed to the unification of the Goryo Buddhism by enlightening the no separation of zen and non-zen and explored the innovation of the Buddhism and the duty of the religion for benefiting sentient beings based on this. The base of the thought was the samadhi and prajna movement. The prajna was not popular in Susun Temple only but it became the ideological alternative to overcome the Choseon Dynasty which restricted Buddhism and pursued Confucianism and the fetters of modern history. This thesis is to consider how the zen thought of Chinul that is the both study of zen and knowledge and the association which can be the carry out of the ideology is succeeded in modern times. The disconnection of the thought was an eventual result during the severe twists and turns in Korean Buddhism. Gyunghuh and Hanam succeeded the association which is the new establishment of modern zen thought. Furthermore, Hyobong who received the instruction during dreaming of Gobong who was the 16th and the last national zen master of Susun Temple recognized the Songkwang Temple as the fundamental place for the revival of Buddhism and his student, Kusan performed the publication of the zen by establishing the Chogye Chongrim and international zen center and it reached today by declaring the second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The history of dominating the religious facility for a period of nearly one thousand years in the deep mountain was rare. By taking an idea from this point, this study explored what is the spirit of the association of Chinul and explored the role of the Buddhism in the future society by scrutinizing the history of association of samadhi and prajna of Chinul which draw attention as a practical alternative in the self purification in the chaotic times of the religion organization and society. Consequently, this thesis considered the value of throughout times which acts for the basic pattern for the self overcoming and the purification of the religious organization in different times. 보조국사 지눌은 고려후기의 수행자며 사상가이기도 하다. 지눌은 고려사회뿐만 아니라 동아시아 격동의 역사와 궤를 맞춰갈 수밖에 없었던 시대상황 속에서 불교 내부의 선종과 교종의 융합이라는 전혀 새로운 불교의 시원을 열어보였다. 선과 교가 분리될 수 없음을 일깨워 고려불교에 통일성을 기하고 이를 바탕으로 불교의 혁신, 나아가 요익중생의 종교본분을 모색하였다. 그 사상의 근간이 바로 정혜결사운동이다. 결사는 단순히 수선사에 그치지 않고 고려후기를 거쳐 억불숭유의 조선과 근현대사의 질곡을 극복할 사상적 대안이 되었다. 본 논이 고찰하고자 하는 것은 정혜쌍수라는 지눌의 선사상과 그 사상의 실천이라 할 결사가 오늘의 근현대에서 어떻게 계승되고 있는가에 대한 것이다. 한국불교가 심한 부침을 겪으면서 사상의 단절은 필연적인 결과였다. 근현대 선사상을 새롭게 정립한 경허와 한암의 결사계승, 나아가 수선사 16대 마지막 국사였던 고봉의 몽중수기를 받은 효봉이 송광사를 불교중흥의 근본도량으로 인식하고 제자인 구산이 조계총림과 국제선원을 세워 선의 대중화를 실천하고 제2정혜결사운동을 천명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한 산중에서 천년에 가까운 세월 동안 그 나라의 종교사상을 주도해나간 역사가 흔하지 않다. 여기에 착안하여 과연 통시대적인 지눌의 결사정신이 무엇이며, 교단과 사회가 혼미한 때일수록 자기정화의 실천대안으로 정혜결사가 주목받는 역사를 천착해봄으로서 미래사회의 불교역할을 모색해 본 것이다. 즉 시대를 달리하여 자기 극복 내지는 교단정화의 씨줄날줄로 작용하는 결사정신의 가치에 대한 고찰이다.

      • KCI등재

        부휴 선수의 사상과 그의 법통관

        김방룡 한국선학회 2009 한국선학 Vol.22 No.-

        본고는 조선 중기 청허 휴정과 더불어 조선선을 크게 중흥시킨 부휴 선수의 사상과 그의 법통관에 대하여 다루고 있다. 부휴의 생애에서 중요한 점은 소재 노수신과 사명 유정 등과의 교유이다. 특히 이들의 만남은 한시(漢詩)를 매개로 하여 이루어졌으며, 당시 영의정까지 지낸 노수신 및 임진왜란 당시 의승군을 지도했던 사명 유정과의 격의 없고 긴밀한 교류는 유학자와 선승(禪僧) 간의 교유의 모범적인 한 사례를 보여주고 있다.부휴의 사상은 부용 영관의 선사상을 계승하고, 한시를 통하여 도(道)의 세계를 노래하는가 하면, 유ㆍ불 간의 조화를 꾀하고, 임진왜란을 당하여 구국(救國)과 자비(慈悲)의 사상을 주장하였다. 부휴는 부용 영관의 선사상을 계승하였지만 그 스스로 법통관을 정립한 것은 아니다. 부휴와 그의 제자 각성에 의하여 계파 성립의 기반을 구축한 부휴의 문도들은 백암 성총 대에 이르게 되면 계파로서 정체성을 확립하게 된다. 부휴계는 서산계와 경쟁하면서 조선후기 불교계를 주도하게 된다. 이들은 송광사를 중심으로 보조의 유풍을 계승하게 되며, 다른 한 편 부휴를 중심으로 한 법통설을 강조하게 된다. 다만 법통설에 있어서는 서산계와 같이 ‘임제-태고 법통설’을 주장하고 있으며, 서산이 아닌 부휴를 정맥으로 주장하고 있음을 밝혔다. I dealt with the thought of Buhyu-Seonsu and his viewpoint of the religious tradition in this paper. Buhyu, a Buddhist priest, revived considerably Joseon-Seon with Cheongheo-Hyujeong, a Buddhist priest, in the middle of the Joseon Dynasty.The important point of Buhyu's life is a companionship with Sojae-Nosusin and Samyeong-Yujeong. Their companionship was formed through the medium of Chinese poetry. Nosusin had filled successively the chief minister of Joseon Dynasty. And Samyeong had leaded the righteous priest army in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Their unreserved and close interchange showed a typical companionship with Seon masters and Confucianists. Buyhu succeeded to the thought of Buyong- Yeongkwan and composed the world of the truth through the Chinese poetry. He sought the harmony between Confucianism and Buddhism. And he insisted on the thought of salvation of his country and the mercy. He succeeded to Buyong's thought but didn't make his own viewpoint of religious tradition. Establishing the lineage by Buhyu and his follower, Gakseong, the disciples of Buhyu built up the identity as the lineage after Baekam-Seongchong. Competing with Seosan's line, Buhyu's line played a leading role for the world of Buddhism in the late of the Joseon Dynasty. Centering around Songkwang temple, they succeeded to the custom of Bojo. On the other hand, they emphasized the view of the religious tradition centering around Buhyu. They just insisted 'the view of religious tradition of Taego after Imjae' like Seosan line. But they clarified their view that they claimed the orthodoxy of Buhyu not Seosan.

      • KCI등재후보

        曉峰, 修禪社 가풍의 계승 및 근대 看話禪의 확립자

        김방룡(Kim Bang-ryong) 불교학연구회 2005 불교학연구 Vol.12 No.-

          I studied on the life and thought of Hyobong-Haknul, The representative Korean modern learned Buddhist priest. I tried light up the Korean modern Buddhism objectively and the role of Hyobong who had established the Korean modern Buddhism newly.<BR>  First of all, I inquired into the problem through Hyobong"s life, "How can we pratice Kanhwa-Zen and how should the practicer"s life be?". The inquiry into those problems would help to illuminat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odern Buddhism.<BR>  Secondly, I focused on the problem,"What is Hyobong"s selection to recover the original form of Korean Buddhism and to succeed to the right line of Buddha?". I thought that Hyobong had tried to establish newly Korean modern Buddhism by succeeding the tradition of Suseon-temple of Bojo-Chinul. The spirit of succession to Bojo"s thought, Sudden enlightenment and gradual cultivation and Both cultivation samadhi and prajna is the important point to prescribe the original form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Buddhism. That spirit provide against Seongcheol"s view.<BR>  Finally, I examined the inner relation of Hyobong"s Kanhwa-Zen with Bojo"s thought .I considered that there were individuality and the spirit of succession to Bojo"s thought in that inner re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