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성범죄 보도의 선정성과 음란물 노출이 남자 대학생의 성관련 감정, 인지,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

        변인정,정용국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2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7 No.3

        This study examined how the sensational value of sex crime news and the exposure to pornography would affect sexual emotion, percep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Research on the effects of sex on media has usually focused on the influence of fictional materials such as movies and drama, and most of previous studies reported that the heavy exposure to obscene materials induces sexual impulse and even can lead to sexual violence. On the other hand, studies that conducted content analysis of sexual crime reports in newspapers argue that such news emphasizes suggestiveness for stimulating readers’ interest and even inducing copycat crimes rather than dealing with the seriousness, causes and preventive measures of sexual crimes and, consequently, are likely to make social efforts to cope with sexual violence inefficient. With this background, this study predicted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sensational value in sexual crime news, the more negative effects similar to those of obscene materials such news would produce. A total of 135 male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With regard to the effects of exposure to obscene materials, first, the college student group exposed highly to obscene materials showed higher perception of instrumental sex than the group exposed lowly. Second, the college student group exposed highly to obscene materials had a stronger intention to commit sexual delinquencies than the group exposed lowly. Finally, although the suggestiveness of sexual crime news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expected in the hypothesis, an additional analysis on the data showed there might be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jective evaluation on the news in terms of the sensational value and sexual impulse. 대중매체로서 신문은 공중에게 사회에서 일어나는 중요한 현안에 대한 정보를 전달할 뿐만 아니라, 공중이 건전한 가치와 태도를 형성할 수 있도록돕는 역할을 한다. 최근 언론의 성범죄 관련 보도 양태를 볼 때, 과연 언론이 이러한 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는지 의문이다. 특히 성범죄 보도에 있어 언론의 선정주의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오랫동안 계속되었다. 언론이 성범죄의 선정성과폭력성을 강조하여 보도할 때, 범죄 보도를 통한 규범 강화, 사회 안정, 치안 강화등의 순기능은 감소하고 모방 범죄나 과도한 공포감 조성 등 역기능이 증가할 수있다. 또한 우리나라 음란물 소비는 과거 어느 때에 비해 급격하게 증가한 것이사실이다. 비록 성인일지라도 과도한 음란물 소비는 성에 대해 잘못된 관념을 유발하고 성에 관한 현실을 왜곡되게 파악하게 만들 수 있다. 본 연구는 성범죄 보도의 선정성과 음란물 노출이 성 관련 감정, 인지, 행위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남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험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음란물 노출이 높은 대학생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에 비해 도구적성 인식과 성 비행 시행의지가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범죄기사의 선정성에 대한 영향은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왜냐하면실험적으로 처치된 선정성 고/저 집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개별 피험자의뉴스 기사에 대한 선정성 평가는 성 충동과 유의미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 KCI등재

        시설노인의 성태도, 성욕구가 성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유호(Yoo-Ho Choi),김윤정(Youn-Jeong Kim),김용미(Yong-Mi Kim)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10

        본 연구에서는 시설에 거주하는 노인 352명을 대상으로 노년기 성태도와 성욕구가 성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인 시설노인들의 성태도는 부정적인 성태도가 긍정적인 성태도 보다 높고, 성욕구나 성대처 행동은 중앙값에 못 미치는 낮은 수준을 보였다. 둘째, 시설노인들의 긍정적 성태도는 남자 65세 이하, 시설 종사자들이 남녀 노인간 이성교제를 좋게 본다고 인식하는 경우, 시설노인들이 동료 노인들의 이성교제를 좋게 본다고 인식하는 경우에 긍정적인 성태도의 점수가 높았다. 부정적인 성태도는 86세 이상이 높았고, 학력은 초·중졸집단이 높고, 고졸이상, 무학 순으로 역U자형 곡선을 보였다. 넷째, 성충동은 남자인 경우, 65세 이하인 경우에 성충동 점수가 높았다. 성관계 욕구는 남자인 경우, 65세 이하인 경우, 학력은 무학인 경우에 제일 높고 그 다음이 고졸이상, 초·중졸순으로 나타나 U자형 곡선을 보였다. 다섯째, 남자인 경우, 연령이 낮을수록 문제중심적 대처행동의 점수가 높았다. 또한, 남자인 경우, 66∼75세인 경우 문제회피적 대처행동의 점수가 높았다. 다섯째, 시설노인들의 긍정적인 성태도가 높을수록 부정적인 성태도는 낮았으며 성충동, 성관계욕구가 높고, 문제중심적 대처 행동과 문제회피적 대처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연령이 낮을수록, 긍정적인 성태도일수록, 성충동과 성관계 욕구가 높을수록 문제중심적 대처행동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effect of senescent sexual attitude and desire of 352 aged people living in institutions on coping behavior.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negative sexual attitude was higher than the positive one of the aged peopl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nd their sexual desire and coping behavior showed a low level, falling short of the median. Secondly, as for the positive sexual attitude of aged people in the institution, the point of sexual attitude of those under age 65 appeared high. As for the negative attitude, the point was higher among those over 89 in age, that of the group who graduated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as also high, showing a U-turn curve in the order of those with an academic background of high school and above and those with no academic background. Thirdly, as for sex drive, the point of sexual attitude of those under age 65 appeared high in cases where persons engaged in the institution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d men and women as good and in cases where aged people in the institution see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fellow aged people as good. As for the desire for sexual relationship, the lower their ages were, their points were higher; and in terms of academic background, the highest were those with none, followed by those who graduated from high school and above and by those who did from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showing a U-turn curve. Fourthly, as for the problem-focused coping behavior of aged people in the institution with respect to coping behavior toward the sex, the lower their ages were lower, the higher their points were, and the points were also high in cases where persons engaged in the institution look at the relationship between aged men and women as good and in cases where aged people in the institution see the relationship among their fellow aged people as good. As for the problem-evading coping measure, the points for men at age between 66 and 75 appeared high in cases where persons. Fifthly, the higher the positive sexual attitude of aged people in the institution was, the lower their negative sexual attitude was while the higher the sex drive and the desire for sexual relationship were; and they were shown to do problem-focused coping behavior and problem-evading coping behavior well. Sixthly, the more positive their sexual attitude was, the higher the sex drive and the desire for sexual relationship were, the better they were shown to do problem-focused coping behavior.

      • KCI등재후보

        성희롱 행위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

        이수창(Lee, Soochang) 대검찰청 2014 형사법의 신동향 Vol.0 No.44

        종래 성희롱은 성폭력이나 강제추행의 개념 범주에 들어가지 않는 사회생활에 있을 수 있는 남녀 간의 가벼운 신체접촉 등으로 치부되었고, 이에 대하여 형사적인 처벌 보다는 직장 내의 징계, 민사상 손해배상청구 등을 통한 책임추궁에 그쳤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보다 효과적인 성희롱 예방을 위해서는 행위자에 대하여 보다 직접적인 제재가 필요하고, 그 방식이 적극적인 형사처벌을 통한 성희롱 행위의 ‘범죄화’라 할 것이다. 성희롱에 대한 형사법적 규제 방식은 국가마다 상이하다. 미국은 연방형법 및 주법에서 몇 가지 유형의 성희롱 행위를 나열하고 이를 형사적으로 처벌하는 개별규정을 두고 있는 반면, 프랑스와 스웨덴과 같이 형법에 별도의 포괄 규정으로 성희롱을 처벌하는 입법례도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육체적ㆍ언어적ㆍ시각적 성희롱 등 각 행위유형별 성희롱 행위에 대하여 (i) 특정 신체부위를 만지는 육체적 성희롱은 형법상 강제추행죄,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공중밀집장소에서의추행), (ii) 음란한 이야기를 하는 등의 언어적 성희롱은 형법상 명예훼손, 모욕죄, (iii) 시각적 성희롱은 형법상 공연음란죄 등의 성립이 문제될 수 있다. 다만, 다양한 유형의 성희롱 행위들이 형법,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등의 형사처벌 규정 구성요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이에 대하여 형사적 제재를 가할 수 없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형법에 별도의 성희롱 처벌규정을 신설하는 방안, 제3의 특별법을 제정하는 방안 등을 생각할 수 있으나, 성희롱 피해자에 대한 보호조치를 마련하고, 기존의 형사법 체계와의 정합성 유지 등을 도모하기 위하여는 현행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에 성희롱 관련 처벌 규정을 별도로 신설함으로써 성희롱을 보다 강하게 처벌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 것이다. Conventionally, sexual harassment has been dismissed as nothing more than casual bodily contact between the genders, which does not fall into the category of sexual violence or indecent assault. It has been dealt with by disciplinary actions in the workplace or claims for monetary damages at most rather than by criminal punishment. Imposing a more direct sanction is called for to prevent sexual harassment effectively, which can be accomplished by ‘criminalizing’ behaviors that constitute sexual harassment through tough criminal punishments. Criminal sanctions against sexual harassment differ from country to country. Whereas U.S.A. has enumerated several types of behaviors that fall into sexual harassment not only in its federal constitution but in the state law and has legislated specific penal provisions for them, some countries such as France and Sweden have a separate, catch-all provision in criminal law. In Korea, each type of behaviors, e.g. physical, verbal and visual behaviors that may constitute sexual harassment under the criminal law is (i) Indecent Act by Compulsion (Criminal Act Art.298) for physical sexual harassment by touching of a person's body, Indecent Act at Crowded Public Plac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Art.11), (ii) Defamation (Criminal Act Art.307) and Insult (Criminal Act Art. 311) for verbal sexual harassment such as using obscene languages, (iii) Public Indecency (Criminal Act Art. 245) for visual sexual harassment. Unless a wide range of behaviors that may constitute sexual harassment fall under the elements of crimes aforementioned, inflicting criminal sanctions on them would be practically impossible. To tackle this problem, measures such as adopting a penal provision for sexual harassment under the Criminal Act or legislating another special act could be considered. However, adopting a separate penal provision under the current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the Punishment, etc. of Sexual Crimes that establishes a legal basis for tougher and heavier punishment would be more desirable to provide protective measures for the victims and promote consistency with the existing criminal law system.

      • KCI등재

        성인지 예산 제도화의 정책적 효과 분석 - World Bank 73개 국가를 중심으로 -

        홍희정 ( Heejeong Hong ),홍성현 ( Sunghyun Hong ) 국제지역학회 2018 국제지역연구 Vol.22 No.3

        이 연구는 그동안 진행된 성인지 예산 관련 연구가 개념적 논의에 머무르는 한계를 지적하고 거시데이터를 활용하여 성인지 예산의 제도화가 양성평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분석대상은 세계은행 기준 229개 국가 중 성인지 예산을 시행하고 있는 73개 국가이며,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06년-2012년 7년에 걸친 자료를 패널 데이터를 구축하여 패널분석방법인 고정효과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종속변수는 성인지 예산의 궁극적인 목적이 되는 양성평등(성 격차 지수)으로 설정하였고, 독립변수는 성인지 예산의 제도화(형식적, 질적 구분)로 설정하였다. 그리고 그 외 종속변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사회경제적 요인, 정치적 요인, 지리적 요인을 통제변수로 설정하였다. 분석결과, 성인지 예산의 제도화는 양성평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인지 예산이 말이나 문서와 같이 수사적 행위에 머무르는 것보다 법률적, 절차적으로 형식적 기반이 갖추어진 국가에서 양성평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성인지 예산의 제도화 수준이 높은 국가일수록 양성평등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성인지 예산의 제도화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제도화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oint out the limitation of the conceptual discussions in which researches on gender responsive budgeting have remained so far and to empirically analyze the effect of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responsive budgeting on the gender equality by using macro data. The units of the analysis were 73 countries which implements gender responsive budgeting among the 229 countries registered in the World Bank. Panel data were established on the materials of 7-year period from 2006 to 2012, which were analyzed by Fixed Effect Model. Gender Equality (Gender Gap Index) which is the ultimate goal of gender budgeting was established as the dependent variable whil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Responsive Budgeting (formal and qualitative classification) was establish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 In addition, social and economic factors, political factors and geographical factors which were judged to affect dependent variables were established as control variables. As a result of analysis, the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responsive budgeting has positive effect on gender equality. Thus, the study confirmed that gender responsive budgeting has positive effect on gender equality in countries with legal, procedural and formal foundations rather than in countries with simple rhetoric in catchwords and documents. Moreover, the higher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responsive budgeting is, the more positive effect it has on the gender equality. Therefore, the study found out that efforts need to be accompanied to enhance the level of institutionaliz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institutionalization of gender responsive budgeting.

      • KCI등재

        여자고등학생의 여성성역할, 여성성역할갈등과 부모진로지지, 의사결정의존성 및 진로결정 간 관계

        하문선 한국직업교육학회 2014 職業 敎育 硏究 Vol.33 No.2

        본 연구는 성역할이론과 사회인지 진로이론을 바탕으로 여자고등학생의 성역할의 긍정적 측면인 여성성역할과 부정적 측면인 여성성역할갈등이 그들의 진로결정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성성역할과 여성성역할갈등을 독립변인으로, 부모진로지지와 의사결정의존성을 매개변인으로, 진로결정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자고등학생의 여성성역할과 진로결정은 부모진로지지를 통해, 여성성역할갈등과 진로결정은 의사결정의존성에 의해 각각 완전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여자고등학생이 여성성을 높게 지각할수록 부모의 진로지지가 높아지고 그 결과 진로결정수준이 높아지며, 여성성역할갈등을 높게 지각할수록 의사결정의존성이 높아져 결국 진로결정수준이 낮아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결과는 여자청소년의 성역할과 진로결정 간 관계에서 여성성의 긍정적 측면뿐만 아니라 부정적 측면인 성역할갈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는 것이다. 또한 여성의 성역할사회화가 진로발달에 미치는 영향에서 의사결정의존성과 부모진로지지가 위험요인과 보호요인으로 각각 작용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 및 시사점이 제안되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of positive aspects(feminine gender roles: FGR) and negative aspects(feminine gender role conflicts: FGRC) of femininity to parental career supports, decision-making-dependency and career decision in Korean female high school students with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he results of SEM analysis about research model meaned that parental career supports mediated fully the relation of FGR and career decision and that decision-making-dependency mediated fully the relation of FGRC and career decision. This results suggested that positive aspects and negative aspects of femininity should be included simultaneously in the study to examine the effects of femininity on the psychological adjustment such as career decision.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long with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기획논문: 경상우도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학단(學團)을 중심으로 : 성재(性齋) 허전(許傳)의 강우지역(江右地域) 문인(門人) 고찰(考察)

        강동욱 ( Kang Dong Uk ) 경상대학교 남명학연구소 2011 남명학연구 Vol.31 No.-

        性齋 許傳은 星湖 李瀷-順菴 安鼎福- 下盧 黃德吉로 이어지는 近畿 南人系의 학맥을 이은 인물로 김해도호부사로 재임한 1864년 3월부터 1867년 7월까지 3년여 동안 지역 인재를 양성하여 강우지역의 학풍을 크게 진작시켰다. 性齋는 김해도호부사 부임 이후 回論文을 지어 백성들을 잘 보살피며, 관리들을 결속시키며 법에 따라 엄격하게 개혁할 것을 천명했다. 이어 新山書院 薇陽書院 龜川書院 松潭書院 禮巖書院 勿峯書院 등 강우지역의 주요 서원을 찾아 배알하고, 유생들을 데리고 향교에 나아가 鄕飮酒禮를 행하였다. 또 仁祖反正 이후 잊혀졌던 南冥學派 인물들의 墓道 관련 글, 行狀 文集 實紀의 序 跋 文, 齋舍와 亭子 등의 관련 글을 지어 그들의 學行을 적극적으로 顯揚하였다. 1865년에는 公餘堂을 열어 강학하였는데 와서 배우기를 청하는 사람이 백여명에 달했다. 이러한 性齋의 강우학풍 진작 노력으로 말미암아 19세기 강우지역에 性齋學脈이 寒洲 李震相 學脈, 蘆沙 奇正鎭 學脈으로 더불어 대표적인 학맥으로 형성되었다. 朴致馥 金麟燮 金鎭祜 趙昺奎 趙性濂 盧相益 盧相稷 姜柄周 安孝濟 등은 性齋의 학문을 계승해 각 지역의 학풍을 진작시키기도 했다. 강우지역 性齋 門人들은 진주 산청을 중심으로 하는 현재의 서부경남 지역과 김해 밀양 함안을 중심으로 하는 중부 경남지역에 밀집되어 있는데, 주지하다시피 모두 南冥學風이 강하게 형성되었던 지역이다. 性齋가 한강 미수의 연원이라는 점이 南冥學風이 면면히 이어져온 이 지역에 많은 문인 집단들이 형성되었던 큰 요인이 되었다고 볼 수 있다. 性齋 門人들의 종합적인 고찰이 되기 위해서는 性齋門人錄에 수록된 문인 개개인의 학문성향을 파악해 이를 분석해야 하는데, 이 글은 이에 미치지 못하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강우지역 뿐만 아니라 性齋門人錄에 등재되지 않은 문인들도 발굴해 이를 바탕으로 性齋學派의 범위도 넓혀갈 필요성도 있다고 여겨진다. Seongjae formed Seongjaehakpa in 19th century Yongnam districts academic clique rousing greatly academic traditions of kangou area training area competent person holding from March, 1864 Kimhae vice-envoy interval 3 years to July, 1867. Including maturing late Bakchibok, Seongjaehakpa`s V.I.P.s were people of pedigree that do almost Nammyeonghakmaek for origin, could know that this agrees with Seongjae`s Gahak background, and study origin. Rainfall area Seongjae literary mans can say that it academic traditions of the name of others that was buried almost after human work reforming the government by deposing the king have supported life only until 19th century and St. talent and learning MAC was formed with this that was distributed much in Haman Kimhae pearl sincerity like places. Bakchibok Jobyeonggyu Joseongryeom Nosangik Nosangjik Gangbyeongju imaginary circle way Anhyoje Heochan back, main scribbling tribe, inherited Seongjae`s study and rouse academic traditions of each area. These tended to study deeply Chinese classics as well as Yehak receiving because join academic traditions of practical science that is stamina others and use force in benefit of public welfare and rich country together. Grasp literary man`s each person`s study inclination who is collected to Seongjae Muninnok to become synthetic investigation of Seongjae literary mans and must analyze this, this writing has limitation that do not reach hereupon. Together,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ecessity to widen Seongjaehakpa`s range with this digging scribbling tribe which is not registered to Seongjae Muninnok as well as kangou area.

      • 성평등(性平等) 교육과 가톨릭 교회

        유성현(Sunghyun Ryu) 인천가톨릭대학교 복음화연구소 2022 누리와 말씀 Vol.51 No.1

        우리나라에서 이루어지는 성교육 내용에 대한 전반적 이해를 위해서 교회는 성평등 교육 정책, 관련 법 그리고 학교 교과서에 관한 연구를 지속해서 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어떤 성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그리스도인 자녀들이 젠더 교육에 얼마나 영향을 받고 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교회는 성(sex)과 성(性)의 본질적 가치인 섹슈얼리티(sexuality) 전달에 대한 의무를 다하지 못했다. 그러는 가운데 사회는 젠더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 정책과 법안 그리고 학교 교육을 위한 계획을 마련하고 단계별로 젠더 인식이 아이들과 학생들에게 스며들도록 가르치고 있다. 성교육에 대한 교회와 사회의 태도가 너무나 다르고 성교육 프로그램의 양과 질적인 차이는 급격하게 벌어지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의 가톨릭 역량은 점점더 축소되어 가고 있는 반면에 젠더 이데올로기는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그리고 이제는 교회 내의 몇몇 성직자와 수도자 중심으로 젠더를 용인하고 그들을 위한 미사나 그들이 속한 공동체에서 젠더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부터 강조된 성교육은 아직 시작도 하지 못했는데, 이미 젠더 교육은 교회 내에서도 점차 확산하고 있다. 교회가 강조했던 학제간 통합적 내용을 바탕으로 교육하는 단계별 성교육은 이미 많이 늦었다. 정부의 젠더 교육 정책은 시행착오를 넘어서서 발전과 확대로 나아가고 있는데, 교회는 아직 제대로 된 성교육을 진행조차 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젠더는 이미 이슈나 쟁점의 차원을 넘어서 의식화되어 가고 있다. 늦었다고 생각되는 지금이 단계별 성교육 정책을 위한 시작을 할 때다. The Korean Catholic Church should carry on the study of Gender Equality education policy, its relating law and the text book for overall understanding on sex education contents in Korea. If not, the Church could not know what kind of sex education is made in our country, and how much the Christian children are influenced from the gender education. Meanwhile, the Church failed to perform the duty of transferring the sexuality, which is the intrinsic virtue of sex and gender. In the mean time, the society prepared the programs, education policy, legislative bill, education centering on gender, and taught children and students to permeate with gender awareness step by step. The attitude of the Church and society toward sex education are too different, and the gap between the sex education programs, in quality and quantity, widened rapidly. While the competence of Catholic Church in Korean society has been downsized gradually, on the other hand, the power and influence of gender ideology have been expanded. And even few priests and religious took the lead in accepting gender, celebrating the mass, and progressing gender education within their belonging communities. Although the sex education, which is emphasized from the 2nd Vatican Council, has not been started yet, but the gender education has been spreaded out gradually in the Church. The phased sex education that the Church emphasized, which is based on interdisciplinary combined contents, is already too late. The reason is the gender educ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is moving to growth expansion over the trial and error, the Church even did not progress the proper sex education. Gender is already over the dimension of issue and dispute, became to be consciousness raising. The moment of getting late should be the start for phased sex education policy.

      • 성매매 보호법익의 실체 - 헌재 2016. 3. 31. 선고 2013헌가2 -

        張星源 ( Jang Seong Won ) 법조협회 2018 최신판례분석 Vol.67 No.6

        성매매를 불법으로 규정하고 광범위하게 단속함에도 성매매 처벌의 위하효나 예방효는 검증되지 못한 채 불신의 대상으로 남아 있다. 특히 다른 불법과 결합되지 않고 개인간 자유의사에 따라 합의로 이뤄지는 성매매에 대하여는 그 처벌 정당성에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이 와중에 2016년 헌법재판소 결정으로 성매매는 범죄로서 정체성을 다시 확인받고 그 생명을 연장하게 되었다. 그런데 헌법재판소가 성매매 보호법익으로 내세우는 사회적 도덕률, 건전한 풍속, 사회제도적 구조라는 것은 추상적이고 확증이 곤란한 개념이다. 범죄로서 가벌성을 지탱해주는 보호법익으로 기능하는가에는 회의적인 시선을 거두기 어렵다. 성매매의 보호법익이 추상적인 수준에서 모호하고 불확실하게 설정되어 있다는 점에서 성매매처벌의 정당성을 확인하고 범죄로서 정체성을 따져봐야 할 필요는 여전하다. 특정 행위에 대한 범죄화를 고려할 때에는 위험의 원인과 내용을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그것이 침해하려는 이익이 무엇인지, 위태롭게 하는 권리는 어떤 것인지 확정하여야 한다. 성매매를 벌하는 이유가 건전한 성풍속을 해한다거나 성윤리에 반할 위험이 있다는 추상적이며 특정되지 않는 불명확한 법익을 대상으로 한다는 비판을 직시하여야 한다. 건전한 성풍속과 성도덕에 가려진 진짜 법익이 무엇인지 들여다보아야 한다. 성매매로 보호하고자 하는 법익의 실체가 다른 행동과 생각에 대한 거부감이나 혐오라든가, 근거가 박약한 생물학적 건강상 이유라든가, 이제는 극복된 성차별적 사고의 파편이라든가, 노동과 직업에 대한 편견에 사로잡힌 잔재는 아닌지 되돌아보아야 한다. 이를 통해 “개개인의 행위가 비록 도덕률에 반하더라도 본질적으로 개인의 사생활에 속하고 사회적 유해성이 없거나 법익에 대한 명백한 침해가 없는 경우에는 국가권력이 개입해서는 안 된다”는 명징한 논리가 관철되어야 한다. On March 31, 2016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punishment clause in the Act on the Punishment of Prostitution is legislated to protect moral and customary, grant human dignity of sex workers. This article looks into the meaning and contents of the Constitutional Court’s decision toward prostitution, and reviews the perspective of the prohibitionist in light of the legal interest. I examine that the decision is not consistent with the void for vagueness of a provision which punishes a person for voluntary prostitution between adults. The 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violates the principle of definiteness and infringes the rights of sexual self-determination. This paper argue that the infringement of human rights caused by criminal punishment on the consented sex trade is unreasonable and inadequate in respect of marginal benefits. In the end, the desirable legal treatment of voluntary prostitution is decriminalization of prostitution.

      • KCI등재

        性轉換을 둘러싼 法的 問題點에 대한 檢討

        金台明(Kim Tae-Myeong) 한국법학원 2003 저스티스 Vol.- No.71

        최근 성전환자의 실상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고 몇몇 성전환자는 매스컴에서 활발한 활동을 전개함에 따라 성전환이 사회적 관심사로 부각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약 300-400명이 성전환수술을 받았으며, 약 4,500여명의 성전환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미 유럽 등 세계 각국에서 성전환을 법적으로 인정하고 있으며, 국내의 여론 또한 성전환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있다. 이러한 국내외적 변화에 발맞추어 최근 몇몇 법원에서는 성전환자에 대하여 호적정정을 허가했고, 일부 국회의원에 의하여 성전환을 인정하는 특별법의 제정이 추진되고 있다. 성전환으로 인한 호적정정을 인정하여야 하는가에 대해서 종교계나 법조계의 일부 등에서 반대하고 있으나, 국민의 여론이 성전환에 대하여 긍정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국회에서는 성전환특례법안이 제출되는 등 우리나라도 성전환을 점차적으로 인정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우리사회는 남성과 여성의 엄격한 구분을 전제로, 출생시에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성에 따라 일생을 살아가는 전형적인 다수자의 가치관을 토대로 형성ㆍ발전되어 왔기 때문에, 성전환으로 인한 호적정정이 인정되더라도 이로써 혼인ㆍ가족문제, 근로문제, 병역문제, 의료문제, 강간죄 등 형사법상의 문제 등이 한꺼번에 모두 해결될 수 없다. 지금까지 성전환에 관한 우리나라의 논의는 주로 성전환자에 대하여 호적정정을 인정할 것인가의 여부에 집중되어 있고, 이러한 개별적ㆍ구체적 문제에 대해서는 아직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이유에서 이 논문은 성전환과 관련된 여러가지 법률문제를 검토하고 있다. 우선 성전환으로 인한 호적정정을 인정하기 전에 성전환수술을 허용할 것인가를 검토한다. 일본이나 프랑스에서는 성전환수술을 상해죄로 처벌한 사례가 있는 만큼 성전환수술을 인정하기 위한 요건에 대해 살펴본다. 또한 성전환의 인정여부에 관한 외국의 법제와 판례를 살펴 봄으로써, 성전환으로 인한 호적정정의 요건과 절차에 대해 검토해 본다. 그리고 성전환을 둘러싼 법적인 문제로서 혼인 및 가족관계를 살펴본다. 특히 성전환자의 혼인관계가 법적으로 유효한 것으로 볼 수 있는가의 문제 그리고 성전환 후의 가족관계를 검토한다. 또한 성전환과 관련된 형사법적 문제점으로 Male to Female 성전환자에 대하여 강간죄가 성립할 수 있는가, 성전환자를 교도소ㆍ구치소에 수용하는 경우 어떤 수용시설에 수용해야 하는가 등의 문제를 검토한다. 그리고 성전환자의 병역문제로서 병역면제의 가능성과 문제점을 검토한다. 그런 다음 근로관계에서 성전환을 이유로 한 차별이 헌법상 차별금지의 원칙에 반하는가를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성전환자에게 가장 절실한 사항 중의 하나로서 의료보험의 적용가능성에 대해 살펴본다. 성전환과 관련해서는 비단 호적정정의 문제뿐만 아니라 혼인ㆍ가족관계, 근로관계, 병역관계, 의료관계 등 많은 개별적인 문제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물론 성전환자에 있어서는 호적정정이 가장 중요한 것이기는 하지만, 우선 호적정정을 인정한다고 하여 성전환에 관련된 법적 문제들이 해결될 것을 기대 할 수는 없다. 오히려 먼저 성전환과 관련된 개별적인 법적 문제점들을 하나씩 해결해 나감으로써 성전환을 입법적으로 인정함으로써 초래될 수 있는 사회적 파장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The Legal Institution of Korea for Prevention of Sexual Harassment at Work as a Sex Discrimination

        Lee, Kwang Taek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법학논총 Vol.25 No.3

        “성희롱”이란 용어는 여성발전기본법이 1995년 제정되기 전까지는 실정법 상 존재하지 않았다. 법원에서 “성희롱”이란 용어를 사용하기 된 것은 1998년 대법원에 의해서이다. 대법원의 판결이 있은 후 서울고등법원은 피고인의 성희롱은 불법행위를 구성하므로 500만원의 손해배상지급을 명하였다. 사용자 책임은 2002년 서울지방법원에서 최초로 인정하였다. “성희롱”의 개념은 1999년 남녀고용평등법에 규정되었고 1999년부터 2005년까지 존속했던 남녀차별금지및구제에관한법률 상의 “성희롱” 개념은 국가인권위원회법이 승계하였다. 한국은 성희롱에 대하여 작업장의 근무환경의 관점에서뿐 아니라, 여성주의의 관점, 나아가 인권의 관점에서도 대처하고 있다. 성희롱의 예방, 분쟁해결 및 처벌을 담당하는 정부부처는 여성가족부, 고용노동부 및 국가인권위원회이다 세 곳의 정부부처 중 여성가족부는 여성발전기본법 시행의 책임을 지고 있다. 국가기관등의 성희롱방지 조치에 대한 연례적 점검은 여성가족부장관의 첫째 임무이다. 여성가족부장관은 성희롱방지 조치가 부실하다고 인정되는 국가기관등에 대하여 관리자 특별교육 등 필요한 조치를 취하여야 한다. 여성가족부장관은 점검결과를 언론 등에 공표할 수 있다. 이것은 여성가족부가 여성주의 관점에서 정책방향을 맡고 있음을 의미한다.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제재수단으로 하여 성희롱을 금지하고 있는 남녀고용평등과일·가정양립지원에관한법률은 적지 않은 의무를 사용자에게 부과하고 있다. 이들은 직장 내 성희롱의 예방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거나 지정된 교육기관에 위탁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성희롱 행위자에 대하여 징계조치를 취하는 것도 사용자의 몫이다. 사용자는 나아가 고객 등에 의한 성희롱도 방지하여야 한다. 사용자는 또한 성희롱 방지에 관한 사항에 있어서 근로자가 고충을 신고하였을 때 자율적 해결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고용노동부는 명백히 근로환경의 관점에서 접근하고 있다. 성희롱을 성차별로 보기 때문에 성희롱 사항에 관한 국가인권위원회의 사명은 포괄적이다. 위원회는 진정에 대하여 사건의 공정한 해결을 위하여 필요한 구제조치를 당사자에게 제시하고 합의를 권고할 수 있다. 조정위원회는 당사자 사이에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조정에 갈음하는 결정을 할 수 있다. 위원회는 나아가 피해자를 위하여 대한법률구조공단 또는 그 밖의 기관에 법률구조를 요청할 수 있다. 위원회의 결정은 인권의 관점에서 분쟁의 공정한 해결을 지향하는 것이기 때문에 그 결정은 탄력적이고 미래지향적이라 할 수 있다. 성차별에 관한 업무가 여성부로부터 국가인권위원회로 이관된 이래 사례가 축적되고 있다. 국가인권위원회는 진화과정을 거치며 해결모델을 발전시켜 나갈것이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