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의 관직자 복식 고증

        이은주,김영선,이경희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2

        Seojangdaeyajodo is a drawing of military night training on February 12th (lunar leap month), 1795. Focusing on the Seojangdaeyajodo , the characteristics and of the costumes worn by various types of officials were examined. There were 34 officials located near King Jeongjo in and around Seojangdae , with 27 Dangsanggwan and 7 Danghagwan . They wore three types of costumes, including armor, yungbok , and military uniforms. All of the twelve armor wearers and the five officials wearing yungbok were dangsanggwan , and the military uniform wearers included eleven dangsanggwan and six danghagwan . For the shape of the armor, the armor relics of General Yeoban , suitable for riding horses, and the armor painting of Muyedobotongji were referenced, and the composition of the armor was based on practicality. The armor consists of a helmet, a suit of armor, a neck guard, armpit guards, arm guards, and a crotch guard. The color of the armor was red and green, which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colors in Seojangdaeyajodo . The composition of yungbok was jurip, navy cheollik , red gwangdahoe , socks made of leather, and suhwaja . The composition of the military uniform was a lined jeolrip , dongdari , jeonbok , yodae , jeondae , and suhwaja .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fabrics used in dangsanggwan and danghagwan military uniforms. Dangsanggwan used fabric with depictions of clouds and jewels, and danghagwan used unpatterned fabric. Moreover, jade, gold, and silver were used for detailed ornamental materials in dangsanggwan . The weapons included bows and a bow case, a sword, a rattan stick, wrist straps, and a ggakji . In the records of the King Jeongjo period, various colored heopsu were mentioned; the colors of the dongdari and jeonbok of dangsanggwan and danghagwan were referenced in various colors. It was presented as an illustration of costumes that could be used to produce objects accurately reflecting the above historical results. The basic principle of the illustration was to present the modeling standards for 3D content production. Samples of form, color, and material of the corresponding times and statuses were presented. The front, the side, and the back of each costume and its accessories were presented, and the colors were presented in RGB and CMYK. 1795년 윤2월 12일 서장대에서 행해진 군사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를 중심으로 관직자의 유형별 복식과 유형별 복식의 구성에 따른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고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장대 안팎에서 왕 가까이에 위치한 관직자는 모두 34명인데 당상관 27명, 당하관 7명이었다. 34명 관직 자의 복식 유형은 모두 3종으로 갑주ㆍ융복ㆍ군복으로 분류되었는데 그 중 갑주 착용자 12명은 모두 당상관이었고, 융복 착용자 5명은 당상관이었으며, 군복 착용자는 당상관 11명과 당하관 6명이었다. 둘째, 갑주의 형태 고증은 말 타기에 적합한 여반 장군의 갑옷 유물과 『무예도보통지』의 갑주 그림을 참조하고, 착 용의 실용성을 고려하여 갑옷의 구성품을 정하였다. 갑주의 구성품은 투구, 갑의, 갑상, 호항, 호액, 비갑에 골미를 추 가하였다. 갑주 색상은 <서장대야조도> 갑주에서 가장 표현 빈도가 높은 홍색과 녹색으로 고증하였다. 셋째, 당상 융복의 구성은 호수를 장식한 주립, 남색 철릭, 홍색 광다회, 정,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넷째, 군복 구성은 안을 올린 전립, 동다리, 전복, 요대, 전대, 수화자로 고증하였다. 군복에서 당상과 당하의 직물 차이는 문양의 유무에 있었는데 당상관은 운보문 직물을, 당하관은 문양이 없는 직물을 사용하였다. 그리고 당상관은 장식품의 세부 재료에서 옥과 금, 은을 사용하였다. 그 외에 무기는 시복, 환도, 등편, 비구와 깍지 등을 갖추었다. 정조 대 기록에는 다양한 색의 협수가 보이므로 당상관과 당하관의 동다리와 전복 색상은 다양한 배색으로 고증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하여 콘텐츠 제작을 위한 복식의 시각화 자료로 제시하였다. <서장대야조도> 관직자 복 식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에서 3D 콘텐츠 제작이나 실물 제작이 가능한 기준을 제시하였다. 시대 와 신분에 따른 형태·색상·재질의 견본, 각 복식과 지물을 패용한 앞·옆·뒤 모습을 제시하고 색상은 RGB와 CMYK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정조대 〈서장대야조도(西將臺夜操圖)〉 장용영(壯勇營) 하급 군사(軍士)의 군복(軍服) 고증

        이경희,김영선,이은주 국립문화재연구원 2021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54 No.4

        Seojangdaeyajodo is a drawing of Jangyongyoung’s military night training on February 12 (lunar leap month), 1795. Focusing on the Seojangdaeyajodo , the positions and roles of the low-ranking soldier belonging to Jangyongyoung , and the com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ilitary uniforms for each role were examined. The results ascertained by the historical research on the military uniforms are as follows. Deungronggun, noeja, sunryeongsu and daegisu who were placed in front of the king’s Seojangdae were the low-ranking soldiers belonging to Jangyongyoung . The soldiers who escorted the king around Seojangdae were lowranking soldiers belonging to Jangyongyoung . The military uniform of the deungronggun was consisted of a jeolrip, a black heopsu, red gweja,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black shoes. The low-ranking soldier's heopsu suggested that it could also be a sochangui . He carried a sword and a red lantern. Noeja were divided into a sinjeonsu and a jujangsu. The military uniform of the noeja was consisted of a Jujeolrip , a black heopsu , red gweja , indigo jeondae , white haengjeon , and black shoes. Sunryeongsu were divided into a sinsigisu and a younggisu . The military uniform of the sunryeongsu was consisted of a jeongeon, a black heopsu, red gweja,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black shoes. He carried a sword and a red lantern. The military uniform of the daegisu was consisted of a jeongeon, a black heopsu, blue gweja,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black shoes. He carried a sword and a flag. The soldiers surrounding Seojangdae and the seongjeonggun defending the fortress were the Chogun. The military uniform of the chogun was consisted of a jeolrip, a black heopsu, houi, indigo jeondae, white haengjeon and straw shoes. Houi was applying the five directional colors: the east is blue, the west is white, the south is red, and the north is black. He carried a sword and a gun. It was presented as an illustration of costumes that could produce contents by reflecting on these historical results. The basic principle of the illustration was to present the standards for 3D content production or actual production. Samples of form, color, and material according to the times and status were presented. The front, the side, and the back of each costume and the feature were presented, and the colors were presented in RGB and CMYK. 1795년 윤2월 12일 정조가 친림하여 행한 장용영 외영의 군사 훈련을 그린 <서장대야조도>를 중심으로 장용영 하급 군사들의 위치와 역할, 역할별 군복의 구성과 특징을 고찰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서장대야조도>에서 정조가 자리한 서장대 앞에 2열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등롱군·뇌자·순령수·대기수와, 서장 대를 둘러싸고 정조를 호위한 군사들은 모두 장용영 소속 하급 군사들이었다. 정조 앞에 배치된[御前前排] 등롱군의 군복은 전립,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 하였다. 하급 군사들의 협수는 기존 학계에 알려진 관직자들의 무가 있는 협수와는 달리 소창의형 협수일 가능성을 제 시하였다. 등롱군은 칼을 차고 손에는 홍사촉롱을 들었다. 뇌자는 신전수와 주장수가 있었다. 왕 앞에 배치된 뇌자의 군복은 주전립,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뇌자는 칼을 차고 신전기 또는 주장을 들었다. 왕 앞에 배치된 순령수는 순시기수와 영기수가 있었다. 순령수의 군복은 전건, 흑색 협수, 홍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순령수는 칼을 차고 홍순시기 또는 홍령기를 들었다. 왕 앞에 배치된 대기수의 군복은 전건, 흑색 협수, 청색 괘자,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흑혜로 고증하였다. 왕 앞 에 배치되는 다른 군사들과 달리 대기수는 정조대에 와서야 왕 앞에 배치됨으로써 괘자의 색상이 청색인 점이 달랐다. 대기수는 칼을 차고 대기치를 들었다. 서장대를 둘러싼 군사들은 전초군과 좌초군이었고, 성곽을 방어하는 군사들은 좌·우·전·후 초군으로 보았다. 초군 의 군복은 전립, 흑색 협수, 호의, 남색 전대, 백색 제비행전, 짚신으로 고증하였다. 호의는 방위에 따른 색을 사용하였 기에 좌초군은 청색, 우초군은 백색, 전초군은 홍색, 후초군은 흑색이었다. 초군이 소지하는 무기는 조총과 칼이었다. 성정군들은 조총과 칼 외에도 훈련 상황에 따라 횃불이나 등이 달린 기창을 들기도 하였다. 이상의 고증 결과를 반영한 시각화의 기본 원칙은 3D 콘텐츠 제작뿐만 아니라 실물 제작까지 가능하도록 시대와 신분에 적합한 형태·색상·재질 기준을 제안하였다. 역할별 복식 착장도에 무기와 군기(軍器)를 갖춘 앞·옆·뒤 모습으로 표현하고 색상을 RGB와 CMYK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