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현대 농어촌과 전통한옥마을의 색채경관 비교

        박효철(HyoChul Park) 한국색채학회 2014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8 No.2

        전통한옥마을에 비해 현대 농촌 색채경관은 시각적으로 두드러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 현상은 전국적으로 일반화된 현황이다. 이에 이 연구는 이들의 색채경관을 비교분석하여 오늘날 농어촌색채경관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바람직한 정책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전통한옥마을 2곳과 현대농어촌 4곳을 사례로 선정하고, 마을의 주요지점 색채를 비교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 전통 초가가 형성하는 마을 색채경관은 색상, 명도, 채도분포가 단순한 가운데, 명도와 채도는 자연환경색채와 같거나 낮아서 자연에 맞서지 않고 순응하는 배색특성을 보인다. 아울러 전통초가가 형성하는 색채경관은 지각위치에 따라 다양한 배색경관을 지각할 수 있다. 2. 전통 기와집이 형성하는 마을 색채경관도 색상, 명도, 채도분포가 단순하며, 명도와 채도는 자연환경색채와 같거나 낮아서 자연환경에 순응하는 배색을 형성한다. 3. 현재 우리 농어촌에는 전통 기와집을 비롯해 담, 우물, 창고 등 보전할 전통경관이 많이 있다. 자연과 잘 조화되는 우리전통경관을 보전하는 차원에서 작물위주의 경관보존직불제를 이들의 범위로 확대 시행해야 한다. 4. 개량한옥이 형성하는 마을의 색채경관은 자연환경이나 전통한옥보다 색상분포가 복잡하고, 자연과 삼속성 모든 면에서 대비되어 지붕이 지나치게 두드러져 지각된다. 따라서 자연환경과 조화와 지역특성을 고려한 개량한옥 지붕색채개선 관련사업의 확대 시행이 필요하다. 5. 양옥이 마을의 지역성을 반영하거나, 한국 농어촌다운 경관을 형성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한국의 농어촌 미래 경관방향을 설정하고, 이에 따라 적극적인 색채경관 디자인개발이 필요하다. Color landscape of modern rural is more visually noticeable in comparison with traditional Korean villages, and this phenomenon is common all over the country. In this study, the problems of today"s rural color landscape are comprehend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traditional Korean villages, and an ideal direction of policy is proposed. To achieve this, two traditional Korean villages and four modern rural areas have been selected for comparative analysis in terms of the appointed colors of the areas. The results are summarized below. (1) The village color landscapes formed by traditional straw-roofed houses have simple color, contrast, and brightness distribution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re lower than or similar to the colors of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display a color scheme that adapts rather than goes against nature. In addition, the color landscapes formed by traditional straw-roofed houses can be perceived as landscapes with diverse color schemes depending on the view location. (2) The village color landscapes formed by traditional tile-roofed houses have simple color, contrast, and brightness distributions. The contrast and brightness are lower than or similar to the colors of the natural environment, which display a color scheme that adapts to the natural environment. (3) Currently, there are many traditional landscapes that must be preserved in rural areas. These include fences, wells, storages, and traditional tile-roofed houses. To preserve our traditional landscapes and their beautiful harmony with nature, the Direct Payment Program for Rural Landscape Preservation of surrounding crops must be expanded to apply to these landscapes as well. (4) The color landscape of villages formed by improved Hanok displays a more complex color distribution than that displayed by natural environments or the traditional Hanok. It is also perceived as having excessively emphasized roofs when compared to nature and all the three elements.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expand projects to improve roof colors of the enhanced Hanok considering their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and the regional properties. (5) It is difficult to positively evaluate Western-style houses in terms of reflecting the regionality of the village or forming a Korean-rural-area-like landscape.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set the future landscape direction of South Korea’s rural areas, and to develop suitable color landscape designs.

      • KCI등재

        경관(景觀)이미지 향상을 위한 환경 색채디자인 제안 연구 - 경기도 도·농 복합 화성시(華城市)를 중심으로 -

        강소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1 No.5

        경관관리는 도시와 농어촌지역의 독특한 자연과 역사·문화를 나타내는 중요한 자산으로 아름다운 국토를 보전·형성하기 위한 시대적 과제이다. 최근 도시와 농촌은 산업화의 과정을 겪으면서 훼손되고 자연경관과 인공경관에 대한 조화되지 않은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경기도에 위치한 도·농 복합 화성시는 천혜환경이 주는 경관을 통해 다수의 개발 사업들이 혼재되어 진행 중이며 발전 잠재력이 부각된 곳이다. 하지만 최근 급속한 개발과정을 겪으면서 지역 내의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반영하지 못하여 환경색채에 대한 혼란스러운 경관이 노출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개발이 진행중인 화성시의 서부권역에 속하는 비봉면과 서신면을 중심으로 경관이미지 향상을 위한 환경 색채디자인을 고찰하고 비교 분석하였다. 먼저 현황조사에 의하여 도출된 전체 색상범위는 7.5R-7.5PB(비봉면), 2.5R-7.5PB(서신면)에 해당하고, 명도는 1-9, 채도의 분포는 10의 범위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따라서 비봉면은 녹지의 분포가 서신면은 넓은 영역에 수변 경관이 분포되어 있지만 색상, 명도, 채도의 색채 분포도에서는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고채도, 중명도가 전역에 산만하게 분포되어 경관이 형성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경관이미지 향상을 위한 환경 색채디자인 제안에서는 자연과 융화되며 친화적인 지역 고유 색채이미지를 적용하여 제안하였으며 주조색은 자연환경의 색채가 반영되어 있는 Y, GY계열의 색채로 제시하였다. 그리고 무질서하게 혼재된 지붕색은 각 지역의 자연환경의 특성을 반영하여 토양색으로 추출하였으며 Y, YR계열 색상내에서 명도와 채도를 고려한 색상을 제안하였다. 건축외관의 색채는 비봉면의 수목에서 추출된 GY계열의 색상을 강조색에 적용하고, 서신면의 색채는 자연의 수변요소에서 도출된 G, PB계열의 색상을 강조색에 제안하여 수변과의 조화를 이루도록 계획하였다. 옥외광고물의 주조색은 건축외관색채와 유사계열의 색상을 권장하며, 건축외관색채의 보조색에서 추출된 색상의 톤 조절을 통해 지역의 통일성과 정온한 환경 색채디자인을 제안하였다. Landscapes are important assets that can represent a given area's distinct nature, history and culture. As such, landscape management is an important issue where the preservation and/or formation of a beautiful homeland is concerned. In recent years, cities and rural areas have been damaged due to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and their natural and man-made landscapes are not in harmony. In Hwaseong, which is an urban rural composite city located in Gyeonggido Province, several development projects are being carried out by utilizing its beautiful natural environment, and th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city is attracting considerable attention. However, in the course of Hwaseong's rapid development, such projects have not reflected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of the region. As a result, landscapes that are no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al colors have been created. For this study, comparative analyses of environmental color designs were conducted with a view to improving the landscape images of the Bibong-myeon and Seosin-myeon areas, which a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Hwaseong City. According to an onsite survey of the areas, the overall color range was 7.5R-7.5PB for Bibong-myeon and 2.5R-7.5PB for Seosin-myeon; brightness was 1-9; and the distribution of chroma reached 10. Bibong-myeon was found to have a wide distribution of green land, whereas Seosin-myeon had a wide distribution of water landscapes. However, no significant discrepancy was found between the two areas in terms of the distribution of colors, brightness, and chroma. A high chroma and a mid-range of brightness were distributed widely across the landscape of the entire area. Accordingly, regarding environmental color designs aimed at improving the image of the local landscape, this study proposes the application of the original color image of an environmentally-friendly area and the use of the Y and GY color series as major colors in order to reflect the color of the natural environment. With regard to disorderly-looking roof colors, the soil color of each area was derived from analyses so as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natural environmental in each area, and the Y and YR color series were recommended after considering the brightness and chroma of the color tone. For the exterior color of buildings, the GY color series, derived from trees in Bibong-myeon, was proposed for the major colors, whereas the G and PB color series, which were derived from the waterfront element of the natural environment, were suggested as accentuation colors for Seosin-myeon. As for the dominant colors of the outdoor advertising signs, a series of colors similar to the exterior colors of buildings were recommended. This study proposed a tranquil environmental color design to achieve uniformity of colors in the two regions by adjusting the color tones derived from the secondary color of the exterior building colors.

      • KCI등재

        도시경관 미적 개선 및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경관색채계획 연구 동대문구 도시경관 색채계획 사례를 중심으로

        김미영 ( Kim Miyoung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경관색채를 통한 문화정체성 확립 방안 결여, 도시경관디자인과 경관색채의 연계성 결여 및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실제적 방법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도시의 정체성 결여, 도시경관 부조화 및 획일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적개선과 도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실제적인 수단으로서 바람직한 도시경관 색채의 디자인방향 및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지역적 범위는 서울시 동대문구 자치 권역이며, 이에 해당되는 도시경관 색채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선행 조사로서 상위계획 및 경관색채 관련 사례분석, 도시디자인 및 경관색채에 관한 지역주민 의식조사, 도시 경관 특성 및 색채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초 조사 및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경관색채의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실행계획으로서의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동대문구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되어 동대문구 내에서 뿐만 아니라 서울시 전체 도시경관과의 조화를 이루고, 지역 주민의 의식을 반영하여 실제 지역에서 생활하는 지역민이 원하는 도시경관이 조성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동대문구의 자연자원 및 문화자원을 보존 및 활용하고 조화를 이루는 색채계획 방안을 제시하여 동대문구의 도시경관이 미적으로 개선되고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수 있게 한다. Importance of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in urban landscape. However, such problems as lack of a city`s distinctive identity, mismatch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creasing homogeneity have emerged as results of failure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of a city through landscape color, lack of integrity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ractical methodologies for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actical guidelines for accomplishing desired urban landscape design as means to the ends of enhancing cities` aesthetic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their distinctive identities.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study is Dongdaemun district in Seoul. As a preliminary study with an aim to propose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landscape color-related case analysis, residential attitude survey on urban design and urban landscape color, and urba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olor status. Recommendation for the design direction and corresponding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are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n Dongdaemun is suggested to analyze the data about the relation with the urban landscape, to make a plan based on the result so that the urban landscape not only within Dongdaemun district but also in Seoul city is harmonized, and to create the urban landscape which the residents want. Also, the urban landscape is improved aesthetically and establish its own identity by suggesting color planning which preserves, utilizes, and harmonize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Dongdaemun.

      • KCI등재

        자연경관을 고려한 농어촌마을 환경색채계획

        김현선(Kim hyun-sun),주정희(Joo Jung-hee),윤혜진(Yun hye-jin),김나라(Kim na-ra),김미숙(Kim mee-sook)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4

        농어촌경관은 인공경관과 자연경관의 복합으로 나타나며 자연경관과 건축물이 동시에 인지되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70년대 이후 개발 위주의 계획으로 무분별한 건축물이 세워 졌고 원색적인 색이 주를 이루는 도료의 발달로 우리나라의 농촌은 지역의 특성과는 조화롭지 못한 무질서한 색채로 도색되어왔다. 최근 들어 경관계획이 이루어지고는 있으나 지역의 총체적인 경관을 계획하는 과정에서 색채는 가이드라인을 세우는 정도에서 언급되고 있다. 변화가 많고 빠르게 변하며 외장재의 종류도 다양하고 복잡하여 구체적인 색채계획이 불가능한 도시에 비해 농촌은 느리게 변하며 사용외장재도 일정한 패턴을 보이는 풍경으로 인식되므로 구체적인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게 아름다운 농촌을 만드는데 더 효과적이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최대의 휴양지이며 농촌경관의 특징을 모두 가진 제주특별자치도를 중심으로 대표성 있는 대상지 세 곳(바다, 산, 항구)을 선정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을 수립하는 과정을 연구하였다. 사례로는 제주특별자치도와 유사한 섬들을 대상으로 자연경관과 조화로운 색채계획의 사례, 오랜 역사자원의 소재 색이 이어져 온 사례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통일감 있는 지붕의 색, 자연경관, 특히 해변의 색과 조화가 필요함을 도출하였다. 각각의 대상지에 대해 자연환경과 인공환경으로 나누어 색채를 조사, 분석하였으며 대부분 자연환경의 색보다 높은 채도와 무질서한 색의 사용이 경관의 질을 훼손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대상지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자연요소에서 색을 추출하여 색채 팔레트를 구성하는 근간으로 삼았으며 지정학적 특성상 섬거주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고 마을공동체 운영이 활발하며 단독가구가 주를 이루는 주택의 특징, 개개인의 아이덴티티를 중요시하는 주민의 특성을 고려하여 옆집과 다른 자신만의 아름다운 집의 색을 선택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 농촌의 색채계획은 자연경관과의 조화를 우선시하며 일방적인 계획이 아닌 거주자의 선택이 가능해야 하며 시간의 변화에 따라 혹은 거주자의 변화에 따라 전체적인 조화 안에서 건축물의 색채도 변해야 색채계획이 지속될 수 있음을 알리고자 한다. The landscape of a rural village is a complex of artificial and natural sceneries and contains a characteristic that buildings and natural sceneries are perceived at the same time. Besides, it has more low-story buildings than a cityspace and is often viewed from a high place because mountains take a large por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1970s, however, most artificial structures had been built without planning due to the rapid industrialization, and rural villages had been painted to disorderly colors, ignoring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Even though the landscape planning has been recently introduced, coloring still remains merely as a guideline in a process of planning the overall landscape in a region. Compared to a city where a detailed color planning is impossible due to rapid changes in a city and a variety and complexity of exterior materials, a rural village changes slowly and exterior materials can be viewed as a scenery of a constant pattern. Therefore creating a concrete color plan can effectively lead a rural village into a beautiful place. This study selected three representative sites (sea, mountain, and harbor for each) from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is the best vacation spot in Korea and contains all characteristics of rural landscapes, and conducted research o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color plans harmonious with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sites.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examples of harmonious color plans with natural landscapes on similar islands of Jeju and examples in which material colors of historic resources are kept alive. Through this process, those examples draw a conclusion that an unified color of the roofs and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especially with the color of seashores are crucial. This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coloring by seperating the natural landscape and the artificial landscape for each site, and the result was that using a higher saturation than natural colors and chaotic colors destroys the quality of the landscape. To 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chose colors extracted from the natural elements as the identity of the corresponding site to become the basis of the color palette, and let people to freely choose their own colors of their beautiful hous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sland village people that they have a strong pride in living in the island, have an active local community, live in single houses, and think individual identities important. This study points out that color planning will last only if color plannings in rural villages importantly consider the harmony with natural landscapes and give freedom of choice to the residents, and if the colors of buildings must harmoniously change in accordance with changes in time and residents.

      • KCI등재

        도시경관 미적 개선 및 아이덴티티 확립을 위한 경관색채계획 연구

        김미영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10 한국디자인포럼 Vol.27 No.-

        Importance of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s increasingly emphasized in recognition of its significance in urban landscape. However, such problems as lack of a city’s distinctive identity, mismatch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creasing homogeneity have emerged as results of failure to establish cultural identity of a city through landscape color, lack of integrity between urban landscape design and color, and insufficient understanding of practical methodologies for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actical guidelines for accomplishing desired urban landscape design as means to the ends of enhancing cities’ aesthetic competitiveness and creating their distinctive identities.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study is Dongdaemun district in Seoul. As a preliminary study with an aim to propose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the present study conducted landscape color-related case analysis, residential attitude survey on urban design and urban landscape color, and urban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color status. Recommendation for the design direction and corresponding urban landscape color guidelines are advanced in accordance with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urban landscape color planning in Dongdaemun is suggested to analyze the data about the relation with the urban landscape, to make a plan based on the result so that the urban landscape not only within Dongdaemun district but also in Seoul city is harmonized, and to create the urban landscape which the residents want. Also, the urban landscape is improved aesthetically and establish its own identity by suggesting color planning which preserves, utilizes, and harmonizes natural and cultural resources in Dongdaemun.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에 중요한 변수로 작용한다는 인식이 커지면서 그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그러나 경관색채를 통한 문화정체성 확립 방안 결여, 도시경관디자인과 경관색채의 연계성 결여 및 경관색채계획에 대한 실제적 방법론에 대한 이해 부족으로 도시의 정체성 결여, 도시경관 부조화 및 획일화 등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도시경쟁력 강화를 위한 미적개선과 도시 정체성 확립을 위한 실제적인 수단으로서 바람직한 도시경관 색채의 디자인방향 및 가이드라인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지역적 범위는 서울시 동대문구 자치 권역이며, 이에 해당되는 도시경관 색채 가이드라인 제시를 위한 선행 조사로서 상위계획 및 경관색채 관련 사례분석, 도시디자인 및 경관색채에 관한 지역주민 의식조사, 도시 경관 특성 및 색채현황을 분석하였다. 기초 조사 및 분석한 내용을 기반으로 경관색채의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고 실행계획으로서의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동대문구 도시경관 색채계획은 도시경관의 연계성을 고려하여 관련 자료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계획되어 동대문구 내에서 뿐만 아니라 서울시 전체 도시경관과의 조화를 이루고, 지역 주민의 의식을 반영하여 실제 지역에서 생활하는 지역민이 원하는 도시경관이 조성되도록 유도하고 있다. 또한 동대문구의 자연자원 및 문화자원을 보존 및 활용하고 조화를 이루는 색채계획 방안을 제시하여 동대문구의 도시경관이 미적으로 개선되고 도시의 아이덴티티를 확립할 수 있게 한다.

      • KCI등재

        서울순환도로 강교도장색채의 현황조사

        박아람(Ah-Ram, Park),이석현(Seok-Hyun, Lee) 한국색채학회 2012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6 No.3

        최근 도시경관의 중요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경관의 정비와 계획에 있어 색채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으며, 건축물만이 아닌 교량과 같은 경관요소의 색채에 대해서도 심의와 자문 등을 통해 체계적인 관리를 해 나가고 있는 것이 추세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고속도로나 도시순환도로 등의 많은 교량 색채디자인에 있어, 배경이 되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보다는 교량의 존재감을 강조하여 경관의 연속성을 저하시키는 현상이 종종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주변 경관과의 조화를 해침과 동시에, 각 지역과 장소가 가진 개성을 약화시키는 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역 경관과의 관계를 고려한 교량색채 개선의 시사점 도출을 위해 문헌고찰, 교량 색채의 적용실태와 문제점 분석, 한국과 일본의 대표적인 도시순환도로에 대한 현황 현지조사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량색채는 교량의 기능성, 심미성과 함께 주변경관과의 조화가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며, 특히 교량이 설치되는 장소의 경관 및 환경특성의 반영이 요구된다. 둘째, 기존의 교량색채는 단순한 장소구분에 따라 파랑색과 초록색, 적황색을 적용하여, 주변경관과의 조화성의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문제의 개선을 위해 주변 자연 및 도심환경과의 관계를 고려한 색상의 적용과 채도의 조절이 요구된다. 셋째, 서울과 일본 도쿄의 도시순환도로를 대상으로 한 현지조사의 결과, 서울순환도로의 색채환경은 주로 중?고채도의 GY와 BG 색상이 대다수를 차지하여 획일화된 경향이 강하고 주변과의 관계성 고려가 약했다. 한편, 도쿄 순환도로는 저채도의 Y와 Neutral 등 안정적 색상이 주변 경관에 강한 대비를 주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교량색채의 개선을 위해 주변의 색채환경과 관계성이 높은 색채의 적용 및 지역의 교량색채의 규정수립, 검토체계의 개선이 요구된다. 본 연구가 순환도로의 강교색채를 대상으로 교량색채의 문제점과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기를 기대한다. The role of color is becoming greater in a design department and an improvement of townscape with increased importance of townscape recently. Systematic management is working to the color of not only buildings but also street furnitures and advertisements through deliberation and consultation. Also, as for the color of bridges, developed direction that we have more cases of establishing color plans separately. In the past, mostly accent colors, not assimilated colors, have been widely used. However, to decrease continuity of townscape phenomena are often in the color design of bridges on highways and urban beltw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the direction of bridges" color design considering the harmony of townscapes. The following research was performed: the discussion in the literature, the real condition of bridge color and an analysis of the problem, and a local research and an analysis on representative urban beltways in Korea and Japa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bridges" color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of the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landscape in company with the functionality and the aesthetics. Second, as a result of an interview at the related office about actual conditions of the national bridges" color application, blue and green, red was applied to the existing colors of the bridge according to simply sorted regions. Third, as a result of local surveys in Seoul and Tokyo, colors on a Seoul beltway are mostly GY and BG color with a midium, high chroma. So, uniform trend is strong and consideration of the relationship with surrounding is weak. Colors on a Tokyo beltway are stable colors like Y and Neutral.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erms of providing the issue of the bridge color and the implication for improving for steel bridges" color of beltway. However, what the subject of field research is limited to a capital region and what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y is lack are limitations.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bridge color plan blended of local.

      • KCI등재

        당진 면천읍성의 역사문화도시를 위한 경관색채 가이드라인 연구

        박철희(Park Cheol-Hee),임오연(Yim Oh-Yon) 한국색채학회 2013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27 No.3

        본 연구에서는 당진 면천읍성을 대상지로 하여 역사문화도시로써의 정체성을 확보하고, 도시의 지향이미지를 구축할 수 있는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의 연구내용 및 방법은 다음과 같다. 제1단계에서 당진 면천읍성 대상지의 현황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였다. 제2단계에서는 당진 면천읍성의 도시 이미지 및 경관 자원 요소 추출을 위해 시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및 분석을 실시하여 도시 이미지, 미래의 지향 이미지상과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경관 자원 요소를 추출하였다. 제3단계에서는 2단계에서 추출된 경관자원 형성요소를 대상으로 당진 면천읍성의 경관색채특성을 분석하였다. 제4단계에서는 당진 면천읍성의 건축물 및 가로시설물의 색채 현황을 분석하였다. 5단계에서는 주변 경관과 조화를 기본으로 도시 이미지 및 정체성을 확보할 수 있는 당진 면천 읍성의 경관색채 가이드라인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당진 면천읍성 주민 및 당진 시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결과의 역사문화도시가 미래도시이미지 상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당진 면천읍성의 경관자원 형성요소로써는 면천읍성, 면천향교, 진달래, 두견주, 영탑사, 골정지, 군자정, 은행나무이 추출되었다. 셋째, 당진 면천읍성의 경관색채중 건축물 외벽 주조색의 경우에는 R, YR, Y계열의 중ㆍ고명도/저ㆍ중채도로, 지붕색채는 YR, Y계열과 N계열의 중ㆍ고명도, 저채도의 경향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가로시설물의 경우에는 R∼PB계열의 저명도∼고명도/저채도∼고채도에 걸쳐 다양한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넷째, 당진 면천읍성의 역사문화도시로써의 정체성을 확립하기 위한 건축물, 가로시설물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색채사용범위, 배색사례, 색상-색조 영역을 색채가이드라인으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경관색채의 가이드라인은 추후 당진 면천읍성의 역사문화의 정체성을 보존하기 위하여 기존 건축물의 리모델링 또는 신축건축물, 그리고 가로시설물 설치 시 색채선정의 기준 자료로 제공되어 거리 전체를 대상으로 한 체계적이고 통합적인 색채가이드라인으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andscape color guideline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to secure the identity as historical-cultural city, also to build the directive image of the city. The contents and method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current state of the target place,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is checked, and the result is analysed. Second, survey of citizen is carried out to extract the image and landsace resource of Myeoncheoneupseong, then image of the city, future directive image, and landscape resource what is effective for city image are extracted through the analysis of survey result. Third, color characteristics of the landscape resource, which is extracted from second step, is analysed, Fourth, color status of buildings and street furnitures are analyzed, Fifthm landscape color guidelines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is established that can secure image and identity of the city with harmony with surrounding landscap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urvey of Myeoncheoneupseong residents and citizens of Dangjin-city said historical-cultural city is the future image of the city. Second, the formative element of Myeoncheoneupseong’s landscape resource were extracted as follows : Myeoncheoneupseong, Myeoncheon-hyanggyo, Azalea, Dugyunju, Yeongtapsa Temple, Goljeong Lake, Gunjajeong Pavilion, and Ginko tree. Third, In a landscape color of Myeoncheoneupseong, dominant color of outer wall of architectural building has high value/low-mid chroma of R, YR, Y-series, roof has mid-high value/low chroma trends of YR, Y and N-series. And the street furniture shows various trend of low to high value/low to high chroma of R~PB series. Fourth, detail color usage scope, example of color scheme, and color-hue range are built as color guidelines of architecture building, and street furniture that will establish the identity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as a historical-cultural city. Proposed landscape color guidelines is expected to be used as a systematic and integrative color design guideline in renovation of existing architectural building, or new buildings, and installation of street furniture to conserve the historic-cultural identity of Myeoncheoneupseong of Dangjin-city.

      • KCI등재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의 심의전문가 가치기준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경관심의 전문가 대상 설문연구를 중심으로 -

        신선영 ( Sunyoung Shin ),이규백 ( Gyoobaek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2

        (연구배경 및 목적) 경관에서 건축물은 지역이나 도시를 구성하는 수평적, 수직적 조형요소이며 각 건축물별 입면은 경관 속에서 건축물을 시각적으로 인식하는 감성정보의 역할을 하기 때문에 경관심의 시 건축물에 대한 색채평가 항목 및 평가내용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경관심의에서 건축물 색채평가에 있어 색채가이드라인과 체크리스트에 의한 심의가 제도적으로 적용되고 있는데, 사회적 분화에 따라 전문적 색채연구에 의한 제시와 검토를 통한 재적용이 필요한 상황이고, 향후 연구에서 색채평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심의전문가에 대한 평가 가치기준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평가 가치기준에 대한 설문 및 통계연구를 통하여 세부적인 내용을 연구하고자 하며 본 설문연구는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에 있어 매우 중요한 근거가 되는 자료로 향후 연구의 바탕 역할을 할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의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에 참여한 심의전문가 29명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하여 설문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설문영역은 색채평가 심의 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색채교육 및 심의 경험수준과 색채평가 중요성과 인지수준, 색채평가 가이드라인 평가수준 등의 3가지 영역에서 각각의 문항을 개발하여 총 20문항의 설문을 진행하였고, 객관적 분석을 위하여 통계과정을 적용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은 SPSS 23.0을 이용하여 t-검정을 실시하고 설문연구 전체에 대한 3영역 항목과 세부내용에 대한 결과를 종합하였다. (결과) 심의위원의 색채교육 및 경험을 높이기 위한 색채교육 및 과정의 필요성이 매우 높으므로 교육 및 경험을 통하여 색채에 대한 관심과 전문성을 높여야 한다는 결론과 건축물색채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도 색채평가 심의에 대한 만족도가 낮다는 것은 건축물 색채평가에 대한 세부적인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지할 수 있었다. 색채평가에 있어 체크리스트의 항목별 준수가 필요하며 평가 항목 및 내용을 개발하여 세부적인 평가를 통하여 심의에 대한 객관성과 만족도를 극대화하여야 하며, 건축물 색채 요소와 다른 평가조건 우선 심의 내용 설문을 통하여 색채가 우선시 되지 않고, 평가에 의한 결과가 경관에 적용되고, 도시 및 신개발 지역에 대한 전체적인 건축물 색채평가가 우선되면서 세부적인 소규모 건축물에 대한 색채평가도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와 건축물에 대한 색채요소의 평가에서 영향력이 높은 색상, 명도, 채도, 색조에 대한 평가 반영은 매우 중요하다는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결론)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 심의에 있어 심의전문가들의 가치기준에 대한 설문 및 통계연구는 경관에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연구 결과이며, 경관에 있어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건축물의 색채요소는 정보적인 요소로 감성을 통하여 인간에게 안정과 활력이 되는 중요한 요소이다. 이와 같은 세부적인 연구 결과는 점차 산업화와 도시화에 의한 경관 개발이 진행되는 지금 경관심의 건축물 색채평가에 고려해야 할 중요한 내용이며, 보다 발전적 측면에서 많은 연구를 통하여 심의위원의 가치기준의 명확성과 객관성이 향상되어 생활에 적합한 경관이 조성되어야 하고,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연구의 기준 자료로 역할을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landscapes, buildings are visually recognized by horizontal and vertical formative elements such as the front, mouth, side, and back of each building when constructing areas or cities, which provide emotional information. In addition, guidelines and checklist deliberations of the landscape review―the criteria for evaluating the color of buildings―are systematically applied. It is necessary to reapply through social differentiation and professional color research. This survey provides a very important basis for evaluating the color of buildings in the landscape and will serve as the basis for future research. (Method) This study visited 29 deliberation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evaluation of the color of the building in Ulsan Metropolitan City and conducted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for each item in three areas: color education and deliberation experience level, color evaluation level, S 23.0 was used to perform a t-test to summarize the results of the three areas and details of the entire survey. (Result) The fact that the members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have a high need for color education and courses to enhance their color education and experience, and that they should raise their interest and expertise in color through education and experience, while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building colors, and the low satisfaction with color evaluation deliberations required a study to develop detailed checklists on building color evaluation. In color evaluation, it is necessary to comply with each item of checklist. It is necessary to maximize objectivity and satisfaction of deliberation through detailed evaluation by developing evaluation items and contents. As the color is not given priority through the questionnaire of evaluation factors and other evaluation conditions, The evaluation of color elements for the color factor is highly influential, so it can be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reflect the evaluation of color, brightness, saturation and hue. (Conclusion) Surveys and statistical studies on the value standards of deliberation experts in the evaluation of landscape design are important research results in landscapes. The color elements of buildings that occupy a large area of landscape are important factors that stabilize and revitalize human beings through emotions. These detailed findings are important to consider in the evaluation of the color of the landscaped buildings as the landscape development by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s progressing. Through more developmental studies, the clarity and objectivity of the deliberation committee members should be improved to create a landscape suitable for lif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serve as a standard for future research.

      • KCI등재

        조망거리별 색채경관 분석기준에 관한 연구

        조은수 ( Cho Eunsoo ),채민규 ( Chae Mink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은 오랜 세월동안 자극적이고 자연배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모습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의 배경에는 60년대 경제개발 시기를 기점으로 시작된 급격한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른 이농(離農)현상과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제시된 70년대 새마을 운동의 주택개량사업을 들 수 있다. 주택개량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농촌의 모습은 과거 전통적인 마을의 모습과는 판이하게 다른 양상을 띠게 되었다. 어떠한 기준이나 제지 없이 지붕에 도색된 무절제한 색채의 남용은 이 시기부터 시작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혼란스러운 색채의 남용은 아직까지도 해결되지 못한 채지속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현상이 지속되는 원인 중 하나로 각 지자체의 색채경관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고 있는 조사 및 분석방식, 관리방식 등이 색채경관의 본질적 특성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점을 근본적인 원인으로 인식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 색채경관 가이드라인의 조사 및 분석방식의 한계점을 인식하고, 그것을 보완할 방안의 하나로 조망거리에 따른 색채경관 현장분석기준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분하여 진행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색채경관관련 이론 고찰과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 적용할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색채경관 현장 분석을 위한 분석기준을 설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사례분석을 통해 분석기준의 적합도를 검증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연구의 결론을 제시한다. (결과) 조망거리에 따른 색채분석의 기준은 인간의 시지각 현상에 기반을 둔다. 시지각 현상을 근거로 하여 조망거리, 시각적 형태를 이루는 기본요소이자 경관 구성의 주요 요인인 점ㆍ선ㆍ면, 색채의 동화현상에 해당하는 시각적 혼색,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성의 네 가지 요인을 분석기준의 주요 개념으로 적용한다. 이것을 조망거리별 원경, 중경, 근경관점의 색채 분석기준으로 분류한다. 원경 분석기준에서는 사계절 배경색과 대상색과의 상호관련성을 통하여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성 및 조화여부를 파악한다. 중경 분석기준에서는 색상, 명도, 채도의 색차 그래프를 통하여 인접 건축물과의 연속성 및 조화여부를 파악한다. 근경 분석기준에서는 개별 건축물의 구성요소별 색채조화여부를 파악한다. (결론) 지금까지의 점적인 근경위주의 색채계획은 주변과의 조화 및 배경과의 관계성을 고려하지 않은 채 지속되어 왔으며, 오늘날까지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을 오염시키는 주요인이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색채경관의 본질적 개념인 「시간」과 「공간」의 개념을 적용한 조망거리에 따른 새로운 방식의 색채분석기준을 제안하는 바이다. 향후 본 연구의 방안이 우리나라 농촌경관의 색채를 조금이나마 나은 방향으로 변화시키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lor landscape of rural villages in Korea has been recognized for a long time as stimulating and inconsistent with the natural background. The background of this phenomenon is the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hich started in the 1960s, and the displacement from agriculture, and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The appearance of rural areas in Korea took on a completely different aspect from the appearance of traditional villages in the past. As a result, the abuse of the roof color painted of this period has not been resolved yet. As the main factor in this phenomenon, this study recognized that the field survey and analysis method suggested in the color landscape guideline of each local government did not reflect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color landsc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color landscape field analysis standard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divided into four stages. In the first stage, the theoretical basis to be applied to this study is prepared through the study of color landscape related theories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In the second stage, color landscape field analysis standards are established. In the third stage, the suitability of the analysis criteria is verified through case analysis. In the fourth stag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presented. (Results) The standard of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s based on the visual perception phenomenon. Four factors are applied as the main concepts of the analysis criteria: viewing distance, the main factors of landscape composition: dots, lines, and planes, visual color mix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This i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color analysis criteria by viewing distance. In the distance view analysis standard, it present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color and the object color through the four seasons analysis tool. In the mid view analysis standard, the continuity and harmony with neighboring buildings can be identified through the color difference graph. In the near view analysis standard, it presents whether color harmony of each component of housing or not. (Conclusions) The near-sighted color scheme has continued without considering the harmony with surroundings and has been the main cause in polluting the colors of rural villages.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the concept of 「time」and 「space」, which are the factors of color landscape, is introduced to propose a standard for color analysis according to the viewing distance. It is hoped that the method of this study will be helpful in changing the color of the rural landscape in Korea in a better way in the future.

      • KCI등재

        농촌마을 색채경관 현장조사 방법 및 개선에 관한 연구

        조은수 ( Eunsoo Ch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9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4 No.4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70년대 새마을운동의 일환으로 추진되었던 주택개량사업은 한국의 농촌경관을 전통적인 이미지와는 다른 모습으로 변화시켰다. 자연과 동화되었던 한국의 농촌경관은 고채도의 색채와 인공적 재료의 오남용으로 훼손되어갔고, 40여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주변 자연배경과 조화되지 못하는 경관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농촌마을의 색채경관이 지닌 문제점을 인식하고 해결하고자 그동안 많은 논의들이 진행되어 왔으며, 각 지자체별로 경관계획을 실시하여 과거에 비해 한층 체계적인 색채관리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많은 노력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해결에 있어 아직까지 가시적인 성과를 이루어내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오랜 시간 동안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문제가 해결되지 못하는 근본 원인을 지자체 색채경관의 현장조사방법을 통해 분석하고, 그에 따른 실질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은 크게 네 단계로 구성된다. 첫 단계에서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을 설명하고, 두 번째 단계에서는 관련 이론을 고찰하여 이론적 근거를 마련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현재까지 농촌마을 색채경관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여러 가지 원인들 중 하나로서 경관계획내의 색채가이드라인과 관련한 연구 자료를 통해 기존 색채경관의 현장 조사방법의 한계점과 문제점을 파악한다. 네 번째 단계에서는 앞서 도출된 문제점을 바탕으로 농촌 마을의 색채경관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서 색채계획 프로세스 중 현장조사 방법 및 개선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기존 현장 조사방식을 분석한 결과, 자연환경의 조사시기가 특정 계절에 한정되어 있고, 조사시 조망하는 거리나 위치 등의 조망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있으며, 감성적·상징적 항목 등을 통해 대표색채를 추출한다는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배경과 인접과의 「관계성」, 계절에 따라 변화하는 사계절특성을 반영하는 「시간성」, 원경·중경·근경에 따른 「조망성」의 세 가지 관점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한다. (결론) 지금까지 농촌의 색채경관계획은 농촌건축물의 유형별 모델 한 채만을 대상으로 하는 점적인 개념의 가이드라인에 집중해 왔다. 그러나 앞으로의 우리나라 농촌마을의 색채경관계획은 기존의 점적인 근경위주가 아닌 배경과 대상과의 관계를 고려하는 면적인 개념의 접근과 함께 인접한 건축물간의 연속성을 살릴 수 있는 통일성 있는 경관으로 계획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housing improvement project, which was promoted as a part of the Saemaul Movement in the 1970s, changed the landscape of rural areas in Korea from its traditional image. The rural landscape of Korea, which was assimilated with nature, was damaged by the overuse of high-chroma colors and artificial materials, and even after 40 years it continues to be a landscape that is not in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natural background. Many discussions have been ongoing to recognize and solve the problems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and landscape planning has been implemented in all municipalities to provide a more systematic color management plan. However, an effective solution has yet to be reached.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root causes of the problem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which have remained unresolved for a long time through field research methods of colored landscapes, and suggest a practical improvement plan. (Method) The research method consists of four stages. The first stage is to explain the background and purpose of the study, and in the second stage the theoretical basis is prepared through the related literature data. In the third stage, the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field research method are identified through data on the color guidelines in the landscape plan as one of the various reasons that the problems of color in the rural landscape have not solved. In the fourth stage, a practical approach to solve the problem of landscape color in rural villages based on the above problems is suggested as a method of field research and improvement plan.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survey period of the natural environment is limited to a specific season, and does not take into consideration the viewing environment, such as the distance and the position to be looked at in the survey, and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color through emotional and symbolic item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improvements from three perspectiv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adjacent object, the time reflecting the seasonal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easons, and point of view according to the landscape. (Conclusions) So far, the color plan related to the rural landscape has focused on the guidelines of a point concept that covers only one model of rural architecture. In the future, the landscape color plan in rural villages should be planned as a unified landscape that can represent continuity between neighboring buildings, as well as approaching the concept of an area that conside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background and the obj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