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행정윤리연구에서 사회생물학적 접근법의 적용에 대한 논의

        박흥식 대전대학교 지역협력연구원 2005 지역학연구 Vol.4 No.1

        전통적으로 행정윤리연구는 일반규범윤리학을 행정학적 상황과 공무원의 직업윤 리에 적용하는 접근법을 토대로 하고 있다. 규칙과 원칙을 강조하는 일반규범윤리 학은 당위적 성격과 규범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행정윤리에 대한 연구가 추상적인 수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문제점을 야기하였다. 인간의 윤리적 관념이 어떤 조건 하에서 어떻게 생성되어 왔는가 하는 문제는 윤리학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물 음에 대한 답을 기존의 전통 윤리학을 토대로 모색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이 논 문은 이와 같은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는 방법으로 행정윤리 연구에서 사회생 물학적 접근법의 적용 가능성을 논의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목적에서 본 연구는 사 회생물학에 대한 주요 저서의 검토를 통하여 행정윤리학적 측면에 적용이 가능한 이론을 모색하고, 적용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은 먼저 생물학의 학문적 배경을 살펴보고, 사회생물학의 적용이 가능한 윤리적 주제 및 논쟁을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행정윤리에 대한 적용을 모색하고 있다. Traditionally studies in the fìeld of Public Administrative Ethics have absolutely relied on applying theories of general normative ethics to administrative environments and professional ethics of public employees. As these approaches have stressed the importance of ethical rules and principles with normative and imperative characteristics, the studies of Public Administrative Ethics have remained in the abstract. However, in the studies of Public Administrative Ethics, the question how ethical concepts of human being are formed under what circumstances is very critical. While the traditional approaches can hardly answer the question, Sociobiological approach, based upon Darwin‘s evolutionism, seems to shed a light on the question. This article 이cusses some possibilities of applying concepts of Sociobiology to the study of Public Administrative Ethics.

      • KCI등재

        코로나 19시대 종교현상학의 이슈와 기독교사회윤리학의 테제들

        이상철 ( Lee¸ Sang Cheol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1 기독교사회윤리 Vol.49 No.-

        코로나 19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 영역에서 일어나는 있는 충격과 파장의 근원이 되었다. 종교분야도 예외는 아니다. 본 논문은 “코로나 19시대 종교현상학의 이슈와 기독교사회윤리의 테제들”이라는 제목아래, 전반부에서는 코로나 19에 대한 종교현상학적인 접근, 후반부는 기독교사회윤리의 이슈들을 파헤친다. 종교현상학적인 접근은 코로나 19 시대 한국 개신교인의 인식조사를 토대로 한다. 개신교인의 신앙패턴이 코로나 19를 계기로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살피면서 나는 코로나 19 이후 종교현상학의 특징을 1) 비종교사회의 도래, 2) 종교적 아우라의 파괴, 3) 예배의 재구성이라 요약하였다. 코로나 19로 인한 예배의 중단과 파행은 한국사회가 비종교사회 문턱으로 진입한 사건으로 읽힌다. 본회퍼의 “하느님 없이, 하느님 앞에서, 하느님과 더불어” (Before God, with God, without God)발언은 코로나 19 이후 비종교사회를 해석하는 중요한 단서가 되리라 본다. Covid-19로 인해 촉발된 비대면 온라인 예배의 증가는 기존 예배가 지녔던 아우라를 붕괴시켰고, 기존의 일방향으로 이루어지던 예배는 달라진 매체환경 속에서 상호소통과 그에 따른 예배 형식의 전환을 요청받고 있다. 종교현상학적인 분석을 마친 후 나는 기독교사회윤리차원에서 Covid-19 시대를 향한 대안을 아래와 같이 3가지로 제안할 것이다: (1) 세속화시대에 걸맞는 기독교사회윤리, (2) 반지성주의(anti- intellectualism)를 극복하는 기독교사회윤리, (3) 타자를 향한 환대의 윤리. This paper explores the problem of religious phenomenological approaches to COVID-19 in the first half and Christian social ethics in the second half. The religious phenomenological approach is based on a survey of Korean Protestants’ perceptions during the COVID-19 era. Looking at how Protestant faith patterns changed in the wake of COVID-19, I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phenomenology after COVID-19 as 1) the arrival of non-religious societies, 2) the destruction of religious aura, and 3) the reconstruction of worship. The suspension and disruption of worship due to COVID-19 is read as an incident that Korean society has entered the threshold of non-religious society. Bonhoeffer’s “Before God, with God, without God” statement is expected to be an important clue to interpreting non-religious society after COVID-19. The increase in non-face-to-face online worship triggered by COVID-19 has collapsed the aura of existing worship, and existing one-way worship services are being ask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to change the form of worship. After the religious phenomenological analysis, I will propose three alternatives to the COVID-19 era: (1) Christian social ethics suitable for the secular age, (2) Christian social ethics overcoming anti-intellectualism, and (3) the ethics of hospitality toward others.

      • KCI등재

        기독교 사회윤리학에서 바라 본 한국 개신교의 경제운동에 대한 평가

        최경석 ( Choi Kyung Suk )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8 기독교사회윤리 Vol.42 No.-

        모든 인간은 사회제도 속에서 존재하며 심지어지는 “나”란 주체도 “나 자신”과의 관계 속에서 존재한다. 인간은 사회관계 속에서 일어나는 모든 상호작용에 책임을 짊어져야할 윤리적 존재다. 그러기에 모든 윤리는 사회윤리라는 말은 유용하다. 여기에 기독교라는 특수한 시각으로 조망되는 것이 기독교 사회윤리인 셈이다. 경제윤리는 사회윤리의 특수한 한 사례다. 한국 개신교는 역사 속에서 일어난 사회문제들에 직간접으로 참여함으로써 해결책에 대한 대안과 방향성을 나름대로 제안했다. 여기에서 주목할 것은 경제문제들에 어떻게 참여했는지이다. 개신교의 수용부터 현재까지 역사적 추적을 통해서 그것을 기독교 사회윤리적 측면에서 평가하는 것과 앞으로의 방안을 제시하는 일은 오늘의 한국 개신교에게 일부 필요한 작업이다. 기독교 사회윤리가 지향하는 바가 그리고 그리스도의 왕권통치의 영역에서 교회가 해야 할 일이 공공신학임을 주지할 때, 한국 개신교의 경제운동은 교회의 역량을 강화시켜 시민사회와 연대하는 사업일 것이다. Since humanity lives in a social system, human beings are ethical beings that should bear responsibility for all the interactions that take place in social relationships. It is useful that all ethics are social ethics. If you attach Christianity to it, it will become Christian social ethics. The Korean Protestant Church directly or indirectly participated in social problems in history. By doing so, this research proposes alternatives and directions for solutions. What is noteworthy here is how Christians have participated in the economic issue. This study evaluates this issue based on the Christian social and ethical aspects from the acceptance of Protestantism to the present till now. Finally, it would be a necessary task for Korean Protestant church today to suggest future plans.

      • 사회복지사윤리와 반 부패 거버넌스 : 이성적 논변과 탐색

        최용호 전남도립대학교 2009 전남도립대학교 논문집 Vol.11 No.-

        This study derived ethical, utilitarian, and social contract issues on social workers' ethics and analyzed and discussed questions for each issue to investigate alternatives of social workers' anti-corruption governance. In ethical discussion, there were different views of teleological theories and deontological theories. Finally it was agreed that if an individual social worker was ethical, the organization or society would become ethical. Based on this, a key of enhancing ethical humanity education of social workers' view was examined. In the utilitarian discussion, a lesson was learned that an individual social worker should become ethical him/herself for his/her greatest happiness focused on his/her rational egoistic mind. In the social contract discussion, a problem of confronting a conflicting dilemma between social workers' interest as a selfish private man and social justice and a key that social workers' ethics should be observed because it was agreed that public mission and ethical norm of behavior was justice. 윤리는 어디에서 비롯되었고,누구를 위해, 무엇을, 어떻게 개인화•사회화하고 있는가? 이 질문의 이면에는 매우 중요한 실천적 당위 가 내포되어 있다. 윤리의 기원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해독하여 보면, 가치영역의 명법인 윤리는 그 사회에서 규범적 권위를 갖고 反부패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되어 달라는 화두를 매번 그 시대에 던져 왔다. 결국 이 사회에서 우리가 마땅히 해야 할 바 를 실천하는 바람직한 행위규범이 윤리인 것이다. 그래서 윤리는 여러개의 도덕률로 구성되어 각 개인, 특정 조직과 단체의 행위 규범을 형성한다. 이 행위규범은 ‘부패 하지 말라’‘거짓말하지 말라’‘도적질하지 말라’‘약속올 지켜라’‘정의로운 사회복지사가 되라 ’등의 도덕률과 결합하여 사회규범을 형성한다.

      • KCI등재

        기독교 책임윤리 관점에서 본 위험사회 윤리 : 책임주체인 직업인의 책무를 중심으로

        조용훈 한국실천신학회 2018 신학과 실천 Vol.0 No.61

        현대사회는 위험이 일상화되고 구조화되었다는 의미에서 위험사회라 불린다. 그런데 위험사회의 등장은 과학기술의 발전과 사회 복잡성에 따른 결과이므로 위험과 재난을 운명이 아닌 윤리의 실패로 보아야 하며, 변화된 현실에 따라 전통적인 책임윤리도 새롭게 해석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도전에 부응하여 한스 요나스는 전통적인 책임의 개념을 시간적으로는 현세대에서 미래세대로, 공간적으로는 인간관계에서 자연생태계로 확장했다. 윌리엄 슈바이커는 하나님 앞에서 자아와 인간사회 그리고 자연생태계에 대한 책임까지 포함하는 통전적 책임을 강조했다. 기독교는 인간을 관계적 존재로 보며 하나님과 인간 앞에서 책임적 존재로 파악한다. 막스 베버나 디트리히 본회퍼는 인간의 책임이 구현되는 구체적인 장소를 직업으로 보았으며 직업활동 속에서 그리스도인의 윤리적 책무를 강조하였다. 종교개혁 전통에서 볼 때 그리스도인에게 직업이란 단순한 생계수단이 아니라 하나님의 소명이다. 이는 직업을 통해 이웃을 섬기고 사랑함으로써 하나님의 영광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런 관점에서 볼 때 기독교가 위험사회를 극복하고 안전사회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려면 두 가지 과제를 수행해야 한다. 먼저, 위험사회에서 중요한 공적 가치 가치인 ‘안전’을 지키기 위해 국가권력을 비판하고 기업의 힘을 견제하며 시민사회와 더불어 생명존중과 안전제일 문화를 창조하는 공적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 그런데 그리스도인의 공적 책임이 구체화되는 장소는 바로 일상의 직업활동이다. 따라서 교회는 그리스도인의 각종 직업 활동에서 안전을 지키기 위한 직업윤리 의식과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 과학기술시대에 그리스도인 전문가는 위험을 예방하고 소통하며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강조해야 한다. 국민의 공복인 그리스도인 공직자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해 권력에 대해 비판적 사고력을 지니고 재난 당한 사람에 대한 공감능력을 가져야 한다. 그리고 기독교 기업은 안전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사회적 책임경영이나 기업의 공유가치 창출 같은 사회적 책무를 강화해야 한다. Modern society can be characterized as “risk society” in the sense that various risks and disasters have come to be prevalent and are structured. Given that the risk society is caused by modern technology and social complexity, so we have to regard disaster as the failure of ethics not as fortune. So we can argue that changing social circumstances require to reinterpret the traditional concept of “responsibility”. To face this challenge Hans Jonas expanded the scope of responsibility from present generation to future generation in terms of time, and from human relationship to natural ecosystem with respect to space. William Schweiker emphasized on the integrative responsibility for the self, human society and natural ecosystem before God. Human beings exist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God and other persons. As Dietrich Bonhoeffer claim, one can be a responsible being before God and Others only through response to demand of Others and to suffering of the weak. Especially, Weber and Bonhoeffer points out that a Christian’s responsibility have take shape in own vocational life. In the tradition of the Reformation, the vocational life is not a means of making a living but a calling from God. To cope with the risk society, firstly, the Christian churches have to criticize the government's incapacity and to check the irresponsible power of the corporations for protection of the public value "safety". Secondly, the churches have to develop the culture of life-respect and safety-first in the fields of vocations-professional service, public office and business ethics.

      • KCI등재

        근대전환기 윤치호의 기독교 사회윤리사상

        김권정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2 No.-

        19세기말 근대전환기에 태어난 윤치호는 전통적 유학교육을 통해 유교적 지식인으로 성장하였다. 근대화의 사회적 흐름 속에서 그는 일본 유학을 통해 근대문명을 체험하였다. 갑신정변의 좌절과 함께 그는 중국 상해로 망명을 떠나야 했다. 그 곳에서 그는 개인윤리 차원에서 기독교로 개종하였다. 이후 미국유학을 통해 그는 기독교 사회윤리를 수용하게 되었다. 그는 개혁운동의 방략을 기독교 사회윤리 차원에서 정립하였다. 이후 그는 제도개혁과 독립협회운동을 통해 사회적 실천을 전개하였다. 일제의 침략에 맞서 한국인의 각성과 민족공동체의 실력양성을 위한 애국계몽운동을 펼치기도 하였다. 일제 강점기 아래 국내에서 그는 기독교 사회윤리 차원에서 기독교청년운동, 여성운동, 언론운동, 교육운동 등을 통해 무너진 민족공동체를 다시 재건하고자 하였다. 윤치호는 근대전환기 유교적 세계관의 ‘단절’을 시도하였고, 새로운 대체자로 기독교 신앙을 주장하였다. 그는 삶의 인식틀 차원에서 윤리적 심각성을 강조하였다. 이를 중심으로 윤리 패러다임을 체계화시켰다. 또 그의 사회윤리관은 기독교의 실용성과 실천성에서 비롯되었다. 그런 점에서 그의 기독교신앙이 내세보다 현세에 집중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는 기독교 윤리를 현실적 실천윤리로 인식하였다. 이것이 사회개선 및 변혁에 사명의식을 가지는 공익적 사회윤리를 제공한다고 보았다. 그리고 그는 약육강식의 사회진화론을 현실적으로 인정하였다. 그러나 ‘기독교의 하나님’을 ‘숙명적 하나님’으로 받아들이지 않았다. 그는 기독교의 청지기 윤리를 통해 이를 극복하였다. 이것은 일본제국주의 압제아래서 절망적인 정치현실에 좌절하지 않고 민족을 발전시킬 수 있는 희망을 가지는 원동력이 되었다. Yun Chi-Ho who was born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times at the end of nineteenth century had grown as a Confucius intellectual through traditional education of Confucianism. Within the social trend of modernization, he experienced modern civilization by studying in Japan. He had to go on an exile to Shanghai, China along with the frustration of 1884 coup. At that place, he had converted to Christianity on the level of personal ethics. Studying in the United States afterwards, he started accepting the social ethics of Christianity. He established the strategy of reformation movement on the level of Christian social ethics. Afterwards, he had spread out social practices through reformation of system and independence association movement. He had also spread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to awaken Korean people and raise the skills of national community.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he tried to reconstruct the collapsed national community through Christian youth movement, women`s movement, press movement and education movement, etc on the level of Christian social ethics. Yun Chi-Ho attempted to break with Confucianism related view of the world in the transition period to modern age and insisted on Christian faith as a new substitute. He emphasized on the ethical severity on the level of paradigm of life. He systematized the ethical paradigm on this basis. Also, his social ethics originated from the practicality and practice of Christianity. In this aspect, his Christian faith had brought the result of concentrating on this life than afterlife. He recognized Christian ethics as realistic practical ethics. He considered this as providing the social ethics of common good having awareness of mission in the social improvement and reformation. And he realistically accepted the theory of social evolution dealing with the law of the jungle. But he did not accept the ‘God of Christianity’ as ‘God of destiny’. He had overcome this through the stewardship in Christianity. This had become a driving force of having the hope to develop our race without getting frustrated within a hopeless political reality under the oppression of Japan`s imperialism.

      • KCI등재

        구약의 땅과 사회윤리 : 안식년과 희년을 중심으로

        이사야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5 기독교사회윤리 Vol.32 No.-

        구약의 연구 분야 중 구약 윤리에 대한 연구는 가장 미진한 부분 중 하나이며, 특히 땅에 대한 연구는 이스라엘 연구에서도 부차적으로 다루어지고 있다. 구약이 말하는 땅은 단순한 자연계가 아니라, 하나님의 창조물이자, 야웨의 통치에순종하는 하나님의 통치영역(Imperial Domain)이다. 하나님이 가나안 땅을 이스라엘에게 주셨다는 것은 신학적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특히 안식년과 희년이 말하는 땅은 이스라엘이 살아야 하는 신학적 현실이자 사회윤리의 무대였다. 특히 안식년과 희년에 나타나는 토지 사상은 이스라엘이 걸어야 할 야웨의길을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와 개인의 존엄성에 대한 존중, 하나님 야웨 앞에서의 공동체의 평등사상을 잘 보여준다. 가히 혁명적이었다고 할 수 있을 정도로고대 근동 사회에서 산출한 가장 완벽한 사회윤리적 장치였다고 할 것이다. 누구보다도 공동체의 사회윤리에 관심을 가지고 그 확립에 기여한 예언자들의 선포속에는 안식년과 희년의 정신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어느 시대나 위기의 시대가 아닌 적이 없으나, 특히 주전 8세기의 예언자들은 자신들의 시대가 사회적윤리와 예배가 무너진 시대로 진단했다. 예언자들에게 있어서 사회윤리와 예배는 서로 이분될 수 없었기 때문이다. 구약이 말하는 땅과 사회윤리적 관심은 첨단 테크놀러지 시대를 살아가는 우리시대에도 고정된 옛 사상이 아니라, 새로운해석과 적용을 요구하고 있다. The land of Canaan is a gift from YHWH to Israelites in the Old Testament. It binds Israel in many ways to the giver YHWH, because they did not take the land either by their power but because YHWH had fulfilled the promise which had spoken to the fathers of Israel. The Old Testament and history of Israel has central memory that the land is given to them from God. At the same time, the land is a theological and social-ethical responsibility to them. The same land that is gift freely given from God is task sharply put in the Old Testament. Israel knows very early that the need to rework indentity in the land of gift can lead to a new identity that perverts Iaraelites as well as the land. The Old Testament commands Israelites to keep sabbath year to the Lord when they come into the land which he give them. They shall neither sow their field nor prune their vineyard. And they shall count seven sabbaths of years for theirselves, seven times seven years, because it shall be a Jubilee for them. Each of them shall return to their possession and to their family in addition to the command of sabbath year. The command to keep the sabbath year and jubilee shows social ethical thought well. The social ethics in the Old Testament emphasizes the dignity of man and simultaneously requires Israelites to excute for and love the social weak as the people of God who loves and executes justice for them. So in the Old Testament, matters of social ethics become theological issues. In this paper, I’m going to investigate the features of sabbath year and jubilee in order to prove that the ancient Israelites had the differences with other Near East community and then ascertain the messages of the prophets Amos, Hosea, Isaiah and Micah who told the words of God concerning the social violences and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meaning of social ethics which uniquely the Old Testament social ethics preserve.

      • KCI등재

        바울의 제자도에 나타난 사회적 영성-덕 윤리적 접근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22 기독교사회윤리 Vol.52 No.-

        이 글은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모색하기 위하여 바울의 제자도에 주목한다. 공감과 환대를 포괄하는 사회적 영성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맥락에서, 이 글은 사회적 영성에 관한 산발적 논의들을 기독교윤리학에 통합하여 시민사회에서의 제자됨의 윤리를 추구한다. 특별히, 이 글은 한국기독교를 주도해온 ‘번영의 복음’과 ‘잘되는 영성’에 나타난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하기 위하여, 사회적 영성을 사사화된 영성의 대안으로, 그리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로 읽어낸다.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은 시민사회에서 제자공동체로서의 교회가 함양하고 구현해야 할 제자윤리이다. 바울이 제자도의 지평을 공동체적 맥락으로 확장시켰다는 점에서, 시민사회의 제자윤리에 대한 교회적 관심을 촉구하는 것으로 읽을 수 있다. 한국기독교는 바울의 공동체적 제자도에 나타난 사회적 영성에 관심함으로써 신앙의 사사화를 극복하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해야 한다. In the context of growing interest in social spirituality, such as concern on empathy and hospitality, this article pursues the ethics of disciple in civil society by focusing on Paul’s Christian ethics. This article reinterprets Pauline discipleship from the perspective of virtue ethics while riding on the ‘Paul Renaissance’, which is actively developing centering on the humanities and the New Testament studies. For Paul, discipleship is a community-based ethics which involves the social spirituality of public responsibility, communication, empathy, and hospitality. Korean Christianity should overcome the privatization of faith and realize the discipleship of civil society by paying attention to the social spirituality shown in Paul.

      • 사회복지 가치와 윤리에 대한 연구

        최명주 한국인간복지실천학회 2011 한국인간복지실천연구 Vol.6 No.-

        Ethics should be kept within the family for the right role of family. Likewise, awareness about social welfare in ethics and education should be prerequisite for the welfare of society. The field of social welfare deals with men called clients, placing the greatest value in satisfying basic needs of human beings and realizing human life. Therefore, social welfare center performs the role of providing people with specialized and vocational skills for influencing the life of clients in the social aspect. Thus, the performance of social welfare work is the continuation of human conflict and it is not an exaggeration to say that it is a consecutive process of selection and decision because this center should do ethical decision-making for a lot of cases and clients. While value is a matter of what is good and what is desirable, ethics is concerned with what is right and what is correct. In other words, ethics deals with the judgment on right things and wrong things, while value deals with what we like or dislike. Therefore, value is faith, and ethics is judgment. Based on these concepts, social workers decide their behaviors.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provides a declaration of social workers and ethics codes of social workers based on ideas of humanism and egalitarianism under the faith of respect for all human beings, inherent right for freedom, security of living right, and the realization of social justice, equality, freedom, and democratic value. Therefore, social workers always keep in mind these principles, and tried to keep them. These principles are not the only solutions to all conflicting situations in the field of social welfare. However, it is certain that they are conducive to setting the standards of judgment in the conflicting situation of ethics. Social workers always should observe ethical responsibility and principles as professional workers, and they try to do their best for their clients and society together with their coworkers. 한 가정이 바로 서기 위해서는 가정 내 윤리가 바로서야 한다. 이렇듯 한 나라의 복지가 바로서기 위해서는 사회복지에 대한 윤리의식과 교육이 바로 세워져야 한다. 사회복지라는 분야는 클라이언트라고 호칭하는 인간을 다루고 있으며 이러한 인간의 기본 욕구를 충족시키고 그들의 잠재능력과 개성을 최대한 살려 인간다운 삶을 실현시키는 목표를 최대 가치로 두고 있으며, 사회복지기관은 이러한 클라이언트의 삶에 영향을 주기 위해서 전문적이고 직업적인 기술을 제공하도록 사회적으로 위임받은 곳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사회복지업무 수행은 인간적인 갈등의 연속이며 선택과 결정의 연속적인 과정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항상 많은 클라이언트와 사례를 접하면서 윤리적 의사결정을 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치란 무엇이 좋고(good) 바람직한지(desirable)에 관심을 두는 반면, 윤리란 무엇이 옳고(right) 바른지(correct)에 관심을 둔다. 즉, 윤리가 옳고 그른가에 대한 판단을 다룬다면 가치는 좋고 싫은가에 대한 것으로서 가치가 믿음이라면 윤리는 판단이라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행동을 결정한다. 이에 한국사회복지사협회에서는 사회복지사의 선서 및 사회복지사의 윤리강령 등을 제공하여 사회복지사가 인본주의․평등주의 사상에 기초하여, 모든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존중, 천부의 자유권과 생존권의 보장, 사회정의와 평등․자유와 민주주의 가치를 실현함을 일반적 원칙으로 믿고 판단하기를 권장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사는 항상 이에 대하여 숙지하고 있어야 하며 최소한 가까이에 두고 지키도록 해야 한다. 물론, 이 강령이 모든 사회복지의 현장에서의 갈등상황에서 해결책이 되지는 않겠지만 윤리적 갈등상황에서 판단의 기준을 세우는데 도움을 줄 것은 확실하다. 사회복지사는 언제나 전문가로서 윤리적 책임과 원칙을 준수해야 하며 클라이언트에 대한 윤리적 책임과 원칙을 다하며 동료들과도 윤리적 책임 준수에 힘써야 하며 사회에 대한 윤리적 책임을 다하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문화의 충돌과 윤리교육의 과제

        송선영 한국윤리교육학회 2008 윤리교육연구 Vol.0 No.17

        이번 연구의 주된 목적은 오늘날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들과 충돌들의 양상을 윤리문화 연구와 윤리교육의 관점에서 탐구하는데 있다. 대체로 다문화 사회는 세계화에 따른 노동력의 이동에 따라 발생하거나 국가 형성의 초기부터 다인종으로 구성되면서 발생한다. 한국의 경우는 전자에 가깝다. 특히 이주노동자를 중심으로 한 한국의 다문화 사회에 관한 연구는 주로 문화적 차이를 드러내고, 이를 공공차원에서 보완하고자 하는데 초점을 두고 있다. 이번 연구는 다문화 사회의 다양한 구성원들이 어떤 삶의 유지할 것인지를 근본적으로 탐구하고자 한다. 윤리문화의 유형들과 관련해서 보면, 첫째, 시민사회윤리문화와 공동체윤리문화의 유형을 들 수 있다. 전자는 계약 및 공정성 등의 시민성에 기초한 시민사회적 삶을 의미하고, 후자는 정의적(affective) 덕성에 바탕을 둔 공동체적 삶을 강조한다. 둘째, 종교윤리문화의 유형으로서 여기에는 한국의 경우처럼, 불교, 기독교, 유교 등의 다원종교적 삶의 유형과 기독교 정신의 경우처럼, 단일종교의 삶의 유형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유형들에서 삶의 방향이 어느 한 쪽으로 치우친다면, 윤리문화의 갈등과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윤리문화 충돌의 양상을 검토하기 위해 19세기 아놀드의 입장을 검토하기로 한다. 당시 자유주의적이고 물질적인 삶의 환경의 발달은 오히려 윤리적 삶의 성장을 방해하고 파괴하는 결과를 낳았다. 그것은 영국의 윤리문화의 두 가지 원동력이었던 도덕적 행동의 힘과 지성의 힘이 조화롭게 전개되지 못했기 때문에 발생한 것이었다. 이러한 부조화의 경험을 교훈으로 삼아, 오늘날 한국에서의 가능성을 살펴보기 위해, 안산의 "국경없는 마을", 인천의 차이나타운 지역, 국제결혼 가정의 사례들을 검토한다. 국경없는 마을의 경우에는 외국인 노동자들이 주로 거주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민사회윤리문화의 유형이 강하게 자리잡고 있다. 그러므로 이들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그들과의 관계에서 공동체윤리문화의 유형의 삶이 우리 모두에게 요구된다. 반면, 인천 차이나타운 지역의 경우에는 전통적으로 화교 및 지역민 모두 지역적 애착이 강한 공동체적 삶을 유지해 왔고, 그래서 이들 간의 충돌이 자주 발생했다. 그러므로 이들에게는 시민사회윤리문화의 유형의 삶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농촌 지역 중심의 국제결혼 가정의 경우에는 한국 가족 구성원들의 공동체적 애착이 오히려 결혼 이주민 여성에게 부담 또는 내적 강제로 작용하고 있는 것 같다. 그래서 이 집단의 경우에는 한국 가족 구성원들의 배타적인 공동체적 삶을 개방적으로 전환시킬 것인가의 과제가 있다. 이와 같은 한국 다문화 사회에서 윤리문화 충돌의 가능성의 양상을 예방 및 극복하기 위해 아놀드의 해결 방식을 도입해 본다. 그가 제시한 도덕성의 입장은 "도덕적 기질의 유사성"이었다. 즉, 인간이 사회를 구성해서 삶을 영위하는 장소에 상관없이, 그것을 이끌고자 하는 도덕적 기질은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다. 이는 어떤 절대적인 가치를 우선 상정해서 그것을 적용하고자 하는 모습이 아니라, 사회 및 집단 속에서 윤리적 삶을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는 모습 이 자체가 인간 삶의 유사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 본다면, 윤리교육은 장기적으로 어떤 인간적인 아이들을 육성할 것인가의 과제가 가장 절실하다. 국제결혼 가정의 자녀들과 한국의 자녀들은 본격적으로 전개될 미래 한국의 다문화 사회의 윤리적 삶의 주체들이다. 이들에게는 어릴 때부터 단계 별로 인간적인 교육이 적용되어야 한다. 이럴 경우에만 현재에 다양한 윤리문화의 충돌이 발생하더라도, 그 충돌의 가능성은 장기적이고 근본적인 방식에서 윤리교육을 통해 충분히 예방될 수 있다고 본다. The main purpose of this essay is to study of the possible aspects of clashes and conflicts of ethical culture in multicultural societies, in particular, in England of the 19th century by Matthew Arnold and in contemporary Korea. Concerning the types of ethical culture, firstly, there seems a ethical culture between community, based on the internalization of morality, and civil society from the faculty of moral judgment; secondly, a ethical culture of religion including singular and plural. In the experience of the clash of ethical culture of England, Arnold would propose the harmony in human lives between two forces of conduct and of intelligence. This is his conception of culture. In the case of contemporary Korean society where is increasing the immigration of foreign workers and of international marriages, we must consider their types of ethical lives. The type of ethical culture of community, for example, need to be applied to foreign workers who have paid more attention to the elements of contract or fairness. For the basic prevention of ethical culture from some conflicts in Korea, furthermore, the main goal of ethical education is on the conception of ``human children`` based on the ``likeness of moral fibre`` of Arnold. Its advantage to Korean society may enable children foreign as well as domestic, the subjects of future lives in Korea, to improve their own ethical growth without any difference and discrimination by race and grou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