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정보통신윤리교육, 그 기독교사회윤리학적 성찰의 과제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5 기독교사회윤리 Vol.10 No.-

        Even though in our times, e.g. informational society, to upright cyber ethics is urgent and important task, the process of ethical thinking could not be omitted and simplified. Unfortunately, education of cyber ethics in Korea tends to oversimplify ethical reflections. This paper studied on problems of cyber ethics education from perspective of Christian social ethics. This paper has two parts of studies : analysis of phenomenal aspects of cyber ethics education, proposals based on Christian social ethics for developments of it. Now, this paper analysed the problems of cyber ethics education as follows : (1)the shortage of ethical reflections on the most important question, 'why be moral in cyber space?' (2)some misunderstanding of ethical terms. (3)the simplification cyber ethics to netizen or user's morality. On these analysis, this paper suggested three point of complement. First, social and structural concern about cyber space. Second, psychological and socio-pathological approach to cyber. And third, uprighting the ethics of responsibility in cyber.

      • 대학선교를 위한 풀뿌리모임의 창의성 제고의 과제

        문시영 남서울대학교 2003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9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standard model for aeative applications of Chistian class-meetingpulppuri-evangelism) in campus mission. For this purpose, it studied the basic concept and theological background of class-meeting. The evangelism for university students through Christian small group move- ment by professor and Chistian students is the basic concept of class-meeting. Theologically, Weslian class-meeting in Oxford university of 19th century is the origin of this movement. In Korean context, it is transformed as Friday worship of small-reasonal group. The class-meeting of Namseoul university is an developing transformation of these factors. On this basis, this paper studied the standard grouping models. There are so many styles of meeting. For example, bible reading and study meeting, quiet-time sharing meeting, prayer-meeting, social-service, and so on. But the most importaut factor is relavency of meeting for each case of class. Ekpecialiy, there is no strict standard as number of gatkxing, ticue of meeting, etc.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group dynamics of each class-meeting for evangelism. Now, conclusion of this sbdy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o be effective class-meeting, prdessor and students must agree the ultimate goal of campus mission and be a enthusiastic co-worker of evangelism. Second, it is needed for effective class-meeting to adopt and apply the standard model guide-limes creatively. This paper eqmised the important factor for successful and effective class-rneeting is creativity of group.

      • KCI등재
      • KCI등재

        덕 윤리로 읽는 사회적 영성과 성품화를 위한 과제

        문시영 21세기기독교사회문화아카데미 2022 신학과 사회 Vol.36 No.1

        팬데믹 이후에 한국기독교는 무엇을 회복해야 하는가? ‘잘되는 영성’으로의 회귀가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도에 근거한 ‘사회적 영성’의 복원이어야 한다. 특히, 한국기독교가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의 결여를 시민사회로부터 지탄받고 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공감과 환대의 윤리에 관한 논의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기독교의 반향과 관심 또한 활발하다. 레비나스와 데리다의 통찰은 인문학 및 신학의 집중조명을 받고 있다. 나아가, 교회의 공공성을 구현하기 위하여 책임과 소통의 문제에 관심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을 사회적 영성이라는 이름으로 풀어내고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로 제언하고자 덕 윤리적 접근을 시도한다. 덕 윤리가 성품화 문제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성품의 함양을 강조한 하우어워스를 응용한다. 복음의 사회적 증인됨을 통한 제자도에 주목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무엇보다도, 공감, 환대, 책임, 소통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추구한다. 시민사회가 요청하는 부담스러운 이슈들로 간주할 것이 아니라 제자도에 담긴 가치로 인식하여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해야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이 글은 사회적 영성에 관한 덕 윤리적 논의를 통하여 두 가지 질문에 주목한다. (1)무엇을 성품화 할 것인가? 한국기독교는 공감, 환대, 책임, 소통의 시민적 가치들을 예수 그리스도의 제자됨을 위한 성품화의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 공감의 윤리에 관한 기독교적 인식, 신적 덕목으로서의 환대에 관한 성찰, 교회의 공적 책임에 관한 이해, 그리고 공공성에 기반한 소통에 관심해야 한다. (2)어떻게 성품화 할 것인가? 사회적 영성의 성품화를 위하여, 덕 윤리의 방법론과 누스바움의 텍스트 읽기 등을 응용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하우어워스가 교회의 펀더멘탈에 주목하면서 예전의 본질적 회복을 강조했던 점을 참고하여 한국기독교의 제자훈련과 접맥시킬 필요가 있다.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제자도를 통해 시민사회의 제자윤리를 구현하기 위해서이다.

      • KCI등재

        S.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로서의 사회윤리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0 기독교사회윤리 Vol.20 No.-

        시민사회의 한 복판에 서 있는 한국교회의 윤리적 책무는 과연 무엇인가?기독교사회윤리에 관한 라인홀드 니버의 탁견과 스택하우스의 공공신학을 따라말한다면, 시민사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해 사회정의를 비롯한 기독교적 사회정책을 제시하고 사회문제에 적극 참여하는 것이 교회의 윤리적 책무일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은 교회와 사회의 관계설정에 있어서 교회의 적극적 역할을 강조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지만, 정작 교회 그 자체의 윤리적 문제를 소홀히 하거나간과하는 경향에 흐르기 쉽다. 이 논문은 하우어워스의 강조점들을 중심으로 교회의 ‘교회됨’을 교회의 윤리적 과제로 상정해야 할 필요성과 중요성 및 과제들을 다루고 있다. 특히 사회참여 중심의 니버적 기독교현실주의와 함께 교회가 진정한 의미에서 교회다운 교회가 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강조하고 그 윤리적 의의를 논하였다. 무엇보다도, 교회의 교회됨을 기독교사회윤리의 또 하나의 아젠다로 상정하고 그실천을 위한 고민에 힘써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또한 하우어워스의 교회됨의 윤리에 항상 따라다니는 소종파적 퇴거의 비판과 관련하여 그의 반론을 중심으로 한국적 과제를 반추해 보았다. 소종파적이라는 비판에 타당성이 없지 않으나, 하우어워스를 비판하는 것에만 급급해할것이 아니라, 한국적 맥락에서 교회가 지닌 윤리적 과제들을 교회의 교회됨으로부터 성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새로운 토론의 주제로 제안하였다. 특별히, 교회가 겪고 있는 한국적 갈등의 문제와 교회에서 겪는 공동체 경험이항상 긍정적인 것만은 아니라는 점에서 사회참여에 못지않게 교회의 교회됨을위한 윤리적 고민이 구체적으로 전개될 필요가 있다는 점을 기독교사회윤리의또 다른 과제로 제안하였다. What’s the task of church in these times? Christian social ethics of Reinhold Niebuhr and public theology of M. Stackhouse told that the social concern for social policy and are the answers. On the contrary, S. Hauerwas proposes ‘ecclesial ethics’ which emphasize ‘the task of being church of church.’ Hauerwas says his ethical ideas as these:(1) the recovery of the importance of the virtues for the understanding Christian life, (2) an emphasis on narrative for the intelligibility of an action description,(3) a correlative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the church as a community necessary for the formation of the people of virtue, (4) criticism of the accommodation of the church to liberal political arrangement, and (5) an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nonviolence as a hallmark of the Christian way of being in the world. Now, the focuses of this paper are as these: (1) Hauerwas’ argument is not sectarian withdrawal but a new agenda for Christian social ethics which must to be added to Niebuhrian perspective in Korean context of Christian social ethics. (2) the genuine problem which must to discuss is how to train for moral mature according to Hauerwas’ narrative morality in church. Anyway, the most important task is let church be church in Korea.

      • KCI등재

        니버의 사회윤리에 관한 공공신학적 해석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08 기독교사회윤리 Vol.16 No.-

        There are so many studies on Christian social ethics of R. Niebuhr. This paper is a proposal of new interpretation which concerns on his public perspective. Especially, this paper based on public theology of Max. L. Stackhouse. With this subject, this paper has some clues: (1) L. Rasmussen's view on Niebuhr as a public theologian or a theologian of public life, (2) M. Marty's guide Niebuhr as a public theologian, (3) Max. L. Stackhouse's Niebuhrian approach to Christian social ethics. On these basis, this paper tried to regard Niebuhr as an origin of public theology in contemporary meaning. Moreover, this paper applies Korean theologian Koh Bumseo's view of Niebuhr's Christian social ethics. According to Koh, Niebuhr has three points of view on social ethics: (1) Christian social ethics have to concern for social realities. (2) Christian social ethics must pursue the approximation of agape through social justice. (3) Christian social ethics have to treat the social structure as an important factor. Now, this paper mixed some clues of Rasmussen, Marty, and Stackhouse's view points and Koh's insights to understand Niebuhrian concept of Christian social ethics. So, this paper has focus on three points: (1) Niebuhr's concern for social realities could be connected with the anti-sectarian approach of public theology. (2) Niebuhr's concern for social justice could be connected with the concept of public concern of church in public theology. (3) Niebuhr's emphasis on social structure bears the concern for the political-economic structures in public theology. In conclusion, this paper proposed a possibility to interpret Niebuhr as a forerunner of public theology, the Christian social ethics in global era.

      • KCI등재

        하우어워스의 윤리에서 복음과 교회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1 기독교사회윤리 Vol.21 No.-

        This paper is an interpretation of Stanley Hauerwas’s ethics in Korean context. Hauerwas has earned the nickname, ‘ecclesial ethics’ for his ethics. Actually,Hauerwas set it up as an ethics for church or a church-dependent morality. Focusing on Jesus narrative and church, Hauerwas insists that the first task of church is to be itself. Now, Korean church faced to civil condemnations through mass-media. Some ethicists thinks that the target and method of church reformation must follow the civil criteria. But this paper insists that moral reformation of church must be pursued via gospel. In this context, this paper interprets Hauerwas’s point as being church via Jesus narrative. According to Hauerwas, Jesus narrative is the core value which must be embodied in church. In spite of criticism of ‘sectarian withdrawal’, the ecclesial ethics of Hauerwas gives very important insights for church in Korean context. For example, all the actions of church (sermon, activity, and morality, etc.) must enact according to Jesus narrative. And moral problems of church must be treated via evangelistic method. Now, Korea church must seek the sanctification according to Jesus narrative. 이 글은 하우어워스 윤리의 한국적 읽기를 위한 하나의 제안이자 시도이다. 교회윤리라는 별칭이 붙을 정도로 복음과 교회를 윤리의 중심에 복권시키려 하는 하우어워스의 관점은 시민사회 속에서 교회의 교회됨을 모색하려는 한국교회를 위한 탁월한 통찰이 되리라 기대되기 때문이다. 특히, 시민적 지탄의 대상으로 내몰리고 있는 한국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대안의 모색에 있어서 하우어워스의 관심을 재평가하고 그 한국적 실천을 위한 과제들을 모색할 때가 되었다. 한국교회의 가장 긴요한 윤리적 과제는 교회다운 교회가 되는 것이며, 교회로교회되게 하는 것이야말로 기독교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핵심과제이다. 이러한뜻에서, 교회로 교회되게 하는 것을 윤리의 으뜸가는 과제로 제안한 하우어워스의 관점은 한국교회를 향하여 중요한 통찰을 제공해 준다. 특히 기독교적 덕의윤리와 공동체윤리를 대변하는 하우어워스의 윤리에서 예수 이야기, 교회 그리고 교회됨의 관계를 성찰하는 것은 한국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기초이자비전이라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하우어워스가 말하는 예수 이야기는 그리스도인의 정체성을 위한 근거이자 교회의 근간으로서, 교회다운 교회 혹은 교회됨을 위한 핵심가치는 예수 이야기로 표현된 복음에 있다고 요약할 수 있다. 예수이야기 혹은 복음이 교회의 근간이라는 점에서, 한국교회는 과연 복음에 충실한교회됨을 추구하고 있는지 깊은 성찰을 진행해야 할 것이다. 문제는 한국의 시민사회에서 교회를 교회답게 하고 교회됨을 제안하는 접근방식에 있다. 한국교회의 윤리적 안타까움은 열거하는 것 자체가 부끄러울 정도이지만, 비난과 정죄와 심판을 목표로 매스컴을 통해 교회를 시민적 이슈로 몰아가는 방식보다는 복음적인 교회를 위한 복음적인 방식을 찾아야 한다. 이러한뜻에서, 하우어워스의 윤리적 강조점을 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한 아젠더로 수용하여 교회의 근거이자 핵심가치로서의 예수 이야기에 대한 재발견 및 그 실천대안의 모색을 위한 기독교윤리가 필요하다는 것이 이 글의 핵심적인 제안이다.

      • KCI등재

        하우어워스와 ‘덕의 공동체’ 로서의 교회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2 기독교사회윤리 Vol.23 No.-

        What’s the most important task of church in these times? To respond to question,this paper studied on ‘church as the community of virtue’ in Stanley Hauerwas’s ethics. As we know, Hauerwas earned the nickname, ‘ecclesial ethics’for his ethics. Focusing on Jesus narrative and church, Hauerwas insists that the first task of church is being itself. This paper views church as moral agency, school of virtue, and community of character according to Christian communitarianism. Especially, the Christian communitarianism draws strength from the increasing dissociation of church and civil society in the western world. It has features of virtue ethics. And it has to be understand from the context of virtue, community, and narrative. Most of all, this paper emphasized the moral significance of church as the community for enhancing Christian virtues or character. In this meaning, church of ecclesial ethics would be interpreted as the school of virtue or community of Christian character. In spite of criticism of ‘sectarian withdrawal’, the ecclesial ethics of Hauerwas gives very important insight for church in Korean context. But, the most essential task of Christian virtue ethics must be transformed from peace to being church itself. In short, the focuse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church must be a community of character via Jesus narrative. (2)the most important virtue of church in Korea is ‘being church itself’. 교회됨이 절실한 때, 시민적 비난과 정죄와 심판을 통해 몰아세우기보다 교회가 윤리적으로 성숙할 수 있도록 대안을 제시하려는 ‘교회됨’을 위한 윤리적 성찰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이 글은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ecclesial ethics)를 ‘덕의 공동체’ 혹은 ‘성품공동체’(a community of character)의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성찰하였다. 소종파적 퇴거의 우려 등 하우어워스에 대한 비판일변도의 접근과는 달리, 이글에서는 그의 문제의식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를 통해 기독교공동체주의와 덕 윤리의 기독교적 수용이라는 맥락에 대한 종합적 성찰을 시도하였다. 하우어워스는 교회를 도덕공동체로 인식하고, ‘성화’의 개념을 덕 윤리와 연계시켜 예수 내러티브에 충실한 덕성을 함양해야 한다고 제안한다. 이는 덕 윤리의 기독교적 수용 및 기독교공동체주의의 요체를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으며, 현대기독교윤리학이 콘스탄틴적 결탁에 흐를 것이 아니라 교회로 교회되게 하는 대안을 제시하는 노력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하우어워스 자신의 문제의식을 반영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하우어워스가 좁은 의미의 성화개념을 사용했다는 점, 덕 윤리와 성화의 연관성에 대한 포괄적이고 깊이 있는 논의가 부족했다는 점 등은 비판적 평가의 대상일 수 있다. 하우어워스가 평화의 덕목을 강조한 것을 두고, 결국 평화주의를 따라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인지, 평화를 교회의 대표적인 덕목으로 상정할 수 있는 것인지에 대한 찬반논변이 필요할 듯싶다. 이 글에서는 덕의 학교이자 성품의 공동체로서의 교회가 함양해야 할 여러 기독교적 덕목들을 평화라는 특정 덕목으로 한정짓기보다는 ‘교회됨’ 자체를 교회가 추구해야 할 덕목이자 과제로 인식해야 한다는 사실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교회의 교회됨을 위한 윤리적 성찰이 깊어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기 때문이다.

      • 기독교정치윤리의 정립을 위한 성경공부 주제들

        문시영 남서울대학교 2004 남서울대학교 논문집 Vol.10 No.3

        This paper has two focuses. First, political ethics has partnership between politicians and citizen. In Korea, there are so many requests of political ethics for politicians. But for the right and wholistic political ethics, citizen also must be awakened and be responsible. Particularly, in modern democratic society, citizen movement for political ethics has very important meaning. So, this paper emphasis the responsible role and participative concern for right political culture and political ethics. And the theological basis of this theory is the concept of Christian realism in Reinhold Niebuhr. Second, this paper propose six issues of bible study for Christian political ethics in Korea. (1)The concern about the importance of political Christian political ethics as the condition of future generation's political culture. (2)The role of peace-maker for rescue of social conflicts and collective egoism. (3)The concern about biblical human rights and human dignity. (4)The advanced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Christian heavenly citizenship. (5)The meditation of war and peace and its biblical alternative. (6)The awakened sense of responsibility for citizen's participation. Conclusion of this study is this: Christian political ethics is the condition of right political culture, Christian must be responsible for transformation of political culture. Specially, in Korea, Christian have little concerning about political reality. Now, it needs Christian participative and responsible concern about political reality for realization of God's will.

      • KCI등재

        倫理的 自淨의 관점에서 하우어워스 읽기

        문시영 한국기독교사회윤리학회 2013 기독교사회윤리 Vol.25 No.-

        This paper is a suggestion of Christian ethics for Church reformation via reading Hauerwas from the perspective of moral sanctions for ‘Being-Church’. In spite of many implications in Ecclesial Ethics of Stanley Hauerwas, some ethicists complains that Hauerwas does not provide concrete way to practice ‘Being-Church’, especially in Korea. This paper suggests two aspects of reading Hauerwas from macro and micro level. In macro level, ‘Being Church’ is the agenda for Church reformation. As we know, Hauerwas begins from the Church and emphasizes ‘being Church’ as the most urgent task of Christian faith. Ecclesial Ethics refuses the ‘Constantinian accommodation’ and focuses the importance of Christian virtue of peace according to Jesus narrative. In Korean context, ‘Being Church’ must be the moral vision for Church reformation. In micro level, Ecclesial Ethics needs to study for moral sanctions for ‘Being Church’. Although, there are so many insights to method for practicing the vision or agenda for Church reformation, it is true that Hauerwas has some shortages in moral sanctions for morally deviated actions in Church. Of cause, Hauerwas has deep confidence on God’s lordship in these problems. But, there are some needs to be enlarged the clues for corrective justice for moral self-purification of Church. Especially, reforming the Church is the key point which has to be recognized to all Christians and Church. 하우어워스(Stanley Hauerwas)의 ‘교회윤리’(ecclesial ethics)를 성찰하는 과정에서 제기될 수 있는 난제 중 하나는 그가 제안한 ‘교회됨’의 비전을 실천할 방법론의 문제이다. 하우어워스의 문제의식은 교회의 윤리적 성숙을 위해 중요한 방향을 제시해 준 것임에 틀림없지만, 교회의 윤리적 자정(自淨)이 문제시되고 있는 한국적 맥락에서, 구체적인 실천을 위한 전략 혹은 방법론이 분명하게 드러나지 못하는 듯싶다. ‘교회되지 못함’ 혹은 ‘교회답지 못함’의 모습들을 직면하고 있는 한국의 교회는 과연 윤리적 자정이 가능한가? 혹은 교회됨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척결할 방안은 있는가? 이 질문들은 근본적으로,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 그 자체에 대한 질문으로 귀결된다. 하우어워스는 윤리적 자정을 신뢰하는가?자정의 관점에서,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는 교회에 대한 신뢰를 기초로 한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교회됨’은 거시적 자정의 방향제시로 평가되어야 한다. 교회됨이라는 아젠더 자체가 자유주의 정치에 결탁된 교회의 본래적 정체성 회복을 촉구하는 거시적 의미의 자정에 해당하는 것은 분명하다. 다만, 하우어워스의 교회윤리에 교회됨을 위한 미시적인 자정의 문제 즉 구체적인 실행 메뉴얼이 부각되지 못하는 것은 한계이다. 그러나 하우어워스가 기독교 공동체주의를 표방한다는 점에서, 아리스토텔레스의 시정적 정의를 수용한 현대의 공동체주의자들이 주는 단초들을 활성화시켜야 할 필요성은 충분해 보인다. 공동체의 회복을 목적으로, 공동체 내부에서의 시정적 정의를 구현해야 한다고 말했던 아리스토텔레스적 단초를 기독교 안에서 어떻게 활성화시키고 실천방법론을 제시해야 하는가의 문제를 본격적으로 모색하는 것이야말로 한국교회와 기독교윤리학이 시급히 모색해야 할 과제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