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새로운 모색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S

        오늘날 대학과 학문들이 잘못된 실용주의에 경도되어 ‘시장학문’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커뮤니케이션학도 정작 현실의 문제에 대해 별다른 설명이나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학문다움’을 망각한 채 정책학문임을 내세워 재빨리 현실에 동조하거나 반대로 학문의 순수성을 내세워 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비판적 상상력’이 고갈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 대부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에 대한 되물음이 없이 대상을 좇기에 급급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우리 학문이 보여준 놀라운 양적 성장만큼이나 과연 이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담론을 이끌어가고 있는가? 라는 물음 앞에서 당당하지 못하다.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익숙한 것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아 내려는 ‘부정’의 태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모름지기 학문이라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이다. 길을 잃으면 발걸음만 바빠지듯 그동안 우리는 기본을 잊고 무언가에 쫓기듯 분주하기만 했던 것이 아닌지 반성해본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매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학의 오랜 학적 체계에 의해서 배제되었던 새로운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 동안 커뮤니케이션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지 않았으나 대개는 본질적인 것에 대한 도전적인 문제제기이기보다는 특정 이론이나 개념을 두고 조심스럽게 논의를 전개하는 식이었다. 이에 비해 이 논문은 다소 거칠 정도로 우리 학문의 현실 안주와 비판력 상실을 정면으로 질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익숙했던 것들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하이데거의 말을 빌려 당장 우리 커뮤니케이션학에 요청하고자 하는 바는 우리가 여전히 사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깊이 사려해보라는 것이다. While universities and studies have been declined to ‘market science’ by overly false pragmatism, communication science does not suggest any alternative about real-life problems. For it neglects its status as a science while it is likely to sympathize with and be apathetic to reality. Its critical imagination is on the brink of being exhausted. Today many communication scholars are flustered by only striving for abruptly changing phenomenon without inquiring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on science. As a result, we cannot say a word about the question ‘does communication science lead social discourses as much as its quantitative development it has shows splendidly?’ It is very required that communication science be equipped with negative thinking, which makes it introspect and criticize itself. This paper aims at seeking different meanings by redefining critically such essential concepts as ‘communication’ and ‘media’ from a humanistic view. It brings uncritical and complacent communication science into a question. As Martin Heiddeggar noted, the most thought-provoking thing in our communication science is that we are still not thinking.

      • KCI등재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새로운 모색

        남궁협(Hyuph Namgung) 한국언론학회 2013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9 No.2

        오늘날 대학과 학문들이 잘못된 실용주의에 경도되어 ‘시장 학문’으로 변질되어 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커뮤니케이션학도 정작 현실의 문제에 대해 별다른 설명이나 대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그 까닭은 ‘학문다움’을 망각한 채 정책학문임을 내세워 재빨리 현실에 동조하거나 반대로 학문의 순수성을 내세워 현실에 무관심하기 때문이다. 한 마디로 ‘비판적 상상력’이 고갈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그래서 오늘날 대부분 커뮤니케이션 학자들은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에 대한 되물음이 없이 대상을 좇기에 급급해 하고 있다. 그러다보니 우리 학문이 보여준 놀라운 양적 성장만큼이나 과연 이론적으로나 사회적으로 담론을 이끌어가고 있는가? 라는 물음 앞에서 당당하지 못하다. 끊임없이 자신을 성찰하고 익숙한 것들에 대한 비판적 사유를 통해 새로운 의미를 찾아내려는 ‘부정’의 태도가 필요하다. 이것은 모름지기 학문이라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이다. 길을 잃으면 발걸음만 바빠지듯 그동안 우리는 기본을 잊고 무언가에 쫓기듯 분주하기만 했던 것이 아닌지 반성해본다. 그런 점에서 이 논문은 인문학적 관점에서 커뮤니케이션학의 본질적인 개념이라 할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과 ‘매체’ 개념에 대한 비판적 재해석을 통해 커뮤니케이션학의 오랜 학적 체계에 의해서 배제되었던 새로운 의미를 모색해보고자 했다. 그 동안 커뮤니케이션학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없지 않았으나 대개는 본질적인 것에 대한 도전적인 문제제기이기보다는 특정 이론이나 개념을 두고 조심스럽게 논의를 전개하는 식이었다. 이에 비해 이 논문은 다소 거칠 정도로 우리 학문의 현실 안주와 비판력 상실을 정면으로 질타하고 있다. 이것은 우리에게 익숙했던 것들에 대한 비판적 거리두기를 촉구하기 위함이었다. 하이데거의 말을 빌려 당장 우리 커뮤니케이션학에 요청하고자 하는바는 우리가 여전히 사유하지 않고 있다는 것을 깊이 사려해보라는 것이다. While universities and studies have been declined to ‘market science’ by overly false pragmatism, communication science does not suggest any alternative about real-life problems. For it neglects its status as a science while it is likely to sympathize with and be apathetic to reality. Its critical imagination is on the brink of being exhausted. Today many communication scholars are flustered by only striving for abruptly changing phenomenon without inquiring the essentials of communication science. As a result, we cannot say a word about the question ‘does communication science lead social discourses as much as its quantitative development it has showed splendidly?’ It is very required that communication science be equipped with negative thinking, which makes it introspect and criticize itself. This paper aims at seeking different meanings by redefining critically such essential concepts as ‘communication’ and ‘media’ from a humanistic view. It brings uncritical and complacent communication science into a question. As Martin Heiddeggar noted, the most thought-provoking thing in our communication science is that we are still not thinking.

      • KCI등재

        동의에 지향된 담론적 정치 참여자로서의 공중 개념과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

        김정호(Jeongho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1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70 No.2

        이 논문이 살피고자 하는 것은 공중이라는 용어의 다양한 의미들이 아니라 이 말로 표현되어 온 특정한 한 의미다. 이 의미란 ‘공적 문제에 대해서 동료 시민들과의 공유된 이해와 동의된 판단을 형성하기 위해 대화와 토론에 참여하는 시민’이라는 개념이다. 이 개념은 존 듀이나 한나 아렌트, 위르겐 하버마스 그리고 제임스 케리 등과 같은 학자들의 주장의 핵심적 요소로 사회와 언론에 대한 서구의 비판적 연구와 민주주의에 대한 탐구에 중요한 이론적 토대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이러한 공중 개념이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어떻게 수용되어 왔는가를 살피는 것이다. 여기서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는 전통적으로 비판 커뮤니케이션 연구라 불려 왔던 연구뿐만 아니라 커뮤니케이션 현상의 사회적 의미를 탐구하고 평가하려는 연구들을 총칭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이 논문은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가 동의에 지향된 담론적 정치 참여 행위에 의해서 규정되는 이러한 공중 개념을 분석적 범주로서 사용해 오지 않았다는 것을 주장한다. 이 개념에 기반하고 있는 서구 학계의 많은 주장들이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주요한 이론적 자원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개념이 분석적 범주로서 무시되어왔다는 사실은 한국의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의 성격과 한계를 드러내 준다. This article examines not the term “the public” or “publics”-which has various meanings -but its particular meaning, which is a group of citizens who engage in political discussion and debate with fellow citizens in order to form shared understandings and common judgments with regard to contemporary affairs and public issues. The goal of this article is to show the importance of this concept in critical studies of media and society and to analyze how this concept has been accepted in South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this articl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refer to communication studies that aim to explore social meanings of communication phenomena. This article argues that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concept of the public as agreement-oriented discursive political participants in South Korea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 KCI등재후보

        커뮤니케이션정치경제학의 방향에 대한 소고 : 독일에서의 논의를 중심으로

        서명준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정치연구소 2019 글로벌정치연구 Vol.12 No.2

        오늘 자본주의사회에서 커뮤니케이션 관계를 분석하고 비판하는 데에 마르크스는 실용적인 측면이 있다. 그의 이론은 무엇보다 미래 사회 “이론”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기준을 제시해 준다. 모든 지배에 대한 비판으로서 마르크스의 비판은 모든 비판적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이론가들에게 많든 적든 영향을 끼쳤다. 마르크스의 이론은 오늘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는 “잊혀진 이론”이지만(Holzer 1994), 그의 사유의 유산은 부정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긍정적으로 인정받아야 할 것이다. 여기에서는 이른바 비판 커뮤니케이션의 한 분과로서 논의되는 미디어정치경제학의 쟁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오늘날 그것은 정치경제학이라는 마르크스적인 학문의 영향에도 불구하고 마르스크의 사유에서 상당히 벗어나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이를 위해 먼저 비판적 커뮤니케이션 연구에서 마르크스적 사유의 불가피성에 대해 논하고, 관련하여 주요 커뮤니케이션이론가들의 논의를 살펴보며, 커뮤니케이션정치경제학이 놓치고 있는 핵심 개념인 커뮤니케이션 개념에 대해 유물론적 시각에서 고찰한다.

      • KCI등재

        ‘비판 커뮤니케이션’의 지성사 쓰기 : 강재호의 복기 작업에 관한 비판적 논의와 반박을 중심으로

        이기형(Keehyeung Lee),이상길(Sang Gil Lee),박진우(Jin-Woo Park)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2 언론과 사회 Vol.30 No.4

        이 글은 강재호(2020) 교수가 제공한 ‘비판 커뮤니케이션’을 주제로 삼는 ‘지성사적’ 접근에 관한 비판적 리뷰이자, 비슷한 문제의식을 공유하는 연구자들이 구성한 ‘화답’이다. 먼저 필진은 그가 시도한 사례분석이 발휘하는 학문적 의의와 자성의 기회를 주목하게 된다. ‘비판이론’의 부상과 퇴조, 그리고 제도화의 명암과 관련 지식생산의 변화상을 상세하게 조명하는 작업으로서, 그의 작업은 지적인 측면에서 유용하며, 생산적인 논쟁을 매개한다고 평가할 만하다. 동시에 이 글은 비판 커뮤니케이션의 궤적과 성과를 서울대 언론정보학과 내부 교원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전개하는 그의 작업에 이견과 성찰적 제언을 진중하게 제기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필진은 지면에서 그런 문제의식을 구체적으로 풀어내면서, 맥락적인 방식으로 관련 논의와 쟁점을 상세하게 풀어내고자 한다. 특히 필진은 그가 제공한 범주와 평가 및 진단의 방식을 비판적으로 조명할 것이다. This review critically explores Jaeho Kang’s article, entitled “Scientificity of Critique and Normativity of Method: A Reflection on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South Korea.” First of all, we think his article presents an interesting and useful case study about four former faculty members in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hose work can be associated with the pursuit of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Kang attempts to track down the very emergence of, and the changing trajectories of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South Korea with a focus on the various intellectual strategies adopted by those four scholars. At the same time, we present several critical suggestions and counter-arguments on Kang’s work as a way of both contextualizing and sharpening what Kang initiated in his article.

      • KCI등재

        비판의 과학성과 방법의 규범성 : 비판 커뮤니케이션론 소고

        강재호(Kang, Jaeho)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20 언론과 사회 Vol.28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에서의 비판 커뮤니케이션론의 발달과 전개 과정을 네 가지 이론적 전략-문화 제국주의 비판, 탈서구화, 탈식민화, 토착화-으로 재구성하고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1980년대 초반에 시작되어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서울대학교 언론정보학과에서의 비판 커뮤니케이션론 논의를 대상으로 지성사적 분석을 수행한다. 이 분석을 통해 본 논문은 커뮤니케이션학의 분과학문으로서의 지위와 역할이 축소되어 온 비판 커뮤니케이션론이 비판의 과학성과 방법의 규범성을 강화하여 공학적 커뮤니케이션론의 대안으로서 그 현재성을 구축해야 함을 주장한다. The aim of this essay is primarily concerned with an analysis of the transformation of th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in Korea with reference to cultural criticism, de-Westernization, de-colonization, and vernacularization. For this purpose, the essay draws a particular focus on the varying debates on th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facilitated by the faculty of the Department of Communication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from the early 1980s through the present. In doing so, the essay tries to draw out contemporary relevance of the debates in developing the critical communication studies as an alternative to the predominant engineering-oriented communication studies.

      • KCI등재

        하버마스 의사소통 합리성과 PR커뮤니케이션 의미의 확장

        김영욱(Yung-Wook Kim) 한국언론정보학회 2005 한국언론정보학보 Vol.30 No.-

        PR커뮤니케이션이 기능주의적인 시각에서 벗어나서 다양한 패러다임 접근을 받아들이는 것은 하버마스의 사회비판이론이 도구적인 이성에서 벗어나 광범위한 의시소통 합리성을 추구하는 것과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다. 기능주의 함정으로부터 하버마스가 광범위한 합리성 통합을 통해 해답을 찾는 것과 다양한 패러다임의 통합을 통한 ‘PR커뮤니케이션 민주주의’의 추구는 많은 유사성을 가지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도구적 이성의 왜곡화로 인해 발생하는 현대사회의 병폐를 치유하기 위한 하버마스의 의시소통합리성 기획이 어떤 면에서 PR커뮤니케이션 이론의 패러다임 변화와 맞닿아 있는가를 밝히고, 그러한 두 분야의 유사성으로부터 새로운 PR커뮤니케이션 이론화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이다. 또한, PR커뮤니케이션을 통해서 하버마스 사회비판이론의 실천적인 측면을 탐색해 볼 수 있으며, 개인, 조직, 국가 차원의 다양한 관계 속에서 대화의 진작, 사회 합의의 도출, 갈등의 해결, 공론 장의 확대와 같은 포괄적인 커뮤니케이션 합리성을 적용해 보는 계기를 마련해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converge the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into the new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democracy.' The notions of communicative action rationality, the public sphere, and deliberative democracy led new public relations paradigm approaches including meaning sharing, media access enlargement, and theoretical ramifications for the powerless. As Habermas prospected the power of comprehensive rationality to solve post-capitalist problems, the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democracy visions the new era of public relations equipped with rhetorical and critical approaches. The new paradigm tries to overcome functional fallacy and embraces the concept of public interest. The paradigm of public relations democracy aims at integrating all three levels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such as individual, organizational, and social levels, and pursues to enlarge the public sphere through increasing communicative actions and resolving social conflicts. Habermas's critical theory exhibits an opportunity for public relations theory building.

      • KCI등재

        프랑크푸르트학파 비판이론에 대한 커뮤니케이션 현상학적 성찰

        이범수(Lee, Bum-Soo) 한국언론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10 No.4

        커뮤니케이션 관련 비판이론은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및 스피치 행위이론과 결부되어, 인간과 사회의 관계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연구는 마르크스에 대한 통찰에 근거하는바, 인간과 도덕 가치에 대한 본질 개념 찾기가 그 목적이다. 사회제도 속에서 물상화된 소비주의 및 설득은,진정성 및 대인 합당화의 원천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다.보편화용론의 터인 커뮤니케이션 현상학, 신마르크스주의자의 인식론인 역사적ㆍ변증법적 유물론, 경험주의 방법에 대한 성찰 등은 커뮤니케이션 왜곡을 막으면서 커뮤니케이션을 해방의 도구이자 대중의 발화수단으로 하는 데 필요불가결하다. 마르크스주의의 위대성은 사적 유물론에 있다기보다는 인류 역사라는 동일과정에서 문화 역사 및 경제 역사의 취급 방식에 있다. 통찰이라는 이론적 방법을 사용하여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끌어 인간해방을 실천하는 것이 그것이다. The critical theory approach to a communication theory of society, initiated in the development speech act theory and the phenomenology of communication, represents a starting point in the analysis of the fundamental relationship between persons and societies. From Marx we gain an insight based on the nature of person and moral value. The fundamental grounding of emancipation from consumerism and persuasion as reified in social institutions is linked inseparably to the discovery of the communication community as a source of authenticity and inter personal legitimation. Thus, the greatness of Marxism lies not in its having treated economics as the principal or unique cause of history but in its treating cultural history and economic history as two abstract aspects of the same process.

      • KCI등재

        비주얼 커뮤니케이션과 정치

        서도식(Do-Sik Suh) 한국철학회 2008 철학 Vol.0 No.95

        이미지의 송신과 수신에 기반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은 ‘이미지적 전환’ 시대라 불리우는 오늘날의 특징적인 커뮤니케이션 방식이다.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이 증대됨에 따라 정치적 커뮤니케이션 현상 또한 로고스 중심에서 아이콘 중심으로 옮겨가는 것은 불가피하다. 그러나 정치적 리얼리티의 재현 및 커뮤니케이션에서 이미지가 언어를 대신하는 현상은 포스트모던 사상가들에게는 당연한 일로 여겨질지 모르겠으나, 비판적 사회이론의 입장에서는 ‘권력 비판’이라는 핵심적인 과제를 제기한다. ‘포스트모던’ 시대의 정치적 커뮤니케이션이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지배될 경우, 이미지의 권력적 성격이 의사소통 합리성에 기반한 정치적 합의와 그 산물인 민주주의 제도를 위협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일기 때문이다, 따라서 비주얼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비판이론은 무엇보다 이미지의 권력적 성격에 대한 규범적ㆍ합리적 비판을 필요로 한다. The increase in visual communication based on the sending and receiving of images is characteristic to the times of our so-called "pictorial turn." It thus seems inevitable for political communication to move from logocentrism to iconcentrism in its style, as well. The replacement of language with image might be seen as a matter of course to postmodern thinkers, but this replacement causes critical social theorists to raise questions regarding a critique of the power of images. On the condition that visual communications are the dominant style of political communication in the postmodern era, it may be worrying to us that the characteristic of power in images undermines the political consensus based on communicative rationality and its main products, namely, democratic institutions. As such, a critical theory of visual communication requires, above all things, a normative and rational critique of the power of images.

      • KCI등재

        비판적 PR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본 무상급식 담론경쟁 분석: TV토론 프로그램 비판적 담론분석 중심

        오수민 ( Soo Min Oh ),이하나 ( Hann Ah Lee ),장기선 ( Ki Sun Jang ),김영욱 ( Yung Wook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2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무상급식 정책과 관련한 각 주체들의 담론이 어떻게 생성되고,경쟁하고 있는지 비판적 PR커뮤니케이션의 시각에서 분석해 보는 것이다. 극심해지고 있는 빈부격차 및 경제위기와 같은 사회분위기는 담론생성과 경쟁과정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판단되었다. 따라서 사회문화적 맥락을 함께 고려하는 비판적 담론분석 법(CDA)을 연구의 분석틀로 사용하였고, 현 이슈의 주요 주체들이 한 자리에 모여담론경쟁을 펼쳤던 TV토론을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각 주체들은 담론경쟁의 측면은 살렸지만 결과적으로 이러한 담론들이 사회적인 차원의 PR커뮤니케이션이 지향하는 소통의 가능성은 보여주지 못하였다. 그럼에도 무상급식을 둘러싼 다양한 담론들의 형성과 경쟁의 시도는 우리 사회가 담론경쟁을 통하여 더 나은 민주사회로 발전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본 연구는 공론 장을 형성하고 우리 사회의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PR커뮤니케이션의 역할이 중요하다는 것을 일깨워주었다. 이제 PR커뮤니케이션은 정부·기업 등 힘 있는 조직의 커뮤니케이션 활동 중심에서 벗어나, 모든 공중들 간의 담론 경쟁을 이끌 수 있는 사회적 차원의 PR커뮤니케이션으로서 역할을 수행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free school meal" discourse with sociocultural contexts and to examine aspects of discourse competition in the context of critical public relations. As the social atmosphere such as the economic crisis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influences discourse production and competition, the study used the critical discourse analysis(CDA) framework to analyze the meaning of the discourse and the process of discourse compet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debater`s discourses did not reach mutual understanding as the aim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Nevertheless, developing various discourses about "free school meal" showed the possibility of enlarging the public sphere through discourse competition. Moreover, it reminded the importance of public relations activities for developing the public sphere of the society. In the future, public relations needs to lead discourse competition, issue competition, frame competition through the integrated perspective including functionalistic, critical and rhetoric approach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