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Empirical Identification of Key Sectors Us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 in Korea:Non-survey Techniques

        Sung-Goan Choi(최성관),Chuhwan Park(박추환),Xiaoyun Zhao(조소운) 한국경제통상학회 2015 경제연구 Vol.33 No.4

        선도산업부문은 국가 혹은 지역경제 전반에 높은 전후방연쇄효과를 가지므로 이러한 선도산업 부문을 발굴하는 것은 경제정책 수립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선도산업 부문에 대한 투자는 투자재원의 제약이 따르는 저개발국 혹은 개도국에 대해 한정된 자원 투자로 최선의 효과를 거두게 함으로써 경제성장을 극대화 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선도산업 부문을 식별하는 문제는 장기적인 경제구조 변화를 분석하고 경제발전 전략을 수 립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이용 가능한 통계자료의 제약이 따르는 경우 투입산출모형을 이용한 지역 선도산업부문의 식별은 상당한 어려움이 수반된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실측자료가 희소하고 이용 가능한 통계자료의 제약이 따르는 지역의 경우에도 전후방연쇄효과 추정결과를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지 비조사법을 중심으로 분석함으로써 현실적으로 가능한 최선의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전국투입산출표를 기본자료로 다양한 입지계수를 이용하여 지역투입산출모형을 작성하는 비조사법을 분석에 이용한다. 또한 지역선도산업 부문을 찾기 위해 제시한 비조사 방법의 적합도를 실측자료에 근거한 지역산업연관표의 영향력계수 등과 비교 분석한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 일부 비조사법에 의한 지역투입산출모형의 경우 순위상관계수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몇 가지 한계점을 극복한다면 향후 지역 선도부문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서 유용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Since key sectors have high backward and forward linkages with the rest of the economy, investment in these sectors is expected to maximize economic growth, which is extensively meaningful in underdeveloped or developing countries with limited resources. Besides, identifying key sectors is considerably necessary and helpful for analyzing the long-term structural change and making the strategic policy of economic development, both at the national and regional level. However, the identification of the key sectors is somehow difficult to operate in practice at the regional level due to the absence of regional data at hand. In this study, the traditional backward and forward linkages are employed as indicators to identify the key sectors for sub-national regions where the input-output (IO) tables are unavailable. The regional IO tables are produced by adjusting national ones with several non-survey techniques. To capture the performance of non-survey techniques on recognizing key sectors, the estimated regional backward/forward linkages are computed and compared with the survey based benchmarks through the rank correlation coefficients. A large value of correlation coefficient indicates a high capability of the non-survey techniques on the identification of regional key sectors. At last, an empirical study is given with Korean 2005 national and regional IO tables.

      • KCI등재
      • KCI등재

        우리나라 기초권역 투입산출모형의 작성방법과 적용사례 연구

        최성관 한국지역학회 2014 지역연구 Vol.30 No.3

        지역투입산출모형은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모형작성에 상당한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간접적인 방법에 의한 모형 작성과 활용이 다시 주목을 받고 있다. 기존의 비조사법에 의한 모형작성이 기준모형을 과대추정(overestimate)하는 경향이 있다는 비판과 이를 개선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이 외생적인 최종수요 변화의 파급효과 추정에는 효과적이지만, 모형 작성과정에서 투입계수의 정보를 변경함으로써 영향력계수나 감응도계수가 갖는 중요한 정보를 왜곡시킬 수 있음이 지적되고 있다. 최근 Kowalewski(2012)가 제안한 방법(MFLQ)은 아직 현실자료를 이용한 사례연구가 부족하여 모형의 적용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불충분하다. 이 연구는 우리나라의 경우 MFLQ방법이 제한적 통계자료를 이용하는 기초권역 분석에 적용가능한지, 또한 모형의 추정오차를 유의하게 감소시킬 수 있는지 등을 분석함으로써 비조사법의 타당성과 적용가능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사례분석결과 비조사법인 MFLQ방법은 가용 통계자료의 제약이 따르는 우리나라의 기초권역 투입산출모형 작성에 있어 유용할 뿐 아니라, 현실 적용가능성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평가를 기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It is ideal to carry out a fully detailed survey of the regional economy to establish the input-output model. However, such an exercise would be expensive and time-consuming task. This implies that a great volume of information is difficult to acquire in order to build the model. Therefore, many non-survey approaches have been developed to deduce a regional input-output(RIO) coefficient tables from the national corresponding tables, using the location quotients(LQ) which were derived from national and regional data. It is well known that the conventional non-survey methods tend to overestimate benchmark model. Even though the FLQ method is effective to estimate impact analysis, it appears, unfortunately, that non-survey techniques may distort the regional industrial structures and be incapable for identifying leading industr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ongoing RIO modeling techniques, and to apply the best non-survey methods for RIO modeling at sub-regional level in Korea.

      • KCI우수등재

        고용-산출 가중입지계수(WLQ)를 이용한 지역투입산출표 추정

        권하나 ( Hana Kwon ),최성관 ( Sung-goan Choi ) 한국경제학회 2021 經濟學硏究 Vol.69 No.2

        지역투입산출모형(RIO모형)은 지역정책의 수립·평가에서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다. 그러나 그 유용성에도 불구하고 조사에 의한 RIO모형 작성에는 상당한 비용과 기초자료가 필요하므로, 비조사 혹은 부분조사에 의한 모형작성 방법이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본 연구는 비조사법 RIO모형 추정을 위한 대안적 방법으로서 가중입지계수(WLQ) 방법을 제안하고, 실증분석을 통해 그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실증분석 결과, WLQ방법은 기존 연구방법에 비해 비조사법 RIO모형이 갖는 과대추정 및 영향력계수 왜곡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모형추정 결과 및 적합성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이 방법은 지역의 규모 특성과 산업별 특성을 RIO모형 작성에 반영할 뿐 아니라, 기초자료가 충분치 않은 지역의 경제파급 효과 분석 및 전략산업 발굴 등에도 적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regional input-output model (RIO model) is an effective analytical tool in establishing and evaluating regional policies. However, despite its usefulness, a considerable cost and statistical data are required to create a RIO model by a survey method, and thus non-survey or partial survey methods have attracted resear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weighted location quotients (WLQ) method as an alternative to a non-survey method and to verify its validity. This study shows that the WLQ method yields estimation results and suitability that can improve the overestimation and distortion problems of the non-survey RIO model compared to the previous methods. In addition, this can be applied not only to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ze of the region and the productivity of each industry in the creation of the RIO model, but also to analyze the economic impact in a region where statistical data are not sufficien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지역 투입-산출표 작성 위한 비조사 기법

        조소운 ( Xiao Yun Zhao ),최성관 ( Sung Goan Choi ) 한국경제통상학회 2012 경제연구 Vol.30 No.4

        이 논문의 목적은 지역투입산출모형을 만들기 위해 사용되는 몇 가지 비조사법의 정확도를 분석하고 한국의 경우 최선의 입지계수가 무엇인가를 찾고자 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국투입산출표와 지역 고용데이터를 이용하여 레온티에프 역행렬을 유도하였다. 또한 ``추정한 승수``와 ``참 승수``간의 차이를 계산하기 위한 통계량으로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와 (Augmented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 계수를 이용하는 것이 지역투입산출모형을 작성하는데 매우 유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구의 분석결과는 대구와 경북에 대한 최적 입지계수가 (대구: δ= 0.5 경북: δ= 0.6)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자료수집이 어려운 지역경제를 분석할 때 매우 유용한 분석방법이 될 것임을 보여준다.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test the performance of several prevalent non-survey techniques and find the best location quotient for Korea to establish the regional input-output model. For this purpose, the Leontief inverse matrices are deduced with the national input-output tables and the regional employment data.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benchmark tables which are issued based on the survey. Statistically, MAPE (mean absolute percentage error) was computed to measure how far the estimated multipliers from the ``true`` ones. The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 and (Augmented Flegg et al. Location Quotient) methods are demonstrated as the better versions for constructing regional input-output models in Korea. The results show that the best Location Quotients for Daegu and Gyeongbuk area are the with =0.5, and =0.6, respectively. This finding should be helpful for analyzing regional area when the data is difficult to collect.

      • KCI등재

        생산 대리변수로서 고용지표 사용의 적합성 분석:

        권하나(Kwon, Hana),최성관(Choi, Sung-Goan) 한국경제통상학회 2017 경제연구 Vol.35 No.1

        최근 국내외 일부 연구에서 ‘고용없는 성장(jobless growth)’의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만약 이 같은 현상이 존재한다면 생산액이나 부가가치 대신 대리변수로서 고용지표를 사용할 경우 지역투입산출(RIO)모형 작성의 주요 수단인 입지계수를 왜곡시켜 정확성이 결여된 지역투입계수추정을 초래할 수 있다. 이 경우 생산유발계수의 과대 혹은 과소평가로 나타날 수 있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RIO모형 작성을 위해서는 생산과 고용 간의 안정적 관계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정확한 RIO모형 추정을 위한 방법으로서 자료혼합법(DHM)을 제안하고, 이를 이용한 모형추정 결과를 기존모형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본기간동안 자료혼합법이 기존방법에 비해 MAD는 6.41∼13.35%, MAPE는 5.40∼11.03%의 RIO모형 개선 효과가 추정되었으며, 순위상관계수에서도 기존방법에 비해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는 기존방법보다 DHM방법이 보다 효율적인 모형추정 방법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re has been suggested a possibility of ‘jobless growth’ in recent studies. If this phenomenon exists, the construction of a regional input-output(RIO) model that uses employment data as a proxy variable of output or value-added in RIO model could distort input coefficients by the use of incorrect location quotients. Since these distorted input coefficients may underestimate or overestimate the output multipliers, there should be required a stable relationship between the output and the employment for a reliable RIO modeling. In this paper, we proposed the data hybrid method(DHM) as a more accurate method to estimate RIO model and compared the empirical results with the existing methods. As a result, DHM improved MAD and MAPE to be 6.41 ∼13.35% and 5.40∼11.03%, respectively. In the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he result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existing methods during the sample period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DHM could be a more efficient method than the existing methods.

      • KCI등재
      • KCI등재

        신한울 3 · 4호기 건설취소가 울진군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권하나(Kwon, Hana),이재민(Lee, Jaimin),장지상(Chang, Jisang) 한국지역사회학회 2019 지역사회연구 Vol.27 No.3

        최근 정부의 에너지정책의 변화로 울진지역에 건설 예정이던 신한울 3·4호기의 건설이 보류되어 지역주민의 반발을 사고 있다. 신한울 3·4호기의 경우 원전건설에 따른 주민지원 사업에 대한 협의를 마치고 실시설계를 진행하고 있던 중 건설이 보류된 만큼, 이러한 반발여론은 원전건설의 지역경제 파급효과에 대한 지역주민의 기대감 좌절에서 비롯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한울 3·4호기 건설의 지역경제 파급효과를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분석함으로써 울진지역주민의 좌절된 기대감의 크기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울진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분석결과 신한울 3·4호기의 건설이 취소됨으로써 건설예정기간(2018-2023) 동안 매년 울진지역에 생산유발액 1,520억 원, 부가가치 유발액 653억 원, 소득유발액 433억 원, 그리고 고용유발 875명에 이르는 부(負)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그리고 2024년 이후 60년간의 운전예정기간에는 매년 생산유발액 1조 4,741억원, 부가가치 유발액 5,456억 원, 소득유발액 869억 원, 그리고 고용유발 1,389명에 이르는 부(負)의 경제적 파급효과가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신한울 3·4호기의 건설취소가 지역경제에 미칠 이러한 부(負)의 파급효과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울진지역 주민들도 충분히 인식하고 있으며, 나아가 향후 지역경제 및 지역사회의 침체를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우려가 에너지정책의 변화에 대한 지역사회의 수용성 저하로 귀결되고 있으므로, 중앙정부는 에너지정책의 변화가 울진지역에 초래할 부(負)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상쇄할 수 있도록 새로운 지역발전정책의 수립과 시행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Recently, ‘Shinhanul 3·4’ nuclear power plants, which had been planned to be built in Uljin county, has been canceled due to the change of national energy policy. This is expected to cause a big effect on the Uljin regional economy. In this study, we try to analyze the regional economic effect of this cancellation quantitatively through the inter-industry analysis, and find some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towards the residents in the Uljin county. The cancellation of the Shinhanul 3·4 is estimated to bring about 152.0 billion won loss in production, 65.3 billion won loss in value added, 43.3 billion won loss in income, and 875 employment loss per year during 6 years 2018-2023, and 1,474.1 billion won loss in production, 545.6 billion won loss in value added, 86.9 billion won loss in income, and 1,389 employment loss per year during 60 years since 2024. Most of the residents of the Uljin county recognized this negative economic effect of the cancellation of the Shinhanul 3·4, and concerned about the future of the regional economy. This concerns result in the degradation of the acceptability for the changes in the national energy policy. The government needs to support for the Uljin county to design and carry out the new regional development plan, which can offset the negative effect of the cancellation of the Shinhanul 3·4 nuclear power plant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