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교양철학 교육에 관한 고찰 : ‘VR챗 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윤주한(Yoon, Juhan),이다민(Yee, Dam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메타버스에서 이루어진 교양철학 강의의 한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비대면화의 물결 속에서 교양철학 교육이 나아가야 할 향방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방적인 지식 전달보다는 토론과 의사소통이 강조되는 철학 교육의 특성을 고려할 때, 양질의 교양 철학 교육이 비대면의 방식으로 어떻게 이루어질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진지한 고찰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 하에 다음의 세 단계로 이루어진다. 먼저 교양철학 교육의 의미와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두 번째로, 동일한 교양철학 강의가 대면으로 진행되었을 때와 비대면으로 진행되었을 때를 비교함으로써 비대면 교양철학 교육의 한계를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앞선 두 논의에 기초하여 메타버 스 플랫폼을 통한 교육이 교양철학 비대면 교육의 한 가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보인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플랫폼 ‘VRChat’에서 실제로 진행된 미학 강의의 사례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한 교육이 교수자와 학습자 사이의, 그리고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을 보완하고 강화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을 갖는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aims to find the direction in which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could proceed amid the big wave of virtualization by analyzing a lecture course in general philosophy conducted in the Metavers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philosophy education that emphasizes discussion and communication, it would be necessary to consider how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could be conducted. With these problems in mind, this study will consist of the following three steps. First, we will discuss the nature and significance of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Second, we will illuminate the limitations of online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by comparing cases of a face-to-face lecture with a non-face-to-face one. Finally, based on those previous considerations, we will show that education in the Metaverse might serve as a promising alternative to non-face-to-face general philosophy educa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an aesthetics lecture conducted in ‘VRChat’, which is a popular Metaverse platform, and argues that education in the Metaverse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ould supplement and even strengthen interactions, especially between learners.

      • KCI등재

        교양회계 수업의 비대면 온라인 교육 효과 및 만족도 분석 : 서울 소재 C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육지훈(Yuk, Jee Hoon),이동하(Lee, Dong Ha)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1 교양학연구 Vol.- No.15

        코로나-19(COVID-19)로 인해 사회 전반에 걸쳐 비대면 서비스가 확대됨에 따라 대학에서도 비대면 교육을 활발하게 진행하고 있다. 비대면 교육은 반복 학습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교수자와 학습자 간 상호작용이 어렵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비대면 교육의 효과와 학습자 만족도를 파악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특히, 회계 과목은 다른 과목과 구별되는 특징이 있기 때문에 비대면 회계 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를 구체적으로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서울 소재 C대학의 비대면 교양회계 과목 수강생들을 대상으로 비대면 회계 교육의 효과 및 만족도에 대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교양회계 학습자들은 비대면 수업이 매우 효과적이라고 응답하였으며, 수업 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반복학습이 가능한 비대면 교육의 장점이 효과적으로 활용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비대면 수업의 학업성취도에 담당 교수자의 역량이 중요하며, 학습자 스스로도 수강기한을 놓치지 않으려는 노력이 뒷받침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따라서 교수자의 역량이 충분하고, 학습자들이 비대면 수업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다면 비대면 방식으로 교양회계 과목을 운영하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볼 수 있다. 또한, 비대면 회계교육의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해 교수자와 학습자 간 질의응답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교수자는 수업의 내용과 난이도에 따라 중점을 두어야 할 사항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교양회계 과목에 대한 비대면 온라인 수업의 효과 및 학습자 만족도가 지속적으로 향상되기를 기대한다. As online services are expanded throughout whole society due to COVID-19, universities are also actively conducting online education. While online educa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repeat learning,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of online educa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interact between professors and learners in online clas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specifically identify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online accounting education because accounting classes have distinct characteristics from other subjects. Therefor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survey on the effectiveness and satisfaction of online accounting education for students who had accounting classes as liberal arts at C University in Seoul.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Liberal arts accounting learners responded that online classes were very effective and highly satisfied. This is attributed to the effective use of the advantages of online education that allows repetitive learning.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ability of the professor in online classes is important to achive academic goal and learners themselves need to make efforts not to miss the class schedules. Hence, if professors have sufficient capabilities and learners can properly use the advantages of online classes, operating online class would b e very effective. Further, Q&A between professors and l earners need to be more efficiently conducted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online accounting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check and improve the effectiveness and learner satisfaction of online clas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 비대면 수업의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성과분석 연구

        김순남(Kim, Soon Nam) 한국교양교육학회 2022 교양교육연구 Vol.16 No.2

        이 연구는 언택시대 대학 비대면 수업으로 실시한 교양교육 수업에서 학생들이 대학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수업전후 2회의 자기평가를 통해 그 성과를 분석하고 비대면 수업에 대한 발전 방안을 제안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소속 대학에서 개설된 교수자의 교양과목 2개 강좌 2개반씩 총 4개반 수업을 수강하는 학생들이다. 연구 방법은 교수자가 먼저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에 대한 설명 자료를 만들고, 직업기초능력의 10개 요인과 34개 요소에 대해 Lykert식 5점 척도를 활용한 진단지를 개발하였다. 수업 첫 주 사전진단 평가로서 국가직무능력표준과 직업기초능력을 설명하고 제작한 직업기초능력 진단지를 사이버캠퍼스에 올렸다. 학생들이 이를 다운 받아 자기 평가하여 진단지를 작성한 후 교수 메일로 보냈다. 똑 같은 방식으로 수업 마지막 주에도 사후 평가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를 하여 수업 전후 직업기초능력의 성과를 분석하였다. 대학생 직업기초능력 수업전후 자기평가 결과는 10개의 직업기초능력 및 34개의 하위요소들은 .001 수준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학년별 및 교과별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더불어 조사한 비대면 동영상 수업에 대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효과적이라는 반응은 31%, 비효과적 이라는 반응은 69%로 나타났다. 비대면 동영상 수업 유형의 장점으로는 반복 청취가 67.7%, 시간 활용이 22.9%로 높게 나타났으며, 단점으로는 주별과제 부담이 44.3%, 교수학생 관계형성 미흡이 20.6%, 수강생 소통 부족이 17.5% 순으로 나타났다. 비대면 수업의 적당한 비율에 대해서는 20%이상 50%미만 구간에 대해 49.4%로 가장 높게 반응하였다. 이상의 학생들의 수업전후 직업기초능력 자기평가 결과와 비대면 수업에 대한 의견조사 결과를 근거로 학생, 교수, 대학과 국가 수준의 향후 정책을 제안하였다. 학생은 국가직업기초능력 자기 진단과 성과 관리를 주기적으로 시행 관리해야하며 교수는 교양교육 과목을 통한 국가직업기초능력 신장과 비대면 온라인 수업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대학은 사이버시스템 업그레이드와 국가직업기초능력 향상을 위한 교과목 개발 및 관리시스템 정착이 필요하고, 국가는 사이버시스템 성능 강화를 위한 재정지원 확대와 국가직업기초능력을 신장하는 교양교육 운영 매뉴얼 및 우수사례집 개발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utcome of instruction and the implication of improving university student’s vocational basic competency evaluation of non-face instruction in the “untact” era.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the theorectical analysis of competency-based evaluation, and the different analysi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self-evaluation survey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the students enrolled in two Leadership instructional programs and two interpersonal relations instructional programs in the field of liberal arts at Shinhan University. Looking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self-evaluation of th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of students before and after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0.01 level in all 10 vocational basic competency categories and 34 sub-elem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when it came to the grade and subject of th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survey on non-face-to-face video classes, 31%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were effective, while 69% said such classes were ineffective. The 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67.7% for repeated listening and 22.9% for time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students, the disadvantages of the untact video classes were as follows: 44.3% for the burden felt by weekly tasks, 20.6% for the lack of rapport between the professor and the students, and 17.5% for the lack of student communication. As for the appropriate ratio of untact classes, 49.4% responded that a proper ratio would be in the range of 20% to 50%. Based on the above students self-evaluation results of vocational basic competency before and after class, and the results of opinion surveys regarding untact classes, future policies are proposed at the student, professor, university, and national level. Students need to self-diagnose and manage their vocational basic competency. Also, professors need to strengthen the national competency ability, and strengthen their untact online class capabilities. Universities need to upgrade their cyber systems, establish a curriculum development program, and develop management systems to improv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The state needs to expand its financial support to strengthen the performance of cyber systems and to develop a manual for the operation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well as to compile a collection of best practices to enhance vocational basic competency.

      • KCI등재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대학 글쓰기 수업에 관한 자전적 사례 연구 : 수원대학교 ‘글쓰기와 고전읽기’ 과목을 통한 교수자의 인식 및 성찰을 중심으로

        양수연(Yang, Sooyeon),김혜진(Kim, Hyeji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6

        본 연구는 수원대학교의 <글쓰기와 고전읽기>라는 교양 필수 과목을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방식으로 운영한 자전적 사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변화된 교육 환경에서 글쓰기 수업을 실천하면 서 발견한 교수자의 체험과 인식, 성찰을 공유하고자 한다. 나아가 대학 교양 교육의 차원에서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글쓰기 수업의 지향점과 함께 교수자에게 요구되는 새로운 실천과 쟁점에 대해서도 논의하고자 한다. 코로나가 발생한 이후 2020년부터 현재까지 학교급, 교과목의 특성, 교수자 및 학습자의 특성에 따라 ‘온라인 수업’이라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일련의 새로운 연구들이 축적되었고, 이러한 교육의 새로운 담론들은 코로나의 위기 속에서 교육의 주체들이 어떻게 교육적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이러한 선행 연구들의 논의를 종합한 결과 공히 온라인 환경에서의 ‘상호작용’ 의 어려움에 주목하고 있는 양상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변화된 교육 환경과 이에 따른 교수자와 학습자의 상호작용의 양상에 주목하여 수업을 운영하면서 겪은 교수자의 인식과 성찰, 그리고 실천들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약 1여 년 동안 비대면 수업을 운영하면서 발견한 교수자의 인식 및 성찰은 기술 환경적 측면에서의 상호작용, 학습자의 심리적 측면에서의 상호작용, 교수자의 실천적 측면에서의 상호작용으 로 구분하여 살펴볼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성찰을 바탕으로 각각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교수자가 시도한 새로운 실천들은 “밀도감 있는 교실” 및 고맥락(high-context) 환경을 위한 실천, “생생한 목소리 (voice)” 및 관계적 소통 환경을 위한 실천, “공유된 정체성”과 실천적 지식(practical practice)의 구성 환경을 위한 실천으로 정리할 수 있다. 향후 포스트코로나 시대에도 많은 연구자들이 변화된 시대 흐름에 기민하게 대응하고, 새로운 교육적 실천들을 지속하면서 이를 다양한 교육 주체들과 공유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가 조금이나마 의의를 가질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utobiographical cases in which the university of Suwon s essential liberal arts subject called “Writing and Classical Reading,” was conducted in a synchronous online manner. Through this process, the instructors shared the experiences, perceptions, and reflections that they discovered while practicing these writing classes in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instructors discussed the direction of synchronous online writing classes should take and the new issues required of them within this new environment. Since the outbreak of COVID-19, a series of new studies have accumulated around the keyword “online class” from 2020 to the present, and these new discourses on education have led to various opinions and suggestions on how educational subjects should come up with educational countermeasures amid this pandemic. As a result of synthesizing these new data, I confirmed that instructors were paying attention to the difficulties of ‘interaction’ in the online environmen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instructor s perceptions, reflections, and new practices experienced while operating the class were presented, with a focus on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and the resulting interaction patterns between instructors and learners. As a result of this study, I was able to divide the instructor s perception and reflection into interactions in the technical environment, interactions pertaining to the learner s psychological aspect, and interactions regarding the instructor s practical aspect. In each of these interactions, the new practices attempted by the instructor could be summarized as “in-depth classroom practices,” practices for high context environments, “vivid voices” and relational communication environments, and “shared identities” and practices for the environment of practical knowledge. In the future, many researchers will need to respond quickly to the changing trends of the times and share their experiences and opinions with other instructors involved in various educational subjects. At the same time, instructors will need to continue to implement new educational practices in their classrooms. Thus, I hope that this research paper contributes to this process in a beneficial and significant way.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비대면 원격교육 환경에서 대학 교양교과목의 수업성찰

        홍성연(Hong, Seongyoun)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이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대학의 수업이 비대면 원격수업으로 전환된 2020년 1학기 교양교과목의수업성찰 자료를 바탕으로 교수들이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고 그 결과를 어떻게 평가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양수업의 운영 현황을 검토하고 질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수업목표, 수업방법, 평가방법, 개선방향 등을 되돌아 볼 수 있는 CQI 형태의 수업성찰 설문을 개발하고, A대학교에서 교양교과목을 담당하는 교수에게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총 169개 과목을 담당한77명의 교수가 참여하였다. 교양교과목의 성격에 따라 기초교육(의사소통, 기초 수학 및 과학), 교양교육, 소양교육으로 분류하고, 수업목표 달성도, 수업방법 적절성, 평가방법의 적절성을 살펴본 결과 4점만점에 평균 2.5점에서 3.0점 사이로 기대만큼의 효과를 얻지는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영역별로 비대면교육이 효과적으로 운영된 사례를 살펴보면, 의사소통교육에서는 말하기보다 쓰기교육이 더 효과적이었으며, 외국어에 두려움을 갖는 초보 학습자에게 유용하였다. 기초 수학 및 과학교육에서는 동영상을통한 이론 수업과 실시간 문제풀이 수업을 균형 있게 운영함으로써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었다. 교양교육은 원격수업에 맞게 수업내용과 학습활동을 재설계하고 다양한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을보완한 수업이 성공적이었다. 마지막으로 체육이나 예술실기와 같은 소양교육은 실시간 수업을 통해실습과 개별지도 등이 이루어졌으나 교육적 한계가 있었다. 다음 학기 수업의 개선사항으로 동영상강의와 실시간 수업의 균형, 학습과제 및 학습량 조절, 수업자료 및 동영상의 질 개선, 평가의 공정성과변별력 강화, 상호작용과 피드백 강화, 다양한 소프트웨어 도구의 활용 확대 등이 제시되었다. 이 연구는비대면 원격교육 상황에서 교수에 대한 지원과 교육환경의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찾는데 기여할 수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data regarding courses making the transition from face-to-face to non face-to-face classes, and to find areas which are in need of improvement regarding the quality of these courses. All conclusions are grounded on the teaching reflection data of instructors who taught general education courses during the 1st semester of 2020. Seventy-seven instructors in charge of 169 general education courses participated in the online course reflection survey. The reflection data were classified and analyzed in four areas: the basic communication education (BCE), the basic science and math education (BSM), the liberal arts education (LAE) and the cultivated education (CE). The outcome reveals that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the teaching goals, the adequacy of the teaching methods,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evaluation methods turned out to be between 2.5 and 3.0 points on average on a 4 point scale, which is lower than in face-to-face classes. Good examples were found in some areas though. In BCE, online classes are beneficial in terms of writing more than speaking, as well as for beginners who are reticent to speak in a foreign language. In BSM, it is useful to learn theories through recorded video lectures and to solve the difficult problems through real-time online classes. LAE was successful in redesigning teaching contents and learning activities to suit online classes and supplement interactions using the digital software. CE, including aesthetic and physical education, suffered certain teaching limitations through online classes. Several ideas for improving the courses in the 2nd semester were suggested, such as balancing recorded video lectures and real-time online classes, considering proper learning tasks and assignments,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teaching materials, dealing fairly with the evaluations given by the students, activating interaction and feedback, and extending the use of multiple digital SW in class. The study could contribute to support future teaching methods and to elevate the quality of the distance educational environment in higher education.

      • KCI등재

        비대면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 연구

        이난 중앙대학교 다빈치미래교양연구소 2022 교양학연구 Vol.- No.21

        This study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satisfaction with non-face-to-face liberal arts education conducted in the context of COVID-19 for the past two yea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se it as a basis for the reorganization and develop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future. For this study, 2,809 university students from J University were surveyed using a questionnaire, and frequency analysis and difference verification were performed. Based on the survey results, it is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trategies to motivate learners in non-face-to-face liberal arts classes and to provide feedback on tasks and grades are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bility to utilize IT in the liberal arts class, the skills necessary for employment, the use of foreign languages, the understanding of various cultures, and the ability to proactively solve complex problems. Third, in the methodological aspect of liberal arts classes, learning through relationships should be conducted. Fourth, satisfaction with the roles of teachers and learners in liberal arts classes for male students should be increased. In addition, active efforts are needed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liberal arts classes in the College of Humanities and Engineering. Fifth, the satisfaction level of real-time online class + real-time online class was the lowest in the form of liberal arts class op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satisfaction of face-to-face class +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 face-to-face class was high. The liberal arts class should be operated based on direct interaction, and sufficient discussion and discussion should be made about proceeding with the full non-face-to-face class. Lastly, the core of liberal arts education should eventually become the educational content, and the needs and demands of learners should be reflected when composing the liberal arts education content. 본 연구는 지난 2년간 COVID-19 상황에서 수행된 비대면 교양교육에 대한 대학생의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교양교육의 개편 및 개발을 위한 근거로 활용하기 수행되었다. 본 연구를 위해 J대학교 대학생 2,80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활용하여 조사하여 빈도 분석 및 차이 검증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토대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비대면 교양 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 유발을 위한 전략과 과제와 성적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둘째, 교양 수업에서 IT 활용, 취업에 필요한 기술, 외국어 사용, 다양한 문화의 이해 및 복잡한 문제를 주도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교양 수업의 방법론적 측면에서 관계를 통한 학습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남학생을 대상으로 교양 수업에서의 교수자와 학습자 역할 만족도를 높여야 할 것이며, 인문대학과 공학대학의 교양 수업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적극적 노력이 필요하다. 다섯째, 교양 수업의 형태에서 실시간 온라인 수업 + 실시간 온라인 수업의 만족도가 가장 낮았으며, 대면 수업 + 동영상 수업과 대면 수업+대면 수업의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교양 수업은 결국 직접적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운영되어야 할 것이며, 전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는 것에 대한 충분한 논의와 토의가 이루어져야 한다. 여섯째, 교양교육의 핵심은 결국 교육 내용이 되어야 할 것이며, 교양교육 내용을 구성할 때 학습자의 필요와 요구가 반영되어야 한다.

      • KCI등재

        코로나 시대의 대학 교육: 2년간의 비대면 인류학 교양 수업에 대한 성찰적 기록

        이규호 한국교육인류학회 2022 교육인류학연구 Vol.25 No.1

        이 글은 코로나19로 대학 교육이 전면적으로 비대면 교육으로 전환된 과정 속에서, 국내의 6개 대학의 인류학 교과목 중심의 교양 수업을 담당하는 강사이자 인류학자로서 경험하고 관찰한 비대면 대학 교육에 대한 자문화기술지이다. 2020년부터 시작된 2년간의 교육 경험은 크게 세 가지 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카오스, 또 다른 도전, 그리고 대학 교육에 대한 성찰로 볼 수 있다. 첫 단계인 카오스 단계에서는 비대면 교육에 대해 어떠한 경험도 지침도 없는 상태에서 이전의 교육을 그대로 가져오는 과정이었으며, 이 경험을 통해 새로운 환경 속에서의 교과 구성에 대한 고민과 학생들에 대한 또 다른 이해를 갖게 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비대면 교육이 기존의 교육 현장에서 비가시화되었던 학습 주체들을 새롭게 만나게 되고, 이를 통해 더욱 포섭적인 교육이 무엇인가에 대한 성찰로 이어졌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비대면 대학 교육이 ‘수업’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학생들이 대학 생활에서 경험하고 성장할 수 있는 기회가 제한된 상황에서 또 다른 교육과 학습이 필요하며 이는 결과와 성취가 아니라 관계와 이해가 중심이 되어야 한다는 걸 알 수 있다. 비대면 온라인 교육은 한편으론 신자유주의적 대학의 문제를 드러내며 이에 대한 논의들을 요구하고 있다.

      • KCI등재후보

        비대면 시대 의사소통의 변화와 의사소통 관련 기초 교양교육의 방향

        이재현 ( Lee Jae-hyun ) 숙명여자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2022 교양교육과 시민 Vol.5 No.-

        세계는 2019년 12월부터 시작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비접촉 비대면이라는 전대미문의 상황을 전 지구적으로 맞이하였다. 인간의 인간다움의 토대는 만남과 접촉을 통한 의사소통으로 형성된다고 할 때, 코로나는 일시적인 의사소통의 어려움을 초래하였다. 그러나 만남을 통한 의사소통의 불가능 또는 어려움을 그대로 끌고 갈 수 없음에 따라 만남의 형태는 변화가 일어났다. 직접적인 접촉은 온라인을 통한 접속으로, 대면을 통한 의사소통은 비대면 또는 창대면이라는 새로운 대면 형태를 통한 의사소통의 방법으로 전환이 되었다. 비대면 시대를 맞은 교육의 현장 역시, 교육 방법의 변화가 일어날 수밖에 없었다. 어떠한 상황에서도 교육은 멈출 수 없으므로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교육의 방식이 바뀌게 되었다. 온라인 수업의 방식으로는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과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으로 나뉘는데,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다시 ‘자료탑재형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과 ‘비실시간 동영상강의 온라인 수업’ 방식으로 나눌 수 있다. 그러나 ‘자료탑재형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진정한 의미에서 온라인 수업으로 부르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판단된다. ‘실시간 쌍방향 수업’으로도 불리는 실시간 온라인 수업은 ZOOM, Webex와 같은 화상 회의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업이 이루어지는 방식으로 오프라인 현장 수업과 매우 유사한 형태를 갖추고 있으므로 우리 교육 현장에서 매우 유용한 온라인 수업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는 이러한 새로운 온라인 수업 방식을 ‘창대면’(窓對面, window-face-to-face) 수업 방식이라고 부를 것을 제안한다. 의사소통 관련 교양교육 교과목의 경우는 기존 오프라인 수업이 가지고 있던 한계와 제약을 온라인 수업 방식을 도입함으로써 발전적으로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비실시간 온라인 수업과 창대면 방식의 실시간 온라인 수업 방식을 오프라인 수업과 결합함으로써 한국 대학의 교양교육은 온라인 상황에서도 바람직한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world has met the unprecedented situation of non-contact, non-face-to-face due to the COVID-19 outbreak that began in December 2019. When it is said that the foundation of human humanity is formed through communication through encounter and contact, Corona caused temporary difficulties in communication. However, as the impossibility or difficulty of communication through the meeting could not be carried forward as it is, the form of the meeting has changed. Direct contact is online access, and face-to-face communication has been converted into a new face-to-face communication method called non-face-to-face or window-to-face. In the field of education facing the non-face-to-face era, a change in educational method was inevitable. Education cannot be stopped under any circumstances, so the method of education has been changed to non-face-to-face online classes. The online class is divided into a non-real time online class and a real-time online class. However, it is judged that it is unreasonable to call the ‘non-real-time online class loaded with data’ an online class in the true sense. We propose to call this new online teaching method a ‘window-faceto-face’ education system. In the case of communication-related liberal arts education subjects, the restrictions or limitation of the existing offline classes can be overcome progressively by introducing the online class method. By combining non-real-time online classes and real-time online class methods of window-to-face classes with offline classes, liberal arts education at Korean universities is expected to move forward in a desirable direction even in an online situation.

      • KCI등재

        온라인 비대면 교양 수업에서 외국인 학부생의 학문적 발표 양상 연구

        류선숙,김수은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6

        최근 온라인 비대면 수업이 확대됨에 따라 대학에서도 원격 수업의 질 제고에 관심을 기울이고있다. 본 연구는 온라인 비대면 교양 수업을 수강하고 있는 외국인 학부생들의 발표 동영상에 나타난발표 담화와 발표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온라인 학습 상황에서의 학문적 발표 양상을 확인하고 향후이들에게 필요한 교육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외국인 학부생 43명이 공통교양 수업 시간에 수행한 학문적 발표를 수집하여발표 구조, 언어적 요소, 시각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구조적인 측면에서는온라인 비대면 발표만의 차별점이 드러나지는 않았으나 학습자들은 발표를 조직하는 과정에서 각단계를 연결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언어적으로는 발표에 사용되는 담화 표지나 학문적 표현에 대한 오류가 빈번하게 나타났으며, 온라인 비대면 환경을 고려한 특징적 언어 표현들도 발견되었다. 시각적인 측면에서는 발표 자료를구성할 때 발표 내용을 요약하여 시각화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는 사례를 발견할 수 있었고, 비언어적인측면에서는 카메라를 응시하지 않고 발표문을 그대로 읽는 현상이 두드러졌다. 비언어적 요소 대신기술적 요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전략을 활용하는 사례도 찾아볼 수 있었다. Due to an increase in online lectures that are now being offered as of late, universities are trying to raise the quality of distance learning. This study analyses discourses and materials from online presentation data, which was performed by undergraduate international students. It aims to explore the academic presentation in online learning circumstances and to suggest further educational content that the students nee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llected the academic presentation data from 43 international undergraduate students who took part in a common liberal arts lecture. It examined their presentation structures, their language usage, and the visual and other non-verbal elements. In their presentation data, the researchers did not find any remarkable differences in the presentation structure. However, the students did have difficulty organizing their structures. Also, there were some errors in their discourse and their use of certain literary expressions which they used in the presentations, which are characteristic of online, non-face-to-face situations. Moreover, some errors occurred when they summarized or tried to visualize the contents of their presentations. On a non-verbal level, most students read the script without looking into the camera. On the other hand, we can see that the students used computer-based technical strategies instead of non-verbal elements.

      • KCI등재

        대학 교양교육을 위한 비대면 음악비평 교육프로그램 개발 -음악과 언어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이보림 한국교양교육학회 2021 교양교육연구 Vol.1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non-face-to-face music criticism education program for university liberal arts classes, which is based on the various relationships between music and language, and which uses the real-time online platform ‘Zoom’. Music subjects based on auditory art have many limitations in the non-face-to-face online era. Nevertheless, virtual classes that allow for students to listen to music, and then to discuss their thoughts and impressions, can still provide educational content if appropriately utilized. For instance, one advantage of engaging in listening activities in online, real-time classes is that by utilizing the ‘share computer sound’ function through a real-time online platform such as Zoom, instructors and learners can share music of the same sound quality, and then engage in real-time discussions regarding that music. This is a feature that enables the smooth discussion about any number of songs by utilizing the functions of ‘screen sharing’ and ‘digital white board’. Based on the purpose and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definition and goals of liberal arts education were investigated, and then the relational possibility of music and language was examined from two major perspectives. Furthermore, the Midfriec music criticism class model was considered, which was developed for high school visually impaired learners in 2018, and which has been widely recognized by music instructors for its excellence. Therefore, a concrete instructional design was developed and presented by appropriately reorganizing the contents of the theoretical background considered suitable for the online environment. Here we show the whole program plan based on the 15th week of the first semester, as well as the lesson plan for one week. Through the process of such research, the following three points can be expressed for the special consideration of the instructor in the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First, in the course of instructional design, the content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is more focused on the relevance of language when compared to the existing music criticism class. Second, there may be a need for more ‘score music reading’ courses than in the existing class mode. And finally, due to the nature of non-face-to-face classes, both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educational materials to be prepared must be somewha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face-to-face classes. This is due to the very nature of non-face-to-face classes. 본 연구는 대학 교양수업을 위해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 ‘줌(zoom)’을 활용하여 음악과 언어의 다양한관계성에 기반한 비대면 음악비평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청각예술에 기반한음악교과는 비대면 온라인 시대에 많은 제약이 있지만, ‘음악감상 및 비평’과 같은 수업은 원활하게적용될 수 있는 교육 컨텐츠라고 볼 수 있다. 감상과 비평 활동이 온라인 실시간 수업에 있어서 가지는장점은 실시간 온라인 플랫폼인 ‘줌(zoom)’을 통한 ‘컴퓨터 소리 공유하기’ 기능을 활용하면서 교수자와학습자가 같은 음질의 음악을 공유할 수 있으며, 실시간 대화 또는 ‘화면 공유’, ‘디지털 화이트보드’, ‘채팅’ 기능 등을 활용하여 감상곡에 대한 논의 활동을 효과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과 배경에 기반하여 교양교육의 정의와 목표에 대해 알아본 후, 두 가지 큰관점에서 음악과 언어의 관계적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미드프릭(Midfriec) 음악비평 수업모형을고찰하였는데, 이 비평모형은 2018년 고등학교 시각장애 학습자를 위해 개발된 후 우수성을 인정받았으며 재구성을 수반한다면 다른 대상 또는 학교급에도 적용가능하다는 결론이 도출된 바 있다. 따라서이렇게 고찰한 이론적 배경의 내용을 온라인 상황에 맞게 적절히 재구성하여 구체적 수업설계를 제시하였다. 이는 1학기 15주차를 기준으로 하여 전체 프로그램 계획과 동시에 한 주차에 해당하는 수업계획안을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과정을 통해 교수 설계과정에서 교수자가 특별히 고려해야 할 사항에 대해 다음과같이 세 가지로 나타낼 수 있다. 이는 첫째, 교수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교수⋅학습 내용적 측면이기존의 음악비평 수업과 비교해볼 때에 더욱 언어와의 관련성에 초점을 가지게 된다는 점, 둘째, 기존의수업 내 양태에서 보다 ‘악보 읽기’의 과정이 더 많이 필요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대면수업 특성상 교수⋅학습 방법과 준비할 교육 자료 모두 기존의 대면 수업과는 일정 부분 달라져야한다는점이다. 본 연구를 통해 Covid-19로 지친 음악 교양교과 내 교수자와 학습자에게 효과적인 수업의 기틀이마련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