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한 여성의 삶을 역사화하기: 북한 여성사 연구의 동향과 과제

        송현진 북한대학원대학교 심연북한연구소 2023 현대북한연구 Vol.26 No.2

        이 글은 그동안 국내 학계에서 이루어진 북한 여성사 연구 동향을 주제별로 살펴보고, 성과와 한계, 앞으로의 과제를 밝혔다. 북한 여성사 연구는한국전쟁과 여성 경험, 여성의 노동과 직업 생활, 국가와 모성·재생산, 여성의 섹슈얼리티, 시대별 여성의 삶, 여성 교육과 조직 생활, 여성 지도자와 인물, 남북한 여성사 비교 등의 주제로 이루어졌다. 연구 방법적으로는 여성의 구술사와 담론 분석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북한 학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학문의 장에서 북한 여성사 연구 성과물이 나오고 있는 점은성과라 할 수 있다. 하지만 북한 여성사 연구가 전체적인 편수도 적고주제 또한 다양하지 못한 점, 북한 여성사 연구의 이론과 방법론이 빈약한점, 제약된 연구 자료를 가지고 북한 여성사 전체를 이해해야 한다는 점, 여성주의 관점에 기초한 북한 여성사 연구가 나오고 있지만, 아직은 충분하지 않다는 점은 한계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북한 여성사 연구는 연구주제를 보다 확대하고 이론과 연구 방법을 더욱 정교화해야 하며, 북한여성 연구에서 여성사 연구가 한 분과로 안착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북한 여성사 연구의 성장을 위한 시론적 논의로, 앞으로 북한 여성사 연구의 방향을 모색하는 기초자료의 역할을 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 KCI등재

        여성 구술사 연구와 분과학문의 만남 : 북한 연구를 중심으로

        조영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3 여성학논집 Vol.30 No.1

        여성 구술사 연구는 기록되지 않은 역사를 복원함으로써 역사와 권력으로부터 배제된 다양한 여성 주체들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기존의 공식 역사에 문제제기를 하면서 도전하고 여성을 권력화한다는 점에서 실천성을 갖는다. 이 글은 최근 다양한 학문 분과에서 구술사/여성 구술사 연구가 활용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하여, 여성 구술사 연구가 학문적 영역에서 갖는 실천성의 의미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여성 구술사 연구가 다른 학문분과와 만나 하나의 연구영역이자 연구방법으로 자리 잡는 데서 기존 학문의 패러다임과 어떻게 충돌, 경합하는지를 분석할 것이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북한 연구를 주요 분석대상으로 한다. 1990년대 중반 이후 북한 연구는 여성 구술사 연구를 하나의 주요한 연구방법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 과정에서 여성 구술사 연구는 ‘북한’ 여성 연구를 북한 ‘여성’ 연구로 전환시킬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구술 자료에 대한 관점을 변화시키면서 연구자의 인식론적 변화를 불러일으켰다. 이처럼 북한 연구 영역에서 여성 구술사 연구는 미흡하지만 기존 학문 패러다임에 도전하고 있다. 이후 이러한 도전이 지속되고 실천성이 확장되기 위해서는 북한 연구 영역의 확대와 관점의 변화, 구술자료에 대한 태도 변화(정보/경험/증언)가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 Feminist oral history restores unrecorded history to reveal various subjects excluded from history and power and has practicability in the point of empowering women. This paper attempts to clarify the meaning of practicability of feminist oral history in the academic area from its interest in the situation in which the feminist oral history is lately utilized in diverse disciplines. For this, the paper will analyze how feminist oral history collides and competes with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studies from the point of settling down as a research area and research method. In concrete, this paper focuses on the analysis of North Korean studies. Since the mid-1990s, North Korean studies have been utilizing feminist oral history as a major research method. In the course, feminist oral history raised the necessity of conversion from ‘North Korean’ studies on women to the North Korean studies on ‘women’ and brought about the epistemological changes of the researcher. feminist oral history is insufficient in the area of the North Korean studies but it challenges the paradigm of the existing studies. Since then, the continuous challenges and expanded practicability can be enabled when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the North Korean studies and the change of the viewpoint and the change of the attitude (information/experience/testimony) to oral materials are accompanied.

      • KCI등재

        학술논문분석을 통해 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특수성

        이영선,구혜완,한인영 평화문제연구소 2011 統一問題硏究 Vol.23 No.2

        북한이탈주민은 꾸준하게 증가하고 있고, 이들 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율이 매우 높다. 여성의 경우 탈북을 결심하게 되는 배경, 한국에 오기까지 겪는 경험, 다시 한국에서 적응하면서 겪는 과정에서 남성과는 구분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기존의 북한이탈주민에 관한 연구는 남성을 포함한 북한이탈주민 전체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다수로, ‘여성’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였고 여성만을 분석한 연구는 전체 북한이탈주민 대상 연구의 8.22%로 수적으로도 제한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 탈주민과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연구의 일반적인 특성을 비교,분석하고, 연구 내용을 분석하여 북한이탈 여성의 특수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일반적인 특성 분석 결과, 연구의 수가 제한적이고, 연구주제가 협소하고, 직접조사의 비율이 높고, 프로그램을 실시한 전후 비교 등의 실험설계연구가 부족한 특성을 발견하였다. 연구 내용 분석 결과, 북한이탈주민 여성들은 체류지에서 인신매매, 매춘, 폭행, 구걸 등 인권유린의 경험을 많이 하고,제 3국에서의 이중결혼으로 자녀를 국내로 데려오는 비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한부모 가정의 비율이 높아 경제적 자립이 필요하나 적절한 시스템이 부족하였고 여성의 특수성으로 인해 결혼, 출산, 자녀양육, 시부모 봉양 등의 다양한 이슈를 가지고 살아가야 함을 발견하였다. 북한 이탈여성은 북한의 성역할 이데올로기에 따라 교육에서의 차별로 받아왔으며, 성 지식과 같은 경우에도, 부인성 질환을 가진 경우는 많으나 지식이 낮아 성건강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리정서적인 특성으로는 신체화, 강박증, 대인민감증, 우울, 불안, 적대감, 공포불안, 그리고 신경증 등의 증상이 일반여성에 비해 높았다. 탈북과정의 심리적 외상과 북한 가족에 대한 지원 및 남은 가족의 남한 입국 문제 등의 심리적 고통을 가지고 있었다. 기혼자나 모자가정의 여성은 자녀에 대한 기대감은 높으나 문화이질감이나 편견 속에서 자녀양육에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고 취업 시에는 직업기초능력이 부족하고, 언어장벽 등이 진로장벽으로 작용하였다. 또, 취업률이 낮고 저임금 업종에 종사하는 비율이 높았다.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연구에 있어서 ‘여성’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시키며 북한이탈여성에 대한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한다는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보다 다양한 주제로 실증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number of North Korean refugee is increasing. Among the portion of woman is higher than that of man. In case of the North Korean refugee woman, there are several distinguishable points in the motivation of escape from North Korea, in the experience from the journey of escape to South Korea and in the experience living in South Korea. But, almost all the former studies of North Korean refugees did not consider woman’s distinct experiences. In particular, studies focusing on women account for only 8.22% of all studies of North Korean refugees. In this systematic review, the former studies of North Korean refugees and especially those of North Korean refugee women are analyzed for comparison. As a result, the former studies of North Korean refugees focusing on women have these characteristics, 1) the amount of research is little, 2) the scope of subject is narrow, 3) the ratio of direct research is comparatively high, 4) the portion of clinical program evaluation study is low. The result of content analysis says, Korean refugee women 1) often experience violation of human rights in the nation of temporary place of residence, 2) are often in the situation of a single parent family, therefore struggle economically, 3)tend to have psycho-social and physical problems from the lack of knowledge of sexual matters, 4) complain of difficulty in cultural adaptation in the South Korea society, 5) regard child care and job searching as a challenge. This systematical review suggests the necessary of studing more about Korean women refugees and gives some directions of such research.

      • KCI등재

        북한여성 연구의 동향과 과제

        김석향 ( Seok Hyang Kim ),이은주 ( Eun Ju Lee ) 북한연구학회 2012 北韓硏究學會報 Vol.16 No.2

        이글은 1948년부터 2012년 현재까지 발표된 북한여성 관련 단행본과 학위 논문, 학술지 논문을 통해 전반적인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북한여성 연구의 시대별 연구동향, 주제별 연구동향을 살펴보고, 인식론과 연구방법 측면에서 북한여성 연구의 쟁점을 분석하며, 북한여성 연구의 한계 및 과제를 밝혔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북한여성 연구는 1990년대에 활성화되 었으며 2000년 이후에는 외연의 성장뿐만 아니라 질적인 심화를 이루었다. 이글은 북한여성 연구의 주제를 12개-여성일반, 법 · 정책 · 제도, 가족, 지위 및 역할, 이데올로기 · 정치사회화 · 정치문화, 여성상 · 여성이미지, 육아 및 보육, 남북한여성의 교류와 통일, 건강과 보건 · 미용과 패션, 여맹 및 조직생활, 여성 경제활동, 기타-로 유형화하였다. 북한여성연구는 4개의 주제-여성일반, 법 · 정책 ·제도, 가족, 여성상 · 여성이미지-에 연구성과가 집중되어 있다. 이처럼 북한여성 연구는 특정 주제에 집중되어 있고, 총론 수준에서 논의되었다. 따라서 연구주제를 확장하여 다양하게 하는 한편 주제를 구체화해야 한다. 아울러 인식론의 재정립이 필요하다. 최근 북한여성 연구에서 여성주의 시각이 활용되는 것은 바람직하다. 연구 방법 측면에서 보면 이론의 부재, 정책 연구 중심, 기초연구의 부족 등의 문제를 지적할 수 있다. 연구방법 역시 다원화해야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이 글은 장기적인 안목에서 ``여성연구``라는 큰 틀에서 북한여성 연구와 북한이탈여성 연구가 결합할 것을 제안해본다. This paper will show the general trend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hrough the books, theses and dissertations since 1948 to 2012. At first, the trend with the change of times and with the change of themes shall be analyzed, and the points in dispute shall be analyzed at the aspects of the epistemology and the methodology. And then the limit and the task of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shall be shown.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had been begun since ``70s, and was flourished in ``90s, and after 2000, it was not only grown in quantity but also deepened in quality. This paper will categorize the theme of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to 12 pattern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status and role, the ideology, the political socialization, the political culture, the character and image of woman, the childcare and nurture, the woman interact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unification of Korean Peninsula, the health and sanitation, the beauty art and fashion, the "The Women`s Union" and the life of the organization, the women`s economic activity, and the others.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re usually concentrated to 4 themes ; the women general, the law · the policy · the institution, the family, the features and image of women. We can know that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have been concentrated to the special themes and studied as the level of general introduction. Thus we should study the more concrete themes as well as the more extensional and various themes. And we need to rebuild the epistemology of the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Nowadays the perspective of the feminism is used in this researches, I think it is desirable. At the aspect of methodology, the non-existence of the theory, the tendency to the study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policy, the insufficiency of the fundamental researches are the problem to solve for the development of North Korean Woman researches. And we need to diversify the methodology, too. At the end of this paper, I will propose to combine the North Korean Women researches and the North Korean Women defector researches at the long perspective and as the grand level of women researches.

      • KCI등재

        북한여성연구의 여성주의적 확장 가능성

        조영주(Young-Ju Cho)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18 여성학논집 Vol.35 No.1

        이 글은 북한여성연구의 활성화의 조건과 여성주의적 확장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동안 북한학과 여성학에서 북한여성연구는 제한적으로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 글은 북한학과 여성학에서 북한여성연구가 활성화되기 위한 조건과 여성주의적 개입의 가능성을 살펴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그동안 북한학과 여성학에서 진행되어온 북한여성연구의 궤적을 각 분야의 주요 학술지를 중심으로 살펴보고, 북한여성연구의 여성주의적 개입 또는 비개입의 맥락을 살펴보았다. 북한학에서는 2000년대 들어 북한여성연구가 상대적으로 활성화된 경향이 있고, 주로 북한의 시장화에 따른 여성 삶의 변화와 공식담론에서 나타나는 여성상에 대한 탐구를 하였다. 여성학에서는 1990년대에 북한여성연구가 활성화되었고, 2000년대 들어 간헐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여성학과 북한학에서 북한여성연구가 활성화된 것은 당시의 국내외 정세와 북한체제의 변화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여성학이나 북한학에서 북한여성연구는 충분히 이루어지는 못했다. 북한여성연구의 여성주의적 비/개입의 맥락들을 살펴보면 우선 북한여성 연구자의 위치성이 북한여성연구의 주제와 접근 방법에 영향을 주었고, 구조적으로는 북한학 학문공동체 내의 성별분업, 프로젝트 중심의 학문 재생산 구조, 연구자의 재생산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한계를 넘어 북한여성연구에 대한 여성주의 접근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조건들로 이 글에서는 객관성과 위치성의 재구성을 통한기존 북한연구 패러다임의 전환과 여성학연구 성과의 북한여성연구 접목을 제안하였다.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the conditions that activate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and the possibility of feminist approach to North Korean Women. Research on North Korean women has been limited to North Korean studies and women’s studies. Thus, this article intend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feminist intervention in North Korean women’s studies and the conditions necessary to activate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in North Korean studies and women’s studies. To this end, the history of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in North Korean studies and women’s studies was examined mainly through prominent journals in the respective fields, and the context of feminist intervention or nonintervention in North Korean women was also explored. Compared to the past, in the 2000s, North Korean researchers began to research North Korean women more actively, with a focus on the image of women in public discourse and the changes in women’s life after the market economy was introduced. In the 1990s, scholars in the field of women’s studies actively researched North Korean women, but this slowed down in the 2000s. The activating of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in women’s studies and North Korean studies was related to changes in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ircumstances and the North Korean system. In general, however, neither women’s studies nor North Korean studies covered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very deeply. The contexts of feminist non/intervention in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were as follows. The positionality of researchers of North Korean women influenced the topics and the approach to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Structually, there were gender division of labor in the academic community of North Korean studies, the constraints in project-based researches and the difficulties of reproducing researchers. To overcome such limitations and to promote the activating of the feminist approach in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this article proposed shifting the previous paradigms of North Korean studies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objectivity and positionality, and integra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women’s studies with North Korean women’s research.

      • KCI등재후보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에 관한 질적사례연구

        전주람,김성미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Vol.9 No.3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plores the utilization experie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mong North Korean middle-aged female defectors. Un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were arranged with 5 north korean female defectors who met the criteria for the present research purpos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utilization experiences of social welfare in South Korea into four main clusters of themes which may be labeled as (1) Looked after Strangers-Material Benefits, Depend on Community Welfare Center Psychologically, Life Guide, (2) Recovering Me-Healing of Mind and Cleansing Feeling, Feeling like a Child, (3) Changing Me-Self-Understanding, Awareness of Recognition, New Type of Communication, (4) Expectations as a Stranger-Free from Disapproving Manners, Sorriness about the welfare administration. In all there are ten sub-themes to consider.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presented some conclusions on the utilization experiences in community welfare center among north korean middle-aged women defectors. We also presented some implications of these results on welfare services and future research.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을 지닌 40-50대 북한이탈 중년여성 5명을 대상으로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이 어떠한지 질적사례연구법으로 접근하여 그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북한이탈 중년여성 5명을 대상으로 비구조화된 심층 면담을 실시하고, 연구자들은 면담의 전사록을 통해 연구 참여자들이 사회복지관 이용경험과 관련하여 언급한 진술문들만을 발췌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의 엄격성을 확보하기 위해 친밀한 관계형성, 삼각검증법, 자료의 다원화 세 가지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40-50대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은 ‘돌보아지는 이방인’, ‘회복되는 나’, ‘변화하는 나’, ‘이방인으로서의 기대’ 4개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돌보아지는 이방인’은 물질적 혜택, 심리적 의지처, 생활 가이드 3개로, ‘회복되는 나’는 마음의 치유와 감정 정화, 동심으로 2개로, ‘변화하는 나’는 자기 이해, 인식의 깨어짐, 새로운 소통 방식 3개로, ‘이방인으로서의 기대’는 따가운 시선에서의 해방, 복지 행정의 아쉬움 2개 총 10가지의 하위범주로 나뉘었다. 결론의 내용을 요약하면, 첫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을 이용 하며 물질적·심리적으로 돌보아지는 경험을 하며 그들의 정착에 사회복지사는 중요한 생활 가이드 역할을 해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 이용을 통해 상처의 치유와 감정 정화의 기회를 갖고, 북한에서 경험해보지 못한 즐거운 활동들을 통해 어린 아이와 같은 동심의 세계로 이동하여 심리적으로 회복되어져 가는 과정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 이용을 통해 자기 이해의 향상, 인권, 복지 등 인식의 깨어짐, 새로운 소통의 방식 배움을 경험하여 변화된 자신을 발견하였다. 넷째,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은 사회복지관을 이용하며 따가운 시선에서의 해방되기를 복지 행정이 보다 체계적이고 자신들의 욕구에 적합한 프로그램들로 구성되기를 기대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경험에 대한 결론을 제시하였고, 북한이탈 중년여성들의 사회복지관 이용과 관련하여 몇 가지 이론적․실천적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북한 여성 연구의 자료로서 ‘증언’의 활용가능성

        조영주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여성연구원 2004 여성학논집 Vol.21 No.1

        본 논문은 어떤 자료를 통해 북한 여성 연구를 할 것인가라는 물음을 바탕으로,북한여성 연구에서 북한 이주민의 증언의 자료로서의 가치를 살펴보고,증언이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는 조건을 모색하였다. 북한 이주민의 증언은,증언이 놓여 있는 맥락에 대한 이해,증언의 내용에서 해석과있는 그대로의 사실 구분,증언에 사용된 언어에 대한 이해 등을 통해 자료로 활용할 수있다.북한 이주민의 증언을 자료로 재구성하는 과정은 구체적인 북한 여성인 삶을 드러내는 과정이며,이를 통해 북한 여성에 대한 새로운 물음을 구성해낼 수 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 What type of material should be considered appropriate for studying thelives of North Korean women? If we are to overcome the limits of the availablematerial, and set the ground for questioning the predicament of women in NorthKorea, we need to reexamine the value of the ‘testimony’ as material. The testimony of North Korean migrants potentially holds a promise ofrevealing multiple social realities that women in North Korea experience. Inorder to harvest this knowledge, we need to understand accurately the societalcontext of a testimony, ability to differentiate the objective reality and subjective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the hidden meaning of language used. Currently, the testimony has been viewed skeptically for a lack of credibility andapplicabilit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testimony’ by asking, “Underwhat condition should we use the ‘testimony’ as credible research material?”First, for the purpose of utilizing the ‘testimony’, we need to considerwhy, how, and by whom the ‘testimony’ is prevailing. Second, we need to graspbetween interpretation and assump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refugee’s language used in the ‘testimony.’ Considering these factors, the‘testimony’ as material may open a way to overcome the established matrial andset the foundation for a new agenda in researching North Korean women.

      • KCI등재

        북한 국경도시 여성들의 시장 경험과 삶의 변화에 대한 사례연구

        박병애(Byungae Park)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본 연구는 북한의 시장에서 경제활동을 수행했던 북한이탈여성들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참여자들의 시장에서 경제활동과 밀무역 수행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수행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했으며, 북한 정권에 대한 인식과 자유 시장경제에 대한 인식이 어떻게 변화했으며, 이러한 변화는 그들의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했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는 Yin(2009)의 사례연구 방법으로 접근했다. 연구자는 최근 동향을 알기 위해 김정은 시대 북한이탈여성들 중, 눈덩이 표집 방법으로 5명의 연구참여자를 선정했다. 자료는 연구참여자들과 일대일 심층 면접을 하여 구성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별주제가 68개 도출되었고, 이를 경험의 유사성 차원에서 결집하여 19개의 범주를 구성했다. 이러한 범주들을 「시장의 기원」, 「시장경제 체득」, 「밀무역의 계기」, 「시장에서 경제활동 저해 요인」, 「탈북의 계기」, 「결과」로 분석단위를 재배열했다. 이와 같은 모든 연구 결과는 연구참여자들이 시장에서 경제활동과 국경 밀무역을 통하여 북한 정권의 모순을 깨닫고, 경제활동을 통한 자유시장 경제원리의 체득과 자기 권리를 찾은 탈북으로 정리할 수 있다.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시장에서의 경험을 남한 사회의 적응력으로 강화하기 위한 방법과 북한 남성 위주 사회에 대한 비판적 논의를 했고 북한이탈여성들을 도울 수 있는 정책적 제언을 했다. The present study is concerned with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ho previously engaged in economic activity and smuggling while in North Korea. The study analyzes the prior economic activity and smuggling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It also examines the change in their perception of the North Korean regime and the free market economy as well as their identity built through such change. Yin’s(2009) case study method was employed in the present study. In order to ensure data represented recent trends, the researcher selected five participants using snowball sampling among North Korean women who defected during the Kim Jong-un er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e-on-one in-depth interviews with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 total of 68 individual topics were derived from the interview data. The researcher organized the topics on the basis of the similarity of experience, resulting in the formation of 19 categories. These categories were rearranged into the following units of analysis: 「Origin of the market」, 「Acquisition of market economy」, 「Opportunity of smuggling trade」, 「Factors inhibiting economic activity in the market」, 「Opportunity of defecting from North Korea」and「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rough economic activity and border smuggling, the interviewees developed an awareness that the North Korean regime operates inconsistently, learned the principles of free market economy, and found their rights through defect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discusses measures to apply North Korean defectors’ market experience to strengthen their adaptability in South Korean society, criticizes the male-dominated North Korean society, and makes policy-level proposals to help North Korean defector women.

      • KCI등재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활동에 관한 탐색적 연구

        최수찬(Soo-Chan Choi),이은혜(Eun-Hye Lee),김명희(Myeong-Hee Kim),이혜림(Hae-Lim Lee)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9 다문화사회연구 Vol.12 No.1

        본 연구는 여성 북한이탈주민 근로자의 경제활동 탐색을 통해 직장생활 경험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를 위해 현상학적 방법 중 주제별로 분석하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구직활동경험, 직장생활경험, 직업유지경험 등 총 3개 영역으로 범주화되었고, 구직경로와 진입장벽, 조직문화와 직무능력, 차별과 편견, 직업유지 방해요인, 직업유지 결정요인 등 총 7개의 하위범주로 구조화되었다. 연구결과에 근거한 실천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취업과 직장생활 적응을 위한 북한이탈주민 지원 기관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공식적 지지망인 취업장려금, 취업지원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셋째, 남북하나재단의 전문상담사지원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 넷째, 여성 북한이탈주민 근로자의 사회적 지지를 위해 자조모임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여성 북한이탈주민의 경제활동의 어려움뿐 아니라 이를 극복하기 위한 실천방안까지 고찰했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와의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본 연구는 향후 여성 북한이탈주민 근로자가 처한 상황과 욕구를 보다 정확히 이해하고, 이들의 안정된 경제활동 및 근로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에서 연구의 함의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working experience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through their economic activity.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case-study methods and delved into not only difficulties that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faced in the workplace, but the strategies they used to overcome those challenges.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defector’s experiences were grouped into three categories and seven subcategories. The three categories were “job search”, “work experience”, and “job retention”. The seven subcategories were “job search paths”, “"entry barriers”, “organizational culture”, “job competency”,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job retention disturbing factors”, and “job retention predict factors”. Practical suggestions based up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rganizations that support North Korean defectors need to provide and develop effective support for employment and work adjustment of North Korean defectors. Second, the official support system, including employment subsidies and employment support services, needs improvement. Third, the Korea Hana Foundation should expand professional counseling programs. Lastly, forming a self-help group should be encouraged to lay a groundwork for social support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These findings are expected to broaden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s and needs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workplace and to provide a background knowledge for improving job opportunities and the working environment for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 KCI등재

        탈북여성 연구: 동향, 쟁점, 과제

        박정란 ( Jung Ran Park ),강동완 ( Dong Wan Kang ) 북한연구학회 2011 北韓硏究學會報 Vol.15 No.2

        2000년대 들어 탈북여성의 남한 입국이 남성 입국자 수를 추월하면서 여성에 초점을 둔 연구 또한 확대되어 갔다. 탈북여성에 대한 연구의 양적 성장과 더불어 내용의 다양성과 영역별 심층 분석 면에서도 성장하는 추세이다. 탈북여성의 입국 배경, 입국과정에서의 인권 침해, 사회적응 과정 등이 점차 성인지적 관점에서 영역별로 세분화되어 다뤄지는 것이다. 탈북여성 연구의 변화 추이 가운데 그 간의 연구성과를 돌아보고 향후 연구과제를 점검해 보는 것은 탈북여성 연구가 질적 성장을 거듭하기 위한 간과할 수 없는 과정이라 할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탈북여성 연구에서 나타나는 내용상의 주요 특징을 정리하고, 쟁점을 도출한 후 향후 연구과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 결과 탈북여성 연구의 주요 동향과 특징은 연구영역의 확대, 생애주기별 세분화, 성인지적 관점의 연구 증대, 북한·탈북경로와 남한 입국 이후 삶의 맥락을 파악하고자 한 접근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연구 동향에서 쟁점이 되고 있는 내용은 인권, 경제활동, 가족, 정신·육체적 건강 등으로 구분하여 각 영역별 쟁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향후 연구과제로 탈북경로의 인과관계 루프(Causal Loop) 분석의 필요성, 탈북여성 인권 의미 확장과 맥락 분석, 성인지적 관점에서의 탈북여성 정착지원 논의 확장, 사회문화적 주체로서의 탈북여성 인지와 연구 필요성 등을 제시하였다.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entering South Korea started to outnumber their male counterparts in 2000, which has caused the researches focusing on women in such a situation to expand. The quantitative growth of researches o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has been accompanied by the increasing diversity of content and in-depth analysis in each area. Such issues as the backgrounds behind their entry into South Korea, violation of their human rights in the process, and their social adaptation processes have been further segmented and addressed from a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Reflecting on the results of the previous studies and reviewing future research tasks in the midst of changes to the study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are part of the essential elements in a process of the qualitative growth of the study field. Thus this study set out to sort out major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o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in terms of content, identify controversial issues, and propose future research tasks. As a result, the major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researches on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can be categorized into expansion of research area, segmentation according to life cycles, increase of researches from a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the route to escape North Korea, and approach to the understanding life context in South Korea. The controversial issues in research trends were examined according to human rights, economic activities, family, and mental and physical health. For future research tasks, the study also suggested a need to analyze the causal loop of the route to escape North Korea and the expansion of significance of female North Korean defectors` human rights and the contexts, expand discussions about how to support their settlement from a gender sensitive perspective, and recognize and study them as social and cultural subjec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