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효의 ‘발보리심관’(發菩堤心觀) 연구- 「원효불기」와 『아미타경소』를 중심으로 -

        김시연 ( Kim Si-yeo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본 논문은 원효의 행적을 알 수 있는 『삼국유사』의 「원효불기」조와 원효의 정토계 주석서인 『아미타경소』를 교차 분석하여, 원효의 발보리심관에 대하여 살펴본 글이다. 원효는 발보리심(發菩堤心)을 번뇌가 끝이 없지만 모두 끊기를, 불법이 무량하지만 모두 배우기를, 중생이 무변하지만 모두 구제하기를 원하는 마음이라고 하였다. 원효의 ‘파계’(破戒)와 ‘무애’(無碍)한 행적들은 ‘중생구제’의 ‘발보리심’에 그 뿌리를 두고 있다. 「원효불기」조에는 ‘몰가부가’(沒柯斧歌)와 함께 요석공주와의 인연, 그리고 아들 설총을 낳은 ‘파계’의 사건과 『화엄경』을 주석하다 ‘절필’하고 천촌만락의 저잣거리로 나가 중생들에게 ‘나무아미타불’을 가르쳐 대중적인 교화에 성공하는 내용이 중점적으로 나온다. 『아미타경소』에서 원효는 경전의 대의로 ‘일심’(一心)을 천명하며, 모든 경계가 불이(不二)임을 말한다. 또, 깨달은 뒤에는 제 5문인 회향문으로 나와 중생의 번뇌를 쉬게 해주어야 한다고 한다. 이승종불생(二乘種不生)설에서 정성이승(定性二乘)과 부정종성(不定種性)의 왕생요건을 발보리심의 유무(有無)로 두어 가능성을 해석하였고, 수행에 있어서 제일 빠른 원인[正因]도 발보리심으로 해석하였다. 원효가 자신과 중생들의 수행에 있어서 최고 가치로 ‘발보리심’을 둔 것을 알 수 있다. 또, 여인왕생설과 수행에 있어 보조적인 원인[助因]으로 염불을 말함으로써 근기가 낮은 이까지도 수행을 포기하지 않게 하려는 노력을 엿볼 수 있다. 이 둘의 기록을 취합해 볼 때, 원효는 파계나 무애행과 같은 파격적인 행위도 불사하며, ‘중생에게 회향’하는 실천으로 수행에 있어 마지막 관문으로 들어간 것이다. 그는 누구보다 지행합일(知行合一)에 투철하였으며, ‘발보리심’을 체득하여 완전한 자기[佛]를 이루고자 하였다. 어디에도 매이지 않는 불기(不羈)는 원효를 상징하는 것으로, 월계(越戒)의 행보로 인해 얻은 자유로움은 그의 교화활동에 날개를 달아 주었고, 그는 서민불교의 대중화를 이룩했다. This paper cross-examines the 「Wonhyobulgi」 section of the 『Samgukyusa』 a primary source detailing the activities of Wonhyo, and Wonhyo’s commentary on the 『Amitābha Sūtra』 known as the 『Amit’agyŏeng-So』. Wonhyo described ‘Balborisim’(發菩堤心) as the desire to sever all afflictions, to learn all of the Dharma, and to liberate all sentient beings. Wonhyo’s actions related to ‘violating precepts(破戒)’ and his ‘unobstructed(無碍)’ behaviors can be traced back to the ‘Balborisim’ of ‘saving sentient beings.’ In the 「Wonhyobulgi」 section, prominent narratives including the ‘Song of the Axe without Handle’(沒柯斧歌), focuses on his relationship with Princess Yoseok, the incident of bearing a son, Seol Chong, after a ‘precept violation,’ and his teaching of ‘Namo Amitābhāya’ to the masses after he threw away his brush while commenting on the 『Avataṃsaka Sūtra』, thereby achieving popular propagation. In the 『Amit’agyŏeng-So』 Wonhyo emphasizes ‘One Mind'(一心)’ as the Sūtra’s main purpose, stating that all distinctions are non-dualistic(不二). In addition, after enlightenment, he mentioned the need to ease the afflictions of sentient beings, highlighted by the fifth gate on returning to the world. In the doctrine of Non-arising of the Two Vehicle Types(二乘種不生), the defining conditions for the Two Vehicle whose Nirvāṇa is predetermined(定性二乘) and a kind of person whose nature is not yet determined(不定種性) are interpret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有無) of the Balborisim. Moreover, in practice, the most direct cause[正因] is also interpreted as aspiration of the Balborisim. The emphasis Wonhyo placed on ‘Balborisim’ as the utmost value for himself and all sentient beings is evident. His mention of the recitation of ‘Namo Amitābhāya’ as a supportive cause[助因] in practice reveals his intent to encourage even those with weak spiritual capacities not to abandon their spiritual journey. Upon synthesizing these records, the groundbreaking actions demonstrated by Wonhyo, such as violating precepts and unobstructed behavior, can be interpreted as him entering the final gate of his practice, which is the Balborisim’s act of ‘saving to sentient beings.’ Above all, he epitomiz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striving to realize complete Buddhahood[佛] through embodying ‘Balborisim.’ The unrestrained spirit[不羈] he portrayed symbolizes Wonhyo. The freedom attained through his transcendental precepts(越戒) bolstered his propagation efforts, culminating i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mong commoners.

      • KCI등재

        華嚴에서의 證得의 문제 -『華嚴經』을 중심으로 -

        권탄준,이행구(도업) 한국정토학회 2009 정토학연구 Vol.12 No.-

        『화엄경』에서 삼매에 의해 드러난 부처님의 세계는 만물이 무한의 상관관계로써 끊임없이 아름다운 상생(相生)의 생명세계를 펼치는 자비로움이 넘치는 세계이다. 『화엄경』은 부처님의 이러한 대자비의 생명활동의 세계를 자기화(自己化)하도록 하는 가르침이며, 그것을 가능하게 하는 매개체가 바로 삼매이다. 만물이 무한의 상관관계로써 끊임없이 아름다운 相生의 생명활동을 펼치는 세계의 實相을 증득한다는 것은 그 세계의 본질적인 체계에 대한 진실한 눈뜸과 함께, 그러한 존재의 세계의 실상에 부합되는 삶을 펼치는 일이 될 것이다. 보현행은 바로 이러한 一卽一切 一切卽一의 사사무애 법계의 실상에 입각한 진정한 인간생존의 방식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화엄경』에서 부처님의 세계를 가득 채운 아름다운 장엄의 광경들도 보현의 行願을 살아가는 무수한 보살들로써 보여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만약 우리들이 부처님을 본받아 스스로 보현의 願을 일으켜서 끊임없이 보살도를 수행해 나아간다면, 그 순간에 우리들 스스로 삼매에 들어 깨달음의 세계를 펼치면서 대우주의 영원한 상생의 생명활동에 동참하게 되는 것이다. 인간이 깨달음을 구하고자 하는 것은 지금까지 살아온 미혹한 삶을 떠나고자 하기 때문이다. 보살이 부처님의 가르침을 만나 어둡게 살아왔던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절실히 참회하며 새로이 밝은 깨달음의 삶을 살아가고자 發願하는 것이 바로 보리심이다. 『화엄경』에서 이 보리심을 발하는 것이 법계에 들어가게 되는 관건이 된다는 것을 누누이 강조하고 있는 것은 특히 주목할 만한 가르침이다. 보리심과 같은 발원하는 마음은 빛과 빛이 오는 근원인 부처님에 대한 믿음과 찬탄과 귀의를 수반하고, 자신이 불성을 가진 존재임을 자각하여 부처님이 수행을 통해서 실현한 거룩한 인격적인 가치를 자기 스스로 구현하고자 하는 마음이다. 진실로 이러한 보리심을 일으키는 것만으로도 지금까지 미혹된 삶을 불식하고 밝은 깨달음의 삶을 열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는 일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화엄경』에서는 “처음으로 보리심을 일으키는 때에 바로 正覺을 성취한다”고 설한다. 그리고 보리심을 일으키고 난 이후의 모든 보살행은 깨달음의 행이 된다. The Huayan jing depicts the realm of the Buddha that is manifested by means of samādhi as a universe overflowing with compassion, characterized by the infinite mutual interconnectedness of the myriad of things and the continuous harmony of all living beings. The Huayan jing teaches to assimilate this living and active universe of the Buddha's great compassion by means of the practice of samādhi.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 of reality, in which all things in the universe are continuously relating to each other in a dynamic and harmonious way, one has to realize the intrinsic structure of this universe and concomitantly lead a life conform to the nature of this very universe. The practice of Bodhisattva Samantabhadra provides a model for human life based on one is all, all is one, the principle of unimpeded interpenetration of all phenomena in the universe. Therefore, all sublime scenes in the Huayan jing depicting the universe of the Buddha are manifested by those innumerable bodhisattvas who put into practice the vow of Samantabhadra. If we model ourselves after the Buddha, act out on the vow of Samantabhadra, and practice the Bodhisattva path, we shall enter into samādhi, achieve awakening, and thus participate in the perpetual dynamic of mutual harmonious life of the cosmos. Because seeking awakening consists in leaving behind one's heretofore deluded life. The thought of awakening (bodhicitta) corresponds to the process of a bodhisattva meeting the teaching of the Buddha, reconsidering one's life in ignorance, sincerely repenting one‘s past actions, and making the vow to seek to live a new life of bright awakening. The Huayan jing repeatedly emphasizes that producing the thought of awakening is the most critical step for entering into the dharmadhātu. A mind producing the thought of awakening is concomitant with faith in the Buddha as the source of light, praising him and taking refuge to him. Furthermore, this mind causes one to realize oneself as being endowed with Buddha-nature and to seek to realize one's value as a human being through practising the path of the Buddha. Producing the thought of awakening presents an opportunity to get rid of one's heretofore life in delusion and instead begin to live a life conform to a bright awakening. For this reason the Huayan jing states that At the moment when one produces the thought of awakening (bodhicittotpāda), one achieves correct awakening. All bodhisattva practices following the production of the thought of awakening thus become the practice of awakening.

      • KCI등재후보

        『유마경』의 삼심 연구

        장성우 불교의례문화 연구소 2022 무형문화연구 Vol.0 No.8

        The three-minds, namely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直心), the high resolved unmoving mind(深心), and the Bodhicitta(菩提心) appeared in Vimalakirtinirdesha Sutra translated by Kumarajiva, and the three-minds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ater Chinese translation and compilation of Buddhist scriptures. In addition, the straight forward tru e mind of the three-minds is cited in Zen practice as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 is Bodhi-mandala’(直心是道場).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 and the high resolved unmoving mind have various meanings, and if you look at the use of Agama, it also contains a different meaning from the explanation of The Mahayanashraddhotpada Shastra(大乘起信論). Especially,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 includes practical characteristics because it means ‘a mind ready to practice right away’. In response to this meaning of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 Vimalakirtinirdesha Sutra translated by Kumarajiva adapted the three-minds as a Chinese equivalent to Sanskrit words, and sees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 as the start of Bodhisattva's actions. This perspective of Kumarajiva is different from that of Xuanzang(玄奘), which sees the great resolve to attain supreme enlightenment(發菩提心) as the starting point for Bodhisattva's actions. The difference between Kumarajiva and Xuanzang is clear if their works are compared to Vimalakirtinirdesha Sutra of Sanskrit, and even if the terms corresponding to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 or the great resolve to attain supreme enlightenment do not appear for the first time in Vimalakirtinirdesha Sutra of Sanskrit, Kumara and Xuanzang described the straight forward true mind and the great resolve to attain supreme enlightenment as the first performance. This difference in perspective can cause differences in each translation, and in particular, Kumarajiva's choice of the three-minds as a Chinese equivalent to Sanskrit word is likely to have chosen a term familiar to Chinese culture even though there are other terms corresponding to Sanskrit word. 구마라집역 『유마경』에는 직심, 심심, 보리심의 삼심이 등장하며, 삼심은 후대경론의 한역 및 편찬에 큰 영향을 주었다. 또 삼심 중 직심은 ‘직심시도량’으로 선 수행에서 인용되고 있다. 그러나 직심과 심심, 그 중에도 직심은 다양한 의미를 포함하는데, 『아함경』의 용례를 살펴보면, 『대승기신론』의 설명과는 다른 의미도 포함하고 있다. 즉 직심은 ‘바로 실천할 수 있는 준비가 되어 있는 마음’이라는 의미가있어서 실천성을 포함한다. 직심의 이런 의미를 받아들여 구마라집역은 직심, 심심, 보리심의 삼심을 역어로서 선택하였으며, 직심을 보살행의 출발로 보고 있다. 이런구마라집역의 관점은 현장역이 발보리심을 보살행의 출발로 보고 있는 것과 차이가 있다. 이런 구마라집역과 현장역의 차이점은 범어 『유마경』과 비교해 보면 분명한데, 범어 『유마경』에서는 직심이나 발보리심에 해당하는 용어가 처음 나타나지않는데, 구마라집역과 현장역은 직심과 발보리심을 처음의 보살 수행으로 서술하였다. 이런 관점의 차이는 각 번역의 차이가 발생한 원인이 될 수 있으며, 특히 구마라집이 직심, 심심, 보리심이라는 삼심을 역어로 선택한 것은 범어에 해당하는 다른 용어가 존재함에도 중국문화에 친근한 용어를 선택한 것으로 보이며, 의도적인 역어 선택이었다고 하겠다.

      • KCI등재

        융합학문논문 : 반야심경의 생명치유 명상원리 연구

        김용환 ( Yong Hwan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2

        반야심경을 통한 명상은 생명치유를 하는데 활용된다. 반야심경 진언을 고요히 반복적으로 읊조리다 보면 몸과 마음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 들을 거리를 두고 지켜보게 되고 생명실상의 이치를 깨닫게 된다. 반야심경 은 독송의 경전으로서, 종교의례 염송절차의 필수요소로 자리매김한다. 먼저 반야심경은 청정회복의 생명치유로서 발보리심 원리에 주목한다. 이 원리는 자비심을 일으켜 중생의 고통을 벗어나게 하는 책임을 스스로 떠맡는 책임원리이다. 이러한 책임원리는 중생들에 다가서서 친밀감을 느끼고 공감의식을 확산시키는 의식이다. 또한 중생들과 더불어 행복한 공공행복을 열망하면서 중생에 대한 강한 자비심을 마음의 자세로 갖추게 된다.또한 반야심경의 광명환희의 생명치유로서 반야통찰 원리에 주목한다. 이 원리는 ‘연기(緣起)와 공(空)’의 상관연동(相關聯動)에 관한 통찰로서, 개체로서의 실체를 부정하고 생명이 상호 의존의 광명환희 그물망으로 이어짐을 통찰하는 원리이다. 이는 ‘지관(止觀, samatha)’을 바탕으로 ‘선정(禪定, dhyana) 을 닦고 ‘등지(等至, samapati)’에 이르러, 마침내 반야 실상을 여실하게 관 조(觀照, vipassana)함으로 존재실상을 통찰할 수 있다. 그리고 반야심경은 자유자재(自由自在)의 생명치유로서 활용되는 진언지송 원리에 주목한다. 진언지송은 진언반복의 성현(聖顯)으로, 육도(六道: 천 상, 아수라, 인간, 아귀, 축생, 지옥의 여섯 세계)의 문을 닫고 불보살의 가피 력(加被力)을 받아서 ‘육도’에 자유자재하는 원리이다. 반야심경 말미에는 진언을 염송(念誦)하는 진언지송(眞言持誦)이 밀법으로 제시되어 불타의 명 호를 부르는 염불(念佛)과 함께 마음을 일심(一心)으로 통일시키는 효과를 낳을 뿐만 아니라 원만구족(圓滿具足)의 공덕(功德)을 이룬다. 이처럼 반야심경의 생명치유 명상원리는 청정회복의 발보리심 원리, 광명 환희의 반야통찰 원리, 자유자재의 진언지송 원리로서 ‘대승일심(大乘一心)’ 의 신심(信心)을 유지한다. 이는 곧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보살실천으로 이어진다. 일상생활에서 반야심경을 통한 생명치유는 상구보리(上求菩提)ㆍ 하화중생(下化衆生)’의 발보리심을 기반으로, 공사공매(公私共媒)의 공공작 용을 일으키는 반야통찰(般若洞察)을 매개하여 반야바라밀 진언(眞言), “아제아제 바라아제 바라승아제 모지사바하”의 지송(持誦)함으로 생명치유의 공덕(功德)을 모든 중생에게 회향回向)한다. The meditation principles of life healing in the Heart of the Perfection of Wisdom Sutra can be summarized as three perspectives. The first principle is the restoration of purity in nature as a new innocence by way of the awakening of bodhi-citta. This principle is to have responsibility for the suffering of sentient beings from the having compassion for others. It can be called undertaking responsibility principle to be happy together with others. The second principle of life healing in the Heart Sutra is blessing with light as healing power in prajna insight principle. This principle is the correlation linkage of insight into the interdependent arising and sunyata. We can practice the dhyana by the samatha, and we can contemplate the reality of wisdom through vipassana with the accomplishment of samapati. The third principle of life healing in the Heart Sutra isbe free from sufferings by way of mantra recitation. Absorbed in the single-minded by the chanting mantra, we can be free from six secret teachings such as heavenly, asura, human, angler-fish, animal and world of hell. The practicing such merits of bodhisattva can be transferred to sentient beings.

      • KCI등재

        원효의 ‘발보리심관’(發菩堤心觀) 연구- 「원효불기」와 『아미타경소』를 중심으로 -

        김시연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9

        This paper cross-examines the 「Wonhyobulgi」 section of the Samgukyusa a primary source detailing the activities of Wonhyo, and Wonhyo’s commentary on the Amitābha Sūtra known as the Amit’agyŏeng-So . Wonhyo described ‘Balborisim’(發菩堤心) as the desire to sever all afflictions, to learn all of the Dharma, and to liberate all sentient beings. Wonhyo’s actions related to ‘violating precepts(破戒)’ and his ‘unobstructed(無碍)’ behaviors can be traced back to the ‘Balborisim’ of ‘saving sentient beings.’ In the 「Wonhyobulgi」 section, prominent narratives including the ‘Song of the Axe without Handle’(沒柯斧歌), focuses on his relationship with Princess Yoseok, the incident of bearing a son, Seol Chong, after a ‘precept violation,’ and his teaching of ‘Namo Amitābhāya’ to the masses after he threw away his brush while commenting on the Avataṃsaka Sūtra , thereby achieving popular propagation. In the Amit’agyŏeng-So Wonhyo emphasizes ‘One Mind'(一心)’ as the Sūtra’s main purpose, stating that all distinctions are non-dualistic(不二). In addition, after enlightenment, he mentioned the need to ease the afflictions of sentient beings, highlighted by the fifth gate on returning to the world. In the doctrine of Non-arising of the Two Vehicle Types(二乘種不生), the defining conditions for the Two Vehicle whose Nirvāṇa is predetermined(定性二乘) and a kind of person whose nature is not yet determined(不定種性) are interpreted based on the presence or absence(有無) of the Balborisim. Moreover, in practice, the most direct cause[正因] is also interpreted as aspiration of the Balborisim. The emphasis Wonhyo placed on ‘Balborisim’ as the utmost value for himself and all sentient beings is evident. His mention of the recitation of ‘Namo Amitābhāya’ as a supportive cause[助因] in practice reveals his intent to encourage even those with weak spiritual capacities not to abandon their spiritual journey. Upon synthesizing these records, the groundbreaking actions demonstrated by Wonhyo, such as violating precepts and unobstructed behavior, can be interpreted as him entering the final gate of his practice, which is the Balborisim’s act of ‘saving to sentient beings.’ Above all, he epitomized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striving to realize complete Buddhahood[佛] through embodying ‘Balborisim.’ The unrestrained spirit[不羈] he portrayed symbolizes Wonhyo. The freedom attained through his transcendental precepts(越戒) bolstered his propagation efforts, culminating in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among commoners.

      • KCI등재

        元曉의 念佛觀과 淸華의 念佛禪

        高榮燮(Ko, Young-Seop)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5 佛敎學報 Vol.0 No.71

        이 논문은 분황 원효(芬皇元曉, 617~686)와 무주 청화(無住淸華, 1923~2003)의 염불관과 염불선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종래 동아시아에서는 염불과 선정의 관계를 병립 또는 양립의 쌍수(雙修) 혹은 겸수(兼修)로 보거나 통합 또는 일치를 통한 오염(汚染) 혹은 발전(發展)으로 보기보다는 ‘붓다 수념’(佛陀隨念) 즉 ‘염불’이 곧 사문과를 성취하는 ‘선정’이라고 보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불교에서 염불 수행보다 선법수행이 우위에 있는 것처럼 보여지는 것은 가장 후발 주자였던 선종의 독자성의 강조와 우월감에 따른 배타성 때문으로 이해된다. 원효는 『아미타경소』와 『무량수경종요』에서 정토왕생을 위한 보조적인 수행법으로서 십념(十念)의 염불(念佛) 즉 『미륵발문경』에 설해진 범부와 이승이 들어가지 않는 초지 이상의 보살만이 순정토(純淨土)를 구족할 수 있는 은밀(隱密)의 십념과 『관무량수경』의 하품하생에 설한 임종 이후의 왕생보다는 임종 이전의 지심 염불을 강조하는 현료(顯了)의 십념을 주장하였다. 그의 십념관은 중국 정토사상가들의 칭명 염불에 지성심(至誠心)을 더한 것이다. 원효는 왕생은 자신의 업으로 이뤄지는 것이 아니며 오직 여래의 대비원력(大悲願力)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며 타력(他力)에 의한 왕생인(往生因)을 제시하였다. 그는 선근은 연(緣)이 작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지 자신이 닦는 것이 아니며, 중생은 여래의 선근을 이어받기 위해 발보리심하고 지성심으로 염불함으로써 부처의 본원력으로 정토에 왕생할 수 있다고 하였다. 청화의 ‘안심’(安心) 즉 편안한 마음은 ‘깨침’에 상응하는 개념이다. 그의 ‘안심’은 ‘순선’(純禪)과 만나 ‘순선안심’(純禪安心)으로 나아간다. 여기서 ‘순선’은 달마 때부터 육조 혜능 때까지의 순수한 선을 가리킨다. 청화는 종파적 색채가 없는 초기 선종 즉 보리 달마로부터 마조 도일의 제자들의 활동기까지 선종의 성립기에 주목하였다. 그러면서도 그는 달마에서 혜능까지의 순선(純禪)시대의 ‘안심’에 집중하였다. 청화의 궁극적 목표는 정토의 구현이었으며 이것은 대중들이 안심에 이르게 됨으로써 가능하다고 하였다. 그는 일상(一相)삼매와 일행(一行)삼매의 실천을 통해 안심 즉 편안한 마음으로 돌아가고자 하였다. 원효가 일심의 근원으로 돌아가게 함으로써[歸一心源] 중생들을 풍요롭게 이익되게 하려[饒益衆生]고 했다면, 청화는 원통불법의 요체로서 실상염불선(實相念佛禪)을 주창함으로써 정통 불법을 바로 세우고 이를 대중화하기 위해 헌신하였다. 두 사람 모두 염불을 통해 ‘우리 마음의 뿌리인 부처’로 돌아가게 하고자 하였고, 보다 쉽게 불교를 전하기 위해 적지 않은 저술과 강론을 남겼으며, 나아가 이들이 역설하고 저술한 사상체계가 오늘날까지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점에서 우리는 이들 두 사람이 머금고 있었던 시대정신과 역사의식을 읽어낼 수 있다. 따라서 원효와 청화는 시대를 달리 살았지만 발보리심과 십념염불 및 일상삼매와 일행삼매를 통하여 일심 즉 유심(唯心)의 정토와 안심 즉 순선(純禪)의 정토를 이 땅에 구현하려 했다는 점에서 상통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views on Buddha-anusm?ti and Buddhaanusm?ti Seon (Zen) of Bunhwang Wonhyo (617?686) and Muju Cheonghwa (1923?2003). Originally the relation of Buddha-anusm?ti and samadhi as samadhi where Buddha Suyeom (or Buddha-anusm?ti, in other words) accomplishes Samungwa, rather than seeing it as compatible (the open-arms or double-arms of coexistence) or as contamination or development through integration or agreement. Nevertheless, the reason why performing Seon law has higher priority in East-Asian Buddhism than training Buddha-anusm?ti is understood as being due to exclusiveness, a sense of superiority, and an emphasis on independence on the part of the most recent Buddhist sect, the Seon. In the Amitagyeongso and the Muryangsugyeongjongyo, Wonhyo presented the Buddha-smrti of ten repetitions of an invocation as a supplementary training method for rebirth in the pure land. In other words, he asserted the value of the ten thoughts of the Hidden (隱密), where the ordinary people mentioned in Mireukbalmungyeong and the Bodhisattva with over the first position no entrance of the two vehicles can visit the pure land, and the ten thoughts of Revelation (顯了), with the utmost emphasis on the mind before death rather than the rebirth after death mentioned in the Hapumhasaeng of Gwanmuryangsugyeong. His view on the ten repetitions of an invocation is the amitabhaby-calling-him of Chinese paradise ideologists, added by Jiseongsim. Wonhyo claimed that passing to the next world could not be accomplished by one’s own work but depended on Yeorae’s Daebiwonreok, which presented the reason for passing to the next world as due to the power of others. Wonhyo also said that a deed of charity consisted of relation work but could not be accomplished by one’s own efforts, and that people must pray to Balborisim and Jiseongsim to be reincarnated in paradise by the original power of Buddha. Cheonghwa’s ansim (“comfortable mind”) corresponds to “enlightenment.” “Comfortable mind” becomes pure-seon-comfortable-mind by meeting pure-seon. Pure-seon here means the pure seon from the time of Dalma to that of Jukjo Hyeneung. Cheonghwa paid attention to the period of the initial Seon sect?in other words, the period of the establishment of the Seon sect was an active period, from Bori Dalma to Majo Doil’s disciples. However, Cheonghwa concentrated on the comfortable mind of the pure-seon times, from Dalma to Hyeneung. Cheonghwa’s ultimate goal was to realize the pure land, which he said was possible by letting people achieve a comfortable mind. He tried to come back to the comfortable mind that is ansim through practicing ilsangsammae and ilhaengsammae. While Wonhyo tried to enrich and benefit people by letting them return to the origin of single-mindedness, Cheonghwa devoted himself to erecting authentic Buddhist law and making it popular by claiming Silsangmyeombulseon as an aspect of Wontong Buddhist law. Both of them tried to bring people back to “the Buddha as the origin of our mind” through Buddhist prayer, and left many writings and lectures to encourage the spread of Buddhism. To go one step further, seeing that the ideological system that they created is still studied today, we can “read” the spirit of their times and their historic consciousnes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Wonhyo and Cheonghwa lived in different times but have a thread of connection in that they tried to realize yusim (“singlemindedness”)-pure land and pure-seon pure land in this world through ilsangsammae and ilhaengsammae.

      • KCI등재

        정보사회의 신대승운동

        김용환 ( Yong Hwan Kim ) 사단법인 한국교수불자연합회 2014 한국교수불자연합학회지 Vol.20 No.1

        정보사회에서 불공(佛供)은 정보 네트워크에서 일어나는 생명활동을 유익하게 하고 그 활동을 보호하고 도와주는 공양이다. 정보사회에서는 인터넷을 통해 언제 어디서든‘중단 없는 신행생활’을 실현할 수 있도록 ‘사이버예불’과 함께‘사찰참배’를 공공(公共)으로 가능하게 한다. 자기만의 법당을 장엄하게 만들 수 있으며, 불자들과의 신행공동체를 함께 꾸려나갈 수 있는 불교콘텐츠 서비스들을 공공성 차원으로 확대시킬 수가 있다. 앞으로는 불교콘텐츠의 광범한 구축을 위해 방대한 경전내용과 풍부한 불교설화를 시대정신이 살아나는 담론으로 재구성해야 할 것이다. 담론으로 풀다보면, 불교가 어렵다는 선입관도 완화된다. 또한 다양한 불교콘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이 요청된다. 스마트폰의 등장은 모바일 네트워크 사회를 구축하게 된다. ‘개방과 나눔’의 정신으로 어플리케이션 개발 출처가 공개되어 불교 신앙을 갖지 않은 대중과의 공유도 가능해진다. 아울러 사회적 문제점을 불교시각으로 사유하고 실천하는‘응용불교’의 개발이 시급하다. 낙태와 피임, 다중정체성, 전쟁과 폭력 등 사회문제들을 불교시각에서 이해하고 접근할 수 있는 콘텐츠가 개발되어야 한다. 정보사회의 신대승운동은‘대승기신(大乘起信)’의‘일심(一心)’에 근거한 ‘자리이타(自利利他)’의 보살실천이 요체가 된다. 현대 정보사회에서 마음으로 뿐만 아니라 물질로도 봉사하게 된다. 자기 수도를 위해 힘이 미치는 대로 봉사하되, 대가를 바라거나 보수에 머물지 않아야 신대승의 실천운동으로 자리 잡는다. 현대 다문화 사회에서 보살로서의 정체성 확립이 요청되며, 스마트 네트워크 사회의 개방과 참여를 위해 이용자를 위한 플랫폼 개발이 함께 요구된다. 그리고 스마트 미디어 기반에 토대를 둔 공공 서비스를 지향 해야 한다. 경우에 따라 과잉 공급된 정보에 대해서는‘유쾌한 파멸’을 감행 하더라도 정보홍수의 범람에 대비한 절제의 미학을 살려가야 할 것이다. 정보사회일수록 다양한 정보 네트워크의 특징을 제대로 살려서, ‘스마트네트워크’의 참여, ‘스마트 미디어’의 공유, ‘불교 아카이브’의 개방을 통한 보살실천이 수반되어야 한다. 아울러 서비스 플랫폼에 담겨질 불교기록 문화유산은 붓다의 메시지를 원형에 가깝게 복원하면서, 발보리심을 일으키는 공공작용을 통해 생명안락과 공공행복을 위해 꾸준히 재생산하여야 한다. The Offerings to Buddha in the information society are to make life activities taking place in the information network and to give benefits helping to protect the activity. The internet in information society makes ``uninterrupted Faith life’ possible in order to realize the public worship of the temple and chanting cyber ritual at anytime and at anywhere. It makes Sublime Dharma Hall to make his own ritual, and to take advantage of the Buddhist contents as the community services to the public common. We have to reconstruct the vast Buddhist scriptures and the wealth of story telling as the discours of the spirit of the age to survive. In this story-telling of Buddhist discours make easy approach to difficult Buddhist contents and to mitigate prejudices. You can also take advantage of a variety of Buddhist contents through the application development. The advent of smart phones has made the mobile networks as a communicative community. In the spirit of sharing and development of open source applications, Bodhisattva can be shared with the public common.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the thinking and practicing in the way of ‘application Buddhism`` development is urgently required. To understand the accessible content from a Buddhist perspective has to be developed in the many social problems such as abortion and contraception, multiple identities, and war and violence. New Mahayana movement in information society is based on the ‘Mahayana Faith’ to the ``single-minded`` to practice to be beneficient both me and others, which is the essence of the practice of Bodhisattva. To serve others can be accomplished in the realm of both the mental world and material world. Effects of magnetic force can be grown in the mind of remuneration in exchange of something through the practice of Mahayana movement. To establish the identity in the modern multi-cultural society and to participate in the smart network to open a platform to the participation required. Therefore we can build the public common service based on smart media. In some cases, the aesthetics of the venture such as ``delightful ruin`` should be excised in the information over-supply situation. ``Smart network`` participation, ``smart media`` sharing, ``Buddhism Archive’ for the practice of opening have to be accompanied towards the Bodhisattva practice to the necessity of this modern information society as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knowledge. It is necessary to serve platform as well as the Buddha`s message of Buddhism according to the restoring of record cultural heritage and to cause the public action for the comfort and happiness should be expanded reproduction as the way of Awakening Bodhisattva.

      • KCI등재

        상월(上月)의 불성개현사상

        황상준(Hwang, Sang Ju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8 佛敎學報 Vol.0 No.82

        불교는 깨달음을 추구하는 종교이다. 불교의 시작은 석존의 깨달음으로부터 비롯되었다는 사실과 함께 그 목표도 석존이 깨달은 진리의 구현에 있기 때문이다. 근현대 한국불교 속에서 천태종 중창을 이뤄낸 박상월(朴上月, 1911-1974)에 의하여 전개된 불성개현사상(佛性開顯思想)은 한국불교의 유구한 흐름 위에서 펼쳐진 또 하나의 깨달음 운동이며 진리구현의 모습이다. 본 논고의 목적은 상월의 불성개현사상과 대한불교천태종의 그 실천에 대한 고찰이다. 더불어 근현대 한국불교계의 상황 속에서 그 의의를 조망함으로써 상월이 주창한 불성개현 사상의 가치를 드러내고자 한다.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의한 법력과 원력으로 상월은 당시의 암울한 불교계의 상황 속에서도 민중을 위해 불성개현운동을 펼치고자 했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의 중심은 법화천태교관(法華天台敎觀)과 관음신앙(觀音信仰)을 중심으로 한신대승불교의 일환으로 기존의 불교에서 대중불교와 생활불교로의 전환이다. 상월의 실천수행과 교화행을 통한 천태종의 불성개현운동은 신행 중심축 이동에 의한 운동으로 한국불교 신행사(信行史)에서 매우 큰 의미가 있다. 승려와 일부 수행자의 전유물로만 인식되던 수행과 성불의 실천본원(實踐本願)의 중요성을 일깨웠으며, 실생활과 유리된 채 홀로 지향하던 승원불교(僧院佛敎)를 생활불교로 회귀시켰다. 상월은 천태종 중창이후 열반에 들 때까지 출 ․ 재가를 막론하고 구인사를 찾는 모든 대중들에게 불성(佛性)의 자각과 개현에 관한 교화를 펼쳤으며, 유훈(遺訓)으로 발보리심(發菩提心)할 것을 천태종도들에게 당부하였다. 그리고 법회의식(法會儀式)을 통한 출 ․ 재가불자의 불성개현에 대한 자각과 관음주송(觀音呪誦)을 통한 실천수행법의 제시는 기존 전통의 불교와는 차별화된 것이다. 상월의 불성개현사상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스스로 깨달은 정법에 바탕을 둔 실천수행법을 제시하였다. 둘째, 천태종도의 불성개현을 위한 천태종의 신행체제의 확립이다. 셋째, 불교신행활동과 생활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는 생활불교의 정착이다. 끝으로 불교의 근본목적인 불자들의 깨달음 추구를 위한 실제적인 방편을 제시한 것이다. 상월의 중생구제 서원과 깨달음은 불교의 근본정신으로 돌아가 석존이 깨달은 진리를 오늘의 현대사회에 되살리기 위한 종교 구원사적 의미를 지닌다고 말할 수 있다. 상월의 불성 개현사상은 불교의 본래 모습과 달리 왜곡되었던 이 시대의 불교를 새롭게 혁신한 신대승불교운동의 시작이자 현재 한국불교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Buddhism is a religion that pursues enlightenment. This is because the beginning of Buddhism comes from the truth that the Buddha realized, and the goal is the realization of the Buddha.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invaluable, and it is said that Sangwols thought is another movement for the Buddhists enlightenment in contemporary Korean Buddhist society. This present study focuses on both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and its practice of the Cheontae Order of Korean Buddhism. In addition, I would like to express the value of Sangwols thought by looking at its significance in the context of the modern Korean Buddhist system. Sangwol does not rely on the Korean traditional Buddhist Sangha, but rather, he built a new Buddhist order, which is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to guide all sentient beings in finding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even though Korean Buddhism looked away and pretended not have noticed their aspiration for the enlightenment in the situation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that time.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conversion from the existing Buddhism to the Popular Buddhism and the Daily Life Buddhism as a part of the New Mahayana Buddhism centered on both Cheontae Buddhism and the Avalokitesvara cult. This paradigm shift in the Buddhist faith system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history of Korean Buddhism. It is a quite different feature compared with the traditional Korean Buddhist order. Sangwol theory of the awareness of the Buddha nature is that all sentient beings have it, and he revealed the Buddha nature to all Buddhists in the Cheontae Order since he reestablished the Order and left instructions as a great inspiration of the earnest aspiration to attain enlightenment. They faithfully followed their dharma teachers instruction by the Dharma ceremony, Daily Life Buddhism, and invoking the name of Avalokitesvara Bodhisattva. The awareness of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through Buddhist rituals and the presentation of Buddhist practice through the practice of Buddhism is different from traditional Korean Buddhism. Sangwols thought on the manifestation of Buddha natu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angwol suggested a practice method based on his own enlightenment and Dharma power. Second, he established the Cheontae Orders new mechanism for enlightenment as the practice of faith. Third, it is in the settlement of Daily Life Buddhism that Buddhist new activity and life can be achieved together. Finally, it is a practical way to pursue the enlightenment of the Buddha, which is a fundamental Buddhist goal. Sangwols thought, the manifestation of the Buddha nature, is the beginning of the new Buddhist movement because of the gloomy Buddhist period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presently his thought reveals the direction that Korean Buddhism should take in the future.

      • KCI등재

        조계종 표준본, ⾦剛經에 나타난 신행체계

        신명희 한국불교학회 2021 韓國佛敎學 Vol.100 No.-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investigate how faith and practice, as it ap- pears in the Diamond Sutra, has been organized and structured. The Diamond Sutra is a short scripture of the Zen sect of Buddhism (including the Jogye order). There have not been many theses written which includes Zen thought and the structure of faith and practice in the Diamond Sutra. As such, this manuscript is centered on that topic. “Diamond,” as the word has been used with respect to the Diamond sutra, means “supreme.” Just as a diamond is harder than all other materials and is thus capable of cutting through them, the prajna or wisdom of the sutra is similarly powerful, and able to cut through obsessions and reach nirvana. In this thesis, the structure of faith and practice in the Diamond Sutra is divided into four main parts. The first part concerns the bodhisattva as he converts the feeling of anguish into aspiration for Buddhahood. Here, sincere intention to attain spiritual awak- ening is important. In this way, with the intention to reach nirvana, the bodhisattva does not obsess over the liberating of others nor of giving alms. He em- bodies the practices related to non-abiding images and non-abiding mind. Furthermore, the intention to attain spiritual awakening is necessary and thus one must abide by the four boundless states of mind. Secondly, the bodhisattva must, through experience, learn of emptiness and no-self. Thirdly, the moral practices of the bodhisattva contains both awareness and merit. There is no mention of practice for the development of self, the bodhisattva practices for the benefit of all others so they may reach enlightenment. Of these bodhisattva practices, including the structure of faith, are the 6 paramitas and the five types of practices. Once these have been fulfilled the mueuibok (無爲福) should be pursued. Fourth, the bodhisattva makes the Pure Land majestic. The mind being made clear is the establishment of the Buddha-lands or the mind-only Pure Land. 이 논문은 『금강경』(鳩摩羅什 譯)에 나타난 내용을 토대로 어떻게 신행 체계가 구성되어 있고, 어떤 방식으로 전개되는가를 규명하려는 목적에서 작성되었다. 『금강경』이 선종(禪宗)의 소의경전이요, 우리나라 조계종의 종도들이 의지하는 경전임에도불구하고, 선사상이나 수행 · 신행과 관련된 논문이 많지 않다. 이에 본고는 『금강경』 에 나타난 신행 체계를 중심으로 논문이 작성되었다. 『금강경』의 경명(經名)인 ‘금강(⾦剛)’이란 무상(無上)을 의미한다. 금강(Diamond)이 어떤 금속성의 물건일지라도자를 수 있고, 파괴할 수 있는 능력을 갖고 있듯이 반야(般若 = ⾦剛)는 모든 집착을끊고 피안(彼岸)에 이르는 강한 힘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논문에서 『금강경』의 신행체계는 크게 네 가지로 나뉜다. 첫 번째로 보살은 번뇌심 ➜ 보리심으로 전환하는데, 먼저 발심이 중요하다. 이렇게 발심해서 해탈을 추구하는데 있어 보살은 중생을제도했다거나 보시했다는 집착이 없는 무주상(無住相) · 무주심(無住⼼)이 수반되어야한다. 한편 발심(發⼼)이 매우 중요한데, 발심하는데 주사심(住四⼼)을 구족해야 한다. 두 번째로 대승의 보살은 반드시 공(空)과 무아(無我)를 체득해야 한다. 세 번째로보살의 수행덕목이 지복겸수(智福兼修)인데, 자리적(⾃利的) 수행은 말할 것도 없고, 타인이 무여열반에 들도록 보살행을 실천해야 한다. 이 보살행의 수행 · 신행 덕목이육도와 오종수행인데, 이를 실천하여 무위복(無爲福)을 추구해야 한다. 네 번째로 보살은 정토를 장엄하는데, 마음을 청정하게 하는 것이 불국토를 건설하는 것[唯⼼淨⼟]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