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바퀴류의 화학적 특성 조사 및 항산화 효과

        김정은,김선곤,강성주,최향철 한국응용곤충학회 2015 한국응용곤충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각종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서식하는 바퀴류는 박테리아 등 미생물에 대항할 수 있는 유용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나 이를 이용한 산업화 관련 국내 연구는 거의 전무하다. 따라서 바퀴류로부터 기능성 소재 개발에 기초를 마련하고자 바퀴류의 화학적 특성 및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하였다. 바퀴류의 일반성분분석 결과 조단백은 이질바퀴가 33.49%로 가장 높았고, 조지방은 먹바퀴가 9.28%로 가장 높았다. 독일바퀴와 먹바퀴의 지방산 조성은 팔미트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 3종류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고 이중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과 리놀레산의 함량이 각각 독일바퀴는 28.35, 18.72, 먹바퀴는 28.91, 23.02였으며 이질바퀴는 43.52, 34.62%였다. 바퀴류의 필수아미노산 조성은 이질바퀴 3.83, 독일바퀴 6.43, 먹바퀴 7.33% 이었다. 바퀴류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먹바퀴동결건조 분말의 Methanol 추출원액이 90.61%로 가장 높았다.

      • KCI등재

        하이브리드 바퀴를 사용한 농업용 전방향 이동로봇의 설계

        이창준(Chang-Joon Lee),조재훈(Jae-Hoon Cho),김용태(Yong-Tae Kim)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21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31 No.1

        본 논문에서는 하이브리드 바퀴를 적용한 농업용 전방향 이동 로봇의 설계를 제안한다. 제안된 메커니즘은 특수 형태의 바퀴 구조를 가지며 노지 주행이 가능한 원통형 나사선 바퀴와 정비된 바닥면을 주행하기 위한 가변형 원형 바퀴의 융합된 구조를 가진다. 원통형 나사선 바퀴는 노지 주행이 가능하며 전방향 주행이 가능하도록 설계 하였으며, 가변형 원형 바퀴는 원통형 나사선 바퀴에 매립하여 접고 펼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나사선 바퀴를 제어하기 위해서 DC 모터와 타이밍 벨트를 활용하였으며, 가변형 원형 바퀴의 구동기는 나사선바퀴 중앙에 위치해 있으며 접힘과 펼침 기능을 제어한다. 제안하는 구동 메커니즘의 성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프로토 타입의 이동 로봇을 제작하였으며, 테스트 베드 에서 실험결과 노지 및 평지 주행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In this paper, we propose a design of an omnidirectional mobile robot for agriculture using hybrid wheels. The proposed mechanism has a special type of wheel structure. In addition, it has a fused structure of a cylindrical screw-wheel(CSW) capable of moving in the open field and a variable circular wheel(VCW) for moving on a flat floor surface. The CSW is designed to be able to move in the open field and in all directions. The VCW was embedded in the CSW and designed to be folded and unfolded. The CSW is controlled by a DC motor and timing belt, and the actuator of the VCW is located in the center of the CSW and controls folding and unfolding functions. In order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driving mechanism, a prototype mobile robot was manufactured, and the test results confirmed that it is possible to move in both open ground and on flat ground.

      • KCI등재

        病院棲息 바퀴에 대한 利用者 및 從事者의 認知度 調査

        柳滉建,李東圭 대한보건협회 1994 대한보건연구 Vol.20 No.2

        본 연구는 병원서식 바퀴에 대한 병원관련자들의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조사 대상자를 병원이용자와 병원종사자로 구분하고 각각의 대상에 대하여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하여 인지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기간은 바퀴의 생태상 가장 많이 출현하는 하계절을 포함하여 7월에서 9월 중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병원 이용자의 경우, 부산지역 소재 200병상 이상의 종합병원중 지역별로 무작위로 6개병원의 입원환자를 선정하였다. 조사수는 병원당 25명씩 총 15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이중 응답이 불성실한 36건을 제외한 115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병원종사자는 부산경남지역 소재 41개병원급 의료기관 종사자를 대상으로 최종 수집된 총 150건중 133건을 분석 자료로 이용하였다. 그 조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입원환자의 병원내 바퀴 발견 경험은 조사 대상자의 60.7%였고, 남자보다 여자가 (p<0.005) 그리고 연령이 낮을수록 바퀴 발견 경험 비율이 높았다. 2. 바퀴로 인한 개인별 피해는 환자의 경우 26.6%(29명), 직원의 경우 24.8%(33명)가 바퀴로 인한 알레르기를 경험했고, 종사자의 78.3%(101명)가 혐오감 등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p<0.05). 3. 점수화한 문항을 통하여 지식의 정도를 측정한 결과, 환자는 평균 70점, 직원의 경우 69점이었으며 바퀴구제와 관련된 지식은 주로 언론매체를 통하여 습득하고 있었다(45.0%) 4. 병원의 바퀴구제는 조사병원의 88.8%가 실시하고 있었고, 구제하는 병원의 55.1%가 용역회사에 정기적으로 용역을 주어 관리하고 있으며, 독이법인 약부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다(47.0%). 5. 환자(80.5%)와 직원(84.0%) 대상자들은 병원에서의 바퀴 등 위생곤충에 대한 관리와 더불어 이에 대한 교육과 홍보를 요구하고 있다. To determine knowledge and recognition of the patients and the staffs on the cockroaches in hospitals, a survey was made toward them by using questionnaires from July 1994 to September 1994. The patients and the staffs were randomly selected for the survey from 6 hospitals which have over 200 beds in Pusan and Kyungnam area. The sample numbers of the patients and the staffs were each 150. However, 115 and 133 questionnaires from the patients and the staffs, respectively, were used for the data analysis.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cockroach detection rate by the patients was 60.7% of them. The detection rates by female patients and the young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male patients and the older patients (p<0.005). 2. 26.6% of the patients and 24.8% of the staffs have had allergies from the cockroaches. Also, 78.3% of the staffs have mentally suffered from nuisance by the cockroaches (p<0.05). 3. The degrees of the knowledges on the cockroaches and the control methods were 70/100 at the patients and 69/100 at the staffs. Also, their knowledges were mainly obtained from mass media (45.0%). 4. The cockroach control was performed by 88.8% of the investigated hospitals and 55.1% of them contracted with the pest control operators to reduce the cockroach populations in the hospitals. The operators used mainly insecticidal baits for the cockroach control (47.0%). 5. The management and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cockroach control were required by the patients(80.5%) and the staffs(84.0%) in the hospitals.

      • KCI등재

        전방향성을 갖는 네 바퀴 이동로봇

        강수민,성영휘 한국융합신호처리학회 2022 융합신호처리학회 논문지 (JISPS) Vol.23 No.1

        전통적인 자동차 또는 전통적인 두 바퀴형 차동 구동 로봇은 기구적인 구조 때문에 이동 동작에 제한이 있을 수밖에 없다. 자동차 산업에서 내연기관 자동차가 전기차로 빠르게 전환되면서 자동차에 로봇 공학 기술의 적용이 활발하게 모색되고 있다. 로봇 공학 분야에서는 이동체의 자세를 변화시키지 않고도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전방향 이동로봇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주목할 만한 연구 결과들도 많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 이와 같은 전방향 이동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메카넘휠 등과 같은 특수한 형태의 바퀴를 사용해야 하는 제한점이 있다. 우리는 전방향 이동을 위한 특수한 바퀴를 사용하지 않고도 전방향성을 구현할 수 있는 두 바퀴를 갖는 모듈형 로봇을 제안하였었다. 본 논문에서는 모듈형 로봇 2대를 전후로 결합하여 네 바퀴를 갖는 전방향 이동로봇을 새로이 제안하였다. 제안된 로봇은 차동 구동 방식의 이동로봇으로 전자 브레이크를 사용하여 바퀴부와 로봇 몸체부를 선택적으로 분리, 결합하는 방식을 사용하며 두 개의 절대치형 엔코더와 네 개의 증분형 엔코더를 사용하여 로봇 바퀴부의 위치와 로봇 바퀴의 속도를 제어한다. 제안된 로봇은 일반적인 타이어 바퀴를 채택하고도 전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로봇을 실 제작하여 대각선 궤적과 정사각형 궤적에서의 주행 실험을 통하여 제안된 로봇의 유용성과 안정성을 검증하였다.

      • KCI등재

        바퀴에 대한 독먹이 제제의 야외 방제 효과

        Dong Kyu LEE 한국응용곤충학회 199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6 No.3

        5.0% micro-capsuled fenitrothion, 2.0% hydramethylnon, 또는 0.8% chlorpyrifos가 주요 활성 물질인 독먹이 제제의 방제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바퀴, Bfattella germanica (L)가 번식하고 있는 15개의 식당에서 8주동안 야외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바퀴 성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mIcro-capsuled fenitrothion 제제 (평균 82.8%)가 chlorpyrifos 제제 (평균 68.4%)보다 유의성 있게 높았으나 hydramethylnon 제제 (평균 86.1%)와는 거의 같은 효과를 보였다. 또한, 바퀴 자충에 대한 방제효과는 3가지 독먹이 제제가 거의 같은 유효성(평균 74.9- 82.8%)을 나타내였다. 독먹이 소모량을 조사한 결과, 8주 동안에 서식 바퀴에 의한 micro-capsuled fenitrothion 제제의 소모량은 0.11 g으로, 평균 90% 이상 남아 있었으나, hydramethylnon 제제는 바퀴에 의한 소비량(O.72g)이 현격하게 많아서 잔여량이 평균 57%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hydramethylnon의 살충 기작의 특성, 유인먹이의 재료, 서식 바퀴의 밀도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Bait formulations containing 50% micro-capsuled fenitrothion, 2.0% hydramethylnon or 0.8% chlorpyrifos were evaluated in an 8 week field experiment against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L). In German cockroach infested 15 restaurants, micro-capsuled fenitrothion (avg. 82.8%) was more effective at reducing adult German cockroach populations than chlorpyrifos (avg. 68.4%), but was about equally as effective as hydramethylnon(avg. 86.1%). The baits of micro-capsuled fenitrothion (avg. 76.5%), hydramethylnon (avg. 82.8%) and chlorpyrifos (avg. 74.9%) almost equally reduced nymphal German cockroach populations in the field. Most baits remained in the bait stations at the heavily infested restaurants after the 8 week treatments. However, the contents of hydramethylnon baits had been subject to significantly greatest consumption (0.72g) and the remaining bait was on the average of 57% by German cockroaches. It was assumed that the previous phenomenon of extra consumption of bait was explained by the infesting cockroaches continuously taking these baits because of the mode of action, the bait food material and the population densities of German cockroaches.

      • KCI등재

        모터 토크 추정을 통한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차량 제어 알고리즘 구현

        공정식(Jung-Shik Kong),이보희(Bo-Hee Lee),이응혁(Eung-Hyuk Lee),최흥호(Heung-Ho Choi) 한국지능시스템학회 2010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Vol.20 No.2

        본 논문은 능동형 보행보조기 이동시 사용자의 보행의지에 의해 바퀴에 걸리는 외력을 추정하여 보행보조기를 제어하기 위한 차량제어 알고리즘에 관한 논문이다. 최근 노인 인구의 증가로 인해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보행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보행보조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 동력이 없는 시스템으로써 경사 등의 공간에 취약성을 가지고 있다. 이에 능동형 보행보조기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나, 능동형 보행보조기의 경우 사용자의 의지 파악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아 보행보조기의 조종이 여의치 않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용자의 보행의지를 파악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장치를 연구 중에 있으나, 정확한 보행의지력 인지가 어려운 형편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보행의지력을 기존에 외부에 다양한 장치를 통해 인지하는 방법에서 벗어나, 특별한 장치 없이 차량의 바퀴에 걸리는 외력을 기초로 차량을 제어한다. 이를 위해 먼저 바퀴에 전달되는 전압과 바퀴의 현재 속도를 통해 바퀴에 걸리는 외력을 추정하고 이를 토대로 바퀴에 걸리는 외력을 추정한다. 이 추정된 외력을 기초로 사용자의 보행 속도와 방향을 추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This paper presents the control algorithm of active walking aids estimating external torque of the wheels from user's will. Nowadays, interest of the walking aids is increas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population of elder and handicapped person. Although many walking aids are developed, most of walking aids don’t have any actuators for its movement. However, general walking aids have weakness for its movement to upward/download direction of slope. To overcome the weakness of the general walking aids, many researches for active type walking aids are being progressed. Unfortunately it is difficult to precision control of walking will during its movement, because it is not easy to recognize user’s walking will. Many kinds of methods are proposed to recognize of user’s walking will. In this paper, we propose control algorithm of walking aids by using torque estimation from wheels. First, we measure wheel velocity and voltage at the walking aids. From these data, external forces are extracted. And then walking will that is included by walking velocity and direction is estimated. Finally, walking aids are controlled by these data. Here, all the processes are verified by simulation.

      • KCI등재

        바퀴(Blattella germanica L.)의 살충제 저항성에 관한 연구. I. 생물검정 방법에 따른 살충력 비교

        방종렬,이형래,김정화 한국응용곤충학회 1993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2 No.1

        바퀴 (Blattella germanica L.) 의 효과적인 방제대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자, 바퀴 방제에 사용되어지고 있는 6종의 살충제를 이용하여 생물검정 방법에 따른 살충력의 차이를 실험한 결과, Dry film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반수치사농도($LC_{50}$, ppm)가 chlorpyrifos 1.79, fenvalerate 1.87, propoxur 3.04, permethrin 4.37, DDVP 32.72, hydramethylnon 270.81로서 암컷 역시 같은 순위의 살충력을 보였다. 미량국소처리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반수치사약량( $LC_{50}$, $\mu$g/g)이 DDVP와 fenvalerate가 2.63, chlorpyrifos 3.79, permethrin 4.51, propoxur 6.73, hydramethylnon 44.99로써 암컷 역시 같은 순위의 살충력을 보였다. 식이법에 따른 약제의 살충력은 수컷 바퀴의 CT(Concentration % $\times$ $LC_{50}$)값의 비교에서 유기인계 살충제인 chlorpyrifos가 속효성이였고,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인 hydramethyInon은 지효성이 좋은 살충제로 선발되었다.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study effects of different bioassay methods on toxicity to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L.) ith six insecticides. For male adults, by dry film method, the {TEX}$LC_{50}${/TEX} value of chlorpyrifos. fenvalerate, propoxur, permethin, DDVP, and hydramethylnon was 1.79, 1.87, 3.04, 4.37, 32.72, and 270.81 ppm, respectively and the same tendency was shown in the female. For male adults, by topical micro-application method, the {TEX}$LD_{50}${/TEX} value of DDVP and fenvalerate, chlorpyrifls, permethrin, propoxur, hydramethylnon was 2.63, 3.79, 4.51, 6.73, 44.99 $\mu\textrm{g}$/g, respectively and the same tendency was shown in the female. From the diet toxicity method against male adults, the CT value (Concentration%$\times${TEX}$LT_{50}${/TEX}) showed that chlorpyrifos was rapid effective and hydramethylnon was residual effective.

      • KCI등재

        끈끈이 트랩(Trap)을 이용한 수원시내 바퀴 개체군의 서식처별 상대밀도 조사

        Myung-Soon Kim,Hyo-Sok Yu,Hung-Chul Kim 한국응용곤충학회 1995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34 No.4

        수원 지방에 서식하는 바퀴의 종류와 상대밀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수원 시내 7개 다른 서식처, 여관, 다방, 중식 음식점, 한식 음식점, 개인 병원, 아파트, 그리고 단독주택을 선정하여 끈끈이 트랩에 의한 바퀴의 채집과 서식처별 상대밀도조사를 1994년 2월부터 11월까지 실시하였다. 설치된 3,039개의 트랩 중 1,435개의 트랩에서 한마리 이상의 바퀴가 채집된 Positive Trap Rate(양성 트랩율)은 47.22%였다. 중식 음식점에서의 양성트랩율은 72.67%이었고, 채집된 바퀴의 수가 전 채집개체의 48.84%로 바퀴오염이 가장 심한 빈도를 나타내었다. 그에 비하여 한식 음식점, 아파트, 단독주택, 다방, 여관, 그리고 병원에서는 보다 조금 낮거나 매우 낮은 60.6%, 58.61%, 52.22%, 38.67%, 24.88% 그리고 17.54%로 각각 나타났다. B. germanica는 전 채집개체 수의 97.36%로 가장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으며, 55.01 개체/트랩/주의 평균 밀도를 보였다. 반면, 다른 종인 P. japonica, P. americana와 P. fuliginosa는 이보다 훨씬 낮은 2.35%, 0.14%, 0.14%를 보였다. 7개의 서로 다른 서식처에서 개체군 밀도를 조사해 본 결과 중식 음식점과 한식 음식점에서 20.56과 8.31개체/트랩/주라는 보다 높은 개체군 밀도가 관찰되었다. 그에 비해 아파트, 다방과 단독주택에서는 5.33, 3.79와 3.53 개체/트랩/주의 중간 범위 밀도가 조사되었고, 비교적 낮은 밀도가 병원(0.18 개체/트랩.주)과 여관(1.00 개체/트랩/주)으로 부터 관찰되었다. Cockroach survey on the relative density from 7 different habitats including hotel-ins, tea-rooms restaurants, hospitals, apartments, and resident hoses were conducted in 3 District(Ku) areas in Suwon city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through October, 1994. of a total of 3.039 trap sets, Cockroaches were collected from 1,435 traps, comprised of a 47.22% positive trap-rate. Chinese restaurants were shown to be the highest positive trap-rate of 72.67% of the total while the other habitats such as Korean restaurants, apartments, resident hoses, tea-rooms, hotel-inns, and hospitals were 60.67%, 58.61%, 52.22%, 38.67%, 24.88%, and 17.54%, respectively. Blattella germanica was shown to be the highest population density of 55.01 individuals/trap/week comprised of 97.36% of the total during survey period whereas the other 3 species, Periplaneta japonica, P. americana, and P. fuliginosa constituted in lesser extent of 2.35%, 0.14%, respectively. Of a total of 7 different cockroach breeding habitats, higher population density per trap/week was from restaurants with averages of 20.56 and 8.31 cockroaches from Chinese and Koran restaurants, respectively. An intermediate extent of density was observed from apartments, tea rooms and resident houses with 5.33, 3.79 and 3.53 individuals, respectively. Lower relative densities of cockroaches were observed from hospitals and hotel-inns with averages of 0.18 and 1.00 individuals per trap/week, respectively.

      • SCOPUSKCI등재

        바퀴 (Blattella germanica) 면역세포 부착과정시 세포골격의 역할에 관한 연구: 면역형광현미경법, 공초점 주사현미경, 전자현미경 홀마운트법

        이준재,이진수,서영록,박상찬,류재천,한성식 한국곤충학회 1999 Entomological Research Vol.29 No.2

        본 연구는 바퀴(Blattella germanica)를 대상으로 하여 곤충면역세포의 부착기전 연구의 일환으로, 바퀴면역세포의 이물질 부착시 필라멘트 액틴, 미세소관, 비멘틴의 변화를 형광현미경과 전자현미경, 그리고 공초점주사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미세소관은 부착 이전에는 marginal band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기질에 부착되면서 바닥에 망상구조로 펼쳐지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비멘틴은 부착 이전에는 조밀한 망상구조를 형성하고 있었으나, 부착시 면역세포의 형태를 따라 성긴 망상구조로 바뀌었으며, 특히 핵 부위에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특히 필라멘트 액틴의 변화가 두드러졌는데, 부착을 위해 뻗은 위족에서 주로 관찰되었고, 또한 부착이 끝난 면역세포에서도 면역세포의 부착을 강화시키는 스트레스 섬유형태의 필라멘트 액틴이 관찰되었다. 따라서 필라멘트 액틴은 바퀴 면역세포의 부착에 직접적으로 관여하는 위족의 주성분으로서 부착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미세소관은 면역세포형태유지, 그리고 중간섬유는 전체적 골격형성에 참여하고 특히 핵골격구조 유지에 주요한 역할을 담당함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로부터 바퀴 면역세포의 부착 현상은 위족의 주성분인 필라멘트 액틴의 형성이 유도되어 일어남을 알 수 있었다. 본 실험은 곤충의 세포성 면역작용시 외부이물질 인식에 의해 야기되는 면역세포의 구조적 변화에서 세포골격의 역할을 밝히는데 유용할 것이다. Immunocyte of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was used to study the role of cytoskeletons in cell adhesion to substratum and also the mechanism of filamentous actin reorganization during cell attachment. To reveal the role of cytoskeletons in immunocyte adhesion, conformational changes of filamentous actin, microtubule, and vimentin during cell attachment were observed by immunofluorescence and electron microscopes. Results from this study showed that filamentous actin was the major constituent of pseudopod which is the structure formed by cell for adherence. Stress fiber, a form of filamentous actin, was also observed in immunocyte after its complete attachment to substratum. Both results suggested filamentous actin played an important role as structural substances in cells during and after adhesion. Additionally, it was shown that microtubule formed a marginal band in non-attached cell. However, in attached cells, microtubule was spread on substratum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ell itself. The shape of vimentin, a kind of intermediate filament, was tightly formed network structure in non- attached cells. Moreover, in attached cells, it formed a loose network structure which was densely distributed in nuclear region. It was concluded that microtubule and vimentin were not directly involved in cell adhesion, and filamentous actin was the crucial type of cytoskeleton in cell attachment. In summary, adhesion or cockroach immunocyte to substratum occured by production of filamentous actin as the major constituent of pseudopod. The result from this study provided an information on the cytoskeleton roles involved in conformational changes of immunocyte during cellular immune reaction of insects.

      • SCOPUSKCI등재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Allatostatin cDNA in Central Nervous System and Midgut from the German Cockroach Blattella germanica

        Yang, Jae-Hyuck,Park, Joong-Cheol,Lee, Bong-Hee 한국곤충학회 2000 Entomological Research Vol.30 No.2

        본 연구는 독일바퀴(B. germanica)의 알라타체에서 유약호르몬 합성을 억제하는 allatostatin(AST)의 cDNA 분자적 특성을 규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먼저 독일바퀴의 중추신경계와 중장에서 total RNA를 분리하고 이어서 RT-PCR을 수행하여 AST cDNA 도서관을 만들었다. PCR 산물을 얻기 위하여 두바퀴벌레(D. punctata와 P. americana)의 보존서열로부터 디자인된 primer를 먼저 만들어서 PCR과 5'-RACE 및 3'-Race를 각각 수행하였다. 증폭된 DNA단편들은 pGEM-T Easy vector에 클론닝 하였고 이로부터 3개의 클론을 얻었다. 이 클론들의 염기서열을 결정하여 각각 나열한 결과 AST cDNA는 1,506개의 염기서열로 구성되며 이는 중추신경계와 중장에서 AST 합성에 필요한 375개 아미노산을 암호화할 수 있는 길이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독일바퀴 AST cDNA는 그 염기서열이 이미 발표된 다른 두 바퀴벌레(D. punctata와 P.americana)의 것과 각각 83%와 77%의 유사성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determine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Blattella germanica allatostatin (AST) inhibiting juvenile hormone (JH) biosynthesis by corpora allata (CA). In order to determine base sequence of coding region in AST gene a cDNA library was constructed by RT-PCR with total RNA purified from both central nervous system (CNS) and midgut of B. germanica. To get PCR products, PCR and 5'- and 3'-RACE were conducted using degenerated primers designed from the highly conserved region of AST genes from Diploptera punctata and Periplaneta americana. The amplified DNA fragments were subcloned into pGEM-T Easy vector and three cDNA clones obtained were sequenced. They were all composed of 1,506 bp which are able to encode 375 amino acids for synthesis of ASTs in the CNS and midgut of the adult german cockroach. The nucleotide sequence of AST cDNA obtained from B. germanica shows similarities of 83% and 77% to those from D. punctata and P. americana,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