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

        박주현,엄정희,손정민 한국환경생태학회 202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변화하는 도시 및 환경 문제, 기후변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인 바람길숲 조성과 관련하여 바람길숲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제도화 방안 및 부처별 연계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바람길 관련 용어를 포함하고 있는 법·제도를 검토하여 관련 계획 내에서 요구되는 바람길의 역할 및 상호관계를 파악하였으며, 바람길숲 관련 상위계획 및 바람길숲 기본계획에 대한 검토를 통해 현재 조성되고 있는 바람길숲의 문제점을 파악하여 바람길숲 관련 주요 쟁점을 도출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바람길숲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은 크게 바람길숲 법제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과 바람길숲의 실효성 있는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 나누어 법률 정비 및 보완 사항을 제안하였 다. 먼저 바람길숲 법제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는 1)용어의 정립 및 법적·제도적 근거 마련, 2)관련 계획과의 위계 정립 및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법적 근거 마련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바람길숲의 실효성 있는 활성화를 위한 제도화 방안으로는 1)지도화 된 공간자료 구축에 대한 법‧제도적 근거 마련 방안, 2)바람길숲 기본계획 수립지침 및 바림길숲 조성‧관리 가이드라인 마련의 필요성과 그 내용적 범위 등에 대해 제안하였다. 본 연구자료는 바람길숲 관련 법·제도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며, 바람길숲 기본계획의 제도화 연구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체계적인 바람길숲 조성과 관련하여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measures for institutionalization and its inter-departmental linkages to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wind corridor forests in response to changing urban environmental issues and climate change. For this purpose, the study reviewed laws and regulations containing terms related to urban wind corridors, identified the roles and relationships of wind corridor forests required in relevant plans, and assessed high-level and basic plans for wind corridor forests to identify issues in the current establishment of wind corridor forests and derive key issues related to them. Based on these results, institutionalization measures for legislating wind corridor forests and their effectiveness methods were suggested. This study proposes 1) defining terms and establishing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and 2) establishing hierarchies with related plans and a legal basis for the basic plan for wind corridor forest as an institutional plan for legalization of wind corridor forest, and 1) establishing a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 for constructing spatial data like analysis maps and 2) establishing the guidelines for the basic plan and for creating and managing wind corridor forests and their contents as an institutional plan for effective revitaliz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laws and regulations related to wind corridor forests and can contribute to the institutionalization research of basic plans. It is also hop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systematically constructing wind corridor forests.

      • 도시환경 여건분석에 기초한 바람길숲 조성계획 연구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성욱제(Sung, Uk-Je),엄정희(Eum, Jeong-Hee),손정민(Son, Jeong-Min),김주은(Kim, Ju-Eun),민진규(Min, Jin-Kyu),마동욱(Ma, Dong Uk),김진우(Kim, Jin Woo),정동수(Jung, Dong Soo),김성규(Kim, Sung Kyu) 한국측량학회 2021 한국측량학회 학술대회자료집 Vol.2021 No.11

        최근 폭염, 미세먼지 등 도시의 환경문제가 심각해짐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마련되고 있는 가운데, 산림청에서는 도시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전국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 도시 중 대구광역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숲 조성 여건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종합하여 바람길숲 조성계획을 마련하였다. 이를 위해 세부적으로 환경취약지역 분석, 바람길 분석, 바람길숲 분석을 진행했으며, 이를 종합하여 대구광역시의 전반적인 바람길숲 조성 여건 파악 및 세부 권역별 특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대구광역시는 외곽에 위치한 바람 생성숲이 풍부하여 바람형성이 원활했으나, 시가지 내부의 디딤·확산숲 및 연결숲이 부족하여 찬공기의 흐름이 도심까지 이어지지 못했기 때문에 이를 고려한 계획마련이 요구되었다. 또한 권역별 특징에 따라 적합한 바람길숲 조성 전략을 제시했는데 그 중 중부권의 경우 신규 바람길숲 조성을 위한 공간이 부족하므로 기존 건축물을 대상으로 옥상녹화 및 벽면녹화를 제안했으며, 신천대로, 달구벌대로 등 주요 도로 및 하천의 식재를 보완함으로써 바람흐름을 연결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구광역시의 원활한 바람길숲 조성사업 추진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시 내 녹지를 체계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관련 사업의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도시 열환경개선을 위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바람길 유동 비교 분석

        서보용 ( Bo-yong Seo ),정응호 ( Eung-ho Jung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7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0 No.2

        본 연구에서는 대구시를 사례로 도시내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성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3단계로 이루어졌는데, 1단계에서는 지역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간의 기상학적 관계를 비교하였다. 2단계에서는 도심지역과 교외지역으로 구분하여 국지적 바람유동의 변화를 비교·분석하였다. 3단계에서는 KLAM_21을 활용하여 국지적 바람유동과 도시공간전체의 바람길 형성 및 유동과의 공간적 관계에 대하여 비교·검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대표풍향(종관풍)과 국지적 바람유동 사이에는 기상학적으로 상관성이 낮았다. 둘째, 도심지역 5개와 교외지역 2개 측정지점에서의 국지적 바람유동에 대한 관측결과에서는 지점별로 다양한 풍향을 나타내었다. 이는 측정지점 인근에서의 공간지형적 특성이 국지적 바람유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KLAM_21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AWS 측정자료와 비교·검증한 결과 수치모델링분석의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검증한 도시의 국지적 바람유동은 도시열섬현상의 개선을 위한 공간적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는 요소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즉, 도시계획 수립시 공간지형적 특성에 따른 국지적 바람유동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이를 도시열섬발생지역과 공간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계획적 기법을 적용한다면 도시열섬현상을 효과적이며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d wind flows based on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 three-stage analysis was performed, starting with a comparison of meteorological relationships between local wind direction (synoptic wind) and local wind flow. In the second stage the study area was subdivided into districts and suburban districts to analyze the relative change of local wind flow. In stage three, the formation of wind corridor for local wind flow, wind flow for the entire urban space, and spatial relationships between flows were verified comparatively using KLAM_21. Three results are notable, the first of which is a low correlation between synoptic wind of a region, and local wind, flow in terms of meteorology. Secondly, observations of local wind flow at five downtown districts and two suburban districts showed that there were diverse wind directions at each measurement point. This indicates that th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areas neighboring the measurement points could affect the local wind flow. Thirdly, verifying the results analyzed using KLAM_21, compared to Atomatic Weather System(AWS) measurement data,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numerical modelling analysis. It was determined that local wind flow in a city performs a spatial function and role in ameliorating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This indicates that, when an urban planning project is designed, the urban heat island phenomena could be ameliorated effectively and sustainably if local wind flow caused by immediate spatial and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s confirmed systematically and techniques are intentionally applied to connect the flows spatially within areas where urban heat islands occur.

      • KCI등재

        도시 여건 분석을 통한 바람길숲 조성방향 제시 - 평택시를 사례로 -

        손정민 ( Jeong-min Son ),엄정희 ( Jeong-hee Eum ),성욱제 ( Uk-je Sung ),백준범 ( Jun-beom Baek ),김주은 ( Ju-eun Kim ),오정학 ( Jeong-hak Oh ) 한국지리정보학회 2020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3 No.4

        최근 도시의 미세먼지 및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으로써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숲인 바람길숲 조성사업이 전국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바람길숲 조성사업 대상 도시 중 하나인 평택시를 사례로 바람길숲 조성 여건 분석(미세먼지 및 열환경 취약지역, 바람길숲 분포 현황, 바람길 특성)을 수행하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평택시의 바람길숲 조성방향을 제안하였다. 미세먼지 및 열환경에 취약한 지역을 도출한 결과, 평택시의 동부생활권 내 시가지에서 미세먼지 및 열환경에 가장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미세먼지의 경우 평택화력발전소, 항만, 국도 1호선 등 산업단지 및 도로에서 배출량이 높았다. 바람길숲 현황을 파악한 결과, 평택시 내에는 소규모의 생성숲, 디딤·확산숲, 연결숲이 파편화되고 단절되어 분포하고 있었다. 평택시의 전반적인 바람길의 특징은 무봉산 등에서 생성된 찬공기가 평택시 내로 강하게 유입되고 북서방향으로 흘렀다. 따라서 평택시 내 존재하는 생성숲을 보전하고 장기적으로 확대해나가야 하며, 취약지역까지 찬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디딤·확산숲 및 연결숲 조성이 중요하였다. 또한 미세먼지 발생이 심각한 산업단지 및 도로에는 미세먼지 차단을 고려한 연결숲을 조성하여 주변 지역으로 미세먼지가 확산되지 않도록 식재기법을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평택시의 바람길숲 조성사업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타 도시숲 조성 관리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ecently, as a plan to improve the particulate matter and thermal environment in the city, urban forests acting as wind ventilation corridor(wind ventilation forest) are promoted nationwide. This study analyzed the conditions for the creation of wind ventilation forest(vulnerable areas of the particulate matter and thermal environment, distribution of wind ventilation forest, characteristics of ventilation corridor) of in Pyeongtae-si, one of the target cities of wind ventilation forest project. Based on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developing on the wind ventilation forest in Pyeongtaek-si was suggested. As a result of deriving areas vulnerable to particulate matter and thermal environment, it was most vulnerable in urban areas in the eastern area of Pyeongtaek-si. Especially, emissions were high from industrial complexes and roads such as the Pyeongtaek-si thermal power plant, ports, and the national road no. 1. The wind ventilation forest in Pyeongtaek-si was distributed with small-scale windgenerating forests, wind-spreading forests, and wind-connection forests fragmented and disconnected. The characteristic of the overall wind ventilation corridor in Pyeongtaek-si is that the cold air generated from Mt.Mubong, etc., strongly flowed into Pyeongtaek-si and flowed in the northwest direc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eserve and expand the wind-generating forests in Pyeongtaek-si in the long term, and it was important to create wind-spreading forests and wind-connection forests so that cold air could flow into the vulnerable area. In addition, in industrial complexes and roads where particulate matter is generated, planting techniques should be applied to prevent the spread of particulate matte to surrounding areas by creating wind-spreading forests considering the particulate matter blocking. This study can be used not only as the basis data for wind ventilation forest project in Pyeongtaek-si, but also as the basis data for urban forest creation and management.

      • KCI등재

        유역의 찬공기 특성을 고려한 도시 바람길 활용 전략 - 경기도 의정부 및 과천 일대를 사례로 -

        엄정희 ( Jeong-hee Eu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2

        본 연구는 찬공기 특성을 유역단위로 분석하고, 유역 내 생성되는 찬공기를 도시 바람길 계획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기도 지역의 북쪽에 위치한 중랑천 유역의 의정부시, 남쪽에 위치한 안양천 유역 및 양재천·탄천 유역의 과천시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활용하였으며,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중랑천 유역의 주요 바람길이 흐르는 곳에 위치해 있는 의정부시는 남쪽 외곽에서부터 유입된 찬공기가 의정부시 전체 바람길 계획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서쪽의 사패산 일대에서 생성된 찬공기는 시청 인근의 중심상업지구까지 유입되고 있어 도심의 열환경을 조절하는 주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반면, 의정부시 동쪽지역은 바람길 이용이 원활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동쪽의 관악산과 서쪽의 청계산 등에서 생성된 찬공기 흐름은 과천시의 북쪽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였는데, 이 흐름은 안양천 및 양재천·탄천 유역 전체에서도 주요한 바람길이다. 이에 비해, 찬공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은 남쪽지역에‘과천지식정보타운 공공주택지구’조성이 계획되어 있어 향후 이 지역의 주거환경이 저하될 가능성이 크다. 향후, 이 지역을 개발할 경우 상세한 바람길 분석을 통한 바람길 활용 계획을 추가적으로 수립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cold air characteristics in the watershed areas and to suggest strategies for utilizing them in urban ventilation corridor plans. For this purpose,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Uijeongbu-si in the nor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and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and Gwacheon-si in the southern part were selected as study areas.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Uijeongbu City is located on the main stream of the Jungnangcheon watershed, and the local cold air from the southern outskirts is an important part of Uijeongbu-si's overall ventilation corridor planning. In addition, the cold air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Mt. Sapae flows into the central business district near the city hall and plays a major role in regulating the thermal environment of the city. But, the cold air flows in the eastern part of Uijeongbu-si was not smoothly.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east of Gwanak Mountain and in the west of Cheonggye Mountain was the most active in the northern part of Gwacheon-si. This flow is also a major ventilation corridor in Anyangcheon watershed as well as Yangjaecheon·Tancheon watershed. But, the southern part where the cold air flow is not smooth is planed to be developed as 'Gwacheon Knowledge Information Town Public Housing District', so rapid development is expected in the future. Hence, it is suggested that an additional ventilation corridor plan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detailed local wind flow analysis.

      • KCI등재

        전주지역의 바람길 특성 분석 및 활용 방안

        엄정희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3

        본 연구는 폭염 및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계획요소인 바람길의 활용 가능성을 논의해보고자, 전주시를 대상으로 바람길의 특성을 분석하고, 바람길 활용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호남정맥에 위치하는 전주지역 일대의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 층 높이 등 찬공기 특성을 분석하였고, 전주시의 주요한 바람길을 특정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전주시 일대의 산림관리 및 도시계획 활용방안을 제안하였다. 찬공기 특성 분석을 위해 독일에서 개발된 모형인 KALM(Kaltluftabflussmodell)을 이용하여 야간 6시간 동안 생성되는 찬공기 흐름 및 찬공기층 높이를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전주시 외곽 북동쪽 및 동쪽에 위치한 산림에서 생성된 찬공기의 흐름이 뚜렷해지고, 계곡지역과 농경지 일대에서 찬공기층의 높이가 증가하였다. 특히, 전주시의 찬공기 흐름은 북동쪽과 동쪽에서 생성된 찬공기가 전주시 중심 시가지로 유입되어 남쪽으로 흘러나가는 형태를 가지고 있어, 이상적인 바람길 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례였다. 찬공기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찬공기 생성이 활발한 산림지역 일대를 ‘찬공기 보전지역’ 으로 지정하고, 원활한 찬공기 흐름을 위해 관리가 필요한 지역을 ‘찬공기 관리지역’으로 지정하여, 찬공기 흐름을 유지 및 확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전주시의 기후변화 적응 정책, 바람길숲 조성 사업 등 폭염과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정책 수립과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entilation corridor and propose its utilization strategies in Jeonju city in order to discuss how to utilize urban ventilation corridors as a planning factor for reducing heat wave impact and fine particle pollution. For these purposes, cold air characteristics such as cold air flow and height of cold air in Jeonju area located in the Honam Jeongmaek were analyzed and major ventilation corridors were specified. Based on them, we proposed mountain management strategies for securing and utilizing ventilation corridors. We used KALM (Kaltluftabflussmodell), a cold air simulation model developed in Germany and identified both the cold air flow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generated during 6 hours at night. As a result, the cold air flow generated in the forests located in the northeast and east sides of the Jeonju city became clear and the height of cold air layer increased in the valley terrain and farmland areas with time. In particular, Jeonju City has an ideal structure of urban ventilation corridor. Based on the results, the area where the cold air generation is active was designated as the 'cold air conservation area', and the area requiring the management for the good cold air flow was as the 'cold air management area'.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of policy making and research for reducing heat wave impact and fine particle pollution such as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y and urban forest plans for ventilation corridor composition.

      • KCI등재

        신륵사의 풍수입지와 바람길에 대한 연구

        이성수 ( Seong Su Lee ) 한국사진지리학회 2016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26 No.2

        신륵사는 대부분의 전통적인 사찰이 산속 깊은 정적인 공간에 위치하고 있는 것과는 달리 남한강변에 위치하여 뛰어난 풍광을 자랑한다. 그러나 신륵사 몇몇 지점은 지형적 결함이 있어 강바람과 북서풍에 취약한 조건이다. 특히 겨울에는 산에서 북서계절풍이 불고 여름에는 강에서 동남풍이 부는 바람길에 직접적으로 노출되고 있는데, 이는 사찰의 입지에서 매우 불리한 요인이 된다. 신륵사는 일찍부터 이러한 결함을 인지하고 바람길 지점에 전탑과 부도, 고목 등을 활용해 보완함으로서 바람길의 폐해를 최소화하고자 노력한 흔적을 볼 수 있다. 계측기기를 사용해 신륵사 경내의 풍향과 풍속 등을 측정해본 결과 신륵사 경내는 바람길 선상임에도 불구하고 바람이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이는 전탑과 고목 등의 비보 구조물에 의한 영향으로 보인다. 상대적으로 좌우측 능선은 바람길을 따라 형성된 북서풍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경내에 비해 1.5배 풍속이 강했으며, 돌풍이 자주 몰아치는 등 풍향과 풍속이 불안정하였다. 이로 인해 신륵사는 바람길에 위치한 불리한 환경을 극복하고자 비보의 방법을 적극 활용한 사찰이라는 것을 계량화된 방법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Silleuksa Temple, unlike most of the traditional Korean temples in the deep still space of the mountain, has its excellent scenery due to its location at the riverside of South Han River. But it has the condition vulnerable to the river wind and the northwesterly wind as it has its topographical defects at its several points. It is especially exposed directly to the wind way of both the northwest monsoon blowing from mountains in winter and the southeast wind blowing from the river in summer, acting as a factor very favorable to the location of the temple. Aware of these defects initially, it can be seen to have striven to minimize the harmful effects of the wind way by complementing them through the actual use of brick pagodas, budos and old trees, etc. at the point of the wind way. It attempted to measure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ind with the measuring instrument.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he precincts of Silleuksa Temple maintains the stable condition of the wind despite its location on the path of the wind way. This is seen to be attributed to the effects of such complementary structures as brick pagodas, old trees, etc. The right and left ridges of the location relatively had the highest proportion of the northwest wind formed along the wind way and had the wind speed 1.5 time as strong as that of its precincts. And it was unstable in the direction and speed of the wind because of the frequent outbreak of the gust, etc. Here, it could be explained in a quantified way that Silleuksa Temple has made active use of the method of complementation to overcome the unfavorable environment of its location on the wind way.

      • KCI등재

        미세먼지 저감대책으로서 바람길 적용 방안 : 세종시를 대상으로

        남성우(Seongwoo Nam),성선용(Sunyong Sung),박종순(Jong-Soon Park) 한국콘텐츠학회 202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0 No.3

        본 연구에서는 내륙 분지에 위치하여 대기 정체율이 높은 세종시를 대상으로 미세먼지의 저감을 위한 바람길의 적용방안을 도출하고 정책적 대안을 제시하였다. 도시내 바람길의 도입을 위해서는 첫째, 신도시 건설에 따른 신선한 대기의 변화 흐름을 파악하고 둘째, 도시공간에서 바람길을 확보함으로써 대기순환을 촉진해야함을 밝혀낼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전산유체역학모형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도시 건설 전과 후의 탁월풍의 풍속, 풍향 변화와 일몰 후 생성된 시원한 공기가 낮은 지대를 따라 흐르는 특성이 분석되었다. 이와 더불어 블록단위에서 바람길과 순응하는 건축물을 배치 시 미세먼지 저감 효과를 정량적으로 검증하였다. 모의실험을 통해 제시 가능한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 숲, 골짜기에서 내려오는 신선한 공기가 도시 안으로 원활히 유입, 분산되어 미세먼지 농도를 낮출 수 있도록 바람통로를 조성하고, 적절한 건축물 배치계획을 수립한다. 둘째, 미세먼지 농도가 낮은 지역에는 공원, 광장, 놀이터 등 공공시설들을 우선적으로 설치하여 미세먼지로부터 안전한 옥외활동을 유인하도록 한다. 마지막으로, 지구단위계획 등 도시계획 수립 과정에서 바람길 분석을 통해 최적의 대안을 마련할 것을 제안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ventilation corridor and derive adequate policy alternatives to its application for the city of Sejong, which is located in an inland of Korean Peninsula. In order to introduce the ventilation corridor in the city, it is necessary both to understand change on fresh air flow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new cities and to show its effects which are able to circulate air flow of the city. The study identified ventilation effects using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models. In particular, it analyzed change on wind speed and direction after constructing of a new town and cool air flow along the lowlands generated after sunset. In addition, it identified those of reducing particulate matter when arranging buildings conforming to the ventilation corridor at block level. The policy implications derived from simul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is desirable to plan ventilation corridors so that fresh air from mountains, forests, and valleys can flow into cities and mitigate the concentration of particulate matter. Furthermore, public facilities covering parks, plazas, and playgrounds should be installed preferentially to attract safe outdoor activities near to areas with low levels of particulate matter. Finally, it is adequate to prepare for a number of alternative plans by analyzing ventilation corridors when setting out district unit plan.

      • KCI등재

        도시 열환경 개선을 위한 바람길 관리 전략 - 김해시를 사례로 -

        엄정희,손정민,서경호,박경훈 한국지리정보학회 2018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1 No.1

        This study aims to propose management strategies of ventilation paths for improving urban thermal environments. For this purpose, Gimhae-si in Gyeongsangnamdo was selected as a study area. We analyzed hot spots and cool spots in Gimhae by using Landsat 8 satellite image data and spatial statistical analysis, and finally derived the vulnerable areas to thermal environment.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ventilation paths including wind direction and wind speed were analyzed by using data of the wind resource map provided by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 lot of hot spots were similar to those with weak wind such as Jinyoung-eup, Jillye-myeon, Juchon-myeon and the downtown area. Based on the analysis, management strategies of ventilation paths in Gimhye were presented as follows. Jinyoung-eup and Jillye-myeon with hot spot areas and week wind areas have a strong possibility that hot spot areas will be extended and strengthened, because industrial areas are being built. Hence, climate-friendly urban and architectural plans considering ventilation paths is required in these areas. In Juchon-myeon, where industrial complexes and agricultural complexes are located, climate-friendly plans are also required because high-rise apartment complexes and an urban development zone are planned, which may induce worse thermal environment in the future. It is expected that a planning of securing and enlarging ventilation paths will be established for climate-friendly urban management. and further the results will be utilized in urban renewal and environmental planning as well as urban basic plans. In addition, we expect that the results can be applied as basic data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plan and the evaluation system for climate-friendly urban development of Gimhye.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를 사례지역으로 선정하여, 열환경을 지속적으로 개선하기 위한 바람길 관리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Landsat 8 위성영상자료 및 공간통계 분석을 통해김해시 열섬의 Hot spot과 Cool spot 지역을 도출하고, 김해시의 열환경 취약지역을 파악하였다. 또한,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풍력자원지도를 활용하여 김해시 바람길의 풍향 및 풍속을 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Hot spot 지역인 진영읍, 진례면, 주촌면, 도심지 일대가 바람이 약한 지역과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도시의 기온과 바람 형성이 지형 및 토지이용의 변화에 따라 영향을많이 받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을 바탕으로 김해시의 바람길 관리 전략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Hot spot 지역과 바람이 약한 지역에는 공통적으로 농업 및 공업단지가 분포하고 있었는데, 산업단지가 조성되어 있거나 조성중인 진영읍과 진례면에서 Hot spot 지역이 확대·강화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길을 고려한 도시 및 건축계획이 요구된다. 산업단지 및 농공단지가 위치해 있는 주촌면은 고층 아파트 및 주촌선천지구 도시개발지구가 들어설 예정이므로, 현재에도 취약한열환경이 향후 더 악화될 수 있으므로 이를 고려한 계획이 요구된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기후친화적 도시개발을 위한 바람길 계획을 수립하여 도시기본계획뿐만 아니라 도시재생 및 환경계획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김해시의 기후변화 적응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및 기후친화적인 도시개발을 위한 평가시스템을 구축하는데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바람길숲의 유형별 분석 방안 - 대구광역시를 사례로 -

        엄정희,오정학,손정민,김권,백준범,이채연 한국지리정보학회 2019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22 No.4

        This study aims to suggest analysis schemes of urban forests acting as wind ventilation corridor(wind ventilation forest). For this purpose, wind corridor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ind-generating forests(WGF), wind-spreading forests (WSF), and wind-connecting forests(WCF), and they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ades. WGF, WSF and WCF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density of forest type map, vegetation index, and ventilation network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wind corridor forests for Daegu Metropolitan City(883.56㎢), the area of WGF was classified as 443.1㎢ and distributed in the northern and southern region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mong them, the first grade of WGF occupied the largest area(345.59㎢) and the highest rate(54.44%) in Dalseong-gun. On the other hand, WGF was not found in Jung-gu, because this administrative district is isolated from the forest area. WSF was 32.4㎢, which included representative urban parks of Daegu Metropolitan City, and WSF were found relatively much in Suseong-gu and Dalseong-gun. However, WSF were distributed throughout Metropolitan City, and the vegetation index was not high. The ventilation network that can form WCF included major rivers and roads in Daegu Metropolitan City, but this network was not connected to the urban park from the outer forest. Therefore, it was judged that the formation of WCF connecting WGF outside the city and WSF inside the city would be import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systematic wind corridor forest projects, and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stablishing guidelines for wind corridor forest analysis at national and local levels. 본 연구는 바람길숲의 유형별 분석 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도시 바람길숲을 바람 생성숲, 디딤·확산숲, 연결숲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특성에따른 등급화 기준을 바탕으로 3등급으로 분류하였다. 바람 생성숲은 임상도의 밀도를 기준으로, 디딤·확산숲은 식생활력도를 기준으로, 연결숲은 바람통로 네트워크를 기준으로 각각 세 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다. 대구광역시(883.56㎢)를 사례로 바람길숲을 분석한 결과, 바람 생성숲의 면적은 443.1㎢로 분류되었으며, 대구광역시의 북구 및 남쪽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그 중, 1등급바람 생성숲이 가장 많은 면적(345.59㎢)을 차지하였고, 달성군에서 가장 높은 비율(54.44%)을나타냈다. 반면 중구는 외곽의 산림지역과 단절되어 있기 때문에 생성숲이 존재하지 않았다. 디딤·확산숲의 면적은 32.4㎢로 대구광역시의 대표적인 도시공원 들이 포함되었으며, 수성구 및달성군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디딤·확산숲이 분포하였다. 하지만 디딤·확산숲은 대구시 전역에분산적으로 분포되어 있고 식생지수가 높지 않았다. 연결숲 조성이 가능한 바람통로 네트워크는대구광역시의 주요 하천, 도로 주변이 포함되었는데, 이러한 네트워크가 외곽 산림에서 도시공원으로 연결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대구광역시는 도시 외곽의 바람 생성숲과 도시 내부의 디딤·확산숲을 연결하는 연결숲 조성이 중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체계적인 바람길숲조성사업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국가 및 지자체 단위에서 바람길숲 분석에대한 가이드라인 작성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