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로 관련 북한 ‘민요풍 노래’의 음악적 검토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8 No.-

        본고는 북한에서 창작되어 불려온 민요풍의 노래 중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의 가사와 음악 어법을 검토해 본 글이다. 먼저 『조선민족음악전집-민요풍의 노래편 1』과 『풍어기 휘날리며』에 소개된 노래 중 가사의 분석을 통해 어로관련 민요풍 노래 35곡을 찾고 여기에 구현된 어로의 종류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노젓기나 그물 내리고 올리기, 그리고 고기 푸는 작업과 갯가에서 행했던 어패류와 해조류의 채취등의 내용을 담은 노래들을 찾을 수 있었고, 어업노동요의 대부분이 담겨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이한 것은 북한에서 <녀성호>라는 배에 여성들만 승선하여 고기잡이를 하는 배가 있었으며, 이와 관련된 노래가 두 곡이 보였다. 다음으로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의 리듬형을 검토해 보았다. 노젓는 내용이 담긴 노래에서는 전통민요와 달리 3박 계통의 장단형이 사용되어 노동요적인 성격을 갖는 것으로 볼 수 없었다. 그물작업과 관련된 노래 역시 2박 계통의 리듬형을 사용하는데, 민요풍 노래에서는 2박계통의 휘모리장단과 안땅장단과 혼합박 구조인 엇모리장단, 그리고 세마치장단형도 보였다. 여성들의 그물만드는 작업과 관련된 노래는 3박계통의 리듬형인 굿거리장단이 사용되었다. 그리고 갯가에서 굴을 따거나 해조류를 채취하는 작업을 그린 노래는 3박 계통의 만장단, 중중모리장단 등이 사용되었다. 마지막으로 만선과 풍어를 기원하는 내용을 담은 노래에는 2박 계통의 휘모리장단이나 안땅장단의 곡과, 3/4박자 등으로 표기되는 양산도장단, 그리고 중중모리나 굿거리, 타령장단이 사용된 것을 볼 수 있었다.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의 음계와 선법을 살펴본 결과, 수심가토리의 곡이 1, 메나리토리의 곡이 5곡, 메나리토리와 같은 음계를 사용하나 선율진행에서 반경토리적인 요소가 보이는 곡이 12곡, 육자배기토리 노래 1곡, 경토리로 이루어진 노래 10곡, 그리고 메나리토리와 육자배기토리가 혼합된 형태의 노래가 6곡이였다.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에서는 7음음계의 곡은 전혀 보이지 않고 신경토리의 곡도 2곡에 불과하여 1990년대 이후의 민요풍 노래와는 다른 모습을 갖는다. 한편 어로 관련 민요풍 노래 중에는 <명태실이>처럼 가사와 음악어법이 안맞는 경우도 있었고, <그물을 뜨세나>처럼 장단과 선법이 맞지 않는 경우도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북한에서 민요풍 노래가 창작되는 과정을 『조선음악』에 개재된 텍스트를 통해 확인해 본 결과, 당의 교시와 새로운 음악창작 정책이 있은 후 창작가들은 당의 정책과 수령의 교시를 숙지하여야 함을 알았다. 그리고 당정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로 생활에 깊이 침투하여 바다 생활의 아름다움과 진실, 생산과 전진을 고무시킬 수 있는 노래를 만들되, 그 노래가 민족적인 선율에 바탕을 두고 창작되어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바다에서의 어로와 관련된 민요풍 노래는 천리마시대에 급격하게 많이 창작되었던 민요풍 노래에는 내용과 음악이 불일치하거나 음악어법에 맞지 않은 노래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는 전통사회와는 다른 음악환경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is writing was to review the lyrics and musical expression of the minyo(folk song)-style songs related to fishery among the ones created and sung in North Korea First of all, through the analysis on the lyrics of the songs introduced at 『The complete works of Joseon national music–minyo-style song 1』 and 『Flap the good catch』, a total of 35 minyo-style songs connected with fishery were identified and the kinds of fishing expressed in the songs were examined. As a result, the songs could be revealed depicting rowing, casting and lifting a net, scooping fish and gathering fish, shellfish and seaweed, and they possessed most of folk songs about fishing work. What was noted was that there were fishing boats called ‘Lady’ in North Korea in which only women could come aboard and two songs could be related to this boat. Next, rhythmic modes of the fishery minyo-style songs was examined. The songs including rowing used triple rhythm beat and showed no feature of work folk song. Netting songs also employed rhythm of binary beat, which was used in Hwimori Beat(휘모리장단), Anddan Beat(안땅장단), Utmori Beat(엇모리장단), a kind of vermischte taktart(혼합박자), and Semachi Beat(세마치장단). The songs in connection with the work of making nets by women used Gutgeori Beat, a triple rhythm beat. And the songs representing picking oysters and collecting seaweeds expressed Man Beat(만장단) and Joongjoongmori Beat(중중모리장단), a triple rhythm beat. Finally, the songs wishing for the big catch and returning with a full load of fish could be seen using wimori Beat(휘모리장단), Anddan Beat(안땅장단), rhythm of binary beat, Yangsando Beat, three-quarter time, along with Joongjoongmori Beat(중중모리장단) and Gutgeori Beat, a triple rhythm beat.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scale and mode of the minyo-style songs concerning fishery, there were one song consisting of Susimgatori, five ones of Menaritori, twelve songs which used the same scale with Menaritori but showed the similar mode with bangeongtori, one song comprising Yukjabaegitori, ten songs of Geongtori and six songs in combination of Menaritori and Yukjabaegitori. Among the minyo-style songs regarding fishery, there were no songs with heptatonic scale and no more than two songs of Singeongtori, which suggested that these songs had different aspects from those after 1990s. Meanwhile, among the minyo-style songs concerning fishery, it was confirmed that the song like ‘Meongtaesilee’ showed inconsistency in lyrics and musical expression and in case of <Let’s Make a Net>, beat did not match the mode. Lastly, judging from the outcome of the confirmation on the creative process of minyo-style songs in North Korea through the texts in 『Joseon Music』, the creative writers had no choice but to obey the party’s policy and their top leader’s direction after the announcement of a new musical creation policy and the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party’s policy and subsequent penetration into the fishing life, had to not only make the songs to depict the beauty and truth of sea life and encourage the production and progress, but they also based their songs on the national melody. However, a lot of minyo-style songs which were produced dramatically in the period of ‘Chollima movement’ showed discordance between content and music and errors in musical expressions, which was thought to be affected by the musical environment different from that of traditional society.

      • KCI등재

        북한 고등중학교 민요 교육의 음악적 고찰

        배인교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5 No.-

        This paper carries out in-depth anaysis of folksongs in school music textbooks of North Korea to find aspects of folk songs used for senior middle school as well as its significations in national music education. Folksongs are found in the music textbooks of senior middle schools in the section of concepts, tonal structure, instrumental music, singing, music appreciations. The scope of folksong concept used in the textbooks are broader without presenting any subcategory in North Korea. Whereas folksongs are classified into a few kinds and explanation how such category has developed and the characteristics are detailed with example songs in the textbook of South Korea. Regarding tonal structur, focus is placed on tonal composition more than regional chracteristics of folksongs. No explanation is found on the folksongs of Pyeongan Province and Jeolla Province. Unlike South Korea where Singyeongtori is understood as a variant of Jingyeongtori, the opposite is true in North Korea. Such understanding should originate in process of music theorization based mainly on western music system and accepting music in singyeongtori without questioning. No traditional folksongs are used in the textbook of senior middle school in North Korea. Modified folksongs from traditional folksongs or Sinminyo(new folksongs) and folksong style songs composed in Sinminyostyle are included as folksongs in the textbooks. Except for one song <Pulmu Taryong> in Menaritory, all other songs are in Gyeongtori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of each folksongs are not considered. In the society of Socialism, where nationalism served as main ideology, folksong’s education in senior middle schools of North Korea should abide by such political and social atmosphere. The principle of accepting national culture began from 1964 that only progressive and people-oriented traditional aspects will be critically transmitted and preserved. Such criteria has been applied to folksongs where songs created in the lives of common people were cherished and lyric changing was taken for granted to reflect the circumstance of the times. It can be concluded that ever since the “Joseon People First Policy”, folksongs with strong national taste have been used as means to enhance the “Joseon People First Policy”.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 분석의 틀을 벗어나 북한의 학제 중 고등중학교의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를 심층 분석함으로써 북한 고등중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민요의 양상과 북한의 민족음악교육에서 민요의 교육의 의미를 찾아보았다. 북한 고등중학교의 음악교과서에서 민요는 개념, 음조직, 기악 가창 감상 영역의 제재곡에서 발견된다. 북한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의 ‘민요’ 개념을 남한의 것과 비교해 보면, 남한의 것에 비해 그 설명하는 범위가 넓고, 하위범주를 제시하지 않은 반면에 남한 음악교과서의 ‘민요’는 민요의 개념을 나누어 장르의 형성과정과 특성, 그리고 각각의 개념에 맞는 예시곡을 제시하고 있어 차이가 있었다. 교과서에 수록된 민요의 음조직과 관련된 설명에서 민요의 지역적 특성보다는 음구조에 집중되어 있으며, 평안도 지방과 전라도 지방의 민요에 대한 설명이 없었다. 또한 남한에서는 진경토리의 변형으로 인식하고 있는 신경토리에 대해 북한에서는 신경토리를 원형으로 진경토리를 변형으로 보고 있었다. 이러한 인식은 체제 형성기 서양 음악 위주로 이루어진 이론화 작업, 그리고 신경토리 음악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의 결과로 파악하였다. 북한 고등중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민요 제재곡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에서 수록하고 있는 민요는 전통민요 그대로를 사용한 경우는 없으며, 전통민요와 신민요를 개작한 개작민요와 신민요스타일로 만들어낸 민요풍의 노래가 사용되었음을 보았다. 또한 음구성으로 보아 메나리토리로 보이는 <풀무타령> 한 곡을 제외하고는 모두 경토리 선율의 곡이었으며, 지역성도 무시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북한 고등중학교 민요 교육은 북한이 사회주의 체제 속에서 민족주의를 강조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와 맞물린다. 1946년부터 시작된 북한의 민족문화수용원칙인 전통문화유산 중 진보적이고 인민적인 것을 비판적으로 계승발전시키다는 원칙은 민요에 적용되어 피지배 인민들의 삶 속에서 만들어진 민요를 중시하되, 노래에 현 시대의 내용을 담기위해 가사의 개작을 당연시 해왔다. 또한 조선민족제일주의가 주창된 이후 북한에서는 민족적 색채가 강한 민요의 강조를 통해 조선민족제일주의의 강화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귀결된다고 하겠다.

      • KCI등재

        경북 문경시 금명효 민요 가창자 연구

        최자운(Choi, Ja-un)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경상북도 무형문화재 <문경 모전들소리> 46호로 지정된 농요(農謠)들은 문경 토박이 고(故) 양수봉(1925~2012) 구연본에 바탕을 두고 있다. 금명효(1981)가 그에게 소리를 배워 공연 프로그램으로 연출하고, 모전농악단원들이 실연에 옮기게 되면서 양수봉의 소리는 지역 대표 민요로 변환되었다. 사적(私的) 소리가 공적(公的) 차원의 소리로 부활할 때 선소리를 메긴 개인과 민속예술축제에 참가한 단체가 중요한 역할을 했다. 민요는 개인과 단체의 공명을 통해 발현된다. 개인들이 모여 단체를 이룬다는 점에서 민요의 출발점은 개별 가창자이다. 여기서는 경북 무형문화재 <문경 모전들소리>의 출발점에 해당하는 금명효(1981)의 민요 관련 개인사, 현재 구연 활동 상황을 살핀 뒤 소리꾼으로의 면모를 적극적 학습 태도와 창조적 사설 구연 능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금명효는 10대에 경북 상주 고향 마을에서 고사(告祀)소리 및 장례의식요를 익혔다. 20대 후반 양수봉으로부터 지역 전래 민요를 배워 <문경 모전들소리>를 연출했고, 30대부터 실제 현장 및 들소리보존회 공연 등에서 여러가지 민요를 구연하고 있다. 회원 및 지역 내 초등학생 대상 민요 교육도 빠질 수 없는 민요 활동 중 하나이다. 전통적으로 선소리꾼의 요건은 청과 문서를 꼽는다. 타고난 목청이 좋고, 막힘없이 노래를 이어갈 수 있어야 선소리꾼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그는 실제 현장 및 공연에서 소리를 메길 때 전체 소리의 반 이상은 구연 현장에 부합하는 사설을 즉흥적으로 구연한다. 그가 선소리꾼으로서의 자질을 갖추는데 개인적 능력과 함께, 변상득, 박재춘, 새암집 할매와 같은 가창자들의 영향도 중요하게 작용했다. This thesis addressed characteristic of the Folk song singer, Geum Myung-Hyo(1981) who is born in Sangju. He is in full play as a member of the preservation society. Home village people maintained traditional folk song in Sangju. As a boy he had sung Gosasori, Sangyeosori. He showed an enthusiastic attitude to learn folk song. When he learned folk song, He has help from Mojeon nongak band in his late twenties. president Kim Jae-soo recommended to learn folk song in 2010. He has a good influence on members. He is participating in a Mungyung MojeonDeolsori performance and singing song of Jisinbapgi and funeral song in real spot. He is carring out folk song voluntary service. After consultation Geum Myung-Hyo produced performance program. He played a central role to establish. Since foundation preservation society was invigorated. Members tend to follow his opinion. Geum Myung-Hyo sung various rite and work songs With members. He gave consideration to purpose and response. His song was improvised. Because he has diverse experiences, He could utilize Various narrator.

      • KCI등재

        초ㆍ중ㆍ고 음악교육을 위한 제주 민요 제재곡 개발

        신은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민요는 민중들의 삶 가장 가까이에 있는 음악 장르로, 그들의 삶의 모습과 생각이 그대로 투영되어 있어, 단순한 음악을 넘어 민족의 역사이자 문화로서 큰 의미를 갖는다. 때문에, 초, 중, 고교 음악 교육에서 민요는 매우 비중 있게 다뤄지고 있고, 보다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각 지역의 다양한 향토민요가 발굴, 활용되고 있다. 2015 개정 초․중․고 음악교과서의 제주 민요 수록 양상을 살펴보면, 수록 곡 수도 타지 역에 비하여 적고, 가장 많은 교과서에 수록되고 있는 <너영나영>, <오돌또기>, <멸치후리는 소리>의 경우 제주 향토 민요로서 대표성을 띠기에 다소 부적절하다. 교과서 내 제주 민요에 대한 설명 역시 노랫말에 제주 특유의 방언이 사용된다거나 어업요가 많다는 음악 외적인 설명이 대부분이다. 이에, 제주 민요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한 새로운 가창 제재곡이 개발되 어야 할 필요성이 절실한 바, 제주 본토의 민요이면서, 제주 전역에서 널리 불려 왔고, 제주 의 문화와 제주민의 삶을 잘 보여줄 수 있으며, 제주 특유의 음악 어법을 보유하고 있는 민요 인 <애기흥그는소리>, <자진사대소리>, <밭밟는소리>를 새로운 음악 교과 제재곡으로 제안 하였다. <애기흥그는소리>는 제주도민이면 누구나 부르고 들었던 소리로, ‘삼승할망’이나 ‘애기구 덕’과 같이 제주의 신앙이나 풍속을 더불어 살펴볼 수 있으며, 가창 제재곡으로 활용하기에 무리 없는 비교적 규칙적인 박자 구조와 단순한 선율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 특유의 도선법 으로 이루어져 있는 점이나 각 선율 단락이 고음으로 시작하여 점차 하행하고, 최저음에 머 물러 종지하는 선율형을 이루는 점에서도 제주 음악 어법을 설명하기에 적절하다. <자진사대소리(른사대)>는 밭농사를 주로 하는 제주 지역의 농경문화를 잘 보여주며, 제주 전역에 걸쳐 불렸던 밭매는소리로,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16호로 지정되어 있 다. 선후창의 가창 방식과 유절형식의 반복되는 선율 구조 및 3소박 4박자의 규칙적인 박자 를 가져, 가창 제재곡으로 활용하기에 적절하다. <밭밟는소리>는 자유리듬 형태이며, 선율도 꾸밈이 많고 복잡하여, 가창 제재곡으로 활용 하기에는 적합하지 않으나, 제주도의 자연 환경과 그에 따른 특유의 농사법과 관련된 제주 고유의 민요이며, 제주 전역에서 불렸고,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도 지정되어 있다. 음 악적으로도 제주 특유의 ‘도선법’으로 선율이 구성되어 있어, 육지의 민요 토리와 구분하여 학습이 가능하므로, 감상 제재곡으로 활용할 수 있다. 민요가 갖는 교육적인 가치를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 적절한 악곡의 선정은 매우 중요하 다. 제주 지역은 육지와는 구별된 독특한 문화를 간직하고 있는 만큼, 이를 잘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향토민요의 발굴이 그 어느 지역보다 절실하게 요구된다. 본고에서 <애기흥그는소 리>, <자진사대소리>, <밭밟는소리> 세 곡의 민요를 새로운 제주 민요 제재곡으로 제시하였 으나, 각 학교급 수준에 따른 구체적인 활용 방안으로까지 나가지 못한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의 연구과제로 남겨두며, 더 많은 새로운 제재곡들이 개발되어 초ㆍ중ㆍ 고 음악교육에 활용될 수 있기를 바란다. Folk songs are a genre of music closest to the lives of Korean people, reflecting the aspects and thoughts of their lives. Thus, folk songs have a great significance as the nation’s history and culture beyond just music. Because of this, they are treated with great importance in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various local folk songs from each region are being discovered and utilized for more effective learning. Observing Jeju folk songs listed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music textbooks published on the ba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number of Jeju folk songs listed are less than that of other regions, and <Neoyoung Nayoung>, <Odoltogi>, <Myeolchi hurinun sori> included in the textbooks the most are somewhat inadequate to become a representative of Jeju local folk songs. The description of Jeju folk songs in the textbooks is mostly regarding non-musical content that Jeju-specific dialect is used in the lyrics and there are many fishermen’s songs. Accordingly, the need to develop new vocal music for the effective education of Jeju folk songs is emergent. This study proposed as new vocal pieces for song materials <Aegiheungunun Sori>, <Jajinsadae Sori>, <Batbabnun Sori>, the folk songs that are native songs of Jeju, has been widely sung all over Jeju, can reflect the culture of Jeju and the lives of the Jeju people, and possesses Jeju’s intrinsic music grammar. <Aegiheungunun Sori> was a song sung and heard by any Jeju people, which one can see Jeju's beliefs or customs along with 'Samseunghalmang' and 'Aegigudeok'. It is composed of a relatively regular rhythm structure and a simple tune that are appropriate to be used as a vocal song for learning materials. As it is composed of Jeju's unique ‘Do-mode,’ and each melodic phrase starts from a high note, gradually descends, and stays on the lowest note for a cadence, the song is adequate to explain Jeju's music grammar. <Jajinsadae Sori(jjareunsadae)> is the sound of weeding a field that has been sung throughout Jeju, showing Jeju's agricultural culture of dry-field farming. It is designated as the 16th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Due to the call and response singing style, the repeated melodic structure of the strophic form,and the regular rhythm of 4 beats with each beat consisting of 3 sub-beats, it is appropriate for a vocal piece as song materials. <Batbabnun Sori> has a complicated melody with embellishment in the form of free rhythm thus not being adequate to be used as a vocal song. However, this is a Jeju's native folk song related to Jeju's natural environment and its corresponding farming method, sung by the Jeju people. It is designated as the Intangible Cultural Property of Jeju. As its tune is musically composed of the Jeju distinct mode, 'Do-mode,' and it is possible to learn from the difference of the folk song tori of the continent, it can be used as song materials for music appreciation. To properly realize the educational value of folk songs, it is very important to select an appropriate piece of music. As Jeju has a unique culture differentiated from the continent, the discovery of various local folk songs that can represent the culture well is more urgent than any other region. The study presented the three folk songs, <Aegiheungunun Sori>, <Jajinsadae Sori>, and <Batbabnun Sori>, as new Jeju folk songs for learning materials, but it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reach to specific application plans for each school level. That will be left for future research projects. It is expected that more new song materials are developed and discovered to be used for music educa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 KCI등재

        전공자를 위한 대학 민요 교육 현황과 문제

        이용식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1 No.-

        Japga (literally “miscellaneous songs”) is the song for the professional folk singers. It has entered the university education later than other vocal genres that is still treated as peripheral music. In this sense, the serious study of the suitable curriculum for the folk songs in the college level is still not sufficient. The modern folk song education began in gwonbeon, the educational institution for female entertainers. They taught gagok (long lyrial song) and sijo (short lyrical song) in the first year and other folk songs in the second year. It means that the gagok and sijo are the elemental songs of the traditional music for the vocalization and breathing of the songs are the basic methods for the vocal music. The curriculum for the folk song major students of Gyeonggi minyo (Gyeonggi regional folk song) and Seodo minyo (“western folk song”) in the university education is rather arbitrary than systematic. It is due to the lack of serious study of the degree of difficulty among the folk songs to be taught. The Namdo minyo (“southern folk song”) has been thought to be affiliated to the pansori (epic vocal music) singers and has not been taught in most colleges. The folk song major students do not have sufficient chances to learn the various genres they need to learn in college that they are seriously depend upon their private lesson teachers during their college years. For the effective college education for the folk song major students, there must be full-time professors in the universities. The curriculum in the college education should be improved based on the serious study of the degree of difficulty among the folk songs. 전공자가 부르는 민요는 대학 교육 과정에 늦게 편입되어 여전히 주변부 음악으로 취급받고 있다. 그렇다보니 전공자를 위한 대학 민요 교육의 적절한 교과과정에 대한 심각한 논의도 아직 부족한 현실이다. 이글에서는 민요 전공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통 교육과정을 검토하고, 현재 대학에서 시행중인 전공자를 위한 교과과정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향후의 바람직한 교육적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근대식 민요 교육은 일제강점기 권번에서 이루어졌다. 권번에서는 1년급에 가곡과 시조를 가르치고, 2년급에야 잡가 등의 민요를 가르친다. 즉, 가곡과 시조는 전통사회에서 노래의 기초가 된다. 이는 가곡과 시조의 발성법, 호흡법, 창법이 노래의 기초가 되기 때문일 것이다. 현재 대학에서 경기민요 및 서도민요 전공자를 위한 교과과정은 체계적이라기보다는 임의적이다. 이는 대학 교과과정에서 학습해야 하는 노래의 난이도에 대한 실제적인 연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더욱이 남도민요는 판소리 전공자가 겸창한다는 인식으로 인해 대학에서 거의 체계적인 교육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민요 전공자가 대학 졸업 후에 무대에서 통속민요를 부를 기회가 많은데도 불구하고 대학 교육에서는 이에 대한 교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현실이다. 게다가 대학 교과과정에서 필요한 노래갈래를 모두 배우지 못하기 때문에 개인적으로 별도의 ‘레슨 선생’에 대한 의존도가 매우 높아서 학생들은 이중교육의 폐해를 입는다. 향후 대학에서의 민요 전공자 교과과정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는 민요 전공 전임교수가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대학 교과과정에서 민요의 난이도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를 통해 체계적인 교과과정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일본민요대관(日本民謡大観)』의 체제와 기능

        임혜정(Im, Hye-jung) 한국민요학회 2021 한국민요학 Vol.63 No.-

        『일본민요대관(日本民謡大観)』은 NHK의 주도하에 전국적인 규모로 이루어진 일본 민요 수집 작업의 결과물이다. 녹음 기술, 지역 네트워크의 활용 등의 측면에서 본다면 방송국에 의한 『일본민요대관』의 출판은 일본 민요의 조사 및 수집에 있어서 매우 긍정적인 역할을 했다. 『일본민요대관』 편찬 작업에는 마치다 카쇼(町田嘉章), 고이즈미 후미오(小泉文夫) 등 음악학자들의 영향력이 지대했다. 이들에 의해 19세기 후반 이후 20세기까지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민요, 전국 각지의 이름 없는 민요까지도 포함될 수 있었다. 그 결과 『일본민요대관』은 일본 민요의 백과사전이라는 일차적인 기능은 물론이고 민요라는 음악이 수반되는 일본 민속의 종적, 횡적 양상을 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서의 기능도 지니게 되었다. 『일본민요대관』의 편찬을 위해 수집 대상 민요의 선정 및 채보 방식의 고민, 그리고 분석 등 일본 민요에 대한 음악학적 연구가 함께 진행되었다. 실제로 후지이 키요미(藤井清水)와 마치다 카쇼가 지지했던 채보 방식 및 음계 이론은 『일본민요대관』의 본토편까지 적용된 이후 오키나와․아마미편에서는 고이즈미 후미오의 이론으로 대체된다. 고이즈미 후미오가 오키나와․아마미편에 적용한 음계이론은 그 이전에 후지이 키요미와 마치다 카쇼가 진행했던 『일본민요대관』의 본토편 작업 결과물이 데이터로서 기반이 되어 이루어졌다고도 볼 수 있다. 이렇게 『일본민요대관』은 일본 민요에 관한 연구, 그 중에서도 특히 음악학적인 연구 발전에 있어서 중요한 자료로서 활용되어 왔다. Nippon Minyo Taikan日本民謡大観 is the result of collecting Japanese folk songs on a nationwide scale and recording melodies by voice recording under the leadership of NHK. The collection of folk songs started in the 1930s and was completed over a period of more than half a century until 1993, when the last completed version, Amamishotohen奄美諸島篇 was published. Of course, as it is a business conducted by a broadcasting station, the purpose of utilization in broadcasting programs cannot be denied. However, in terms of recording technology and utilization of local networks, the participation of broadcasting stations played a rather positive role in the research and collection of Japanese folk songs. Machida Kasho町田嘉章, who played a central role in the publication of the mainland edition, and Koizumi Fumio小泉文夫, who laid the foundation for the Amami-Okinawa edition,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compilation of the Japanese folk song collection. Thanks to the academic interest of these scholars, it was possible to include folk songs that can confirm the change, development, and decline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20th century, and even unnamed folk songs from all over the country. This achieve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has a primary function as an encyclopedia, as well as a function as a material to study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spects of Japanese folklore accompanied by music called folk songs. Musicological research on Japanese folk songs was conducted together with the selection of the folk songs to be collected, the consideration of the transcription method, and the analysis for the compilation of the Nippon Minyo Taikan. In fact, in aspect of the transcription method and the scale theory in mainland edition, Fujii Kiyomi and Machida Kasho’s theory was applied. But in the Okinawa/Amami edition, Koizumi Fumios’s theory was applied. It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theoretical system established by Koizumi Fumio, but on the other hand, it was possible because of the data accumulated by the transcription method presented by Fujii Kiyomi and Machida Kasho. In other words, it can be said that Nippon Minyo Taikan played a very important function as data that advances the history of Japanese folk song research. In conclusion, the contents of the articles included in Nippon Minyo Taikan also developed from being partial and local in the beginning, and in the latter half, it was changed in the direction of presenting comprehensive musical analysis and statistics. It is gradually equipped with a function as an ethnographic material showing the history of Japanese folklore or the history of Japanese local culture, rather than staying in the role of an encyclopedia of folk songs.

      • KCI등재

        어러리와 아리랑에 대한 문화적 분석

        박관수 한국민요학회 2010 한국민요학 Vol.29 No.-

        No more than 70 years ago, the song name, Eoreori was generally used not only in Jeongseon but throughout the whole Gangwon Province. However, today the song name has been completely removed without leaving any trace. The song itself, as well as the song name, has changed, and even the fun and enjoyment of the singers have changed. This phenomenon can only partly be explained by the fact that the song is orally transmitted. Hence, this paper tries to explain the phenomenon in its cultural aspect. In the 1930s, the song name, Eoreori, not Arirang, was mainly passed down throughout the GangwonProvince. At that time, Eoreori was passed down without any interference, and there was a difference in rhythm and melody depending on each individual and the regions they originated from. Eoreori, the mother song native in the Gangwon Province, was introduced in Seoul, and Jeongseon Arirang, the child song, was newly created. The child song, with the help of the active communication between people and the development of the phonograph and radio, played a big role in driving out the mother song, Eoreori. This phenomenon derives from the misunderstanding of Korean folk songs by record producers, folk song researchers, and related organizations. Record producers did not see folk songs as a factor that constitutes life, but rather utilized them merely as means of entertainment. As a result, they incorrectly understood Korean folk songs. Researchers on folk songs also did not attempt any field research for specific details, but judged folk songs based on their stereotypes. This can be proven by the attitude of researchers concluding that the emotion behind folk songs is only sorrow or “Han”. In addition, related organizations such as the Jeongseon county office paid no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folk songs, but standardized the song name and score, pursuing only their convenience. Likewise, Eoreori has changed due to the influence of external cultural environments, but also due to internal cultural environments. In the past when there was a definite division between nobles and commoners, nobles did not sing Eoreori, but it was sung by commoners or servants. However, Eoreori from phonographs or radios did not divide the class of people, and the disappearance of class divisions after independence also contributed to the change of Eoreori. Discussion on Eoreori needs to be progressed in depth considering these situations. Actions based on the misunderstanding of folksongs due to external factors were broadcasted. Record producers with the help of machinery, researchers with authority, and Jeongseon county office, using the power of organization, forced the relatively powerless singers to follow their songs and thoughts. In this process, singers could not actively enjoy Eoreori, but only passively follow the rules set by others. In other words, the joy of Eoreori ceased to exist. 어러리는 급격하게 변모했다. 불과 70여 년 전에는 어러리라는 노래명이 정선은 물론 강원도 전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사용되었는데, 이제는 그 흔적조차 발견하기 어렵다. 노래명은 물론 소리 자체도 변모했고, 어러리에 대한 가창자들의 향유의식마저 변화했다. 이러한 변화는, 민요는 구전된다는 측면만으로는 부분적으로 해명될 수밖에 없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문화적 측면에서 그 해명을 시도했다. 1930년대에는 아리랑이라는 노래명보다는 어러리라는 노래명이 강원도에서 보편적으로 전승되었다. 그 당시 어러리가 자족적으로 전승할 때에는 개인별, 지역별로 박자, 선율 등이 다양했다. 강원도에서 자생하던 모민요인 어러리는 서울에 유입되어 자민요인 ‘정선아리랑’을 생산했다. 그 자민요는 사람들의 활발한 왕래, 축음기나 라디오 등의 문명기기의 도움을 받아 모민요인 어러리를 축출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한다. 이러한 근저에는 무엇보다도 음반 생산업자, 민요 연구자, 유관기관들의 민요에 대한 오해가 자리하고 있다. 음반 생산업자들은 민요를 삶을 구성하는 한 요소를 보지 않고 단순히 오락의 대상으로 활용했다. 그들은 결과적으로 민요를 올바르게 바라보지 못했다. 민요 연구자들도 전승 현장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지 않고, 그들의 고정된 민요관에 따라 민요를 재단을 할 뿐이었다. 민요의 정조를 ‘애처로움’ 내지는 ‘한’으로 파악하는 태도가 이를 보여준다. 또한, 정선군청과 같은 유관기관은 민요 자체가 지닌 다양성을 무시하고 노래명이나 악보를 통일화하는 등 편의를 좇을 뿐이었다. 이처럼 외부적 문화 환경의 영향을 받아 어러리가 변화하기도 했지만, 내부적 문화 환경의 변화에 따라 변화하기도 했다. 과거 반상의 구별이 심할 때 양반 행세를 하던 사람들은 어러리를 부르지 않았고, 평범한 사람들이나 머슴 등과 같은 사람들이 불렀다. 그런데 축음기나 라디오 등에서 흘러나오는 어러리는 반상을 구별하지 않았고, 해방 후 반상의 구별이 사라지는 문화적 상황도 어러리가 변화하는 데 일조했다. 이러한 상황을 반영하면서 어러리에 대한 논의가 더 깊이있게 진행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외부적 요인에서 비롯된 민요에 대한 오해를 바탕으로 한 행위들은 전파력을 지녔었다. 음반업자들은 문명기기에 의지해, 민요연구자들은 권위에 의지해, 정선군청등은 조직에 의지해 상대적으로 힘이 약한 가창자들에게 그들이 만든 소리, 생각을 따르도록 압박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창자들은 적극적으로 어러리를 향유하지 못하고 소극적으로 향유하게 되었다. 다시 말하면, 어러리를 스스로 즐기는 힘이 소멸되어 간 것이다.

      • KCI등재

        민요 현장 변화에 따른 오프라인, 온라인 전승 방향 모색 -강원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유명희 한국민요학회 2020 한국민요학 Vol.60 No.-

        The folk song field also refers to the folk song community soon. The folk song field is a term that includes all of singing, singing, and singing. This is because folk songs in traditional society are closely related to community society. In modern society, the status and role of folk songs changed as these communities collapsed. The voices naturally called by the agriculture-oriented economic activities of the traditional society have disappeared in our lives. Folklore communities and traditions, including folklore organizations, have all undergone serious changes. Efforts have been made to maintain traditional culture, such as the village-making project, but it is difficult to overcome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the sounds in life are separated due to changes in industrial structure. We need to newly evaluate and explore the oral and cultural qualities of folk songs through convergence, archives, and interactive communication. In addition, the transformation due to the stage and performance of folk songs will continue, but it is inevitable to find various methods of transmission. In addition, it should increase the pride of the sounders and keep the village's transmission organization democratically. Also, by actively utilizing the digital environment, it can be used as an opportunity for two-way communication such as archiving, which can form the basis for the path of folk songs in the 21st century. Now, folk songs should be transferred online and offline, while perfumes should be more online. 민요현장은 곧 민요공동체를 말하기도 한다. 민요 현장이란 민요를 부르는 일, 부르는 사람, 부르는 상황 등을 모두 포함하는 말일 것이다. 전통사회의 민요는 곧 공동체사회와 밀접한 연관을 가지기 때문이다. 근현대 사회에 들어와 이러한 공동체가 와해되면서 민요의 위상, 역할도 함께 변화하였다. 전통사회에서는 농업 중심의 경제활동에 따라 삶과 민요가 밀접한 관련을 가지며 자연스런 전승이 가능하였다. 이러한 자연스런 전승은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하여 불가능하게 되었다. 민요공동체와 전승단체를 비롯한 전승주체가 모두 심각한 변화를 겪었기 때문이다. 자연스런 전승은 불가능하게 되었다. 현대 사회에 들어서 마을만들기 사업과 같은 전통문화를 유지하려는 노력들이 시도되기도 한다. 그렇지만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삶에서의 소리가 분리된 현 상황을 극복하기란 어렵다. 이럴 때 우리는 융합과 아카이브, 양방향소통 등으로 민요의 구술문화적 자질을 새롭게 평가하고 새로운 전승 방향을 모색해야 한다. 또한 민요의 무대화, 공연화 등으로 인한 변형이 계속되겠지만 필연적인 부분으로 받아들이고 이에 걸맞는 전승의 다양한 방법을 찾아야 한다. 또한 소리꾼들의 긍지를 높이는 방향으로 정책을 마련하고 마을의 전승 조직을 민주적으로 유지해야 한다. 또한 디지털 환경을 적극 활용하여 아카이브 등 양방향 소통의 기회로 만들어 21세기의 민요가 나아갈 길의 기반을 만들 수 있다. 이제 민요의 전승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향유는 좀더 온라인으로 접근해야만 한다.

      • KCI등재

        김사엽의 민요관과 민요 조사·연구의 특징

        권오경 한국민요학회 2012 한국민요학 Vol.34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apers and books - especially written in Japanese colonial era of doctor Kim(1912-1992) that are -of Kim, Sa-yeup(1912-1992), a professor and researcher of traditional korean folksongs. He was interested in regional folksongs, especially in Yeung-nam province- as a Traditional Korean Cultural Studies and traditional songs which reflect the public opinion and spirit of the era. About two years ago, his work collection was published by the publication committee in Daegu city. It is available to use the collection to carry out studies of his papers and books. Through the doctor Kim’s 「朝鮮文學史, 「改稿朝鮮文學史, 「朝鮮民謠集成」, we can find his opinions regarding korean traditional poetries and songs, and traditional korean folksongs. He insisted on the worth of korean letter and the ‘exclusive using of Hangeul’ in the books. Also he claimed that the creation of Korean letter led the Korean literature to prosper. In the aspect of Korean folksongs, Korean letter has been regarded as the groundwork for Korean literature. And he examined the folksongs especially of Kyung-pook province. The outcome texts were used as fundamental matters for studying and classifying the traditional poetries and folksongs. However, his works have some limits. For example, his research was focused on limited areas, and some classifications have no standards, no notion of version and function. Nonetheless, considering that it was the time of Japanese colonialism, these limits are understandable. Also in this paper I studied the research methods and distinguishing marks through Kim’s works. Finally, we can estimate Kim’s works of folksongs were to arouse nationalism and the respect of people. Now, we have other matters of studying th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between the folksong researchers and Kim Sa-yeup in the 1920’s-1940’s. 김사엽은 1930년대에서 1950년대에 걸쳐 민족 정서를 표현하고 민중의 아픔을 반영하는 동시에 당대의 음악문화를 함의하는 민요에 대한 관심을 가졌다. 특히 일제 강점기라는 시대적 특수성으로 말미암아 민요의 가치를 민족정신의 고취에 두고 국학의 일부로서 민요를 보고자 했던 당시의 연구 풍토에 바탕하여, 김사엽은 신민요라는 새로운 문학적 시도를 함과 동시에 향토민요에 대한 탐구를 지속하였다. 그 결과, 김사엽은 민요의 생태적 조건과 발달과정에서의 특징을 조망하고 민요 조사 및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나아가, 김사엽은 경북 김천을 시작으로 주로 영남지역의 민요를 조사하고 분류하였으며, 그 결과를 신문과 잡지에 기고하였고 최상수․방종현과 함께 「조선민요집성」(정음사, 1948)을 공편하였다. 1930년대 이후 활발히 진행된 향토민요에 대한 학문적 연구에서 김사엽의 이러한 논의는 비록 분류기준의 모호함이 있고,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하는 한계를 지니지만 일제 강점기 우리 민요의 전승과 존재를 재확인하고 나아가 당대 현실과 연관시켰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닌다. 그리고 그가 사용한 현지조사법은 민요의 존재양상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대표지역을 먼저 선정한 후 주변지역을 조사하는 것이었다. 남해섬과 제주도 민요도 조사하였으며, 남해 지역을 조사하고 ‘목(곡조)’ 중심으로 민요를 살핀 것이 특징적이다.

      • KCI등재

        고정옥 민요 연구의 관점 변화와 인용 민요 자료의 성격

        박경수 한국민요학회 2019 한국민요학 Vol.57 No.-

        This paper focuses on the changes in the perspective of folk song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cited folk songs in a series of folk song research achievements. Ko Jeong-ok’s research on important folk songs was conducted three times. These include the graduation thesis of Kyungsung Imperial University(1938), The Chosun Folk Song Study(1949) after the liberation, and Folk Song Research Part in the Study on the Study on Chosun Oral Literature(1962). Ko Jeong-ok’s dissertation had the fundamental limitations and problems of the discussion of Korean folk songs caused by accepting the colonialism based on Japanese colonialism, that is, the “eyes of empire.”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Korean folk songs were identified as negative attributes. This can be criticized as a result of approving the colonial logic of the empire, which devalues ​​the colonized culture to barbaric primitiveness (which misleads it as ‘naturalness’). The Chosun Folk Song Study established concrete folk song theory after erasing many traces of colonialism and reestablishing the view of folk song as group creation, folk consciousness, and national identity. In the study on Chosun Oral literature, folk songs discussed the truth of reflecting reality as the most important folk song value based on socialistic realism. In the Chosun Folk Song Study, 240 pieces of Yeongnam folk songs out of the 364 folk songs cited were over 65% of the total. Unlike the folk songs of other regions, most of the Yeongnam songs were the main materials to understand the nature of folk songs. Among the Yeongnam folk songs, folk songs in Hamyang were the most common. All folk songs in Hamyang are believed to have been collected directly by Ko Jeongok from 1936 and 1938. In the Study on Chosun Oral Literature, citation status of folk songs is still unbalanced. In the Study on Chosun Oral Literature, citation status of folk songs is still unbalanced. However, he wrote a whole new folk song theory by discussing new and timely folk songs, which account for almost 30% of the 62 folk songs cited. Ko Jeong-ok’s study on folk songs is based on the kind of Topophilia about his hometown and has the nature of research through the place. It is also an important new resource for many folk songs in the Hamyang area surveyed in the 1930s. 이 글은 고정옥이 이룬 일련의 민요 연구 업적을 대상으로 민요 연구의 관점 변화와 인용 민요 자료의 성격을 집중 고찰한 것이다. 고정옥의 중요한 민요 연구는 세 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경성제국대학 졸업논문(1938), 해방 후 내놓은 『조선민요연구』(1949), 월북 후 저술한 『조선구전민요연구』(1962)의 민요 편이 그것이다. 고정옥의 졸업논문은 일제의 식민주의에 입각한 문화 관점 즉 ‘제국의 시선’을 그대로 수용함으로써 빚어진 조선민요 논의의 근본적 한계이자 문제점을 안고 있었다. 조선민요의 중요한 특성을 부정적인 속성으로 파악했다. 이는 피식민 문화를 야만적인 원시성(이를 ‘자연성’으로 호도함)으로 비하하는 제국의 식민주의 논리를 승인하는 결과로 비판받을 수 있다. 『조선민요연구』는 학부 졸업논문에 들어있는 식민주의에 편승했던 흔적들을 대거 지우면서 민요를 집단창작, 민중의식, 민족의 정체성을 중시하는 관점을 새롭게 정립한 후 구체적인 민요론을 전개했다. 『조선구전문학연구』에서 민요는 사회주의적 사실주의에 기초하여 인민성과 함께 ‘현실 반영의 진실성’을 무엇보다 중요한 민요의 가치로 논의했다. 『조선민요연구』에는 인용된 364편의 민요 자료 중 영남민요가 240편으로 전체의 65%를 넘었다. 영남민요 대부분은 타 지역 민요와 달리 현장조사 민요 자료들로 민요론 전개의 중요 논거가 되었다. 영남민요 중 함양지역 민요가 가장 많았다. 함양지역 민요는 모두 고정옥이 고향에서 1936년과 1938년 사이에 직접 수집한 것들로 추정된다. 『조선구전문학연구』에서도 민요 자료의 인용 현황은 여전히 불균형을 보였다. 다만 인용된 62편의 민요 중 거의 30%에 해당하는 민요를 새롭게 적시하여 논의함으로써 민요론을 전면 새롭게 집필했다. 고정옥의 민요론은 일종의 함양에 대한 장소애(Topophilia)를 기반으로 지역 또는 장소(place)를 통한(through) 학문의 성격을 지닌다. 함양지역 민요로 인용된 <아리랑>, 일련의 <모심기 노래>, <자장가>, <큰애기풀이> 등이 민요의 성격을 논의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었지만, 오늘날 이들 민요를 1930년대에 조사된 함양지역 민요로서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들이기도 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