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타문화권 선교사의 본보기로서의 족장들

        권오훈(Ohoon Kwon)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39 No.-

        하워드 스나이더(Howard A. Snyder)는 신학교 시절에 배운 “우리가 이미 믿고 있는 것을 확인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성경이 실제로 가르치고 있는 것을 찾기 위해, 그것이 우리의 가정을 단단하게 하기도 하고 부수기도 하는” 귀납적 성경연구를 오랫동안 계속해서 추구해왔다 고 한다. 이 글은 필자가 나름대로 변혁적 효과를 탐구하며 그 동안 꾸준히 해온 귀납적 성경연구라는 여행의 발견물의 일부이다. 타문화권 선교는 무엇보다도 어떤 마음과 태도로 선교하느냐, 즉 선교 자세가 가장 중요하다는 필자의 그동안의 지론의 연장선상에 놓인 글이다. 창세기 12장부터 하나님은 인류를 복 주시려는 새롭고도 적극적인 전략을 펼치면서 한 가계를 선택하고 그들에게 집중한다. 창세기 12장 부터는 아브라함과 그의 후손들이 거룩한 역사의 거의 유일한 주제인양 다뤄진다. 아서 글라서(Arthur F. Glasser)는 아브라함이 결과적으로 ‘선교의 선구자’가 되었다고 정리한다. 필자는 이스라엘의 족장 아브라 함과 이삭과 야곱은 타문화권 선교사의 롤 모델, 즉 본보기로서 손색이 없다고 본다. 이 글에서 모델이라는 개념은 스코트 모로(A. Scott Moreau)가 분류한 물질적, 은유적, 이론적이라는 세 가지 범주 가운데 두 번째인 은유적인 용도로 사용한다. 족장들은 타문화권 선교사가 열망하는 하나의 이상이라는 의미에서 모델이 될 수 있다. 고로 족장들 의 삶에서 타문화권 선교사의 본보기를 추출하고자 한다. 그들이 타문 화권 선교사의 전형(典型) 즉 기준이나 규범이 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연구를 통해 필자는 타문화권 선교사의 기준이 될 만한 이론적 틀을 찾아본다. 아브라함에게서는 관계 성공하는 선교사, 이삭에게서는 우물을 넘겨주는 선교사, 야곱에게서는 우물 아귀의 돌을 옮기는 선교사라는 틀을 찾아낸다. 하나님과는 믿음과 순종의 관계를, 현지인 들과는 사랑의 관계를 맺은 아브라함은 가히 타문화권 선교사의 선구자 라 할 만하다. 순종과 양보의 대명사인 이삭의 삶은 이양과 출구전략이라는 측면에서 타문화권 선교사의 훌륭한 교과서로서 손색이 없다. 전략적 계획의 대가로서 타이밍과 목표와 단계적 접근의 중요성을 포괄적으로 잘 활용한 야곱은 타문화권 선교사의 좋은 본보기가 된다. 많은 일을 겪으면서 사는 것에 더해 하나님의 일을 해야 하는 타문화권 선교사가, 삼대에 걸쳐 창세기를 아름답게 수놓은 족장들인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이 밟아 마침내 길이 된 타문화권 선교라는 지난한 길을 잘 걸어가는 모습을 그려본다. Howard A. Snyder is said to have continuously pursued inductive Bible study reflected in the sentence “We study the Bible not to confirm what we already believe but to find out what it actually teaches, whether that cements or shatters our assumptions,” learned when he was a seminary student. This paper is a piece of the treasure discovered in the author’s continuous journey of inductive Bible study and research in transformative effects. The paper is an extension of the author’s long-lived assertion that the attitude of the missionar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cross-cultural mission. Starting from Genesis 12, God chooses and focuses on one household as a novel and active strategy to bless mankind. From Genesis 12, Abraham and his descendents are nearly the sole subjects of God’s holy history. Arthur F. Glasser proposed that in the end, Abraham became the pioneer in mission. The author further takes this idea and claims that the patriarchs of the Israelite clan, Abraham, Isaac, and Jacob are excellent role models of cross-cultural mission. In this paper, the concept of “model,” which is classified by A. Scott Moreau as physical, metaphoric, and theoretical, is used in the context of a metaphoric model. The patriarchs are models in the sense that they are aspired by cross-cultural missionaries as a certain ideal. Therefore, an effort is made to extract the examples of being a cross-cultural missionary from the lives of the patriarchs. This is because they are recognized as the model, in other words the standard or the criterion, of cross-cultural missionaries. Through this study, the author finds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standards for cross-cultural missionaries: from Abraham, the relationship-succeeding missionary, from Isaac, the well-transferring missionary, from Jacob, the missionary that moved the stone from the mouth of the well. Abraham, who sustained a relationship based on faith and obedience with God and a relationship based on love with the indigenous people, is worthy of being called the pioneer of cross-cultural mission. Isaac, acclaimed for his obedience and concession, is a textbook example of cross-cultural mission in the aspects of transfer and exit strategy. Jacob is also a good model for cross-cultural missionaries in terms of his strategic planning in which the importance of timing, setting goals, and having a phased approach are comprehensively utilized. The author depicts a picture in which cross-cultural missionaries, who must do the work of God while facing many challenges in life, skillfully walk the difficult road paved by the three generations of patriarchs, Abraham, Isaac, and Jacob, that beautifully embroidered the book of Genesis.

      • KCI등재

        선교사를 위한 문화인류학에 대한 통합적 시각 연구의 필요성

        민장배,이수환 한국선교신학회 2023 선교신학 Vol.71 No.-

        본 논문은 효과적인 선교사역을 위한 문화인류학의 통합적 관점에 관한 연구이다. 그동안 선교사역의 사명과 선교사의 현지 부적응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어왔다. 그러므로 선교사들은 문화인류학을 통해 구체적인 선교사역과 관련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현대 선교학 의 기초를 이루고 있는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되는 타문화 선교사에게 기본적인 문화인류학의 개념이해로 시작하여 문화인류학의 역사, 문화 인류학과 선교, 그리고 선교학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문화인류학 통합 적 관점은 찰스 크래프트, 폴 히버트와 강승삼의 이론을 중심으로 하였다. 선교사가 사역에서 문화인류학을 통합적인 관점에서의 인간 이해를 지향해야 한다. 그것은 인간이 복합적인 존재로서 신체적, 정신적, 감정적, 영적, 사회적, 도덕적인 측면 등을 가진 존재이기 때문에 문화인류학의 목표는 인간을 통합적으로 이해하려는 실천적인 학문이 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for effective missionary work. Until now,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mission of the missionary and the local maladjustment of the missionary. Therefore, missionaries need to understand specific missionary work through cultural anthropology. This study began with an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basic cultural anthropology for other cultural missionaries, not choices that form the basis of modern missionary science, and examined the history of cultural anthropology, cultural anthropology and missionary science. The integrated perspective of cultural anthropology was centered on the theories of Charles Kraft, Paul Hiebert, and Kang Seung-sam.

      • KCI등재

        다문화 아동의 갈등상황에 대한 디아코니아 선교

        이성곤 한국선교신학회 2024 선교신학 Vol.74 No.-

        본 연구는 다문화 아동의 갈등상황에서 디아코니아 선교는 갈등을 해소하고 학교 내 평화와 화해를 증진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제시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아동이 겪는 갈등 문제 해결을 위해 신학교, 선교단체, 민간 및 공공기관이 협력하는 사례를 모델로 제시함으로써, 다문화 아동들의 적응과 성장을 지원하고 사회적 통합을 촉진하는 디아코니아 실천을 통한 선교적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사례로 제시된 관계회복지원 프로그램은 학급 내에서 사회적 지지와 친구 관계의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작용했으며, 특히 학생들 사이의 관계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 다. 이러한 사례처럼 다문화 아동을 비롯한 다문화 선교는 지역의 이주민 분석을 통해 맞춤형 지원을 위해서 지역사회 내에 다양한 기관들 과 협력하고 연대하여 다양성 속에서 공존과 조화를 이루어 나가야 한다.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들은 다문화 아동의 문제를 비롯한 국내이 주민 상황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인식하여 다문화 선교를 통해 하나님의 나라를 실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highlights the role of diakonia missions in addressing conflicts among multicultural children in schools, aiming to promote peace and reconciliation. This paper explores how collaboration between universities, missionary groups, and public/private institutions can aid multicultural children’s adaptation, growth, and social integration. Multicultural missions, including support for children, should assess local migrant populations’ needs and partner with community organizations to foster diversity and harmony. It’s crucial for the Korean Church and Christians to understand migrants’ challenges, including those of multicultural children, to achieve social integration and coexistence through multicultural missions is crucial.

      • KCI등재

        한국교회와 문화선교, 그 역사와 과제:<문화선교연구원> 사역을 중심으로

        백광훈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19 장신논단 Vol.51 No.3

        This thesis was written to give a theological meaning and evaluation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21 years old this year. Founded in 1998, the Institute for Cultural Missions has been established because of the weakening of religious identity according to postmodernism and consumer culture, the cultural leadership of the Church in the new era, and the response of the Church. In addition, a theological and pastoral response of the Church in response to the rapid expansion of popular culture was needed. Unlike a dualistic approach to gospel and culture, the institute’s perspective about popular culture and cultural phenomena i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Godcentered Transformational Culture” through Biblical understanding of culture. Based on this viewpoint, the institute researched popular culture, produced the “Education Film” for children and youth in church school, as well as a culture magazine Today. We have also searched for ways to engage and transform through Seoul International Agape Film Festival and the Christian theater, Film Forum. I characterize the Institute’s ministry condensed into five characters: 1. the appropriate response in the era of cultural change, 2. the integrated approach including theory and practice, 3. cultural vision aiming at cultural transformation as publicness, 4 establishing a cultural trench for participation and transformation, and finally, ministry to prepare for the next generation. In conclusion, I will propose the institute’s work to be continuously applied throughout the early 21st century. In particular, I suggest that the ministry of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is more important in the social-cultural contex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ereligiousization, postmodernism & consumerism, and post-secularization. Through this process, I hope to establish the theological significance of the Center for Cultural Communication which i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research institute of the Korean Church, and to identify the cultural mission strategy and vision that the Korean Church should practice in the future. 본 논문은 올해로 21년을 맞은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신학적 의미와 평가를 시도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1998년에 설립된 문화선교연구원은 대중문화의 급격한 확장에 따른 교회의 신학적, 목회적 대응의 필요성, 포스트모더니즘과 소비문화에 따른 신앙정체성의 약화와, 새로운 시대, 교회의 문화적 지도력 재고와 교회의 대응을 위해 창립되어 한국 기독교계의 대표적인 문화선교연구기관으로 활동하고 있다. 문화선교연구원은 복음과 문화의 이원론적인 접근을 넘어, 문화에 대한 성서적 이해를 통해 “하나님 중심의 변혁적 문화관”을 기초로 대중문화 및 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research), <기쁨의 부활절 50일> 프로젝트, 교회학교 어린이, 청소년을 위한 <교육영화>, 문화매거진 <오늘>로 대표되는 문화 생산(creation)활동을 해왔다. 또한 <서울국제사랑영화제> 및 복합문화공간 <필름 포럼>과 같은 플랫폼(platform) 구축 사역을 통해 문화 참여(engagement)와 변혁 (transformation)의 길을 모색하여 왔다. 논자는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 활동이 신학적인 차원에서 유의미한 사역이라고 보고, 신학적인 관점에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을 1. 문화적 전환기 속에서 이루어진 적극적인 시대적 응답, 2.이론과 실천을 아우르는 통합적 사역, 3. 문화 변혁을 목표로 하는 문화선교의 공공성 성격 지향, 4 참여와 변혁을 위한 문화 진지 구축, 5. 다음세대를 준비하는 문화선교 사역이라는 특징으로 요약 평가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문화선교연구원의 사역은 21세기 초반 문화지체현상으로 인한 위기가운데 있는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시도해야할 선교적 과제임을 주장하면서, 새롭게 시도해야 할 문화선교의 신학 적· 목회적 과제들을 제언하게 될 것이다. 이 모든 과정을 통해 한국 교회의 대표적 문화연구기관인 문화선교연구원 사역에 대한 의미가 신학적으로 엄밀히 평가 되는 또 다른 시도들이 촉발되기를 바라며 또한 한국교회가 지속적으로 실천해야할 문화선교적 전략과 비전을 모색하는 움직임들이 나타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역사회에 대한 선교적(missional) 교회의 접근법

        장남혁(Nam Hyuck Jang) 한국선교신학회 2014 선교신학 Vol.36 No.-

        오늘날 한국 교회가 처한 문화적 상황은 서구교회 못지않게 선교지화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선교적 교회 논의는 한국의 문화적 상황에 대해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특히 전통 문화와 근대 그리고 탈근대문화가 혼재한 한국사회는 세계화와 정보화의 급류 속에서 더욱 다문화사회로 그리고 다원사회로 변모하고 있다. 특히 젊은 층 가운데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기독교에 대한 높은 반감과 무관심은 그들에 대한 전도를 힘들게 하고 있다. 이러한 한국상황 속에서 전도와 사회봉사의 사역을 효과적으로 감당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전도적 접근법을 넘어서서 선교적(missional) 접근법을 취해야 한다. 선교적 접근법은 먼저 성육신적인 방법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불신자들에게 다가가며 그들과 관계를 맺는 데서부터 출발한다. 선교적 회중들은 자신의 교회문화보다도 불신자들의 문화를 존중하고 그들이 알아들을 수 있는 언어와 개념으로 복음을 소통하고자 노력한다. 그들은 먼저 불신자들과 편안한 만남이 가능한 근접공간을 만들고자 노력한다. 또한 민간, 정부, 복지기관, 기업 등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과 공동 프로젝트를 추진함으로 지역사회의 복지와 유익을 추구하며 협력관계를 개발한다. 더욱이 지역사회에 긴요한 영리사업을 추구함으로 해당 사회의 유익을 구하는 한편, 불신자들과의 접촉점을 개발하는 가운데 선교적 목적을 이루고자 한다. 이처럼 선교적 접근법은 다양하게 불신자들과 접촉하며 관계를 개발하는 가운데 자생적 신앙 공동체를 이루고자 한다. 선교적 공동체는 복음과 지역사회 문화와의 선교적 대면을 추구한다. 선교적 회중들은 먼저 지역사회 문화 속에 함께 거주하는 자로서 복음을 접하게 된다. 그들은 자신의 내면에서 복음과 문화의 내면적 대화를 통해서 문화에 의해서 형성된 가정들과 전제들을 복음의 관점으로 전환하는 작업을 수행한다. 이러한 내면적 대화는 교회 밖의 불신자들과 외적인 대화를 나누기 위한 전제이며 선결조건이다. 선교적 회중의 내면에서 일어난 복음과 문화의 내적인 대화는 그들로 하여금 교회밖에 있는 불신자들이 동일하게 복음을 붙잡고 또 복음에 의해서 붙잡힐 수 있도록 해석학적 렌즈를 제공하거나 불신자들에게 친숙한 용어로 복음을 전달할 수 있게 해준다. 복음과 문화의 대면에서 중요한 부분은 상호간에 공통점을 찾는 일이다. 그러한 공통점은 복음을 전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접촉점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미 지역사회 속에는 개인주의로 허물어가는 공동체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리고 대가족 중심의 복지체계에서 정부중심의 복지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가운데에서 많은 복지적 욕구가 분출되는 상황이다. 이러한 지역사회 상황은 "네 이웃을 네 몸과 같이 사랑하라"는 명령을 받는 선교적 회중들이 그 명령을 따르기에 좋은 토양이다. 지역사회 속에서 봉사와 섬김의 사역을 실천함으로써 공신력을 회복시키며 지역사회로부터 좋은 호응을 받고 있는 많은 교회들이 있다는 점은 매우 고무적인 일이다. 하지만 복음과 문화의 대면에서 간과해선 안 되는 점은 양자 간의 차이점이 분명하게 나타날 경우이다. 그럴 때 돌이키고 회개해서 문화적인 관점과 가치관을 복음적인 것으로 바꾸어 나아가는 작업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교회는 대조사회로서 초월의 세계로부터 오는 주님의 음성을 듣고 응답하는 공동체이다. Korean societies nowadays is experiencing rapid changes. Traditional cultures based upon Confucianism, Buddhism, and Shamanism are currently mixed with modern and postmodern cultures. The processes of globalization turned the Korean society into a multicultural one. The revolutions in the area of internet and mobile network added diversity to the Korean society.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old generations and young ones are becoming greater. Many people in the society today are becoming more antagonistic towards Christianity than before. These rapid changes in Korean society produce new problems and needs in the Korean communities. Missional approach takes the cultural context in the communities seriously. Missional congregations recognize the cultural difference between the people in the churches and the people outside the churches. They took the incarnational posture when they reach the unbelievers outside the churches. They try to make contact with the unbelievers and take time to listen from them. When they can understand the viewpoints of the unbelievers,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the culture of the people in the community begins inside the minds of the congregations. At this moment, trying to find the commonalities between the Gospel and the culture becomes very important, as it is the commonalities that provide contact points to applicate the Gospel in the culture. Especially nowadays, Korean communities try to rehabilitate themselves with efforts like 'village revitalization movement', 'community business' and 'social enterprise.' This atmosphere is good soil for the missional congreations to create and participate in the common projects for the community with diverse subjects like government, enterprises, social institutes, civil societies etc. But the more important aspects in the encounter between the Gospel and Korean culture are in the areas of differences beteen them. In these cases the missional congregations are required to repent from their positions of receiving the cultural influence and to renew their thinking based on the Gospel. Once these kinds of encounters between the Gospel and the culture happen inside the minds of the missional congregations successfully, they are prepared to reach out to the people in the communities. They are in the position to interprete the Gospel to the people in the community using their language and concept. They can translate the Gospel in regards to the main concerns and stories of the people in the communities. Korean churches have the urgent task of becoming 'contrast societies' where the authentic community is actualized in the sight of the people in the community like the 'village in the mountain' or 'salt and light' as Jesus mentioned in the Bible (Matt. 5:13-14). They have the mission to become the sign, the instrument, and the foretaste representing the rule of God in the community.

      • KCI등재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현황과 과제

        박흥순(Heung Soon Park) 장로회신학대학교 세계선교연구원 2013 선교와 신학 Vol.32 No.-

        이주노동자, 결혼이민자, 이주아동(청소년), 다문화가정을 포함한 이주민이 한국사회의 구성원으로 살아가면서 한국교회의 중요한 일원으로 편입되고 있다. 전체인구의 2.9%에 해당되는 이주민이 더불어 살아가며 급속도로 다문화사회로 진입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교회와 그리스도인에게 있어서 다문화선교는 낯선 주제처럼 보인다.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민을 위한 다문화선교는 이주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동시에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교회와 기관에 대해서 고찰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이 글은 첫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그 특징을 살펴본다. 호남지역에 거주하는 이주민의 현황을 법무부 출입국·외국인정책본부의 통계와 행정안전부의 통계를 중심으로 살펴봄으로써 이주민에 대한 지역교회와 그리스도인의 이해를 돕는다. 둘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특징을 고찰함으로써 이주노동자 중심의 다문화선교에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확장하는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살펴본다. 정부와 지자체에서 위탁을 받은 기관과 센터를 교회가 운영하는 곳에 대한 분석을 통해서 지역교회의 다문화선교 현황을 파악한다. 셋째로 호남지역에서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예장 통합 교단의 교회와 기관에 대한 파악을 통해서 유기적 관계의 필요성을 제안한다. 예장 통합 국내선교부가 파악한 교회와 기관과 호남지역 다문화선교협의회에 속한 교회와 기관의 상이점을 지적함으로써 총회와 지역노회의 긴밀한 협력의 필요를 인식하게 한다. 넷째로 호남지역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예장 통합 교단에 속한 교회와 기관을 다섯 가지의 유형으로 분류하여 소개한다. 교회 중심의 예배공동체 사역 유형, 교회부설 센터 중심의 사역 유형, 이주민센터 혹은 비영리 민간단체의 독립적 사역 유형, 정부와 지자체로부터 위탁운영 사역 유형, 자조모임 사역 유형으로 나누어서 살펴본다. 다섯째 호남지역 다문화선교의 미래지향적 방향을 네 가지로 간단하게 제안한다. 호남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선교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는 일은 쉽지 않다. 교단이나 이주민협의체에서 파악할 수 없는 교회와 기관이 많기도 하지만 다양한 관심과 목적을 갖고 진행하는 다문화선교를 유형별로 분류하는 것도 복합적이기 때문이다.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와 전라북도에서 다문화선교를 실시하는 대표적인 교회와 기관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수준에 머무르는 한계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남지역에서 전개하고 있는 다문화선교의 현황을 파악하고 미래지향적 방향을 제시하는 시도는 다문화선교에 관심을 갖고 있는 지역교회와 그리스도인을 위한 중요한 단초를 제공한다. 호남지역의 예장 통합 교단에 속하면서 다문화선교를 담당하는 교회와 기관을 파악함으로써 광주광역시를 포함해서 전라남도와 전라북도를 포괄하는 다문화선교협의체를 형성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다문화선교는 이주민이 한국사회에 올바로 적응할 수 있도록 인권과 복지의 측면에서 지원하고 관심을 갖는 동시에 목회와 선교의 측면에서 접근해야 한다. 따라서 이주민에 대한 현황을 파악해야 할 뿐만 아니라 그들과 더불어 살아가야 하는 한국사회의 구성원과 한국교회의 그리스도인을 위한 다수자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 다문화선교가 지닌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측면을 고려하면서 호남지역에 위치한 교회와 이주민 지원기관이 교단이나 교파를 초월해서 협력함으로써 효율적인 다문화선교를 진행하도록 연대할 필요가 있다. The immigrants including migrant workers, inter-marriage men and women, multicultural families are becoming important members of Korean society as well as Korean churches. The number of people who reside having the immigrant background is about 1.5 million which accounts for 2.9% of the total population of Korea. Korean society is now going to enter into multicultural society which should coexist with people who come from different cultural, historical, and social backgrounds.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immigrants have faced with identity crisis when they are struggling to adapt themselves to new circumstances in Korea. Firstly,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investigate the current situation of immigrants as well as the multicultural mission of the local churches and centres in the Honam region in order to aid the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s. Secondly,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we should look at the distinctive features of multicultural mission which have been expanded from migrant workers to inter-marriage women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irdly, investigating local churches and centres of The Presbyterian Church of Korea(PCK) which have served multicultural mission, I will suggest the organic solidarity of these local churches and centres in the Honam region. The National Mission Ministry of the PCK have checked up the state of multicultural mission in 2011. The Association of the Multicultural Mission in the Honam region also have investigated the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mission in 2009. However, it did not match the list of churches and centres of multicultural mission of the two institution. In this point, we should suggest the necessity of the close solidarity among the PCK and the local churches. Fourthly, we will classify multicultural mission into five types as follows: the type of church-centred worshipping community, the type of church-operating centre, the type of migrant centre or Non Profit Organisation, the type of charging from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 the type of self-support group. Finally, I briefly propose four developmental directions of multicultural mission in the Honam region.

      • KCI등재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과 선교전략 고찰 - 장요나 선교사를 중심으로

        구성모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0 복음과 선교 Vol.49 No.-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discuss the cultural background of Vietnam, to examine the mission strategies using the culture, and to present mission tasks from a cultural perspective. Especially, it was examined by Jang Yo-Na, the first Korean missionary to Vietnam. For this purpose, the cultural background of Vietnam was first examined focusing on the consciousness structure formed in Vietnam’s history, Vietnamese culture influenced by China and India, diversity and unity which are the foundation of Vietnamese culture, and Vietnamese life culture. Next, mission strategies that Jang Yo-Na used Vietnamese culture critically were divided into mission, church that established local leadership, pastoral leadership administration that transferred personnel rights, seminary that applied various local churches and TEE, and church building by Jonah construction method using local culture. Finally, the mission of Vietnam was critically presented in terms of culture. First, among the communities with diverse cultural backgrounds living in each region of Vietnam, it is necessary to find the subjects whose gospel has not yet been spread and accelerate their national adop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Self-theologizing with critical situation of Vietnam’s unique culture.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ducational area of Viracamy Theological Seminary to the whole Vietnam area and develop various field TEE types. Fourth, the mission of Vietnam is required to go on the evangelization of culture with depth rather than width.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leadership of local people along with the next generation mission mobilization, and to achieve missions that can continue with critical situation by collecting and analyzing mission information as well as cultural data through mission area network. 본고는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을 논한 후 그 문화를 활용한 선교전략을 고찰하고 문화적 관점에서 선교 과제를 제시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베트남에 한국인 선교사로서는 처음으로 파송된 장요나 선교사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하여 먼저 베트남의 문화적 배경은 베트남의 역사에서 형성된 의식구조, 중국과 인도의 영향을 받은 베트남 문화, 베트남 문화의 근간인 다양성과 통일성, 베트남의 생활 문화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다음으로 장요나 선교사가 베트남 문화를 비판적으로 활용한 선교전략은 성육신적으로 선교, 현지인 지도력을 세우는 교회, 인사권을 이양한 목회 지도력 행정, 다양한 지역의 교회설립과 TEE를 응용한 신학교, 현지 문화를 활용한 요나 공법으로 교회 건축으로 구분하여 논하였다. 마지막으로 문화적 측면에서 베트남의 선교를 비판적으로 과제를 제시하였다. 그것은 첫째로 베트남 각 지역에 거주하는 다양한 문화적 배경을 가진 공동체 중에 아직 복음이 전파되지 않은 대상자를 발굴하고 그들의 민족입양을 가속화가 요청된다. 둘째로 베트남의 독특한 문화를 비판적 상황화로 지속적인 자신학화가 필요하다. 셋째로 비라카미신학교의 교육지역을 베트남 전지역으로 확장하고, 다양한 현장형 TEE 유형을 개발할 필요성이 있다. 넷째로 베트남 선교는 넓이보다 깊이를 가진 문화의 복음화 작업이 요청된다. 이러한 과제를 위하여 차세대 선교동원과 함께 현지인 리더십을 견고히 하여 선교지역 네트워크로 선교 정보는 물론 문화 자료를 모으고 분석하여 비판적 상황화로 지속할 수 있는 선교를 이루어가야 한다고 본다.

      • KCI등재

        문화적 영성으로 본 남미선교의 회고와 전략

        목만수 ( Man Soo (abraham) M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08 복음과 선교 Vol.10 No.-

        교황 요한 바울 2세는 회개를 상징하는 붉은 자주색 옷을 입고, 2000년 3월12일에 회개의 미사 (Day of Pardon Mass)를 집례 했다. 천주교가 16세기 초부터 남미 선교를 시작하였는데, 교황은 이미 500년이 지난 일을 사죄하였다. 이 글은 천주교의 선교역사를 고찰하면서, 문화적영성에서 본 개신교 선교의 교훈을 삼고자 한다. 1. 예수님의 문화적 영성: 예수님은 하나님의 문화적 영성과 인간의 문화적 영성을 각 100% 씩 공유하신 분이다 (빌2:6 7). 2. 사도바울의 문화적 영성: 사도바울은 예수님의 문화적 영성을 모범으로 삼은 선교사이다 (고전9:19.23). 3. 선교사의 영성: 선교사의 영성은 현지문화 75%, 모국문화 75% 정도로 소유하는 150%의 문화적 영성을 소유하게 된다. 4. 천주교 선교사의 문화적 영성: 모국문화 100%, 현지문화 0%의 문화적영성을 소유했다. 5. 한국 선교사의 문화적 영성: 남미에 파송된 천주교 선교사와 비슷한 문화적 영성은 아닌가? 6. 요셉의 문화적 영성: 요셉의 문화를 75%, 현지인 문화를 100% 지닌 문화적영성이다 (창41:14, 41, 42:6.25, 43:16.34, 44:14.34). 교황의 남미선교에 대한 사죄가 문화적 영성의 부재로 인해 한국선교에서 반복되지 말아야 한다.

      • KCI등재

        이주민선교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국가 다문화교육 정책 고찰

        정미경(Mi Koung Jung) 한국선교신학회 2015 선교신학 Vol.40 No.-

        본 연구는 이주민선교를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서 국가의 다문화교육 정책에 대한 기본적 이해가 필요함을 말하고 있다. 이에 다문화교육이란 무엇인지 먼저 간략히 정의하였고 다문화교 육의 대상을 제시하였다. 또한 정부가 지금까지 시행해 온 ‘외국인정책 기본계획’의 흐름 속에서 다문화교육 정책을 정리해 보았다. 특히 국가의 다문화교육 정책에서 이주민선교를 위한 적용 및 실천 방안은 없는지 살펴보았다. 이는 이주민선교가 교회 안에서만 수동적으로 이루어지는 데 그칠 것이 아니라, 이주민들이 모여 있는 삶의 현장으로 직접 들어가는 등의 역동적인 사역이 되어야 할 것임을 강조하였다. 이주민선교는 교육이라는 분야, 특히 다문화교육이라는 큰 틀 안에서 전문성을 가지고 대상자들을 만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기독교 세계관을 기반으로 제작한 우수한 다문화교육 콘텐츠와 프로그램 및 교재들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일 또한 매우 중요하다. 더욱이 이주민선교를 위해 국가의 정책과 계획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활용할 수 있는 순발력도 필요하다. 즉 다문화 중점학교 교육 내용에서도 제시하고 있듯이 다문화이해교육, 문화간 이해 및 소통, 문화다양성, 반편견 및 반차별, 세계시민의식의 주제를 다룸은 물론, 한국어교육, 상담, 멘토링, 문화체험교실, 인권, 평등사상, 성품교육 등 다양한 주제에 대한 전문가들을 배출하여 학생들과 교사들, 학부모들을 만날 수 있도록 다문화교육의 장을 계속해서 준비하고 열어나가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the education policy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mmigrant missions on the multicultural community in South Korea. What could be considered as the first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was a brief presentation on the subject of multicultural education, was the implementation of the policy in the Action Plan drafted due to the influx of foreigners that has previously been examined when studying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policy in South Korea. Also I organized the application plan for immigrant missions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state on the multicultural community. The Christian Church has taken a passive stance in their work often with the emphasis on the in departure of foreigners . The larger framework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particular, should be able to meet address multicultural education subjects. It is also important to develop and propagate good content for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that are produced based on Christian worldview. In addition, what is required are improvisation to determine what policies and programs should undertake in order to rapidly apply the policies and programs in immigrant missions. In other words, as presented in the education programs for multicultured centered school, we should emphasis more on crosscultural understanding and communication, cultural diversity, anti-bias and anti-discrimination, topics on global citizenship,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nseling, mentoring, cultural classes, human rights, equality ideology, and character building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to prepare them for the multicultural education environment.

      • KCI등재

        다문화 담론으로서 선교교육의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WCC의 선교 이해를 중심으로

        손원영 한국종교교육학회 2022 宗敎敎育學硏究 Vol.71 No.-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 담론의 맥락에서 선교의 개념 변화를 WCC의 공식문서 를 중심으로 성찰하는 것이었다. 연구 내용 본 연구는 세 가지의 주제를 탐색하였다. 첫째, 다종교 시대에서의 다문화 선교의 의미와 함께 다문화교육이론을 살펴보았다. 둘째, 선교의 개념이 WCC의 역사를 통해 어떻게 변화되어 왔는지 살펴보았다. 셋째, 본 논의가 한국교회의 다문화 선교교육에 어떤 시사점을 찾을 수 있을지 탐색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회에서의 다문화 논의는 기독교의 복음 선교와 밀접히 연결되어 있음이 발견되었다. 따라서 한국교회가 다문화 선교교육을 부차적인 교회 활 동으로 간주하는 것은 큰 오류이며, 오히려 교회의 본질은 선교에 있다는 인식하에 한국교회 는 다문화 선교교육에 더욱 큰 관심을 둘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 선교는 곧 종교 간의 대 화와 긴밀히 연결되어 있음으로, 다문화 선교교육은 상호문화주의 및 종교간교육의 맥락에서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다. 셋째, 선교의 의미가 에큐메니컬 운동의 전개와 더불어 다양한 의 미로 확대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특히 ‘하나님의 선교’ 개념이 등장한 이래로 그 의미는 가 난한 자의 우선적 선택, 주변성의 선교, 그리고 생태환경을 포함한 온 생명의 살림 등 다양한 의미로서 더욱 풍성해지고 있다. 따라서 한국교회의 다문화 선교교육은 이러한 의미들을 모두 포함하는 보다 통전적인 방향으로 나갈 필요가 있다. 넷째, 한국교회는 남북한의 분단과 이주 민 및 가나안 신자의 폭발적인 증가 등을 고려하여 환대의 영성에 기반한 다문화 선교교육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