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사 주도 문학토의와 학습자 주도 문학토의의 차이점 연구

        남지현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5 한국초등국어교육 Vol.59 No.-

        The nature of literary texts is the potential of meaning. Therefore literature education should help the learners to explore the deep understanding of literary texts. Literary discussion has been received an attention as exploring approach. Although the necessities and educational possibilites of literary discussion have been appreciated increasingly, discussion-based literary instruction has not promoted yet. In this situation, this study attempts to scrutinize the fundamental theory of desirable literary discussion and implement that in the actual instruction. It seems that the comparison of the student-initiated instruction to the teacher-initiated instruction emerged from accumulated literary discussion for 6th grader can give the direction for effective literary discussion. 문학 텍스트의 고유한 특성은 의미의 잠재 가능성에 있다. 그러므로 문학교육은 학습자가 문학 텍스트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수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여 텍스트에 대한 풍부한 의미형성을 도와야 한다. 문학토의는 이러한 탐구에 적합한 접근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문학토의 수업의 필요성과 그 교육적 가능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토의를 중심으로 한 문학수업은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서 본 연구는 바람직한 문학토의 수업의 토대를 이론적으로점검하고 그것을 실제 수업 속에서 구현해 보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문학토의 수업을 실행하고 그 과정에서 이루어진 교사 주도의 수업과 학습자 주도의 수업을 비교할 것이다. 이를 통해 효과적인 문학토의수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후보

        ‘철학과 문학’의 만남을 통한 토론 교육 : 서강대 팀티칭 사례연구

        김성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2 교양교육연구 Vol.6 No.1

        Sogang University has the course "philosophical anthropology" as one of core liberal arts education requirements. This article is introducing the process of discussion on "philosophical anthropology". The class was organized ten discussion topics during the curriculum for this semester, a with different themes for different weeks. A total of 70 students were spontaneously assigned into 10 subgroups for discussion and speaking on such topics as "philosophical anthropology" of 'harmony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In the discussion course of "philosophical anthropology", we aim at improvement of university students' ability to discussion and expression. Ability of actively discussion gets to consider 'harmony of philosophical and classical literature themes'. Students of this course have chances to make team presentation and debate once a week. After team's presentations, audiences has subgroups for the topic and they interchange each person ideas or opinions 'the philosophical topics to access the literature'. This trial succeed for students of anxiety on discussion. Continuous research and development 'team teaching' for better contents and modules for discussion training is required. Training program for team teaching needs to be improved to be more systematic. Most importantly, the instructors(professors) need to recognize the value of a discussion education, to control the anxiety condition, to reduce the anxiety attitude of students for discussion, and give active support for students through multi-channel, especially 'harmony of philosophy and literature', for an efficient discussion education. 서강대학교는 2011년부터 중핵필수 교양 강좌 중 ‘철학적 인간학’에 대하여, 팀티칭 교수법을 시행하고 있다. 철학적 인간학 수업은 인문 교양교육 강좌로 서강대학교의 교육 이념을 반영해서 지도하고 있다. 철학적 인간학 강좌 수는 6개이고, 수강 정원은 70명이며, 강의 교수는 팀티칭 교수법에 대한 논의를 2010년 12월부터 2011년 1학기와 2학기에 걸쳐서 연구 및 시행하고 있다. 이와 같은 새로운 교수법의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장점과 난점’을 살펴볼 수 있었다 :첫째, 팀티칭 교수법을 시행하면서, 토론 및 토의를 활성화하기 위한 기재로 ‘문학’과 ‘철학적 담론’의 결합을 통한 융합교육을 시도했다. 디지털 매체의 홍수 속에 살고 있는 수강생들에게 문학은 ‘낯선 활자’에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고, 철학의 주제는 ‘돈 벌이 안 되는 학문의 주제’에 지나지 않는 듯 보인다. 이와 같은 인상을 지니고 있는 수강생들에게 ‘철학적 인간학’ 교양 강좌는, 문학을 통한 다양한 주제(storytelling)에 대해서 이야기하고, 이를 기반으로 ‘철학적 담론’을 끌어냄으로써 수강생들과 ‘학제 간 교류 혹은 융합’을 통한 ‘자유롭고 통합적인 사고’를 할 수 있는 기재를 마련할 수 있게 되었다. 둘째, 팀티칭 교수법의 시행 내에서의 ‘토론 및 토의교육’을 통해, 대단위 수업이 갖는 고질적인 문제점인 ‘수업에 참여하지 않는 수강생(free rider)’를 [소그룹 토론 및 토의]를 통해 해결하고자 했다. 특히 주제에 대한 대표조의 발표 이후에, 같은 주제로 5~7명의 수강생들이 옹기종기 모여 앉아, 소그룹으로 토론 및 토의했을 경우에 수업에 대한 참여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대단위 수강생이 참여하는 강좌에서 토론 및 토의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현실적으로 수강생에 대한 인원 제한과 수강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높이기 위한 교수자의 ‘적극적인 튜터의식’이 요구되는 한계점은 부인할 수 없는 과제로 남아있다. 그러므로 본 논고에서는 이와 같은 인문 교양교육 강의에서의 토론 및 토의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방안을 서강대학교의 팀티칭 토론 및 토의 운영 사례를 통해서 소개하고, 앞으로 인문 교양교육에 있어서의 토론 및 토의 학습의 발전방향을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서사적 대화"를 활용한 문학 토의 수업 연구

        최인자 ( In Ja Choi ) 국어교육학회 2007 國語敎育學硏究 Vol.29 No.-

        이 글은 문학 토의 교수 학습 모형을 구안하되, 특히, 서사적 대화의 원리를 원용하여 학습자의 자발성에 기초한 문학의 심층 이해와 학습 공동체가 중시되는 수업 문화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토의 수업은 문학적 이해의 특징을 가장 잘 살릴 수 있으며, 또한 기존의 지식관이나 교수 학습자의 관계를 재구성할 수 있는 매우 의미있는 수업 모형이다. 그러나 이는 다시 문학적 사고의 고유한 특징으로 재구성될 필요가 있는데, 그 이유는 일반 토론, 토의 모형의 형식주의적 절차가 다소 도식적으로 작동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문학적 이해는 과학적 이해와는 달리, 독자의 삶의 경험 연관에 의해서만이 생생한 경험으로 남을 수 있으며, 또 처음의 인상이 여러 경로의 탐색에 의해 확장, 보완되는 방식으로 지속적으로 변모되어 나간다. 이러한 특징을 살리기 위해서는 서사적 대화를 학습자가 자신의 이야기와 텍스트의 이야기를 공동으로 탐색하면서 만들어가는 수업이 효과적이다. 그것은 자기 삶의 경험을 텍스트 해석의 자원으로 활용하고, 또 텍스트의 해석을 통해 자기 삶의 경험을 재해석할 수 있도록 하며, 또 스토리 특유의 감염력을 통해 다른 학습자들의 이야기에 공감하면서 다양한 가능성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한다. 이 수업을 위해서는 심리적으로는 학습자를 사고 주체로 권한 부여하며 진정성을 강조하여 개성적인 목소리를 드러내면서도 다른 사람에게 검증받으려는 사회적 책임감이 존중되어야 한다. 또, 사회적 측면에서 교사의 역할은 학습자들의 이야기를 이끌어내면서도 다양한 이야기가 교류, 소통될 수 있는 점을 강조해야 한다. 또, 기호적으로는 텍스트의 모호한 수수께끼, 불확정된 부분을 존중하면서도 임의적인 태도로 자기 의견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The task of this essay is to develop the literature discussion method. Especially, this essay tries to apply the narrative conversation for the literature discussion method. The response of literature is constructed with media, the pattern of interaction and context. If we apply the narrative conversation for the literature discussion method, teacher can make student construct dependant meaning making and deep inference in relation to personal experience. And we realize the value of the learning community. The psychologic principle of develop literature discussion in base of narrative conversation is to empower the student, to keep authenticity and take the role of spectator. The social principle of develop literature discussion is to keep dialogic relation in students and student with teacher. And it is important to make learning communit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terature response. Teacher should provide the diverse narratives in different position and interest to extend the meaning-explore. The sign principle of develop literature discussion is to emphasize the openness and uncertanity or text.

      • KCI등재

        문학 번역 수업 지도안과 효과성

        박주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students have improved their understanding and translation ability of literary translation by using the lesson plan that can be used to teach literary translation class, which is one of S University’s major elective subjects in a fun way. The selection of works made by English literature as a material of translation practice is because movies are fun and they have a great effect on inducing students' interest and motivation for learning. During the class, students were encouraged to conduct self-directed learning using the data of Daum Cafe(Online community, http://cafe.daum.net/smact) operated by the researcher. Through the two surveys before and after the semester, the class was conducted as a learner-centered model that actively reflects the opinions of the learners. As a result of the lesson plan reflecting the above process, it was confirmed that the background knowledge and quiz of English literature had a great influence on the learning, and it was also helpful for students to acquire translation methods and improve their vocabulary. The researcher hopes this study will be used for teaching literary translation class and further studies will be made. 이 연구의 목적은 S대학교 전공 선택 과목 중 하나인 문학 번역 수업을 재미있게 지도할 수 있는 수업 지도안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문학 번역에 대한 이해력과 번역 능력을 향상하였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번역 실습의 자료로 영문학을 영화로 제작한 작품을 선정하는 것은 영화가 재미있으며, 학생들의 관심을 끌어 학습동기를 유발하는 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수업을 진행하면서 학생들에게 연구자가 운영하는 다음 카페(온라인 커뮤니티, http://cafe.daum.net/smact)의 자료를 이용하여 자기주도적 학습을 하도록 유도하였으며, 학기 전후의 2회의 설문 조사를 통해 학습자 의견을 적극 반영하는 학습자 중심의 모형으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반영한 수업 지도안을 통해 수업을 한 결과 영문학의 작품 배경지식과 퀴즈가 학습에 많은 영향을 끼쳤으며, 학생들의 번역 방법 습득, 어휘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이 연구가 문학 번역 지도에 활용되고 후속 연구가 나오길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