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본 5세 유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 연구 : 모래놀이의 주제 및 심리적 변환과정을 중심으로

        한미현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1 모래놀이상담연구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모성분리불안, 사회적 위축, 주의력 결핍, 공격성 등의 정서불안정 문제를 가진 5세 유아에게 적용한 모래놀이치료의 효과를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이다. 접수면접 및 심리검사 결과를 토대로 총 13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6개월간 실시하고, 모래상자에 표현된 놀이의 테마 분석을 통해 모래놀이치료과정의 진행에 따른 심리적 변환 및 자아발달과정을 고찰하였다. 또한 치료가 진행됨에 따라 아동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정서 및 행동적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매 치료회기 후 모와의 상담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료과정의 진행과 더불어 모래놀이주제(상처/치유)의 출현양상이 변화하였다. 즉 치료초기단계에서는 상처의 주제가 많이 나타났으나 치료회기가 진전됨에 따라 치유를 상징하는 주제가 점차 증가되면서 결국 상처의 주제를 능가하게 되고, 치료후반기에는 상처의 주제는 사라지고 심리적 변환의 주제로 변화되었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과정에서 나타난 놀이주제의 변화과정은 자아발달적 관점에서 자아의 분화 및 성장과정을 재확인시켜줌으로써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유아의 자아성장을 보여주었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과정과 병행하여 모상담을 실시한 결과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아동은 일상생활에서 보였던 정서불안정 문제가 사라지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에서도 적극적이 되었으며 운동, 학습 등과 같은 사회적 활동을 즐기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본 사례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발달 및 사회적 적응을 돕는데 효과적임을 보여준다."

      • 유분증 아동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조창숙,윤운성 한국에니어그램학회 2016 에니어그램연구 Vol.13 No.1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유분증 아동의 유분증상 감소에 미치는 영향과 유분증을 동반한 아동의 문제행동의 변화를 모래놀이치료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모래놀이치료 중재과정은 주1회 40분씩 15회기와 추후 1회기로 총 16회기를 실시하였다. D 센터의 모래놀이치료실에서 실시하였고, 부모상담 및 교육은 아동의 유분증이 나타나게 된 배변 훈련, 가정환경과 가족의 변화 등에 대한 내용으로 이루어졌고, 전체 4회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유분증상을 감소시키며, 긍정적인 영향이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가 유분증을 동반한 문제행동 감소에 영향을 주었다. 셋째, 배변에 대한 아동의 의사표현능력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가 제시하는 것은 모래놀이치료의 중재가 대상아동 유분증상의 빈도감소 에 효과가 있었으며, 유분증을 동반한 문제행동의 감소와 배변행동에 대한 의사표현도 향상되었 다는 점이다.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배변행동에 대한 두려움과 불안을 해소하여 자신을 양육하 고 배변행동을 연습하며 바람직한 배변행동으로 연결되면서 아동 스스로 자신의 발달과 내적성장을 위해 노력하는 자기실현경향성이 있다는 것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if the sandplay therapy effect on reducing childhood encopresis symptoms or not. And I want to see the meaningful change of a child from the cases' analysis. Therefore, I studied about a definition and character of encopresis, and then looked the family's atmosphere and change up. Thus, the counseling process in the sandplay had progressed totally 15 sessions, that was 40 minutes per 1 week during treatments and we met one more time after treatment. In the D sandplay center, he played with sand and figures. And I taught to his parents how to training the bowels' function of a encopresis child and talked about family's environment or changes after treatments for 4 ses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below. First, the sandplay therapy reduce childhood encopresis symptoms and effect him positively. Second, the sandplay therapy effect to reduce disorder behavior according to encopresis. Third, the child's communication skill improved. First time, he didn't express his opinion before the counseling, opened the bowels in his pants, so his parents recognized from the smell. In the 8th session, he said to counselor “I want to go to bathroom.” clearly..

      • KCI등재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적용 연구 : 융의 분석심리학과 위니캇의 대상관계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박은정 한국실천신학회 2021 신학과 실천 Vol.- No.77

        본 연구의 목적은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적용에 관한 연구를 C. G 융 (Carl Gustav Jung)의 분석심리학 이론과 도날드 위니캇(Donald Woods Winnicott)의 대상관계 심리치료를 중심으로 고찰해 보고자 하는 것이다. 오늘날 많은 표현예술치 료 기법들이 소개되고 있으나 영성적 측면에서의 연구는 희박하다. 그럼에도 불구하 고 기독교 상담 영역에서의 표현예술치료 분야는 계속적으로 확장되고 있다. 또한 기 독교 상담자를 찾아오는 내담자들은 영적 치유에 갈급해 하며 상담자에게 다양한 치 료적 접근을 기대한다. 따라서 기독교 상담자는 다양한 기법을 활용하여 영성적 접근 을 시도하는 과정을 통해 상담의 더 큰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음을 인정하고 지속적으 로 연구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자는 20여 년간 모래놀이치료를 교회, 학교, 복지기관 에서 실시 해 온 기독교 상담자로써 모래놀이치료가 기독교 상담의 측면에서 어떠한 적용점이 가능하였는지를 직접 경험해왔다.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본 연구는 표현예 술치료의 다양한 기법들 중에서도 융 분석심리학의 영성적 측면과 가장 관련이 깊은모래놀이치료에 집중하여 기독교 상담적 적용을 고찰해 보려 한다. 연구 방법으로는 첫째, 융 분석심리학과 기독교 상담의 관련성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모래놀이치료의 기독교 상담적 이론 기반을 확인하고자 한다. 둘째, 모래놀이치 료의 역사와 이론, 상담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 후 모래놀이치료의 치유적 힘과 자아 실현의 과정에 관하여 고찰해 보고자 한다. 셋째, 모래놀이치료의 임상 현장에서 기독 교 상담이 어떻게 적용 가능한지에 관하여 연구해보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y of sandplay therapy applying to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Carl Gustav Jung’s theory of analytical psychology and Donald Woods Winnicott's object-relations theory. Many expressive art therapies have been introduced these days while few studies were conducted in the spiritual perspective. Nonetheless, expressive art therapies continue to be expanded in the Christian counseling area. Also clients who seek Christian counselors want spiritual healing expecting a variety of therapeutic approaches from counselors. Hence, Christian counselors should recognize that better outcomes are anticipated from the trials of spiritual approaching process using multiple techniques, which requires continuous studies. As a Christian counselor who has performed sandplay therapy in churches, schools, and welfare centers over 20 years, the investigator experienced what points in the sandplay therapy had been worked in view of Christian counseling. Based on these experiences, this study was aimed to review the sandplay therap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the spiritual perspective of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mong multiple techniques of expressive art therapy, applying to Christian counseling. The first study method is to find out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Christian counseling with sandplay therapy by literature review on the relations between Jung’s analytical psychology and Chrisitan counseling. The second method is to review the healing power and the course of self-realization of sandplay therapy after researching its history, theory, and counseling processes. The third method is to investigate how Christian counseling is applied in the clinical practices of sandplay therapy.

      • KCI등재후보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부부관계 증진에 미치는 효과 검증

        오세선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3 모래놀이상담연구 Vol.9 No.2

        본 연구는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부부관계치료로서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과 제로 첫째는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한국의 성인부부들에 대한 접근성은 용이한가를 알아보는 것이고, 둘 째는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부부치료기법으로 치료적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일반 적인 부부로 자발적으로 실험에 참여한 부부 15쌍(N=30)을 대상으로 하였고, 실험을 위한 프로그램으로는 Boik과 Goodwin(2000)이 제시한 커플의 자발적인 모래놀이 상자(Spontaneous Sand Tray with Couples)의 7단계를 사용하였다. 실험의 설계는 1차 4회기와 2차 8회기로 나누어 실시하였고, 1차 4회기에서는 전체 부부 15쌍 에게, 2차 8회기는 15쌍의 부부들 중에 선정된 2쌍의 부부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의 결과를 위한 측정 도구로는 부부조망수용자기보고 척도, 부부의사소통 척도, 부부결혼만족도 척도와 참여자의 프로그램평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양적분석은 SPSS Win 14.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을 산 출하였고, paired t-test와 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커플의 모래놀이치료는 한국의 성인부부, 즉 남편과 아내 모두에게 커플의 모래놀이치료가 치료적 접근성과 적용 가능성이 충분히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커플의 모래놀이치료는 부부조망수용능력과 부부의사소통 그리고 부부만족 도를 향상시켜 주는 효과적인 부부관계치료 기법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커플의 모래놀이치료는 한국의 성인부부의 부부관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KCI등재

        모래놀이 그림에서 나타나는 공간적․신체적 움직임과자기 몰입수준에 관련된 사례연구

        이승희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3 놀이치료연구 Vol.17 No.3

        This is a small group case study with three female college students on individual sand play therapy sess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 of spatial and physical movements in the sand pictures and the level of Self-immersion of the clients and the differences in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session were the issues of this study. After the introduction of sand play therapy to each client separately, each client made her own sand pictures in individual session freely along to the immediate impression at the moment. Among the overall 10 sessions, the first(1), middle(4, 7), and the last(10) sand pictures and the measurements were compared to identify the differences and the relationships on the variables above. The contents of SCC of one client were presented as an example of the effects of sand play therapy on the client part.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WIN v.20 and SCC. The results shows that som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levels of clients’physical movements, the spatial movements of figures and sand observed in the sand picture, and the levels of Self-immersion of the client were significant and the clients were affected by the sand play therapy in positive way. Discussions were presented on the multidisciplinary basis of neuro-scientific area and counseling area in the view of therapeutic effect. 본 연구는 모래놀이치료 그림 상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신체적 움직임과 공간적 움직임, 그리고 내담자의 자기 몰입수준에 대해 살펴본 사례연구이다. 3명의 대학생 내담자들을 대상으로 모래놀이치료를 소개한 후 내담자가 떠오르는 대로 자유롭게 구성한 모래놀이 그림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움직임과 내담자의 신체적 움직임, 내담자의 언어적 발화에서 평정되는 회기 내 자기 몰입수준을 측정하면서 총 10회기의 개별모래놀이치료가 진행되었다. 초기와 중간, 그리고 마지막 회기의 모래놀이치료 회기 내에서 내담자가 나타낸 신체적 움직임과 모래놀이 그림에서 나타난 공간적 움직임, 그리고 내담자의 자기몰입수준이 회기별로 비교되었고 변인들 간 상관관계가 산출되었으며, 모래놀이 그림에 대한 내담자의 이야기, 내담자의 정서적 반응, 모래놀이 그림에 대한 치료자의 인상 등이 분석되었다. 이상의 자료들은 SPSS WIN. 20과 SCC로 분석되었다. 연구결과, 모래놀이치료 회기의 진행에 따라 모래놀이 그림에서 내담자가 표현하는 공간적 움직임과 내담자의 신체적 움직임, 그리고 내담자의 자기몰입 수준에서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 간 상관이 나타났다. 내담자의 신체적 움직임과 모래놀이그림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움직임을 자기몰입수준과 연결하여 신경과학영역과 심리치료 영역의 다학문적 입장의 논의가 치료적 효과 측면에서 진행되었다.

      • KCI등재후보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정서적 지지를 위한 모래놀이치료 사례

        양한연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1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8 No.2

        본 연구에서는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정서적 지지 증진에 모래놀이치료가 효과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알코올중독자 자녀를 대상으로 총 12회기의 모래놀이치료를 실시하였고, 모래놀이치료 진행과정, 우울불안과 자아존중감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모래놀이치료 회기가 진행될수록 아동의 모래상자에서는 관심과 사랑에 목말라하는 정서, 즐거움과 공감을 바라는 마음이 표현되었다. 피겨 선택의 폭이 다양해지고 모래상장에 서의 위치사용도 넓어졌다. 또 치료자와 대화를 할 때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얼굴표정이 다 양해지고 목소리도 정확하고 크게 변화하였다. 둘째,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우울불안 변화를 살펴본 결과 모래놀이치료 실시 후 우울불안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우울불안 요소를 감소시켜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해 주었다고 할 수 있다. 셋째, 모래놀이치료가 알코올 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모래놀이치료 실시 후 자아존중감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모래놀이치료가 알코 올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을 증진시켜 정서적 지지를 제공해 주었다.

      • KCI등재

        모래놀이치료를 통한 아스퍼거 장애유아의 통합교육 사례연구

        조희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09 유아교육학논집 Vol.13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better understand the benefits of sand play therapy on a child with Asperger Syndrome who has been exposed to it in a generalized educational environment.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and how incorporating sand play therapy affected each facet. The documented study establishes that children who have Asperger Syndrome can be treated in a setting that educationally advocates sand play therapy in a multifaceted facility without any discrimination or special treatment. Distinctively, mental and emotional components were organized by the subject while engaging themselves with sand play activities. It has been perceived that their social interactions have matured and they have become more cognizant of their peers and ability to communicate ideas and concepts on both ends. Throughout the study, these aspects were seen to develop and advance as the child interacted more with the therapy. Hence, it is in fact therapeutically effective in both, those children who are normal and those who require special attention. The anticipated outcome of this study is the confirmation of sand play therapy and its validity to that of a child who has Asperger Syndrome that is put in a generalized educational institute. The findings will be useful in the integration of specialty schools with general facilities and the increase of inclusive institutes, as well as implementing efficient ways to instruct children who experience Asperger Syndrome in general. 본 연구는 장애아 통합 유아교육기관에 입학한 아스퍼거 장애유아를 통합교육 하는 과정에서 모래놀이치료를 병행하여 실시함으로써 장애아동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현재 어린이집의 원장이면서 모래놀이치료 전문가인 관계로 어린이집 내에 모래놀이치료실 환경을 보유하고 장애통합에 적용하여왔다. 본 연구에서는 아스퍼거장애 유아에게 통합보육과 함께 실시된 모래놀이치료를 통해 심리적으로 엉켜있는 감정들을 정리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해 사회성 발달과 함께 또래 아동에 대한 적응과 의사소통의 변화를 보고자 했다. 사전검사로 DSM-Ⅳ, IEP체크리스트를 실시하였으며, 통합교육과 함께 어린이집에 부설되어 있는 모래놀이치료 상담실에서 모래놀이치료전문가인 원장에 의하여 주1회 50분씩 총32회기에 걸쳐 개별적으로 실시되었다. 모래놀이치료 실시 후 모래놀이치료 내용 비디오와 사진, 관찰일지 등을 종합 분석하였다. 사후분석 결과, 장애유아의 문제행동인 상동행동 및 언어적 문제 행동이 현격히 감소되었으며 또래아동과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활발해졌고, 정서적 안정감을 되찾았다. 이는 결과적으로 모래놀이치료가 장애유아의 사회적응능력과 문제해결능력에 도움이 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장애아 통합교육기관에서의 모래놀이치료가 심리적, 정서적 문제를 가진 아동을 도와줄 수 있을 뿐 아니라 아스퍼거 장애 아동의 치료에도 의미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집단 모래놀이치료 연구동향

        서종수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2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research trends on group sandplay therapy by analyzing group sandplay therapy papers made in Korea. For this, 69 papers were collected by searching ‘group, sandplay’ on RISS, DBpia, Earticle, Kiss, newnonmun, scholar and other research information sites and collecting papers from 2008 to 2021. A collection frame was prepar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sandplay therap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year, subject, composition, evaluation method, session and time, research method, research model, group classification, analysis method, location, and major. As a result of this study, group sandplay therapy had the most studies on children and structured group sandplay therapy program.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is study, found that the pre-post-test model is most used for group sandplay therapy, the evaluation method is a complex method, and the Wilcoxon test and ANCOVA are the most used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 place where a group sandplay therapy program is implemented was ‘not stated in the paper’ the most, and the children/family (welfare) majors were the most. Based on these results, future research directions for group sandplay therapy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국내에서 이루어진 집단 모래놀이치료 논문을 분석하여, 집단 모래놀이치료에 관한 연구동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RISS, DBpia, Earticle, Kiss, newnonmun, scholar 및 기타 연구정보 사이트에 ‘집단, 모래놀이’를 검색하여 2008년부터 2021년 까지 이루어진 논문을 수집하여 총 69편의 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 틀은 모래놀이치료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작성하였으며, 연도, 주제, 구성, 평가방법, 회기 및 시간, 연구방법, 연구모형, 집단분류, 분석방법, 위치, 전공별로 분석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집단 모래놀이치료는 아동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았으며, 구조화된 형태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 모래놀이치료는 사전-사후검증 모형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평가방법은 복합적 방법을, 통계 분석방법은 Wilcoxon test와 ANCOVA가 가장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 모래놀이치료의 프로그램 진행장소는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 아동/가족(복지)전공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 모래놀이치료의 연구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모래상자 놀이의 과거와 미래: 상담매체로사용하기 위한 준비

        송영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2012 놀이치료연구 Vol.16 No.2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general considerations for the counselors using sand tray play as a counseling tool. It was examined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sand tray play and compared two types of platforms, between as a therapeutic method and as a counseling tool, using sand tray therapy. Doctoral and master theses, which were published in Korea, were analyzed. The items were studied in the followings, 1) Research topics, 2) Characteristics of subjects, 3) Program manual for sand tray play, 4) Examination of the effect of sand tray play program, and 5) Roles of counselor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us that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sand tray play, by itself, could lead to therapeutic effects. Counselors should adopt the program depending on the progress of his/her clients, because the client’s responses through the production on the sand tray play may continue his/her feelings or the association of ideas for a long time. Counselors should play more systemic and more objective roles in the program. 본 연구는 내면의 소리에 귀 기울이게 하는 데에서 탁월한 기능이 있는 모래상자 놀이를 상담의 매체로 사용하는 데에서 상담자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되었다. 모래상자 놀이의 특성을 살펴보았고, 치료기법으로서의 모래상자 놀이와 상담매체로서의 모래상자 놀이를 간단히 비교했으며 이제까지 한국에서 발표된 모래상자 놀이 관련의 석 박사학위 논문 103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의 기본은 치료기법으로서의 모래상자 놀이와 상담매체로서의 모래상자 놀이를 분류하는데 두었고, 분석한 내용은 연구주제 및 치료목표, 연구 대상자의 특성, 모래상자 놀이의 진행방법, 효과의 검증방법, 상담자의 역할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모래상자 놀이의 고유한 특성은 모래상자 놀이를 하는 것 자체만으로도 치료적 장점이 있고, 모래상자에 있는 내담자의 작품은 내담자의 감정과 연상을 오랫동안 지속시키기 때문에 상담은 내담자의 진행속도에 맞추어야 하지만 상담자가 보다 구체적이고 객관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 KCI등재후보

        이른둥이 유아의 자아 탄생에 대한 모래놀이치료 사례연구

        현숙희(Hyun Suk Hee) 한국모래놀이치료학회 2020 모래놀이상담연구 Vol.16 No.2

        본 연구는 양수파열로 180일 만에 미숙아로 태어난 만 6세 여아의 모래놀이치료 사례이다. 아동은 출생 후 4개월 동안 인큐베이터에 있었고, 이후 6개월간 산소 호흡기를 착용하고, 이후에도 몇 차례의 대수술과 아빠의 사고 등 대부분의 영아기를 병원에서 보내야 하는 어려운 환경에 있었다. 아동은 또래들과의 소통이 원활하지 않고, 위축되어 유치원 적응에도 어려움을 보인다는 주호소로 모래놀이치료에 의뢰되었다. 접수 면접 및 HTP 그림검사를 토대로 주 1회(50분), 총 18회기 동안 모래놀이치료가 이루어졌고 아동은 젖은 모래를 자주 사용하며 모래 작업을 적극적으로 하였다. 전체 회기를 상담 초기, 상담 중기, 상담 말기 세 단계로 나누어 모래상자에 표현된 놀이의 내용 분석을 통해 모래놀이치료 과정에 따른 심리적 변화 및 자아발달과정을 고찰하였다. 상담 초기는 태아놀이단계(1회~11회기)로 엄마의 자궁 속으로 퇴행하여 놀고먹고 씻고 자는 태아 놀이가 이루어졌다. 상담 중기는 의식발달의 단계(12~17회기)로 마을들이 등장하고 학교 놀이가 이어져 집단에 대한 태도가 나타나고 집단과의 소통과 규칙을 형성할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상담 말기인 18회기에서는 둥근 케이크와 종이 등장하여 의식의 발달, 자아 탄생을 알렸다. 따라서 본 사례연구는 모래놀이치료가 아동의 자아발달을 돕고 자아 탄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현실의 적응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다. This study is a case of sandplay therapy in a 6-year-old girl who was born premature after 180 days due to amniotic fluid rupture. The child was in an incubator for 4 months after birth, and after wearing an oxygen respirator for 6 months, the child was in a difficult environment where most of the infants had to be sent to the hospital, including several major surgeries and father’s accident. Children were asked for sandplay treatment as the main complaint that they had difficulty in adjusting to kindergarten due to poor communication with their peers and atrophy. Based on the reception interview and HTP picture test, sandplay was held once a week (50 minutes), for a total of 18 sessions, and children often used wet sand and actively worked on sand. The whole session was divided into three stages: the beginning of the counseling, the middle of the counseling, and the end of the counseling.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play expressed in the sandbox, the psychological changes and the process of self-development according to the sandplay treatment process were considered. In the early stages of counseling, the prenatal play stage (1st to 11th sessions) was regressed into the mother’s womb and played, eating, washing, and sleeping. During the middle counseling period, villages appeared in the stage of consciousness development (12-17 sessions), followed by school play, showing an attitude toward the group, and the possibility of communication and rule formation with the group. At the end of the counseling session, the 18th session, round cakes and paper appeared to announce the development of consciousness and self-birth. Therefore, this case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andplay therapy not only helped children’s self-development and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birth, but also had a positive effect on adaptation to real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