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光復 이후의 漢四郡에 대한 硏究史 考察

        이일걸 간도학회 2020 간도학보 Vol.3 No.2

        For over 70years after the restoration of Korea’s national sovereignty, mainstream historians under the influence of colonial historical studies have delivered fallacious claims to Korean people. The distortions of ancient Korean history began with identifying the location of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Peishui and Manfanhan. Furthermore, as for Gojoseon, mainstream historical scholars, who largely teach in university education, regarded its territory as the northwestern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and southern Manchuria and its central part as the Pyeongyang area in the Daedong River basin. In contrast, the nationalist Gangho school asserted that Gojoseon had been situated across the entire Manchuria and the Korean Peninsula, with its center at Wanggeomseong (Heomdok) in Liaoxi. With respect to Gija Joseon and Wiman Joseon, the mainstream historians accept them whereas the nationalist historians negate them. Furthermore, the former even largely accepts the view that Gija moved to the East between the late Yin and early Zhou dynasties, but the latter hardly recognizes such view. It is gravely erroneous for the mainstream scholars to sympathize with the theory of Chinese scholars that construe the Gihu inscription(㠱候銘) and what is called Gojuk inscription(孤竹銘) by Chinese scholars—bronzeware scripts excavated in Kazuo xian, Hongshan area—as Gija(箕子) and Gojuk(孤竹) as part of the evidence of the afore-said view of Gija. In other words, Gihu(㠱候) is not Gija(箕子), but Ehuang(蛾皇), who is a daughter of Jiandi(簡狄). Chinese scholars, including the renowned historian Li Xueqin(李學勤), misread the Gojuk inscription in six letters as “父丁孤竹亞微.” The letters misread as Gojuk(孤竹) are actually “晉系” and their true meaning is to “proceed to continue(進繼).” Recently, Chinese scholars insist on Gijadongcheon(箕子東遷) based on the above two misinterpreted bronzeware scripts, as part of China’s Gojoseon Project to deny Gojoseon, also known as Dangun Joseon, and push forward with Gija Joseon. Concerning the location of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that Emperor Wu installed after the collapse of Wiman Joseon, Shin Chae-ho said, “essentially, they were not marked on the territory, but they were just a speculation drawn on paper and were not realized.” Jeong In-bo also claimed that the installation of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stated in the Joseon chapter in Shiji was fabricated. In “A Study of Lelang Commandery(樂浪郡考),” Lee Byong-Do identified Suicheng xian(遂成縣) adjacent to Mt. Jieshi in Liaodong as Suan(遂安), Hwanghae-do, which caused the eastern end of the Great Wall to be lined in Hwanghae-do. In regards to the location of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the mainstream historians asserted the Daedong River basin and the nor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hile nationalist historians claimed Liaodong and Liaoxi areas. Among others, the former assumed that the Lelang Commandery had been located in Pyeongyang area near the Daedong River, but the latter argued that it was situated across Liaodong and Liaoxi, saying that the relics related to the Pyeongyang theory of Lelang Commandery were fabricated. The location of Peishui(浿水) and Manfanhan(滿番汗) is the core issue in determining the territory of Gojoseon. The mainstream historians identified Peishui as the Amnok River, the Cheongcheon River and the Bakcheon River within the Korean Peninsula, but the nationalist historians, as the Luan River, the Daling River, the Liao River, and the Joseon River in Liaodong. As the mainstream historical scholars mostly set the location of Peishui to the Cheongcheon River and the Amnok River in line with Gojoseon’s Pyeongyang-centrism, they set Manfanhan the area adjacent to the two rivers. In contrast, the nationalist scholars claimed that Manfanhan was located across Liaodong and Liaoxi areas. In this case, the Amnok River and the Cheongcheon River serve as the boundary between Gojoseon and the Han dynasty. In this regard, it does not make sense to consider Peishui the Amnok River even though there is no historical fact that the Yan(燕)’s power stretched out to the river. This reveals that the location of Peishui and Manfanhan claimed by the mainstream historians is incorrect. Recently, critical voices have been raised concerning the learning of colonial historical studies. Although the mainstream historians teaching in university education argue that they have not been influenced by the colonial historical view, their history lessons are indistinguishable from Joseon History published by the Korean History Compilation Committee. Among others, the colonial historical view of claiming that Lelang Commandery had been located in Pyeongyang near the Daedong River for about 420 years and refuting that Gojoseon had existed prior to the 9th Century BC is causing chaos to the identity of ancient Korean history. Moreover, the mainstream historians’ claims of the location of the Four Commanderies of Han and of Peishui’s position in the northern Korean Peninsula also remain as the remnants of such colonial historical view, serving as a long-lasting obstacle to authentic history education. China’s historical period started from 841 BC, the first year of republicanism; however, the country set the beginning year of Xia(夏) earlier to 2,070BC, promoting the “Exploration on the Origin of Chinese Civilization Project” and the “Xia–Shang–Zhou Chronology Project.” Korea, on the other hand, is caught in a dilemma that we lose our identity appearing in the Hongshan culture as Korea’s 5,000-year history is shortened with a loss of 15centuries. 2,333BC, the beginning of the Korean historical period written in historical literature, was denied, leading to a state in which the identity of ancient Korean history would be unrecoverable. Moreover, China is promoting the Gojoseon Project to deny Gojoseon, our first state, and fabricate fictional Gija Joseon as the beginning of Korean national history. Under such circumstances, Korea needs to take countermeasures as soon as practicable. 광복 이후 70여 년 동안 식민사학의 영향을 받은 주류사학계가 거짓된 역사를 지금까지 국민들에게 가르쳤다. 우리 고대사의 왜곡문제는 한사군(漢四郡)과 패수(浿水), 만번한(滿番汗)의 위치 비정에서 출발한다. 또한 주류학계인 강단사학계는 고조선의 위치를 한반도 서북부와 남만주일대로 간주하고, 중심지는 대동강 유역의 평양일대로 보았다. 반면 민족사학계인 강호사학계는 고조선의 위치를 만주 전 지역과 한반도로 비정하고, 중심지는 요서(遼西)지역의 왕검성(험독)으로 보았다. 기자조선과 위만조선의 문제에 대해서도 주류사학계는 이를 인정하는 반면 민족사학계는 부정하였다. 심지어 은말주초(殷末周初)에 일어난 기자동래설도 주류사학계만 인정한다. 최근 중국 학계는 고조선(단군조선)을 부정하고 기자조선을 내세워 추진하고 있는 ‘고조선 공정’에 청동기명문(銘文)을 잘못 해독한 기후명(㠱候銘)과 세칭 고죽명(孤竹銘)을 근거로 기자동천(箕子東遷)을 주장하고 있다. 실제 기후(㠱候)는 기자(箕子)가 아니며, 간적(簡狄)의 딸인 아황(蛾皇)이다. 세칭 ‘수이함환뢰(首耳銜環罍)’의 고죽명(孤竹銘)의 6자를 이학근(李學勤) 등은 “父丁孤竹亞微”으로 잘못 해석하였다. 고죽(孤竹)의 실제 글자 형태는 진계(晉系)이나 진짜 의미는 “나아가서 잇는다”는 진계(進繼)이다. 위만조선이 망한 후 한(漢) 무제(武帝)가 설치한 한사군(漢四郡)의 위치에 대해서는 신채호는 “한사군은 원래 영토상에 그은 것이 아니고 종이 위에 그린 가정일 뿐 실현한 것이 아니다”라고 하였다. 정인보는 『사기』 조선열전의 사군(四郡) 설치는 조작되었다고 하였다. 이병도는 ‘낙랑군고(樂浪郡考)’에서 요동의 갈석산 부근의 수성현(遂成縣)을 황해도 수안(遂安)에 비정하여 만리장성이 동단이 황해도에 그어지는 원인이 되기도 하였다. 한사군에 대하여, 주류학계는 발굴유물 조작설을 무시하고 대동강 유역을 낙랑군으로 인정하고 한반도 북부를 한(漢)의 군현으로 비정하였다. 반면, 민족사학계는 요동과 요서지역에 한사군을 위치시켰다. 패수(浿水), 만번한(滿番汗)의 위치 비정은 고조선 영역 법위 결정에 있어서 핵심적인 쟁점이다. 주류사학계는 패수(浿水)를 압록강, 청천강, 박천강 등 한반도 내로 비정한 반면 민족사학계는 요동지역의 난하, 대릉하, 요하, 조선하 등으로 비정하였다. 연(燕)의 세력이 압록강까지 미쳤다는 역사적 사실이 없는데도 패수를 압록강으로 설정하는 주류사학계다. 특히 주류학계의 420년간 존속했다는 대동강 평양의 낙랑군설과 서기전 9세기 이전의 고조선(단군조선) 부정론은 우리 고대사의 정체성을 혼란시키고 있다. 중국은 공화원년인 서기전 841년이 역사시대의 시작이었지만 ‘중화문명탐원공정’과 ‘하상주단대공정’을 추진하여, 하(夏)의 기년을 서기전 2070년으로 끌어올렸다. 반면 우리 민족은 반만년의 역사 중 주류사학계가 서기전 24세기의 고조선 건국 기년을 불신하여, 오히려 15세기가 줄어든 짧은 역사국이 되고 말았다. 이제 고대 홍산 문명에 나타났던 우리민족의 정체성마저 찾을 수 없는 딜레마에 빠지고 있다. 고조선 건국 기년의 불신으로 인해, 우리 고대사의 정체성은 회복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다, 더구나 중국이 우리의 최초 국가인 고조선(단군조선)을 부정하고, 허구의 기자조선을 우리 민족 역사의 시작이라고 조작한 ‘고조선공정’을 펴고 있는 현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고고자료를 통해 본 만번한

        이후석(Yi Whoseok)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7

        고조선과 연의 경계는 기본적으로 문헌 기록에 근거하여 찾아야만 한다. 그렇지만 서술 내용이 소략하고, 그나마도 일치하지 않는 내용으로 인해 연구자 간 많은 이견들이 있어 왔다. 그러므로 고고학적 물질문화의 분포 정형이나 그 변화양상을 문헌 기록과 대비하여 합리적인 대안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문헌 사료만을 보면 연은 소왕 때에 동북 방면으로 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동호’는 장성지대 이북으로, ‘조선’은 만번한 이동으로 각각 물러나게 했다. 이때 고조선과 연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는 ‘연(도읍)↔(동호)↔요수↔양평↔만번한↔조선’이었다고 할 수 있다. 먼저 기원전 4세기대 하북지역과 요서지역의 물질문화는 일정하게 구분된다. 이때 연은 연산산지의 융적집단을 동화시킨 후에 난하유역으로 진출하기 시작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내몽고 동남부의 철영자유형과 요서지역의 동대장자유형 집단들과 다양하게 상호작용하게 된다. 이때 철영자유형은 초기동호 또는 그 일파와 관련되는 문화이며, 동대장자유형은 맥(또는 발)과 관련되는 문화라고 생각된다. 두 지역문화 모두 중원문화 요소들이 적지 않게 확인되나, 토착문화의 정체성은 유지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그러므로 이는 연의 거점 확대 또는 영역화의 과정으로 볼 수 없다. 요서지역과 요중지역의 정치체는 문화 배경을 공유하며, 활발하게 교류하고 있어, 고조선의 정치체제가 연맹체적 결속 관계하에 있는 초기국가라는 점을 고려할 때 당시 중국인은 동류 집단으로 인식했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전쟁 전의 고조선과 연의 경계는 하북-요서의 접경지역으로 인식했을 수도 있다. 다음으로 기원전 3세기대 요동~서북한지역의 물질문화는 천산산맥 일대에서 그 이서지역과 이동지역으로 뚜렷하게 구분된다. 요중지역에는 연의 물질문화가 대거 확산되고 있어 요동군이 설치되었다는 문헌 기록에 부합한다. 요동동부지역과 서북한지역은 세형동검문화의 계승성과 연속성이 확인되고 있어 고조선의 물질문화로 볼 수 있다. 고조선이 요하 방면에서 한반도의 서북 방면으로 이동하였다면 요동지역의 물질문화가 서북한지역에 등장하는 것이 쉽게 이해된다. 서북한지역은 토착적인 한국식 세형동검문화와 요하 방면에서 들어왔던 요령식 세형동검문화가 공존하는 문화 점이지대였다. 그러므로 전쟁 후의 고조선과 연의 경계는 천산산맥일대라고 생각된다. Attempts to find a border between Old Joseon and Yan should be found in an archeological border of material culture, compared with such a border in extant records, and select a rational alternative.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the relative location of the relations of Old Joseon and Yan were in “Yan ↔ (Donghu) ↔ Liaoshui ↔ Xiangping ↔ Manfanhan ↔ Joseon.” There was a clear distinction in the material culture of Hebei and Liaoxi in the fourth century BCE. It is difficult to see the Maek (or Bal) groups in Liaoxi and Liazhong as the same political body. However, they might have been placed in the same category in the eyes of Chinese people of that period since the political system of Old Joseon was an early state in confederacy relations during that period. It can be thus assumed that the border between Old Joseon and Yan before war was the border between Hebei and Liaoxi. There was also a clear distinction in the material culture of Liaodong and northwestern Korea around the Qianshan mountain range in the third century BCE. The eastern area of Liaodong and northwestern Korea were connected together within the Slender Bronze Daggers Culture, and can thus be considered within the territory of Old Joseon. This means that the border between Old Joseon and Yan after the war was the western area of the Qianshan mountain range.

      • KCI등재

        古朝鮮 對外關係 進展과 衛滿朝鮮

        박경철 동북아역사재단 2014 東北亞歷史論叢 Vol.- No.44

        The central area of Yemaek (濊貊) culture is thought to be around Yoseo (遼西), Joyang (朝陽), and Sipidaeyeongja (十二臺營子) from around the twelfth century BCE to the seventh century BCE. This Yemaek group advanced to the complex society at the level of chiefdom from around the eighth century BCE to the sixth century BCE. And the residence group in the Liaodong (遼東) area of the Yemaek group, which was perceived around the sixth century BCE-fifth century BCE as Bal Joseon (發朝鮮), with the Jeongga Waja (鄭家窪子) culture type in the Simyang (瀋陽) area, should have had a political structure such as a complex chiefdom. At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BCE Ancient Joseon had entered the state level according to state formation theoryFrom around 314-311 BCE Ancient Joseon attacked the eastern area of Yan (燕) China. To this attack Yan replied in 282-280 BCE with a successful counter attack that seized a wide area of approximately 800 kilometers and maintained the border at the Manbeonhan (滿番汗), that is, the Cheonsan (千山) Mountains. Yangpyeong (襄平), which was in the central area of Yan’s Liaodong (遼東郡), should be Gyehyeon (薊縣) in Habuk Province (河北省) rather than the present-day Liaoyang (遼陽) area. The Yan’s domination policy for the Liaodong area was a strategy to control trade routes depending upon the scattered central places. Jin (秦), which followed Yan, was very close to Ancient Joseon. Thus Ancient Joseon could expand its power to the western part over the Cheonsan Mountains during the transition from the Chinese Jin Dynasty to the Han Dynasty. In the meantime, the Xiongnu also had the same chance as Ancient Joseon to expand their power. Thus Ancient Joseon maintained Paesu (浿水), that is, Honha (渾河), as the border with the Han Dynasty. Emperor Mu (武帝) of the Han Dynasty adopted his world policy so to re-arrange the two dimensional East Asian international order, and to partake of hegemony with the Xiongnu. Thus he waged war to directly attack Ancient Joseon, which had transformed its position from Han’s external subject (外臣) to the left arm of the Xiongnu (匈奴之左臂), and indirectly weakened the power of the Xiongnu. B.C. 12 〜 7 C 경 대릉하 유역 濊貊 청동기 문화의 중심지는 현 단계로서는 朝陽 十二臺營子 일대로 추정된다. B.C. 7 C 齊 桓公의 북벌을 기점으로 제와 燕 등의 중원 세력이 예맥에 관한 구체적 지식정보와 적극적 관심을 갖게 되었다. B.C. 6 〜5 C ‘發朝鮮’의 실체는 요동 비파형동검 문화권 내에서 정가와자 유형 문화를 향유하는 심양 일대를 중심으로 하는 예맥계 주민집단으로 추정된다. B.C. 4 C 말 고조선은 본격적인 國家 단계로 발전하였다. B.C 311-314 년 경 조선의 “伐燕”은 遼西 지역에서의 영향력을 보다 강화시키려는 목적에서 행해진 강공수였다. 연은 8.C 282〜280 년 요서 지역과 그 너머 遼東의 조선에 대한 반공작전을 통해 “地二千餘里”를 차지하고 “滿番汗” 즉 천산산맥을 경계로 삼았다. 연의 요동군치인 襄平을 현재의 遼陽으로 비정하는 것보다, 오히려 河北省 薊縣의 無終 일대로 볼 수도 있다. 당시 연은 군현제와 같은 강고한 지배기제를 바탕으로 이 지역에 대한 “略屬”을 행 했다기보다는, 오히려 ‘邱臺遺址’와 같은 “爲置吏 築障塞”한 점재하는 거점을 중심으로 자국 商賈들이 개척한 교역로를 통제하는 방식으로 이 지역에서의 일정한 세력 부식과 영향력 행사를 꾀하고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秦의 대조선 정책은 연의 그것에 비해서도 매우 소극적이었다. “秦故空地 上下鄣”의 존재는 진의 조선에 대한 인식이 그다지 우호적인 것만은 아니었음을 짐작케 해준다. 조선은 본래 ‘滿番汗(千山山脈)’ 이동으로 밀려 났다가, 진의 소극적 대동북아 정책과 진한교체기의 혼란 그리고 흉노의 강세와 발호를 틈타 천산산맥 이서 지역으로 세력을 확장했다. 浿水는 渾河로서 조선과 漢의 경계가 됐다. B.C. 194 년 衛滿이 고조선의 왕권을 장악하였다. 위만조선과 흉노와의 관계에 대한 중국 측의 인식과 속뜻은 B.C. 128〜126 蒼海郡 설치 문제에 드러나 있다. 漢 武帝(147〜87 B.C.)의 세계정책(world policy)은 漢 - 匈奴를 기축으로 한 이원적 동아시아 국제질서를 한 중심으로 재편함을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한은 자국의 ‘外臣’에서 ‘匈奴左臂’로 전신한 조선에 대한 응징과 흉노와의 소강기에 그들을 간접적이며 우회적으로 공격하고자 전쟁을 도발했던 것이다. 결국 한은 “伐朝鮮, 起玄菟樂浪, 以斷匈奴之左臂”하였게 된다.

      • KCI등재

        기원전 3∼2세기 고조선의 중심지와 서계의 변화

        박준형(Park, Jun Hyoung)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8

        본고에서 기원전 3∼2세기 고조선과 중국과의 국제관계 속에서 영역의 변천, 즉, 고조선의 西界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본고에서는 시간적 추이에 따라 고조선 서계의 변화과정을 추적한 것이 아니라 가장 핵심적이라고 할 수 있는 浿水의 위치를 먼저 확인하고 이어서 연·진과의 경계를 살펴보았다. 고조선 서계 변화를 시간적 추이에 따라 정리해 보면 아래와 같다. 연의 공격을 받기 이전까지 고조선은 심양지역을 중심으로 정가와자 유형의 후기비파형동검문화를 계승한 초기세형동검문화를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었다. 기원전 282년 연의 공격을 받은 고조선은 연과 만번한을 경계로 삼게 되었다. 만번한이 오늘날 요하 하류유역인 영구와 개주 사이에 있었던 것으로 보아 천산산맥 이서지역이 연의 요동군에 포함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고조선은 연의 공격으로 중심지인 심양지역을 상실하게 되자 평양지역으로 그 중심을 옮길 수밖에 없게 되었다. 진은 전국을 통일하고 沛水=渾河를 건너 고조선을 공격하였다. 이로 인해 고조선은 연에 내속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고조선은 압록강을 진과의 경계로 삼게 되었다. 진에게 빼앗긴 천산산맥에서 압록강에 이르는 지역이 사료상에 秦故空地=秦故地라고 할 수 있다. 이후 고조선은 진한교체기의 혼란한 틈을 이용하여 한을 공격하여 진에게 빼앗겼던 浿水=渾河이동 지역을 수복하였다. This study has examined how Gojoseon’s territory was shifted, that is, a transitional process of its west side boundary circumstances of having relationships with China in 3rd to 2nd century B.C. This paper was not intended to trace how Gojoseon’s west boundary was changed with the change of times, but to identify the position of Beishui(浿水) first, which was considered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nd examine its boundary with Yan(燕) and Qin(秦). The changes of the west boundary of Gojose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ith the change of times. Before getting attacked by Yan(燕), Gojoseon grew out of Early Narrow-shaped Bronze Dagger Culture which succeeded the Zhengjiawazi type of Late Mandolin-shaped Dagger Culture, centering on the Shenyang (沈陽) region. After Yen launched an attack against Gojoseon in 282 B.C., it came to share borders with Yen and Manfanhan(滿番汗). Considering that Manfanhan was located between Yingkou(營口) and gaizhou(蓋州), which are equal to the downstream of Liaohe(遼河) now, the western region of Qianshan mountain range(千山山脈) seems to have been included in the Liaodong district of Yan. As Gojoseon lost the Shenyang area due to such attack from Yan, Gojoseon was forced to move its capital from Shenyang area to Pyungyang(平壤). After unifying Chinese Warring-States, Qin(秦) crossed the Beishui (沛水=渾河) to conquer Gojoseon. Then, Gojoseon submitted to Yen. During this process, Gojoseon came to be bordered on the Yalu river(鴨綠江) by Qin. It is suggested that the region lost to Qin, ranging from the Qianshan mountain range to the Yalu river, was equal to Vacant Land of Qin(秦故空地=秦故地) according to historical records. Afterwards, Gojoseon was successful in attacking Han(漢) to take back the east of Beishui (浿水=渾河) that was lost to Qin, taking an advantage of a political turmoil happened during a Qin-Han transition period.

      • KCI등재

        고조선 이동설에 대한 비판적 검토

        박대재(Park Daejae) 동북아역사재단 2017 東北亞歷史論叢 Vol.- No.55

        최근 학계에서 비교적 많은 공감을 받고 있는 고조선 중심지 이동설은『위략』에 보이는 연장(燕將) 진개(秦開)의 요동 진출 기록에 근거하고 있다. 기원전 3세기 초 연(燕)의 요동 진출을 계기로 고조선의 중심지가 요동[險瀆]에서 평양[王險城]으로 이동했다고 보는 것이다. 하지만『위략』에는 연이 침공했던 지역이 고조선의 중심지가 아니라 그 "서방(西方)"이었다고 나온다. 연의 침공지역은『사기』조선전에는 "진번(眞番)·조선(朝鮮)"으로 나오고『산해경』에는 한수(漢水) 동북의 "맥국(貊國)"으로 보인다. 연이 공격했던 조선의 서방은 바로 진번(古眞番), 맥국을 가리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古)진번(眞番)과 맥국의 위치는 서요하(西遼河, 遼水)와 동요하(東遼河, 沛水)가 합류하는 요북(遼北) 지역(鐵嶺 이북)으로 비정되며, 연과 조선의 경계가 된 "만번한(滿番汗)"돋 동요하 유역에 위치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연의 요동 진출은 고조선의 서방 세력을 멸망시켜 고조선 약화에 영향을 미쳤지만, 그 중심지 이동과는 무관하였다고 판단된다. The theory that the capital of Old Chosǒn (古朝鮮) moved, which has been widely accepted in recent years, is based upon the records regarding Qinkai (秦開), a general in the Yan (燕) state, who, according the the Weilue (魏略), invaded the Liaodong (遼東) region. In other words, this theory explains that the capital of Old Chosǒn moved from Xianduu (險瀆) in the Liaodong region to P" yǒngyang (平壤). Yet, the Weilue indicates that the region which the Yan state invaded was its "western area" (西方) rather that the capital. While the region into which the Yan state invaded was "Chinbǒn" (眞番朝鮮) according to the description of Chosǒn (朝鮮傳) in Shiji (史記), Shanhaijing (山海經) identifies the region as "Maekkuk" (貊國; the state of Maek) in the area northeast of the Han River (漢水). Thus, it is possible that the "western area" would of Chinbǒn and Maekkuk is considered to be the area of Liaobei (遼北), where the Xialiao River (西遼河, onee of the headwaters of the Liao River) and the Dongliao River (東遼河; the Pei River) meet. In regard to this suggestion, Manbǒnhan (滿番汗, or Bǒnhan 番汗), which was the boundary area between the Yan state and Old Chosǒn was likely located neara this region. Although the Yan state defeated Old Chosǒn"s states and ultimately undermined Old Chosǒn, the Yan state"s invasion was not directly related to the transfer of the Old Chosǒn capitala.

      • KCI등재

        고조선의 歷史地理 비정에 대한 계보적 검토

        박선미(Park Sunmi) 백산학회 2017 白山學報 Vol.- No.109

        본고의 목적은 고조선의 역사지리에 관한 논쟁 중 중심지와 서쪽 경계에 관한 문제에 대해 사료적 계보와 관련 해석에 대한 인식을 계통적으로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국사서와 한국 전통시기 사서 및 문집에 나타난 인식을 바탕으로 전통사학자의 견해를 정리하였다. 또한 일제관변학자들에 의한 식민사학적 입장과 이에 대비된 방어적 민족주의 관점의 대척적 인식이 이후 고조선 연구에 어떻게 수용, 변화, 발전되었는가를 고고학적 성과와 연결지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최근 되풀이 되고 있는 고조선의 위치비정 논쟁을 한 걸음 진척시키고자 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a systematic understanding of the bibliographic genealogy and interpretations related to the location of the capital and western border of Old Chosun, which are issues of debate in the historical geography of that polity. To this end I examine the views of historians of traditional China and Korea through historical records and commentaries in such works as Shiji 史記, Hanshu 漢書, Samgukyusa 三國遺事, Tongsagangmok 東史綱目(by An Chongbok), Yeyudangchonsye 與猶堂全書(by Chong Yagyong), and others. Further I discuss the colonial historical perspective of influential Japanese historians and the responses to them from the defensive nationalist perspective, and I analyze relevant archaeological achievements in terms of how they were accepted, changed, and developed in the research on Old Chosun. I attempt through this study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recent ongoing debates on the location of Old Chosun.

      • KCI등재

        한국 고대사 속의 재난과 이동 - 고조선의 영역 변천을 중심으로 -

        김성한 ( Kim Seong-ha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8 역사학연구 Vol.69 No.-

        한국고대사에서 고조선의 이동은 재난과 그 재난에 대한 피난 활동이었다. 고조선은 전국 연의 침공을 받아 오늘날 하북 노령현 일대에서 오늘날 요하 바로 동쪽으로 그 중심지를 이동하였으며, 중원을 통일한 진의 침공을 받아 재차 그 중심지를 동쪽으로 이동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고조선이 최종적으로 왕험성에 도읍을 하였던 것이다. 학계는 중국 당나라 사람이 고조선의 왕험성을 고구려의 평양성과 동일 지역에 위치하였다고 보는 인식에 기초하고, “평양에 도읍을 두었는데, 장안성이라고도 한다”는 중국 사서의 기록에 근거하여, 왕험성의 위치를 오늘날의 평양지역에 비정하고 있다. 하지만 낙랑군의 존속하였던 시기에 처음 축성된(247년) 평양성은 낙랑군이 물러난 이후에 증축되었으나(334년), 수도가 되고(427년) 수도가 장안성으로 옮겨질 때까지도(586년) 그 위치를 옮긴 적이 없었다. 북위 사람 역도원이 고구려 사신으로부터 직접 들은 정보에 근거한 515~524년경의 기록에 따르면, 왕험성이 위치한 고구려의 평양성과 낙랑군 조선현은 동일 지역이 아니라, 浿水를 따라 각각 동과 서에 위치하였다고 한다. 따라서 고조선의 도읍 왕험성, 고구려의 수도 평양성, 낙랑군의 치소 조선현은 오늘날 평양지역에 위치하였을 가능성이 없다. 오늘날 평양지역에서 발굴된 고구려의 長安城은 중국 사서에 언급된 平壤城·國內城·漢城 3京의 하나인 漢城일 가능성이 크다. 漢城은 중국 사서에 보이는 반면에 우리 사서에는 축성에 관한 내용이 확인되지 않는 반면, 長安城의 축성 내용은 확인된다. 게다가 漢城은 國名, 長安城은 漢의 도읍명이라는 관계도 주목해야 한다. When the Zhou Dynasty declined, the Lord of the Yan State called himself the king, and intended to expand the territory to the east, where Gojoseon was located. Joseon’s Hou (marquis), a descendant of Jizi, also called himself the king and conspired to attack the Yan State to dignify the Zhou royal family. However, Joseon’s Hou took the advice of Li, a minister, and abandoned the conspiracy. Then, Joseon’s Hou sent Li as an envoy to the Yan State to make a compromise that the Lord of the Yan State should call himself the king and the ruler of Gojoseon should keep the position of Hou, and this led to the Yan State’s quitting the eastern expansion policy. The Warring State of Yan, which was in the heyday, ordered General Qin Kai to invade Gojoseon on the pretext that the descendant of Joseon Hou was arrogant and tyrannical. As a result, the Yan State occupied the land equivalent to approximately 2,000 li (7,854,000 m) in the western region of Gojoseon, and dispatched the administrator to the region and built a fortress. Thus, Gojoseon of Jizi, which was located in the present Lulong County of Hebei province, moved east of the Manpanhan area, which was newly bordered with the Yan State. Prior to this, the Yan State ordered General Qin Kai to invade Donghu in the east and occupied the land equivalent to approximately 1,000 li (3,927,000 m). The Yan State established five counties - Shanggu County, Yuyang County, Youbeiping County, Liaohsi County and Liaotung County - in the land taken from Donghu and Gojoseon, and built a long fortress wall. Among the five counties, Liaohsi County and Liaotung County were established in the land equivalent to approximately 2,000 li (7,854,000 m) taken from Gojoseon, and Liaotung County adjoined the western region of Manpanhan, which was located west of the QianShan mountain range. In the process of unifying China, the Qin Dynasty invaded Jicheng, the capital of the Yan State, and the king of the Yan State fled to Liaotung. The Qin Dynasty even attacked Liaotung and destroyed the Yan Dynasty. Further, the Qin Dynasty invaded and destroyed Gojoseon, and built the outer fortress of Liaotung on the newly occupied land and annexed Gojoseon. Thus, the fortress that the Yan State built to manage the boundary with Gojoseon were no longer useful. After the Han Dynasty replaced the Qin Dynasty, it abandoned the outer fortress of Liaotung which was built during the Qin Dynasty, because it was far apart and thus difficult to maintain. Then, the Han Dynasty repaired the old fortress built by the Yan State, and bordered Gojoseon on Pei Creek in the east. As a result, the land occupied by the Qin Dynasty, which ranged from Pei Creek in the west to the outer fortress of Liaotung in the east, became an area that does not belong to any country. Thus, in the chaotic period from the late Qin dynasty to the early Han dynasty, the people of the Warring States of Yan, Qi and Zhao fled to the area and began to reside there. Wiman, a relatively late migrant, led as many as a thousand people and came to Gojoseon. King Junwang of Gojoseon gave him a position of the learned man and ordered him to defend the western frontier of Gojoseon. Afterwards, Wiman launched a coup d'etat to oust King Junwang, and became the king of Wanggeomseong. The location of Wanggeomseong, the capital city of Gojoseon, later became home to Pyongyangseong of Goguryeo, which is different from the Janganseong of Goguryeo called Pyongyangseong today. Goguryeo occupied Hanseong area of Baekje and built a castle, which was called Hanseong. Hanseong was called Janganseong after the capital was transferred. At the time when Pyongyangseong was built, Lelang commandery was located in Gojoseon, so it could not be located in the same area as Joseon Prefecture, which was the governing place of Lelang commandery. The sources and mouths of Pei Creek and Lie River belonged to Lelang commandery of the Pre-Han period, which the Han Dynasty established after destroying Gojoseon, and they were outside the territory of Lelang commandery since the Three Kingdom era. Then, Pyongyangseong was built in the north of Pei Creek, and Lelang commandery was located in the west.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이병도의 고조선사 연구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학회 2021 先史와 古代 Vol.- No.65

        일제 강점기 이병도는 고조선을 한국 최초의 국가로 파악하고, 그 왕조가 단군조선에서 기자조선을 거쳐 위만조선으로 이어진다고 이해하였다. 그는 고조선이 국가체제를 어느 정도 갖춘 것은 기자조선(箕子朝鮮) 시기로 파악하고, 그 시기의 역사를 역사 지리적 관점에서 실증적으로 정리하는 데 노력하였다. 특히, 「패수고(浿水考)」 논문에서는 그동안의 평가와 달리 고조선사의 전개와 활동 무대를 초기부터 요동(遼東) 지역을 포함시켜 이해하고 있었다. 이병도는 일제 강점기 이래 줄곧 요동반도~한반도 서북지방(평안 황해도)을 고조선 계열의 문화발상지로 보았다. 그리고 청동기시대에 요동~한반도 서북지방에 걸쳐 세력을 키우던 고조선이 기원전 4~3세기경 중국 세력이 진출하자 청천강 이남으로 그 영역이 축소되었고, 그 이남 지역에서 왕(王)과 대부(大夫) 등 초기 고대 국가로서의 국가 조직을 갖추고 성장해 나갔다고 보았다. 이처럼 이병도는 최근 고조선과 관련해 논란이 되고 있는 여러 내용을 이미 일제 시기부터 문헌 고증을 통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으로 정리하였다. 이러한 이병도의 연구 성과는 최근 고 조선 중심지 평양설을 주장하는 연구자들의 논리적 근거가 되었고, 고조선 중심지 이동설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일제 강점기 당시의 많은 역사학자들이 식민사학에 의해 왜곡되고 폄하된 우리 역사를 바로잡고 한국 고대사의 웅대한 면을 그리려고 노력했던 것에 비하면, 이병도는 역사서술의 합리성만을 추구했고, 식민지 시대에 요구되는 실천적 지식인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Byeong-do identified Gojoseon(古朝鮮) as the first country in Korea and that he understood that Gojoseon was connected to Wiman Joseon(衛滿朝鮮) via Gija Joseon(箕子朝鮮) from Dangun Joseon(檀君朝鮮). And he identified Gojoseon as the period of Giza Joseon as having a certain state system and tried to summarize the history of the period empirically from a historical and geographical perspective. In particular, in the paper Paesugo(浿水考) the development and activities of Gojoseon’s history were understood from the beginning by including the Liaoning area. Lee Byung-do has always regarded Yodong Peninsula and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Pyeongan and Hwanghae Province) as the cultural birthplace of Gojoseon, since Japanese colonial period continued. And During the Bronze Age, the area of Gojoseon, which had been growing in power from the Liaodong to the northwest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reduced to the south of the Cheongcheon River when Chinese forces entered the area around the 4th and 3rd centuries B.C.. Lee Byung-do has regarded Gojoseon grew up in the south of the Cheongcheon River with a national organization as an early ancient country, including the king(王) and the daifu(大夫).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Lee Byung-do s research on Gojoseon is objectively and rationally summarizing the recent controversy over Gojoseon. And even the latest academic orthodoxy has had so much impact that Lee Byung-do s research has given him ideas. Compared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en history tried to correct our history distorted and disparaged by colonial history and paint the grand facade of ancient Korean history, Lee Byeongdo s research on Gojoseon pursued only the rationality of historical descriptions and there is a limit to the fact that he cannot be seen as a practical intellectual required during the colonial era.

      • KCI등재

        古朝鮮과 燕ㆍ齊의 상호관계

        박대재(Park Dae-Jae) 한국사학회 2006 史學硏究 Vol.- No.83

        기원전 323년 무렵 燕은 齊의 ‘稱王’에 영향을 받아 왕호를 자칭하며 동쪽으로 朝鮮을 침공하려고 한다. 이에 朝鮮도 스스로 ‘王’을 칭하며 燕을 공격하려고 하였으나, 朝鮮의 大夫 禮의 유세에 의해 양국 사이의 군사적 충돌이 사전에 무마되게 된다. 한편 齊와 朝鮮은 춘추시대 이래로 산동반도와 요동반도를 연결하는 廟島列島의 해상로를 통해 우호적인 교류 관계를 유지해 오고 있었다. 그러다가 기원전 314년 齊가 燕의 내란을 틈타 침공하자 朝鮮도 燕의 동쪽 변경지역 즉 遼西지역에 침입했던 것으로 보인다. 『鹽鐵論』과 『博物志』에 전하는 朝鮮의 燕 침공 기록은 바로 燕의 대혼란기(314~312 B.C.)와 관련된 것으로 추정된다. 齊의 침공으로 王이 사망하고 거의 멸망상태에 이르렀던 燕은 기원전 311년 燕 昭王이 즉위하면서 혼란을 수습하고 齊에 대한 보복을 준비하게 된다. 燕 昭王은 28년간 추진한 부국강병의 결과로 기원전 284~283년 드디어 齊를 정벌하여 거의 몰락시키기에 이른다. 그리고 곧이어 燕은 기원전 282~280년에 북쪽의 東胡와 동쪽의 朝鮮을 공격하여 크게 퇴각시킨다. 특히 燕將 秦開의 朝鮮 침공은 산동반도에 남아있던 齊의 잔여세력을 염두에 둔 전략적인 군사행동으로 이해되는데, 燕의 최종 공격 목표가 요동반도 서남부 해안지대의 ‘滿番汗’이었다는 사실은 이러한 가능성을 제고시킨다. 滿番汗지역은 요동반도와 산동반도를 연결하는 해상교통로의 朝鮮 쪽 거점으로, 燕은 遼西지역을 침입했던 조선에 대한 반격이라는 의미와 함께 齊의 잔여세력과 朝鮮의 연결 가능성을 말소한다는 전략적 차원에서 滿番汗지역을 최종 공격 목표로 하여 朝鮮에 대한 공격을 단행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is a study on the peer polity interaction of Old Chos?n, Yan, and Qi from the late 4<SUP>th</SUP> century to the early 3<SUP>rd</SUP> century BCE. In the introductory chapter, I represent the summary of previous studies on the topic and review the problems of those. In the previous studies only the relation between Old Chos?n and Yan has been focused, but the agency of Qi that was the military rival of Yan and the commercial partner of Old Chos?n has been ignored. The second chapter is on the interactional state formation process of Old Chos?n, Yan, and Qi around 323 BCE. In this chapter I suggest that the interactional birth of king(Wang) in these states implies archaic ‘state’ formation. The third chapter provides a historical approach to the interactional attack of Qi and Old Chos?n toward Yan from 314 to 312 BCE. According to the Yantieiun and the Bowuzhi, there was Old Chos?n’s invasion to Yan’s eastern region around 314 BCE when Qi plundered Yan’s ten castles. In the final chapter, I assert that from 284 to 280 BCE the expansion of Yan brought about interactional decline of Qi and Old Chos?n. As it is, Old Chos?n’s Manb?nhan that was Yan’s final attack point around 280 BCE was a important spot linking Old Chos?n and Qi through maritime route between Liaodong peninsula and Shandong peninsula.

      • KCI등재

        古朝鮮의 位置와 中心地 문제에 대한 고찰

        송호정(Song Ho-Jung) 한국고대사학회 2010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58

        고조선사에 대한 역사 지리 연구는 각 시대의 역사인식과 연구과제에 따라 그 관심과 방법론이 변화되었고 앞으로도 계속 그럴 것이라 생각한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대부분 요동 지역에 초기 중심지를 두었던 고조선이 후기 단계에 이르러 燕의 진출로 서북한 지역으로 이동했다고 보고 있다. 최근 들어 고고학자를 중심으로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를 대릉하 유역까지 포함시켜 보려는 견해가 집중 검토되고 있다. 여전히 평양 대동강 유역에 중심지를 두고 있었다는 견해도 존재하는 데, 이 주장도 초기 고조선의 서변은 요동까지였다고 보고 있다. 만일 일반적인 주장처럼 遼東地域 정치체를 古朝鮮과 관련시켜 볼 경우 초기 고조선의 중심지가 어디인지에 명확한 고찰이 필요하다. 요동 지역에서는 서북한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청동기가 많이 나오나 현재까지의 고고학 자료 출토 상황으로는 요동 지역에서 청동기 시대 고조선의 중심지를 찾는 작업이 쉽지 않다. 이 과정에서 특히 유의할 점은 비파형동검문화 범위 내의 모든 유적유물 갖춤새를 고조선에 속하는 것이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그 정확한 경계를 찾는 것은 어려운 일인 바, 결국 중심되는 청동기 문화유형을 찾는 것이 가능할 뿐이다. 기원전 4~3세기 중국 전국시대 후기에는 중국으로부터 철기문화가 전래되면서 요동 지역도 燕 문화의 영향권으로 들어가게 된다. 고조선은 이 시기 언젠가 千山山脈 이남의 압록강과 청천강을 경계로 그 이남 지역을 배경으로 성장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漢 이후 중국과의 경계 지점인 浿水 역시 압록강이나 청천강으로 비정되며, 고조선의 마지막 수도 왕검성은 패수 남쪽인 대동강 유역으로 보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다. 전성기 古朝鮮과 漢의 경계 문제는 문헌상에 보이는 ‘秦故空地 上下障’과 ‘滿藩汗’의 위치 및 요동~서북한지역의 명도전ㆍ초기세형(한국식)동검문화ㆍ초기철기문화의 성격에 대한 종합적 고찰을 통해 더 분명해지리라 생각한다. The research on Gojoseon's historical geography has changed in its interest and methodology according to the consciousness of history of each era and research project, and it is thought that such a trend will be going as ever. Most of the research works up to the present indicate that Gojoseon, which had located its initial central place at Liaodong area, moved to the northwest area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its latter period with the launch of Yeon State. In recent times, the opinion arguing, with archaeologists as the center, that the initial central area of Gojoseon covered as far as the Dalinghe Basin is being intensively discussed. However, there still remains an argument that the central area of Gojoseon was the Daedong River basin, and this argument also reports that the westward area of initial Gojoseon reached up to Liaodong. In the latter period of Civil Wars in China in the 4th~3rd century before Christ, Liaodong area also came under the influence of Yeon culture with ironware culture handed down from China. Gojoseon seemed to have developed itself sometime in this period on the background of the area south of the border formed by the Yalu and Chungcheon River south of the Cheonsan Mountain Ranges. In addition, the Paesu River, which was a border with China after the period of the Han Dynasty, is also conjectured to be the Yalu or Cheongchun River, and thus it's the most rational to judge that the last capital of Gojoseon-theWanggeum Castleis estimated to be located at the Daedong River basin south of the Paesu Riv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