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과 K-드라마의 모험 :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의 스토리텔링 전략과 스마트 기술 적용 문제를 중심으로

        허혜정 ( Huh Hyejung ) 국제비교한국학회 2020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28 No.1

        K-드라마 최초로 가상현실이라는 콘셉트를 실험하고 있는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은 증강현실과 대체현실 등의 가상현실 기술은 물론, 사물인터넷과 인공지능까지 4차 산업시대의 다양한 스마트 기술들을 드라마적 재현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주요 사건은 가상현실 게임에 적용된 인공지능 알고리즘이 폭력적인 인간의 의식을 시뮬레이팅함으로써 ‘버그’를 일으켰고, 그 때문에 발생하는 끔찍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주인공이 디지털 공간으로 감행하는 모험의 역정이다. 이 드라마는 소설의 관찰자적 시점같이 카메라의 시점에 의존한 드라마 스토리텔링을 넘어, 전지적 작가시점과 유사한 360도 촬영 등의 재현전략을 통해 증강현실의 풍경을 화려하게 펼쳐 놓는다. 이 드라마의 중요한 메시지는 인간의 의식 속에 내재한 ‘폭력’의 문제이며, 그 폭력으로 인해 ‘버그’를 일으킨 삶과 인간관계의 문제이다. 중세의 기사처럼 기술의 마법이 만든 가상현실 속으로 모험길을 떠나는 뉴칼라의 이야기가 중세 로망스문학의 온상이었던 ‘알함브라 궁전’을 배경으로 펼쳐지는 드라마 <알함브라의 궁전의 추억>은 스마트 기술이 가능케 할 재현의 지평을 선구적으로 탐색하고 있다는 점에서 K-드라마의 의미있는 모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 The memory of the Alhambra >, which is experimenting with the concept of virtual reality for the first time in the K-drama, is a dramatic reproduction of various smart technologies of the 4th industrial age, such as the IoT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s well as virtual reality technologies such as augmented reality and alternative reality. We are taking advantage of. The main event is the trauma of the hero’s adventure into digital space to solve the terrible problems caused by artificial intelligence algorithms applied to VR games simulating violent human consciousness. The important message of this drama is the problem of violence inherent in human self-consciousnes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 and human relationships that caused bugs because of the violence. As the Romans of the Middle Ages did, what is left after the desolate war is always a song of pain and sorrow. The story of New Calla, an adventurous journey into the virtual reality created by the magic of technology like a medieval knight, is based on the Alhambra Palace, a rich hotbed of medieval Romance literature, and the memorable Kita music < Memories of the Palace of Alhambra >. Will be used here as the OST. After all, it was because of the planning intention of the drama production company that he wanted to “talk about love and endless desires of human beings through fantastic experiences” in “worlds that cannot be shared”. It was necessary to live in the reality that the grammar of violence penetrated while hating violence, so the human desire to reset the life of ‘Bug’ was depicted as an adventure in the digital space called ‘Virtual Reality’. Isn’t it?

      • KCI등재

        송재정 드라마의 신화적 모티프 변용에 나타난 세계관

        장은진(Eunjin Chang)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21 글로벌문화콘텐츠 Vol.- No.48

        tvN 드라마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은 국내 최초 증강현실을 소재로 드라마와 게임을 융합해 화제가 된 드라마다. 전작 <인현왕후의 남자>, <나인: 아홉 번의 시간여행>, <W>를 통해 시공간 초월 소재를 꾸준히 발표했던 송재정 작가는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에서 현실과 가상 공간을 자유롭게 드나들며 공간적 상상력을 풀어냈다. 또한 고대 그리스 신화 속 프로메테우스와 오디세우스를 차용한 캐릭터와 종교적 모티프를 변용시켜 마법과 판타지라는 환상적인 스토리텔링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나인:아홉 번의 시간여행>과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두 편의 드라마에 공통적으로 나타난 신화적 모티프와 환상성을 분석하고 신화 원형의 변용에 나타난 작가의 세계관을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두 편의 드라마 속에 반복되는 신화적 모티프의 유사성을 통해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주제 의식과 드라마 속 캐릭터들이 신화적 표상을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송재정의 세계관은 첫째, 시공간의 재구성을 통한 구원의 서사, 둘째, 절대 악의 응징과 인과응보의 진화, 셋째, 피폐한 영웅의 절대 의지와 이를 완성하는 사랑의 힘으로 요약된다. AI 시대, 드디어 조우한 게임과 드라마의 결합 속에서 판타지가 신화적 상상력의 옷을 입고 어떠한 모습으로 변용되었는지를 밝혀내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할 것이다. The tvN drama ‘Memories of the Alhambra’ is a drama that became a hot topic in 2019 by combining a drama and a game based on augmented reality for the first time in Korea. Writer Song Jae-jung, who has consistently presented dramas based on the materials beyond time and space through his previous works, ‘Queen Inhyeon s Man’, ‘Nine: Nine Times of Time Travel’, and ‘W’, expressed his spatial imagination by freely crossing real and virtual space in the drama ‘Memories of the Alhambra’. It also transformed the mythical characters and religious motifs from Prometheus and Odysseus in ancient Greek mythology to embody the fantastic storytelling of magic and fantasy.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mythological motifs and fantasies common to the two dramas ‘Nine: Nine Times of Time Travel’ and ‘Memories of the Alhambra’ and to consider the author s worldview and mythological imagination consistently expressed through the transformation of the mythological prototype. Through the similarity of mythological motifs repeated in the two dramas, this study looked at how the characters in the thematic consciousness and augmented reality that the writer wants to deliver consistently express the mythological representations. As a result, Song Jae-jeong s worldviews can be summarized as first, the epic of salvation through the reconstruction of boundaries; second, the refined evolution of the punishment on the absolute evil and the retributive justice; and third, the exhausted hero s absolute will and power of love. It would be meaningful that this study finds out how fantasy was transformed into clothes of mythological imagination in the combination of games and dramas finally encountered in the AI era.

      • KCI등재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속 게임 세계관의 내면화와 자율성의 훼손

        김진규(Kim, Jingyu) 구보학회 2021 구보학보 Vol.- No.29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 속 인물은 현실과 구분되지 않는 게임에 몰입하고, 게임의 세계관으로 현실을 이해하게 된다. 유진우는 자신의 삶에 일어난 불가해한 사건을 설명하고 진실을 찾기 위해 행동했으나, 그의 ‘모험’은 결국 시스템이 부여한 정체성(버그)과 역할(죽음)을 받아들이는 것으로 끝난다. 시청자는 드라마의 각종 장치로 인해 그의 삶과 죽음을 대속의 서사로 받아들이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물의 자기인식과 드라마의 인물형상화에 대한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점을 밝히고자 했다. 첫째, 시스템의 경계를 넘나드는 존재를 ‘버그’로 규정하고 삭제하는 것은 현재의 시스템을 폭력적으로 유지하고자 하는 것이며, 이는 시스템이 가진 오류의 해결이 될 수 없다. 둘째, <알함브라 궁전의 추억>은 초월적 가상세계의 질서가 ‘나’를 끊임없이 규율할 때, ‘나’의 자율성은 훼손될 수밖에 없음을 보여준다. 가상세계가 현실보다 인간의 경험과 행동에 큰 영향력을 미치게 될 때, 인간은 가상세계의 시스템이 부여하는 정체성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셋째, 드라마는 유진우의 죽음을 대속 서사로 만듦으로써 그가 인간관계에서 겪은 고통의 원인이 그의 자기중심성이라는 사실을 은폐한다. 시청자는 유진우의 죽음을 자신의 삶을 이해하기 위해 사투를 벌인 영웅의 자기희생으로 이해함으로써 그가 가지고 있는 성격적 결함과 그로 인한 타자의 고통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게 된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앞으로 가상세계의 영향력이 증대될수록, 가상세계의 세계관과 자아에 대한 이해 사이의 관련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해야 한다는 사실을 강조하고자 했다. The character in Memories of the Alhambra immerses himself in a game that is not distinguished from reality and becomes to understand reality through the universe of the game. Yoo Jin-woo acts to explain the incomprehensible events that happen in his life and find the truth, but his “adventure” eventually ends with accepting his identity (bug) and role (death) given by the system. The viewers accept his life and death as a narrative of the Atonement due to various devices of the drama. In this paper, I tried to reveal the following point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elf-awareness of the character and the characterization of him in the drama. First, defining a being that crosses the boundaries of a system as a ‘bug’ and deleting it is to maintain the current system violently, and this cannot be a solution to the system’s errors. Second, Memories of the Alhambra shows that when the order of the virtual world constantly regulates ‘I’, the autonomy of ‘I’ is bound to be undermined. When the virtual world has a greater influence on human experiences and behaviors than reality dose, individuals cannot be free from the identity given by the virtual world s system. Third, the drama conceals that the cause of Yoo Jin-woo’s pain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s his self-centeredness by making his death a narrative of the Atonement. The viewers understand Yoo Jin-woo’s death as a self-sacrifice of a hero who struggles to understand his life. And thus they do not pay attention to the personality defects he has and the consequential pain of others. Through this analysis, I tried to emphasize that as the influence of the virtual world increases in the futu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universe of the virtual world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self should be critically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