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철원지역 월동 두루미류의 서식지 이용 변화 추세 : 2002~2012년 월동기

        유승화,이기섭,김진한,허위행,박종화 한국조류학회II 2012 한국조류학회지 Vol.19 No.2

        2002년 10월부터 2012년 3월까지 10년간의 철원지역에 도래하는 두루미류의 서식지 이용과 개체군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철원지역에 도래하는 두루미류는 6종이었으며, 가장 많은 수가 도래한 종은 재두루미로 월동기에 최대 1,507개체가 관찰되었다. 두루미는 최대 891개체가 관찰되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지만, 증가하는 기울기가 최근에는 감소하는 추세이다. 재두루미 또한 월동기 서식개체수가 증가하고 있으며, 검은목두루미와 흑두루미, 캐나다두루미는 2000년대 중반 이후에는 점차 가족군이 관찰되고, 겨울철에도 월동하는 추세이다. 연도에 따른 상관관계 분석시 월동시기 검은목두루미는 관찰횟수 뿐 아니라 서식개체수에서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흑두루미는 관찰횟수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시베리아흰두루미는 과거와 마찬가지로 1개체 단위의 소수가 주로 관찰되었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가장 많은 서식 개체수를 나타낸 지역은 철원의 중심에 위치하는 삽술봉권역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루미에 있어서는 삽술봉권역이 다른권역에 비해 서식지 이용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루미의 경우 전체지역 평균개체수는 683.8±143개체 이었으며, 재두루미는 1,415±476개체 이었다. 전체 조사기간 중 월동기간의 각 권역별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개체수를 평균한 것을 비교한다면,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삽술봉(B), 대마리(A), 당구미(C), 한탄강(D) 권역 순으로 평균개체수가 많았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각 권역별로 서식하는 평균개체수에는 변화가 있었다. 특히 두루미에 있어서 삽술봉권역과 당구미권역은 개체수가 증가한 권역이었고, 재두루미 또한, 삽술봉과 당구미 권역이 유의하게 개체수가 증가한 권역이었다. 반면, 민간인통제지역 남측에 위치한 한탄강지역은 두 종에게서 가장 낮은 서식 개체수를 보인 지역이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the habitat use and population changes of wintering cranes in Cheorwon, Korea from 2002 to 2012. Six species, Red-crowned Crane Grus japonensis, White-naped Crane Grus vipio, Hooded Crane Grus monacha, Eurasian Crane Grus grus, Siberian Crane Grus leucogeranus and Sandhill Crane Grus cananensis have been recorded in Cheorwon, Korea. Largest population species was White-naped Crane which recorded 1,507 individuals during wintering periods from 2002 to 2012. Population of the Red-crowned Cranes was recorded 891 individuals and shown increasing trend continuously, but increasing slope has been decreased during 10 years. Population of the White-naped Crane have been shown increasing trend during 10 years also. One or three family flocks of the Eurasian Crane, Hooded Crane and Sandhill Cranes which vagrantly appeared in Cheorwon were wintering after 2005 year. Population of Eurasian Cranes have been shown increasing trends in number of individuals and counts. Population of Hooded Crane have been shown increasing trends in number of counts. Siberian Crane shown record as a vagrant species. Sapsulbong area (B area) which located in center of the Cheorwon was most using area as feeding site by the population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Especially, Habitat use of Sapsulbong area shown relatively higher using rate among feeding site. Average individuals of Red-crowned Cranes was 683.8±143 (Average±Standard Deviation) individuals and 1,415±476 individuals in White-naped Cranes. Population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have been significantly increased in Sapsulbong (B) and Danggumi (C) area. Hantangang area (D) where located in southern part of Civilian Control Zone were significantly low habitat using area in population not only Red-crowned Crane but also White-naped Crane.

      • KCI등재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류의 장기 모니터링 및 개체군 변화 요인 : 역사적 변화와 MODIS에 의한 기상변화 영향의 평가

        유승화(Seung-Hwa Yoo),이기섭(Ki-Sup Lee),김진한(Jin-Han Kim),박종화(Chong-Hwa Park) 한국조류학회II 2011 한국조류학회지 Vol.18 No.1

        본 연구는 철원지역의 1970년대부터 2010년까지 두루미류의 개체군에 대한 연구를 종합하고 최근의 모니터링 결과를 반영하려 하였으며, 개체군 변화요인 및 인구학적변수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1970년대부터 여러 연구자에 의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어온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개체군은 꾸준히 증가하였다. 2000년대 후반에 이르러 두루미는 800, 재두루미는 1500여 개체가 지속적으로 월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80~90년대의 증가경향은 북한지역 두루미개체군의 유입으로 판단되었으며, 2000년대 초반의 개체군 증가는 먹이주기 등의 보호에 의한 개체군의 증가로 판단되었다. 철원지역에서 두루미류의 분포지역은 1980년대에 7.8㎢였으나, 꾸준히 확대되어 76.7㎢로 10배가량 확대되었다. 철원지역 두루미의 유조비율은 평균 20.2±2.6%로 안정적이었으며, 재두루미는 17.4±2.4%로 두루미에 비해 낮으며 변화도 컸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유조의 비율과 개체군 증가의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두루미류의 서식면적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밀도는 두루미의 경우 10개체/㎢ 정도로 유지되었으나 재두루미는 20개체/㎢ 가까이 높아졌다. 2000년대 후반의 재두루미 증가추세는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철원지역의 눈 덮임 감소와 온난화로 인한 월동개체수 증가로 판단되었다. The objectives of this paper are to investigate the trend of population change of wintering cranes and distribution pattern in the Cheorwon, Korea. Data collected by our team since 2000 and previous reference data of others were employed. The size of wintering population of cranes has been increasing steadily in the area. Red-crowned Crane’s population had reached to 800 in the latter half of 2000’s, and White-naped cranes about 1,500 that the individual stays over the winter continuously. The crane’s distribution was 7.8㎢ at 1980’s but it was magnified steadily and 10 doubling quantity it was magnified with 76.7㎢. The White-naped Crane increasing tendency of latter half of 2000’s appeared with the rapidly. Juvenile ratio of the Red-crowned Crane was stable with average 20.2±2.6% and the average juvenile ratio of the White-naped Crane was 17.4±2.4% and this changes was more high. Both crane species were not shown correlation between population increasing and juvenile ratio. Total wintering habitats area of cranes have been increased continuously until 2010. Density of the Red-crowned Crane have been maintained about 10 individuals/㎢ after 1990s, but density of the White-naped Crane have been increased 20 individuals/㎢ until recently year. Increasing tendency of the White-naped Cranes has been shown rapid increasing. Decreasing of the snow fall and cover depth and warm winter temperature were suggested as causes of rapid increasing of wintering population of White-naped Cranes.

      • KCI등재

        20년간 철원평야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군 변화상

        유승화,이기섭,김수호,박용현,최진원,김진한,김화정,허위행 한국조류학회II 2022 한국조류학회지 Vol.29 No.2

        We have conducted the study on the change of the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wintering population size, juvenile ratio, and family group number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the Cheorwon Plain from 2003 to 2022. The wintering number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s continued to increase except for some period, but increasing number of White-naped Cranes showed more drastic increasing than Red-crowned Cranes. As the number of wintering population increased, the number of family groups that could have regarded as breeding pairs along with the number of juveniles also increased. The juvenile ratio of Red-crowned Cranes was 19.8% (±3.1%) and that of White-naped Cranes was 17.0% (±3.5%). Among the family groups in each crane species, the number of family groups in White-naped Cranes contains more than one young bird showed a higher ratio, compared to Red-crowned Cranes. In this reason, population size of White-naped Cranes have shown more drastic increasing than that of Red-crowned Cranes in the Cheorwon Plain.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22년까지 철원평야 지역에서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군의 규모와 유조의 수, 가족군의 수 등 인구학적 변수의 변화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일부 시기를 제외하면 지속적인 증가양상을 보였으며, 재두루미가 더 급격한 증가양상을 보였다. 두루미류에 있어서 월동개체수가 증가하면서 유조의 수와 함께 번식쌍으로 간주할 수 있는 가족군의 수 또한 증가하였다. 두루미의 유조비율은 19.8% (±3.1%), 재두루미의 유조비율은 17.0% (±3.5%)를 나타내었으며, 이러한 유조비율은 중국의 개체군이 급격히 감소하기 이전의(1988년에서 1995년까지) 비율과 유사한 것이었다. 가족군 중 유조가 1개체 이상 있는 가족군의 수는 두루미 보다 재두루미가 더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재두루미의 경우 두루미 보다 유조가 1개체 이상 있는 가족군의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나 지난 20년간의 재두루미 월동개체군의 급격한 증가 원인으로 보여진다.

      • Current Status of Wintering Cranes in Korea

        Pae, Seong-Hwan,Kaliher, Frances T.,Lee, Jae-Bum,Won, Pyong-Oh,Yoo, Jeong-Chil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1996 연구보고 Vol.5 No.1

        본 연구는 1992년부터 1996년까지 두루미류의 주요 월동 서식지를 중심으로 도래하는 두루미류의 개체수변동, 서식지의 특성 및 서식지 이용의 변화를 조사한 것이다. 철원분지와 한강하구의 도래시기는 두루미에 비해 재두루미가 빠르며, 철원분지에 도래하는 두루미는 대부분 월동개체군이나, 철원분지와 한강하구에 도래하는 재두루미는 이동중 중간 기착지로서 이용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다. 통과시기에는 철원지역에서 소수의 흑두루미, 카나다두루미가 도래하였으며, 1993~94년에는 검은목두루미 1개체가 월동하였다. 한강하구에는 통과시기에 시베리아흰두루미 1개체가 도래하였다. The change in populations and wintering habitats of wintering cranes in Korea were studied between 1992 and 1996. In the Cholwon basin and the Han river estuary, White-naped cranes migrate earlier than the Red-crowned cranes. Most of Red-crowned cranes wintering in Korea stage in Cholwon. On the other hand, five year's monitoring of White-naped cranes shows that the Cholwon basin and the Han river estuary are major habitats for them. In the Cholwon basin, some Hooded cranes, a Sandhill crane and a Common crane were also found sporadically in the last five years. In winter of 1992, a Siberian White crane visited the Han river estuary.

      • KCI등재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인위적 요인에 의한 분포양상

        유승화,김진한,이기섭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인위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도 철원군의 민간인통제지역이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월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분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위적 요인인 도로, 거주지 및 군사시설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두루미류의 밀도를 파악하였으며, 비닐하우스의 분포밀도 차이에 따른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를 평가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동일지점에서 서식밀도 상관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인위적 요인에 대해 유사한 민감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와 가까운 곳은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낮은 서식밀도를 보였으며, 2.5km 구간까지 거리가 멀어질수록 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군사시설로 부터는 약 0.8km까지, 통행량이 높은 도로는 2km 구간까지 요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식밀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인가지역과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가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일정범위까지 악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하였다. 통행량이 적은 도로와 인접한 곳은 간헐적 간섭으로 먹이자원이 보전되어 있어 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는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40개/km2 미만인 경우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40개/km2 이상인 지역에서는 뚜렸한 밀도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anthropogenic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th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intering in Cheorwon, Korea.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act power and its range of the anthropogenic effect to the feeding flock density in cranes due to the paved road,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and greenhouse density.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showed the similar preference and sensitivity against anthropogenic factors, because correlation of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as similar in the same site. The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cranes near the residenti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area far from the area, and tended to increase within 2.5 km distance. The increasing tendencies of feeding flock density from military facilities and high traffic volume road were similar, but the density in military facilities increased within 0.8 km, and the density from high traffic volume road increased within 2 km. This results suggested that military facilities and the road with high traffic volume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foraging densities to the certain range. As the distance from the road with low traffic volume increased, feeding flock density tended to decrease. The area near the low traffic volume road had high feeding flock density because remaining rice grains were preserved by intermittent disturbances in that area. If the density of greenhouse is lower than 40/km2, feeding flock density in the low greenhouses density area was higher than high greenhouses density are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eeding flock density if the density of the green houses is higher than 40/km2.

      • KCI등재

        철원지역에서 월동하는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인위적 요인에 의한 분포양상

        유승화 ( Seung Hwa Yoo ),김진한 ( Jin Han Kim ),이기섭 ( Ki Sup Lee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4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28 No.5

        본 연구에서는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 중 인위적 요인에 의한 영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역은 강원도 철원군의 민간인통제지역이며 2009년부터 2014년까지 매년 1월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분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인위적 요인인 도로, 거주지 및 군사시설로 부터의 거리에 따른 두루미류의 밀도를 파악하였으며, 비닐하우스의 분포밀도 차이에 따른 두루미류의 서식밀도를 평가하였다. 두루미와 재두루미는 동일지점에서 서식밀도 상관관계가 있었기 때문에 인위적 요인에 대해 유사한 민감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와 가까운 곳은 두루미와 재두루미 모두 낮은 서식밀도를 보였으며, 2.5㎞ 구간까지 거리가 멀어질수록 밀도가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는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와 유사한 양상이었으며, 군사시설로 부터는 약 0.8㎞까지, 통행량이 높은 도로는 2㎞ 구간까지 요인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서식밀도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경향은 인가지역과 군사시설 및 통행량이 높은 도로가 두루미류의 서식밀도에 일정범위까지 악영향을 주는 것을 의미하였다. 통행량이 적은 도로와 인접한 곳은 간헐적 간섭으로 먹이자원이 보전되어 있어 밀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낮은 곳에서는 밀도가 증가할수록 두루미류의 서식밀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40개/㎢ 미만인 경우에서 나타났다. 하지만 비닐하우스의 밀도가 40개/㎢ 이상인 지역에서는 뚜렸한 밀도의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he anthropogenic factors affecting distribution of th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intering in Cheorwon, Korea. Especially,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impact power and its range of the anthropogenic effect to the feeding flock density in cranes due to the paved road, residential area, military facilities and greenhouse density. The Red-crowned Crane and the White-naped Crane showed the similar preference and sensitivity against anthropogenic factors, because correlation of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was similar in the same site. The feeding flock density of the cranes near the residential area was lower than that of area far from the area, and tended to increase within 2.5 ㎞ distance. The increasing tendencies of feeding flock density from military facilities and high traffic volume road were similar, but the density in military facilities increased within 0.8㎞, and the density from high traffic volume road increased within 2 ㎞. This results suggested that military facilities and the road with high traffic volume made significant influence on foraging densities to the certain range. As the distance from the road with low traffic volume increased, feeding flock density tended to decrease. The area near the low traffic volume road had high feeding flock density because remaining rice grains were preserved by intermittent disturbances in that area. If the density of greenhouse is lower than 40/㎢, feeding flock density in the low greenhouses density area was higher than high greenhouses density area.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feeding flock density if the density of the green houses is higher than 40/㎢.

      • KCI등재

        순천만 흑두루미춤을 추는 자전적 경험에 관한 예술 기반 탐구 사례

        전영국 한국내러티브교육학회 2017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Vol.5 No.3

        이 논문은 순천만의 흑두루미를 주제로 한 몸짓과 춤을 만들어 가는 창작 활동 과정 에 대한 자전적 체험을 탐구한 내용을 다루고 있다. 연구자인 ‘나’는 순천만 야외에서 흑 두루미를 관찰하고 자발적인 연습 활동에 대하여 비디오를 찍어서 춤을 만들어가는 과 정을 거쳐 그 결과물을 철새 및 두루미 관련 학술 심포지움 공간과 야외에서 시연하였 다. 예술 기반 연구 방법과 자서전적 내러티브 방법을 혼용하여 나는 창작에 관한 구상, 스토리 전개, 음악, 안무 및 시연에 이르기까지 과정에서 경험한 내면의 상태를 묘사하 였다. 자료 수집은 2014년 9월부터 2016년 5월 사이에 걸쳐 창작 과정에 관한 현장 노 트, 성찰 메모, 사진, 동영상 및 자전적 기억 자료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나는 사진 및 비디오 촬영 자료 등을 토대로 일련의 과정을 네 개의 미니 사례로 제시함으로써 몸 에 대한 인식 및 각성, 순천만 생태 환경과 철새를 바라보는 관점의 변화, 흑두루미춤을 창작하는 과정과 공연 경험에서 드러나는 인상적인 부분을 질적으로 묘사하였다. 마지 막에 사례 탐구를 통해 흑두루미와 철새 대상으로 춤추기 활동에서 나타나는 특징을 조 망하였고 생태와 예술을 연계한 교육 현장에 던지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paper dealt with the author’s biographical experiences for mimicking hooded crane behavior in the form of dancing in order to create a new type of dancing performance. I, as a researcher, presented how I got involved with such dancing activities especially in Suncheon Wetland Conservation area and how I developed such a new form of hooded dancing with self-produced video data. Data collection was done between 2015 Sept and 2016 May including field note, reflective memo taking, photos, video clips and self-memory. I presented 4 mini-cases that illustrated the whole ways of perceiving body movements, being awar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 beings and migratory birds including hooded cranes, and feeling inner changes during my several solo performances. At the end, I depicted the features of my dancing experiences with hooded cranes and migratory birds, and presented its implications to the educational fields.

      • KCI등재

        철원지역 두루미류 개체수 증가와 사고사례 및 사망사고 방지방안

        유승화,이기섭,김수호,김동원,김화정,김진한,조영호 한국조류학회II 2019 한국조류학회지 Vol.26 No.1

        Wintering Population trend of Red-crowned Crane and White-naped Crane in Cheorwon, Republic of Korea has been increasing continuously since 1970s. In January 2018, the maximum number of wintering cranes has been recorded in Cheorwon since Winter Waterbird Census had begun, showing 979 individuals on Red-crowned Crane and more than 4,000 individuals on White-naped Crane. The ratio of the juveniles in wintering Red-crowned Crane population was 22.4% which is suggesting a stable population characteristic in 2018. This proportion of juvenile in the Red-crowned Crane's population was higher than the average proportion (19.2%) from 2002 to 2014, although the highest ratio of juvenile appeared in 2012 and 2013. The wintering area of cranes in Cheorwon was found to be expanding to eastward, such as Sangchang-ri, Myeong-ri and Yongyang-ri of Kimhwa-eup, where about 50 individuals were found in those areas. As a record from Cheorwon Wildlife Rescue Center from 2001 to 2018, 72 cranes including carcasses were rescued from 61 accidents. Among them, Red-crowned Cranes were 32 and White-naped Cranes were 40. The total number of accidents decreased, but the number of cases caused by collision of wires did not decrease, moreover, its proportion at total accidents increased from 31.8% to 42.8% before and after 2010. From 2016 to 2017, Cheorwon County Office and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 (KEPCO) installed the marking against collision on some electric wires in Cheorwon area. However, the size of marking is too small to be recognized by flying cranes and the space between the marking and the neighboring one is too wide.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attach additional markers to the overhead ground wire locating at the top of wires. 1970년대 이후 한국 철원지역의 두루미와 재두루미의 월동개체수는 연간, 일시적인 변화는 있지만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두루미는 2018년 1월에 979개체를 기록하였으며, 재두루미는 2018년 1월에 4000개체 이상이 월동하는 것으로 조사되어 겨울철새 동시센서스가 시작된 이래 최대 월동개체수를 기록하였다. 2018년 두루미의 유조의 개체군내 비율도 22.4%로 안정적인 번식양상이 추정되는 개체군적 특징이 나타났다. 개체군내 유조의 비율은 2002년에서 2014년까지 평균 19.2%에 비해 높게 나타났으며, 2012과 2013년 이래 최대치였다. 두루미의 서식지역은 확장되는 추세였으며, 철원지역 동측인 김화읍 생창리, 읍내리 및 용양리 지역에 50여개체가 관찰되는 등 서식면적이 동쪽으로 확장된 것으로 나타났다. 철원 야생동물구조치료센터의 기록에 의하면, 2001년에서 2018년까지 61건의 사고에서 72개체의 두루미류 구조 및 사체수거가 이루어졌으며, 두루미는 32개체, 재두루미는 40개체가 있었다. 전체 사고개체수는 감소하였으나 전선충돌에 의한 사례는 현격하게 감소하지 않았다. 하지만 전체사고에서의 비중은 2010년 이전 31.8%에서 2010년 이후 42.8%로 높게 나타났다. 2016년 철원군청과 한국전력에 의해 철원지역의 일부 전선에 보호대를 설치하였다. 하지만 가공지선이 가장 위에 위치하기 때문에 2017년에는 이 부분에 표식 부착이 필요하여 보완하였다. 그러나 표식이 전선의 간격에 비하여 크기가 작으며 설치간격 또한 너무 떨어져 있어 실효성이 없는 것으로 판단되며 개선이 요구되었다.

      • KCI등재후보

        철원지역 두루미류의 사고사례 및 전선충돌 원인분석

        유승화(Seung-Hwa Yoo),이기섭(Ki-Sup Lee),박종화(Chong-Hwa Park) 한국조류학회II 2010 한국조류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의 목표는 철원지역에서 2001년에서 2010년까지 10년간 수집된 두루미류의 사고사례를 알아보고 그 중 전선충돌 사고의 요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두루미류의 사고사례는 총 36건 42개체 이었고, 두루미가 14건 19개체, 재두루미가 22건 23개체 희생되었다. 둘째, 사고의 원인은 중독(31.0%), 전선충돌(26.2%), 철책충돌(14.3%), 골절(4.8%), 탈진(4.8%), 총상(2.4%), 원인미상(16.7%) 등으로 나타났다. 두루미와 재두루미 종간의 사고유형에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성조와 유조간의 사고율 또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사고개체 중 성조보다는 유조의 사고율이 높았다. 셋째, 전선충돌의 경우 전선의 밀도가 중요한 충돌요인으로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지형적인 요인은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중독, 전선 및 철책에의 충돌은 매우 중요한 사고요인이었으며, 관리되어야 할 요인으로 판단되었다. 이에 사고가 빈발하는 지역의 전선 가시성 증대 및 철책에의 충돌방지를 위한 방안이 필요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auses of crane fatality in Cheorwon area, and to analyze factors of the human disturbance related to its fatality. Spatial analysis of land form and artifacts including electric power lines and iron fences along DMZ have been done with GIS. The finding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have found 42 accident individuals in 36 cases during the study period from 2000 to 2010. 19 individuals of Red-crowned Crane were suffered in 14 cases, and 23 individuals of the White-naped Crane were suffered in 22 cases. Second, major causes of accidents were identified as poisoning (31.0%), electric line collision (26.2%), iron fence collision along DMZ (14.3%), fracture (4.8%), exhaustion (4.8%), and gunshot wound (2.4%). Third, the density of electric line wa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to electric power line collision of cranes, but topography factors of slope and curvature of the survey area was insignificant impact to the accidents. Conservation plan for the cranes should include a strict poaching control, density reduction of electric power lines, and the visibility enhancement measures of aerial obstacles such as attaching warning strips to power lines and upper parts of iron fences along the DMZ.

      • KCI등재

        두루미-Ⅱ 무인기 기반의 조종력 할당 기법 성능 평가

        민병문(Byoung-Mun Min),김응태(Eung-Tai Kim),이장호(Jang-ho Lee),탁민제(Min-Jea Tahk) 한국항공우주학회 2007 韓國航空宇宙學會誌 Vol.35 No.2

        본 논문에서는 두루미-Ⅱ 무인기 모델을 이용하여 다양한 조종력 할당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조종력 할당 기법은 먼저 조종면 고장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에서 대상 항공기의 기준 비행제어 시스템을 설계한 후, 조종력 할당 알고리즘을 결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대상 항공기 모델인 두루미-Ⅱ 무인기의 기준 비행제어 시스템을 고전제어 기법에 근거하여 설계하였다. 그리고 Psuedo-inverse CA 기법과 Direct CA 기법 및 Optimization CA 기법을 구현하여 두루미-Ⅱ 무인기의 기준 비행제어 시스템과 결합한 후, 조종면 고장 시나리오에 따른 비선형 시뮬레이션을 통해 각 조종력 할당 기법의 성능을 평가하고 비교하였다. This paper focuses on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various control allocation methods applied on DURUMI-Ⅱ UAV system. In order to implement control allocation scheme to aircraft control system, control system can be designed through two step design procedure. The first step is to design a baseline control system for an aircraft without consideration of control surface failure. The second step is to design a control allocator that maps the total control command on the individual control surfaces. In this paper, several control allocation methods such as Psuedo-Inverse CA method, Direct CA method, and Optimization CA method are implemented and integrated to the baseline flight control system of DURUMI-Ⅱ UAV. The performance of these control allocation methods is evaluated by nonlinear simulation under the flight scenario of control surface fail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