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르트총회-공정과 화합의 총회

        홍주현 한국개혁신학회 2022 한국개혁신학 Vol.73 No.-

        It is a well-known, but negative portrait on the Synod of Dordt in the English speaking world that the Synod was not fair to the Remonstrants; that Canons were drawn up in private by the moderator, Bogerman and foisted upon the foreign delegates; that the delegates were so extreme and biased that they caused ceaseless controversies among themselves. This negative portrait is resulted partially from those who accused of the Synod based on letters of Balcanquahal and John Hales. Unlike their accusations on the Synod of Dordt, the it is the Synod of equity and unity in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e Synod, the procedure of the Synod, and of making Canons. The purpose of Synod was to judge the opinion of the Remonstrants in perspective of the Contra-Remonstrants, and to remove it from Dutch Reformed Churches in order to keep the purity of doctrines and to maintain the confessional unity among the Calvinists in Europe. Although it looks unfair to the Remonstrants, it was inevitable to held the Synod in this way. Moreover, the States General required the Synod to handle this agenda by way of less controversial and the most suitable. So the Synod took several procedures to handle this agenda equally and reasonably as the States General requires. First of all, they made Articles(Articuli) from the works of the Remonstrants and had long time to discuss Canons Article by Article based on this Articles. Then they made their own judgments(Iudicia) respectively. From these judgments, the committee for the drafts of the Canons made the final draft by amending the previous draft twice. This was a long – about six months - procedure to make the most equal and reasonable Canons. Although there were some quarrels and controversies among delegates in some points during debating and making the Canons, the Synod eventually signed to them unanimously. The Synod of Dordt is the Synod of equity and unity. 도르트 총회가 당파적이고 항론파에 공정하지 못하였으며, 도르트 신조는 총회 의장에 의해 사적으로 작성이 되어 해외 총대들에게 승인이 강요된 것이고, 도르트 총회에 참석한 총대들은 자질이 부족하여 총회에서 그들 간에 논쟁이 끊이지 않았다는 것은 오랫동안 영미권에서 받아들여지고 있던 도르트 총회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이다. 이러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부분적으로는 발칸퀄과 존 해일즈의 편지에 근거하여 도르트 총회 반대자들이 만들어낸 것인데, 대부분이 사실이 아니거나 과장되거나 왜곡된 내용들이다. 그들이 주장하는 바와 달리 도르트 총회는 공정과 화합의 총회였는데, 도르트 총회가 개최된 목적, 도르트 총회의 진행 과정과 도르트 신조가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이를 확인해 볼 수 있다. 도르트 총회의 개최목적은 반항론파의 입장에서 항론파의 견해를 판단하고 그것을 네덜란드 교회에서 제거함으로 네덜란드 교회의 교리적 순수성을 지키고 유럽 내 칼빈주의 진영과의 고백적 단일성을 유지하는 것이었다. 항론파 입장에서는 다소 불합리하다고 여길 수 있을지 모르지만, 도르트 총회가 이런 목적으로 개최된 것은 당시의 시대적인 요청이었다. 게다가 당시 네덜란드 연방의회는 ‘가장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식’과 ‘가장 적절한 방식’으로 이 문제를 해결하라고 총회에 요구하였고, 총회는 가장 공정하고 합리적인 방식으로 항론파의 견해를 처리하기 위해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서 도르트 신조를 작성하였다. 항론파의 저서로부터 항목 모음집(Articuli)을 만들고, 항목별로 토론을 벌인 후에 19개 대리인이 각각 판단서(Iudicia)를 작성하였다. 도르트 신조 초안 위원회는 이 판단서를 가지고 도르트 신조 첫 번째 위원회 초안을 만들었고, 두 번의 수정작업을 거쳐서 최종안을 만들었다. 장장 여섯 달이 걸린 이 모든 과정은 가장 합리적이고 공정하게 항론파의 견해를 다루기 위한 과정이었다. 또한 비록 토론 간, 그리고 도르트 신조를 작성하는 동안 총회 안에 일부 항목에 대한 견해 차이로 인해 심각한 논쟁이 벌어지기도 하였지만, 결국 총회는 만장일치로 도르트 신조를 승인하였다. 이를 통해 도르트 총회는 비난자들의 견해와 달리 공정과 화합의 총회였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후보

        도르트 총회 연구의 새로운 전망과 시벨리우스의 일지(Journal)

        홍주현 ( Joohyun Hong ) 개혁신학회 2021 개혁논총 Vol.56 No.-

        최초의, 그리고 현재까지 유일한 국제 개혁파 총회였음에도 도르트 총회(1618-19)는 지금껏 학계의 큰 관심을 끌지 못한 채 그 연구가 매우 제한적이었다. 그 주된 이유 중의 하나는 바로 도르트 총회와 관련된 대부분 일차자료가 그 자체로 비평적인 판독작업이 필요한 자료들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도르트 총회 400주년을 맞이하여 도르트 총회에 관한 관심이 증대되고, 도르트 총회에 관한 연구들이 이전에 비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일차자료에 학자들이 더욱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그것들에 대한 비평적인 판독작업이 도르트 프로젝트 그룹에 의해 진행 중이며, Acta et Documenta Synodi Nationalis Dordrechtanae 시리즈의 출간으로 그 노력이 이제 결실을 보고 있다. 이로 인해 새롭게 활용할 수 있게 된 자료들은 도르트 총회에 관한 연구의 지평을 넓혀 주고 있는데, 시벨리우스의 일지도 그런 자료 중 하나이다. 시벨리우스의 일지는 도르트 총회에 참석했던 오퍼레이설주 대리인 중 한 명인 카스파르 시벨리우스(Caspar Sibelius)에 의해 기록된 개인 저술로 대부분의 총회의 역사를 기술하고 있으며, 다른 자료에서는 발견할 수 없는 독특한 자료들을 포함하고 있기에 도르트 총회 연구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시벨리우스의 일지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도르트 총회에 관한 여러 가지 새로운 면모를 보여주는 훌륭한 보충 자료로서 다른 보충 자료들과 함께 총회의 회의록이 다 담아내지 못한 총회의 다양한 측면을 보여주는 데 유용하게 사용될 것이다. Although it was the first and, presently, only international Reformed synod, the Synod of Dordt has suffered from undeserved indifference by scholars and the research on it has been quite limited. One of the reasons for this indifference is that most primary sources concerning the Synod of Dordt has remained untouched and needs critical transcription to make them available to scholars. Recently, however,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Synod of Dordt and many scholarly researches on it has been proceeded on account of 400 anniversaries of the Synod of Dordt. In addition, most primary sources have been critically transcribed by the members of Dordt project group, and the result is highlighted by the publication of the Acta et Documenta Synodi Nationalis Dordrechtanae series (9 volumes planned). These newly available sources give better understanding on the Synod of Dordt, and the journal of Sibelius is one of them. The journal was a personal note written by Caspar Sibelius, who was a delegate of the Overijssel delegation, and it contains most records on the history of the Synod and unique materials which other sources do not have. Therefore, the journal of Sibelius is considered a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lementary sources for the research of the Synod of Dordt. The journal of Sibelius, which has not been available due to its illegibility as other sources, is now available since it is just transcribed. Because the journal of Sibelius contains several unique materials which are not found in any other sources, and they can be also used to show other aspects of the Synod, it is and will be particularly useful for the research of the Synod of Dordt as one of good complementary sources.

      • KCI등재

        “난해한 문구들(Phrases Duriores)”에 관한 도르트 총회의 결정과 그 의미

        홍주현 한국개혁신학회 2022 한국개혁신학 Vol.75 No.-

        도르트 신경은 도르트 총회에 참석한 개혁파 총대들과 항론파 간의, 그리고 개혁파 총대들 간의 산고와도 같은 고통스럽고 치열한 토론과 논쟁의 결과물이었다. 그리고 그러한 논쟁의 중심에는 난해한 문구가 있었다. 난해한 문구는 이해하고 받아들이기 힘든 예정론과 관련된 문구들로서 항론파가 개혁파를 공격하기 위해 사용했던 주된 도구였던 동시에 개혁파 총대들 간에서도 도르트 신경 결론에서 이 문구를 정죄해야 하는가, 하지 않아야 하는가에 대한 논쟁을 일으켰던 장본인이었다. 도르트 총회에 소환되어 참석하였던 항론파 대표들은 그들의 견해를 진술, 설명, 변호하기보다는 유기 교리를 통해 개혁파를 곤란에 빠뜨리고 총회에 참석한 개혁파 내에 존재하던 소수의 타락전 선택론자들을 다수의 타락후 선택론자들로부터 고립시키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항론파의 계획은 결국 실패로 돌아갔고, 비협조적이고 완강한 태도로 일관하였던 그들은 결국에는 총회에서 추방되었다. 이로써 난해한 문구와 유기 교리로 인한 논쟁은 일단락되는 듯하였으나, 도르트 신경의 결론을 작성하는 가운데 난해한 문구와 관련하여 다시금 논쟁이 발생하였다. 항론파의 잘못된 주장들만을 정죄하자고 주장하였던 대다수의 대표단에 맞서 영국, 헤세, 브레멘 대표단이 도르트 신경의 결론에서 난해한 문구도 함께 정죄하자고 주장하였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총회는 내홍을 겪기도 하였지만 난해한 문구를 정죄하지 않는 것으로 결론을 내리고 몇 차례의 수정을 거쳐서 도르트 신경 결론을 작성하였다. 이러한 난해한 문구 논쟁은 유기 교리와 난해한 문가가 칼빈주의 예정론의 차별화된 특징이 된다는 것과 타락후 선택설의 용어로 도르트 신경을 작성했던 도르트 총회가 타락전 선택설 역시 포용하였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오퍼레이설(Overijssel)주 총대단의 견해서 작성 과정 : 시벨리우스 일지에 포함된 단서를 중심으로

        홍주현 고신대학교 개혁주의학술원 2023 갱신과 부흥 Vol.31 No.-

        The Synod of Dordt encountered various situations which resulted in the division of four periods, and applied proper procedure to each period according to the situations. However it was various, the procedure of the Synod was very obvious due to the official Acta of the Synod, and other personal documents written by some delegates during the Synod. But the procedure of making common judgment of each delegation has never known, which produced all judgments that were basis of all resolutions of the Synod. Therefore, there is no other way except inferring the procedure. Fortunately, some materials which have been preserved in the journal of Caspar Sibelius offer the important clues to infer it. There are two kinds of materials in the journal of Sibelius; one is the record of each session of the Synod, and the other is personal judgments of Sibelius himself and the judgments of the Overijssel delegation. The latter can be the clues. Namely, the existence of both documents of his personal judgment and of the Overijssel delegation on the same topic guarantees the inference that the Overijssel delegation would make their common judgment by synthesizing judgments of each delegate. Furthermore, some of judgments in Sibelius journal shows shift of title and contents from his personal judgment to the common judgment of the Overijssel delegation. This shift makes it possible to infer that the delegation sometimes chose the personal judgment of Sibelius or of any other delegate as their common judgment. 1618년 11월 13일부터 1619년 5월 29일까지, 여섯 달 반에 걸쳐 진행된 도르트 총회는 네 개의 기간으로 구분이 될 정도로 총회 중 다양한 상황을 맞이하였으나, 그 상황에 맞게 총회는 적절한 진행 방식과 절차를 논의하여 그것을 적용해 나갔다. 그러나 비록 다양하기는 하지만 총회의 공식 회의록과 더불어 일부 개인 총대들이 남겨놓은 문서들을 통해 이러한 총회의 진행 방식과 절차에 대해서는 명확히 알 수 있다. 그러나 모든 총회 결의의 근간이 되었던 각 총대단의 견해서가 어떻게 작성되었는가에 대해서는 전혀 알려진 바가 없다. 그러므로 각 총대단이 총회에 제출하였던 견해서를 어떻게 작성하였을지는 추론을 통해 미루어 짐작할 수밖에 없다. 그런데 시벨리우스의 일지에 포함된 일부 자료들이 총대단이 견해서를 작성한 의사 결정 과정과 방식에 대한 신빙성 있는 추론의 근거가 된다. 시벨리우스의 일지에는 총회 각 회기의 기록과 함께 여러 안건에 대한 시벨리우스의 개인 견해와 그가 속해 있던 오퍼레이설주 총대단의 견해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후자, 즉 시벨리우스의 개인 견해와 총대단의 견해가 총대단의 의사 결정 과정과 방식이 어떠했으리라는 것을 추론할 수 있게 해주는 결정적 단서가 된다. 첫째로, 어떤 한 안건에 대한 시벨리우스의 개인 견해와 동일한 안건에 대한 오퍼레이설주 총대단의 견해가 동시에 존재한다는 사실은 총대단의 의사 결정 방식이 각 총대들의 견해를 종합하는 방식이었다는 것을 추론하게 해준다. 또한 둘째로, 시벨리우스 일지에 존재하는 일부 자료에는 그것이 시벨리우스 개인의 견해였다가 총대단 전체를 대변하는 견해로 제목과 내용이 수정된 흔적이 발견된다. 이는 총대단이 때로는 한 개인 총대의 견해를 총대단 전체 견해를 대표하는 견해로 채택하여 그것을 총회에 제출하였다는 것을 추론하게 해준다.

      • KCI등재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의 확대경으로서의 ‘캄펀 사례’에 관한 연구

        홍주현 ( Hong JooHyun ) 한국개혁신학회 2021 한국개혁신학 Vol.72 No.-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과 더불어 도르트 총회에서 다루어졌던 세 개의 사례 중 하나인 캄펀 사례(Kampen case)는 다른 두 사례가 도르트 신경이 작성되기까지 오랫동안 그 차례를 기다려야 했던 반면에, 도르트 총회가 항론파와 논쟁하고 그들의 주장에 대한 답변을 준비하는 와중에서도 따로 시간을 할애하여 필요할 때마다 즉각적으로 다루었던 유일한 사례였다. 캄펀 사례가 도르트 총회에서 이처럼 중요하고 특별하게 다루어졌던 이유는 캄펀 사례가 그만큼 촌각을 다툴 만큼 심각한 사안이었기도 하였거니와 항론파의 지도자 중 한 명인 위텐보가르트(Uytenbogardt)가 묘사한 대로 도르트 총회의 중심 논제인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의 ‘확대경(擴大鏡, magnifying glass)’이었기 때문이다. 캄펀 사례가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의 확대경이라는 것은 캄펀 사례가 항론파의 일반적인 견해를 잘 드러내 주고, 그들이 자신들의 견해 가운데서 특별히 무엇을 강조하였으며, 무엇이 알려지기를 원했는지를 정확히 보여주는 사례라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4명의 캄펀 항론파 목사에 의해 공동으로 기술된 ‘참되고 명백한 메시지(Oprecht ende Klaer Bericht)’라는 소책자(pamphlet)는 캄펀 사례가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의 확대경이 될 수 있게 해준 일등 공신이라 할 수 있다. 그 이유는 14개의 항목으로 구성된 이 소책자는 항론파가 1610년에 제출한 항의서(Remonstrance)의 내용을 충실하게 반영하고 있고, 항론파와 반항론파 간 첨예한 논쟁의 핵심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약 10여 년간 캄펀에서 발생했던 항론파와 반항론파 간의 논쟁과 그로 인해 야기된 혼란은 네덜란드 전역에서 발생했던 항론파와 반항론파 간의 혼란의 역사의 축소판이었다. 그러므로 캄펀 사례는 역사적인 측면에서도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의 단면을 확대해서 자세히 보여준 확대경이라 할 수 있다. 이렇게 캄펀 사례는 좁게는 도르트 총회에서 다루어졌던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에 대한, 그리고 넓게는 전(全) 네덜란드에서 벌어졌던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에 대한 확대경으로서,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과 도르트 총회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이 된 결정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Unlike other two which had to wait for their turn for a long time until the Canons of Dordt was promulgated, Kampen case, one of three cases which were judged during the Synod of Dordt is only one that the Synod immediately discussed with priority while the main issue of the Synod, the Arminian controversy, had been debated, The reasons why the Kampen case was extraordinary in the Synod of Dordt are both that the case was very serious enough for the Synod to take on this case immediately, and that it was ‘the magnifying glass’ on the issue of Remonstrantism as Uytenbogardt, one of the Remonstrant leaders described. The Kampen case was the magnifying glass on Remonstrantism in the sense that it gave a better understanding to the general issue of the Five Articles as a whole, and showed what the Remonstrants wanted to make known in particular. In this perspective, the pamphlet, ‘Sincere and Clear Message,’ coauthored by four Kampen Remonstrant pastors,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case to be regarded as the magnifying glass on Remonstrantism. For, the pamphlet reflects the Remonstrance of 1610 in full detail and also contains several subjects which had been sharply discussed between the Remonstrants and the Contra-Remonstrants. Moreover, the history of conflict between the Kampen Remonstrants and the Contra-Remonstrants during about 10 years since 1610 shows the history of Arminian controversy in the whole Netherlands in microcosm. So, it is also admitted that the Kampen case can be the magnifying glass on Remonstrantism in this historical sense. In sum, the Kampen case, the magnifying glass on Remonstrantism, was the decisive case to give better understanding on the Arminian controversy to the Synod of Dordt.

      • KCI등재

        도르트 총회와 신조에서 신학적, 목회적 측면의 균형

        김재윤 ( Jae Yo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8 한국개혁신학 Vol.59 No.-

        도르트 신조와 이 신조를 작성한 도르트 총회는 항론파 때문에 발생한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것이었다. 따라서 일차적으로 이 총회의 목적은 항론파의 신학적 주장에 대한 반박을 목적으로 했다. 그러나 총회의 대표들은 단지 이들의 주장을 반박하는데만 목적을 제한하지 않았다. 오히려 주께서 교회를 목양하시며 교회를 강하게 세워가는 목회적 성격을 강하게 의식하였다. 곧, 신학적 논쟁에 매몰되지 않으면서 목회적 목적에 주목하였다. 첫째, 도르트 신조의 구조와 내용, 서술 방식이 이를 보여준다. 신조는 항론파를 반박하는 오류와 반박 부분을 포함하되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의 구조를 담은 긍정적인 서술들을 앞세워서 교회의 가르침으로 자리잡았다. 한편으로 성경전체의 내용을 담는 새로운 신앙고백이 아니라 이전에 교회가 고백한 신앙문서를 확인하는데 정체성을 두었다. 둘째, 전택설과 후택설이라는 개혁주의 예정론의 긴장과 논쟁점을 전면에 내세우지 않았다. 오히려 항론파의 공격에서 비켜나 있는 후택설에 가까운 신조를 작성하였다. 그러나 전택설을 버리고 후택설을 택하는 방식은 아니었다. 오히려 교회를 위한 복음의 가르침의 구조를 드러내고 복음 설교를 중심에 두는 그리스도의 말씀의 목양을 전면에 부각시켰다. 마지막으로 도르트 총회는 도르트 신조뿐 아니라 교회법을 작성해서 총회의 최종적인 목적이 교회를 세워가기 위한 것이었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e synod of Dordt was to overcome the crisis of the Dutch Reformed Churches caused by the Arminianism.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ynod was primarily to refute the theological claim of the Remonstrants. However, the delegates of the synod did not limit the purpose of refusing these claims alone. Rather, they paid attention to pastoral purposes. Not to be buried in theological debate, they did their efforts to strengthen the reformed churches. First, the structure, content, and description of the Canons of Dordt show this. Although Canons contained refutations, it is preceded by positive descriptions following the structure of the Heidelberg Catechism. It was not a new confession of faith that contained the whole article of faith but took an identity that made clear the Belgic Confessions and Catechism that the church had previously confessed. Second, it did not put forward the tension and controversies of supra-infra lapsarianism. Its position was close to the infralapsarianism left out of the attack of the Remonstrants. However, it was not a method to abandon the supralapsarianism. Rather, it revealed the structure of the gospel teaching and highlighted Christ's Word centered on the preaching of the gospel. Finally, synod confirmed that the final destination was to build up the churches in taking not only Canons but also the church ordinance.

      • KCI등재

        16, 17세기 네덜란드 개혁교회 내의 표준문서 관련 논란과 한국의 개혁주의 목사직에 대한 함의

        홍주현 ( Joohyun Hong ) 한국복음주의역사신학회 2024 역사신학 논총 Vol.44 No.-

        16세기 말과 17세기 초 네덜란드에서는 두 표준문서, 즉 벨기에 신앙고백서와 하이델베르크 요리문답과 관련하여 적지 않은 논란이 있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당시 개혁주의 신학에 동의하지 않는 분파들로부터 신앙의 순수성을 지키기 위해 표준문서에 서명하는 자들만을 목사로 임직하도록 규정하였다. 이 규정은 1571년 엠덴 총회에서 처음 결의되었고, 표준문서의 구속력은 이어지는 지역 대회와 총회를 통해 더욱 강화되었다. 그러나 이에 불만을 품은 당시 인문주의자들과 개혁주의 내의 비정통파 목사들은 이 서명이 개혁주의의 근본원리인 양심의 자유에 어긋날 뿐만 아니라 개혁주의자들이 표준문서를 성경에 버금가는 제2의 표준으로 만든다고 비난하며 이 규정을 지키기를 거부하였고, 표준문서의 수정을 요구하였다. 아르미니우스도 그의 저서 『소감의 선언』에서 두 표준문서의 개정에 관한 심의를 요청하였고, 그의 사후 항론파 역시 항의서에서 두 표준문서의 개정을 요청하였다. 이 안건은 결국 도르트 총회의 안건으로 상정되었고, 총회는 주 안건인 아르미니우스주의 논쟁을 마무리하고 도르트 신경을 작성한 후, 항론파가 제출한 두 표준문서에 대한 개정안을 검토하였다. 그리고 총회는 만장일치로 두 표준문서는 하나님의 말씀에 부합하며, 수정할 필요가 없다고 결의하였다. 이후 도르트 신경이 표준문서에 포함되어 도르트 총회 이후로는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목사가 되고자 하는 이는 세 표준문서에 서명하여야 하였다. 이러한 표준문서 개정 논란은 오늘날 목사 수급에 어려움을 겪으며 개혁주의 목사의 정체성을 포기하면서까지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해야만 하는가의 기로에 서 있는 한국교회가 반드시 참고해야 할 귀중한 역사적 선례를 제공해 준다. (Assistant Professor of Church History, Calvin University) In Dutch reformed church of 16th and 17th centuries, two standard documents, Belgic Confession and Heidelberg Catechism caused a big controversy. To preserve the purity of their reformed faith, Dutch reformed church decided to require subscription to these documents to all Dutch ministers. Since Emden Synod(1571), the first national synod of the Dutch reformed church, officially decided it, this requirement had been re-confirmed repeatedly and reinforced in next consecutive synods. But there were such people who opposed this requirement as Dutch humanists and unorthodox pastors in Dutch reformed church. They argued that this requirement is against their conscience, and accused reformers of making these documents the second norm like the Scripture. In these reasons, they opposed to subscribe the documents and asked to revise them. J. Arminius also asked to revise two standard documents in his < The Declaration of Sentiments >, and after his death the Remonstrants also requested the same in their Remonstrance of 1610. This petition eventually became the agenda of the Synod of Dort, and the synod discussed whether the documents should be revised after they made the Canons of Dort. The synod resolved unanimously that two standard documents are in full accord with the Word of God, and do not have to be re- vised. After the synod, the Canons of Dort was added to the list of standard documents. It means that the Dutch pastors have to subscribe three documents. This is a good historical precedent for Korean church in a difficult situation of supplying pastors.

      • KCI등재후보

        도르트 총회가 제시하는 목회자 세움방안과 예배 회복

        홍주현 ( Joohyun Hong ) 개혁신학회 2022 개혁논총 Vol.60 No.-

        코로나 이전에도 그러하였지만, 코로나와 함께 한국 교회는 이전까지와는 다른 차원에서 예배의 위기를 경험하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시대가 변화하고 예배환경이 변한다고 하더라도 예배의 본질은 하나님 말씀의 선포에 있다. 그러므로 새로운 변화의 갈림길에 선 한국 교회는 목회자 역량의 강화라는 방법을 통해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고 예배를 회복해야 한다. 이를 위해 400년 전에 개최되었던 도르트 총회의 목회자 후보자 교육에 관한 논의와 결의는 우리에게 역사적 산 교훈이 된다. 도르트 총회 직전의 네덜란드 개혁교회는 목회자 수급 부족과 자질 부족이라는 이중고 가운데 있었다. 이를 위해 도르트 총회는 중심회기 이전회기에서 제일란트 대리인단의 견해서를 중심으로 목회자 후보자 교육에 관한 안건을 다루었고, 유의미한 몇 가지를 결정하였다. 그중 목회자 후보자의 선택과 관리, 균형 잡힌 교육, 그리고 강도권의 강화와 같은 내용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유의미한 함의를 지닌다. 예배의 본질이 말씀 선포라면, 말씀을 선포하는 목회자의 세움은 곧 예배의 세움과 회복으로 직결된다. 그러므로 도르트 총회가 우리에게 보여주는 목회자 세움방안을 교훈으로 삼아 우리의 목회자 세움방안을 재정비하고, 그것을 통해 다가올 시대에 적합한 목회자를 양성하게 된다면, 한국 교회는 오히려 더욱 견고해지고, 우리의 예배는 더욱 영과 진리로 드려지는 예배로 회복될 것이다. The worship of Korean Churches come to a new crisis with Covid 19. However times and the worship circumstances have changed, the essence of Christian worship is always in God’s Word and its preaching. Hence, the importance on preaching of God’s Word will be much more increased in the worship of Korean Churches at upcoming new normal time post corona. Therefore, the Korean churches which stand in a turning point have to restore the worship by reinforcing the pastor education. For this purpose, the decision of Synod of Dort on the agenda of educating pastoral candidates can be our living lesson. The Dutch Reformed Churches just before the Synod of Dort suffered both by insufficient number of pastors and by unqualified pastors. For this, the Synod of Dort discussed the agenda of educating pastoral candidates in the Pro-Acta sessions with the document of Zeeland delegation, and made some meaningful decisions. Among them, the choice and supervision of pastoral candidates, well-balanced education, and the matter of the license to preach are applicable to us. Given that the essence of worship is in the preaching of God’s Word, pastor educa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restoration of worship. Therefore, the worship of Korean churches will be restored, taking the decision of the Synod of Dordt on pastor education as a living lesson.

      • KCI등재

        개혁 교회법이 한국교회에 가지는 의의; 엠던총회(1571)에서 아브라함 카이퍼까지, 지역교회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김재윤 ( Jae Youn Kim )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칼빈은 교리와 권징을 하나로 보았고 그 연속선상에서 교회법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설교와 성례를 통해서 예배의 회복을, 요리문답서를 통해 교리의 일치를, 교회법을 통해 성경과 교리의 가르침이 교회적인 삶으로 구체화되는 것을 추구하였다. 복음 설교와 교회법의 통일성을 강조한 칼빈과 그의 영향력 아래 있는 개혁교회들은 신앙고백서와 함께 교회법을 작성하였다. 네덜란드 지역에서 진전된 개혁교회의 교회법은 초기에 제네바 교회법(1541)과 프랑스 파리 총회에서 채택된 교회규칙서(1559)를 모태로 삼는다. 가장 기초적인 네덜란드 개혁교회법은 베이절 회합(1568)의 문서에서 발견된다. 십자가 아래 있는(onder de kruis) 네덜란드 지역의 교회들 뿐 아니라 각국에 있던 피난민들의 교회들이 처음으로 모인 이 회합에서는 프랑스 교회 규칙서 제1항에서 천명되었던 ``어떤 교회도 다른 교회위에 독재권, 지배권을 행사해서는 안된다``는 정신을 좀 더 구체화하고 심화시켰다. 노회와 총회등의 회의는 그 회의 자체의 목적보다 한 지역교회나 말씀의 직분자들이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는 정신을 세부적인 항목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교회들 사이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직분자들 사이에서도 똑같은 정신이 강조되었는데 예를 들어 목사의 죄를 다루는 항목에서 교회와 동료 직분자들에 대한 독재권을 행사하려는 명백한 혹은 은밀한 추구에 대한 시벌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첫 총회로 모인 엠던 총회(1571)에서는 베이절 회합의 항목들이 가지는 반 위계질서적인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장로와 집사의 봉사기간을 2년으로 제한할 만큼 직분자들의 독단과 지배에 대한 경계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을 중심에 두고 최우선으로 삼고 있어서 지역교회들의 회합을 명명할 때 단수로 하지 않고 항상 ``교회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하였다. 베이절 회합과 엠던 총회의 교회법과 그 정신은 도르트 교회법(1619)으로 완성이 되었다. 그리고 도르트 교회법은 이후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어두워졌을 때 교회를 갱신하는 원천이 되었다. 이는 19세기에 이루어진 두 번의 교회개혁의 흐름이었던 ``분리``와 ``애통``을 통해서 구체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질서에 대한 생각은 베이절 회합이후에 이어져 온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가진 교회법의 절정이 이루었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철저하게 지역교회의 보편성과 독립성을 옹호한다. 모든 각각의 지역교회들은 그 자체로 교회전체이며 그 자체로 완전한 교회이다. 각각의 교회들만이 지상에서 교회이며 모든 권세와 권위를 소유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이 연결되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며 그것은 철저히 지역교회들의 자유로운 연합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카이퍼는 회중교회 입장과는 달리 노회와 총회의 필수성을 매우 강조한다. 그러나 이런 광의의 회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도 동시에 지켜져야 한다. 1)지역교회들의 독립성을 절대 훼손해서는 안된다. 2)교회연합은 지역교회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3)교회연합의 조건과 보증은 동등함이다. 종교개혁이후 오랜 기간을 통해서 형성된 이런 개혁교회법과 그 정신은 한편으로는 교권주의에 의해서 어려움을 겪고있는 한국교회에 각 지역교회들과 말씀의 봉사자들의 독립성과 보편성, 자유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생각하게 해 준다. 노회나 총회가 광의의 회의로서 지역교회를 세우고 돕기 위해 존재한다는 점이 좀 더 강조되어야 하겠다. 반면에 교권주의의 결과로 개교회주의의 위협 또한 심각한데 교회의 지역교회들의 연합적인 하나됨을 최소화하지 않고 최대화하는 개혁교회법은 교회법과 규례, 광의의 회의를 통한 연합적 결속을 무시하면서한 직분자의 지배와 더 큰 무질서 속에 빠져 들어가는 위험에 대해서도 도움이 줄 수 있다고 본다. Church order is essential in the reformed tradition. John Calvin, an influential reformer, stressed the unity of doctrina and disciplina. For that reason, he composed his Ecclesiastical Ordinances(1541) as soon as he came back to Geneva from Strasbourg. Under Calvin`s influence, many Reformed church in Europe followed his model in producing their confessions and the documents about the church order and government. Early Dutch Reformed churches which composed of dutch and french speaking congregations and refugee-congregations in England and Germany had its foundation of church order in Calvin`s Ecclesiastical Ordinances and the Church Order of French Reformed church accepted by the synod in Paris (1559). Especially the church government order of the French Reformed church - local church, presbytery and synod - was well settled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However, an anti-hierarchical character was intensified more than in the previous church orders. When examining the articles yielded by the Wezel convention(1568) which was the first official synodic meeting, one can discover evidences to confirm anti-hierarchical tendency. Leaders gathered in Wezel understood that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focus on safeguarding the privileges of the ministers and local churches. Articles on pastor`s sin clearly demonstrated how Wezel convention consistently disapproved of the dominance of one minister or presbytery over other church offices. The first official synod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Emden (1571) acknowledged this anti-hierarchical spirit of the Wezel convention. In the 19th century, dutch Reformed churches confronted secession twice, ``Afscheiding`` and ``Doleantie``. Local churches, pastors, and faithful believers desir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remain faithful to the reformed confessions. Regarding the church order, they reaffirmed the church order of Synod of Dordrecht (1619) which contained almost the same substances of Wezel`s articles and the church order of the first synod in Emden. Not only Abraham Kuyper who plays a key role in ``Doleantie,`` but Herman Bavinck, the successor of ``Afscheiding,`` also supports the independency and universality of local church. Eventually, they argued that Kerkverband and the broader assemblies - particular and general synod - do not have an authority over the local church. No form of hierarchy can be permitted between the church offices and between other local churches. Korean churches can benefit from the Reformed church order established through the history of struggle in two aspects. First, the presbytery or the synod often results in clericalism in Korean churches. In the reformed churches,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serve its purpose to protect the independency and privilege of the local churches and their ministers. These broader assemblies cannot operate their dominancy over the local churches. Second, in reaction to clericalism occurred in broader assemblies, an individualistic view which negate the kerkverband (association of the confessional churches) is also pervasive in Korean churches. They will benefit if they remember that the Reformed church order was designed not to minimize the unity of the local church but to maximize its communion.

      • KCI등재

        개혁 교회법이 한국교회에 가지는 의의 : 엠던총회(1571)에서 아브라함 카이퍼까지, 지역교회의 보편성을 중심으로

        김재윤 한국개혁신학회 2012 한국개혁신학 Vol.35 No.-

        칼빈은 교리와 권징을 하나로 보았고 그 연속선상에서 교회법에 많은 관심을 가졌다. 그는 설교와 성례를 통해서 예배의 회복을, 요리문답서를 통해 교리의 일치를, 교회법을 통해 성경과 교리의 가르침이 교회적인 삶으로 구체화되는 것을 추구하였다. 복음 설교와 교회법의 통일성을 강조한 칼빈과 그의 영향력 아래 있는 개혁교회들은 신앙고백서와 함께 교회법을 작성하였다. 네덜란드 지역에서 진전된 개혁교회의 교회법은 초기에 제네바 교회법(1541)과 프랑스 파리 총회에서 채택된 교회규칙서(1559)를 모태로 삼는다. 가장 기초적인 네덜란드 개혁교회법은 베이절 회합(1568)의 문서에서 발견된다. 십자가 아래 있는(onder de kruis) 네덜란드 지역의 교회들 뿐 아니라 각국에 있던 피난민들의 교회들이 처음으로 모인 이 회합에서는 프랑스 교회 규칙서 제1항에서 천명되었던 ‘어떤 교회도 다른 교회위에 독재권, 지배권을 행사해서는 안된다’는 정신을 좀 더 구체화하고 심화시켰다. 노회와 총회등의 회의는 그 회의 자체의 목적보다 한 지역교회나 말씀의 직분자들이의 자유와 권리가 침해받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는 정신을 세부적인 항목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지역교회들 사이의 관계에서뿐 아니라 직분자들 사이에서도 똑같은 정신이 강조되었는데 예를 들어 목사의 죄를 다루는 항목에서 교회와 동료 직분자들에 대한 독재권을 행사하려는 명백한 혹은 은밀한 추구에 대한 시벌을 명백히 밝히고 있다. 네덜란드 개혁교회의 첫 총회로 모인 엠던 총회(1571)에서는 베이절 회합의 항목들이 가지는 반 위계질서적인 정신을 그대로 계승하고 있다. 장로와 집사의 봉사기간을 2년으로 제한할 만큼 직분자들의 독단과 지배에 대한 경계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을 중심에 두고 최우선으로 삼고 있어서 지역교회들의 회합을 명명할 때 단수로 하지 않고 항상 ‘교회들’이라는 복수를 사용하였다. 베이절 회합과 엠던 총회의 교회법과 그 정신은 도르트 교회법(1619)으로 완성이 되었다. 그리고 도르트 교회법은 이후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어두워졌을 때 교회를 갱신하는 원천이 되었다. 이는 19세기에 이루어진 두 번의 교회개혁의 흐름이었던 ‘분리’와 ‘애통’을 통해서 구체화되었다. 무엇보다도 아브라함 카이퍼와 헤르만 바빙크의 교회질서에 대한 생각은 베이절 회합이후에 이어져 온 네덜란드 개혁교회가 가진 교회법의 절정이 이루었다. 아브라함 카이퍼는 철저하게 지역교회의 보편성과 독립성을 옹호한다. 모든 각각의 지역교회들은 그 자체로 교회전체이며 그 자체로 완전한 교회이다. 각각의 교회들만이 지상에서 교회이며 모든 권세와 권위를 소유하고 있다. 각각의 지역교회들이 연결되는 것은 부차적인 것이며 그것은 철저히 지역교회들의 자유로운 연합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카이퍼는 회중교회 입장과는 달리 노회와 총회의 필수성을 매우 강조한다. 그러나 이런 광의의 회의에 있어서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원칙도 동시에 지켜져야 한다. 1)지역교회들의 독립성을 절대 훼손해서는 안된다. 2)교회연합은 지역교회들의 유익을 위한 것이다. 3)교회연합의 조건과 보증은 동등함이다. 종교개혁이후 오랜 기간을 통해서 형성된 이런 개혁교회법과 그 정신은 한논문투고일:2012년7월1일. 수정투고일:2012년8월11일. 게재확정일:2012년8월15일. 편으로는 교권주의에 의해서 어려움을 겪고 ... Church order is essential in the reformed tradition. John Calvin, an influential reformer, stressed the unity of doctrina and disciplina. For that reason, he composed his Ecclesiastical Ordinances(1541) as soon as he came back to Geneva from Strasbourg. Under Calvin's influence, many Reformed church in Europe followed his model in producing their confessions and the documents about the church order and government. Early Dutch Reformed churches which composed of dutch and french speaking congregations and refugee-congregations in England and Germany had its foundation of church order in Calvin's Ecclesiastical Ordinances and the Church Order of French Reformed church accepted by the synod in Paris (1559). Especially the church government order of the French Reformed church - local church, presbytery and synod - was well settled in the Reformed churches in the Netherlands. However, an anti-hierarchical character was intensified more than in the previous church orders. When examining the articles yielded by the Wezel convention(1568) which was the first official synodic meeting, one can discover evidences to confirm anti-hierarchical tendency. Leaders gathered in Wezel understood that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focus on safeguarding the privileges of the ministers and local churches. Articles on pastor's sin clearly demonstrated how Wezel convention consistently disapproved of the dominance of one minister or presbytery over other church offices. The first official synod of Dutch Reformed churches in Emden (1571) acknowledged this anti-hierarchical spirit of the Wezel convention. In the 19th century, dutch Reformed churches confronted secession twice, 'Afscheiding' and 'Doleantie'. Local churches, pastors, and faithful believers desired to restore the identity of the Reformed church and remain faithful to the reformed confessions. Regarding the church order, they reaffirmed the church order of Synod of Dordrecht (1619) which contained almost the same substances of Wezel's articles and the church order of the first synod in Emden. Not only Abraham Kuyper who plays a key role in 'Doleantie,' but Herman Bavinck, the successor of 'Afscheiding,' also supports the independency and universality of local church. Eventually, they argued that Kerkverband and the broader assemblies - particular and general synod - do not have an authority over the local church. No form of hierarchy can be permitted between the church offices and between other local churches. Korean churches can benefit from the Reformed church order established through the history of struggle in two aspects. First, the presbytery or the synod often results in clericalism in Korean churches. In the reformed churches, the presbytery and the synod must serve its purpose to protect the independency and privilege of the local churches and their ministers. These broader assemblies cannot operate their dominancy over the local churches. Second, in reaction to clericalism occurred in broader assemblies, an individualistic view which negate the kerkverband (association of the confessional churches) is also pervasive in Korean churches. They will benefit if they remember that the Reformed church order was designed not to minimize the unity of the local church but to maximize its commun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