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스피노자와 니체 비교 : 니체의 선구자로서의 스피노자

        박삼열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6 철학탐구 Vol.20 No.-

        니체는 1881년 친구 오버베크에게 보내는 엽서에서 스피노자를 자신의 선구자로 삼기에 주저하지 않는다. 도대체 스피노자의 어떤 철학적 사유들이 니체가 동지애를 가질 만큼 선구적인 내용들을 담고 있을까? 본 논문은 스피노자의 철학적 사유들을 니체 사상과 비교해봄으로써 스피노자가 어떤 관점에서 니체의 선구자가 될 수 있는지를 밝혀 보는 하나의 시론(試論)이다. 스피노자와 니체 모두 목적론적 세계관과 이원론적 세계관을 폐기하고, 일원론적 세계관을 정립하였다. 이처럼 스피노자의 자연이나 니체의 대지 모두 (1)지향하는 목적이나 의도 없이 무한히 생성, 변화하고 (2)현실 세계이외의 다른 초월적 세계를 인정하지 않으며 (3) 기계적 자연이 아닌 생물학적 현상이 있는 자연이다. 그렇다면 비록 인과 법칙의 문제가 스피노자와 니체 사이의 괴리감으로 존재하지만, 스피노자의 세계관은 니체 세계관의 선구적 역할을 담당한다고 해도 무리가 없어 보인다. 또한 스피노자의 자유인과 니체의 초인은 모두 용기, 관대함, 우정, 고결한 정신 등의 공통된 덕 목을 가지고 있다. 무엇보다도 스피노자를 니체의 선구자로 생각하게끔 하는 것은 니체처럼 스피노자도 운명에 대한 사랑을 강조했다는 점이다. 자유인과 초인이 가지는 덕목이 거의 동일하다는 점, 또한 그들 모두 자연의 끊임없이 반복되는 생성과 변화의 방식을 자신의 운명으로 받아들여 사랑한다는 점은 자유인이 초인의 선구자가 될 수 있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이처럼 본 논문에서는 두 철학자를 비교해 봄으로써 스피노자가 니체의 선구자가 될 수 있는지를 탐험해 보았다. 두 철학자의 차이점은 니체 자신이 말한 것처럼 시대, 문화, 학문적 조건의 차이에 기인한 것일 뿐, 많은 부분에서 거의 동일한 사유의 틀을 유지하고 있다. 그렇다면 스피노자와 니체 모두 우리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궁극적인 메시지는 같다고 할 수 있다. 아직 국내에서는 스피노자와 니체를 비교하는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본 논문을 계기로 국내에서의 스피노자와 니체 비교에 대한 활발한 연구와 담론의 장이 마련되기를 기대한다. In this essay, I investigated in what sense we can take Spinoza as precursor of Nietzsche by comparing Spinoza's philosophy to Nietzsche's thought. Both Spinoza and Nietzsche maintain monism on the condition of denying teleology and even mechanism. Furthermore, Nietzsche's 'over man' has, like Spinoza's 'free man', the virtues such as highmindness, courage, tolerance, and friendship. Besides, they both deny freedom of will, the moral world-order, the unegoistic, and evil. In this way, both of them have the same framework, and they ultimately give us the same massage; their divergences are, as Nietzsche said, due to differences in time, culture, and science. Yet, in Korea, the research on Nietzsche's relation with Spinoza has not been attempted. Regarding this situation, I hope my essay would, within the country, motivate people doing more fruitful research and discussion on the subject

      • KCI등재

        ‘니체 대 바그너’에서 콘트라(contra)의 의미 연구 - 자유와 사랑 개념을 중심으로

        김동규(Kim, Dong Gyu)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22 철학탐구 Vol.66 No.-

        바그너를 만난 순간부터 니체의 철학에는 바그너의 그림자가 짙게 드리웠다. 무던히도 바그너로부터 독립하려 했건만, 니체는 죽기 전까지 바그너에게서 벗어나지 못했다. 그것은 니체 말년의 저서『니체 대(contra) 바그너』와 그 책의 마지막에 남긴 ‘나는 너의 진리다’라는 말을 통해 확인된다. 이것은 ‘너(바그너)’의 감추어진 모습이 ‘나(니체)’를 통해 온전히 드러난다는 정도의 의미를 가진 말이다. 이것은 니체와 바그너 관계에 대한 절반의 이해만을 보여준다. 나를 통해 너의 진실이 드러나기도 하지만, 역으로 너를 통해서 나의 진실 역시 드러나기 때문이다. 콘트라는 일방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 관계를 뜻한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바그너 음악과 니체 철학의 관계를 재조명하고자 한다. 내가 너의 진리인 것만큼 너는 나의 진리라는 가정 위에서, 니체의 바그너 비판을 요약하면서도, 동시에 바그너 음악이 니체 철학을 얼마나 속속들이 조율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런 연구의 방법론은 당연히 저자의 의도를 찾는 해석학이 아니라, 그것을 해체적으로 재구성하는 해석학이 될 것이다. 다시 말해 니체의 바그너 비판을 축자적으로 해석하는 대신에, 바그너 음악의 반향에 의해 비판의 과녁이 니체 자신에게로 향해지는 과정을 보일 것이다. 그럼으로써 바그너를 통해 니체 철학의 새로운 면모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니체 철학을 바그너 음악에 환원시키지 않을 것이다. 콘트라의 참된 의미는 공속성이기 때문이다. 공속성이란 차이와 대립을 통해서 단단히 결속하는 관계를 뜻한다. 니체와 바그너의 공속성은 차이 산출을 통해서 더욱 깊어진다. 둘 사이의 핵심적인 차이가 둘을 결속시키는 힘의 원천이라는 것은 그 차이가 서로의 결핍을 가리킨다는 뜻이기도 하다. 본 논문은 그 차이로서 니체의 자유와 바그너의 사랑을 제시하고자 한다. 니체는 바그너의 사랑을 자유로, 바그너는 니체의 자유를 사랑으로 극복하고자 했다. 그러나 그들의 자유와 사랑 개념은 모두 멜랑콜리라는 서양문화의 틀 내부에서 작동한다. 둘이 함께 속한 것은 바로 멜랑콜리다. From the moment Nietzsche met Wagner, Nietzsche’s philosophy was heavily shadowed by Wagner. Although he tried to become independent from Wagner, Nietzsche did not break free from the intellectual constraints of Wagner. This is confirmed through Nietzsche’s last book “Nietzsche contra Wagner”, and the sentence ‘I am your truth’ which was left at the end of the book. This has a meaning to the extent that the hidden aspects of ‘you (Wagner)’ is fully revealed through ‘I (Nietzsche)’. It is an excessive and one-sided argument. This expression shows only half the understanding of the Nietzsche-Wagner relationship. Because your truth is revealed through me, but conversely, my truth is also revealed through you. In essence, ‘contra’ refers to a mutual relationship, not a one-sided. In this paper, we try to re-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agner’s music and Nietzsche’s philosophy. On the assumption that you are my truth as much as I am your truth, I want to summarize Nietzsche’s criticism of Wagner, while at the same time clarify how deeply Wagner’s music is tuning Nietzsche’s philosophy. Of course,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ill not be a hermeneutics that seeks the author’s intentions, but a hermeneutics that reconstructs it deconstructively. In other words, instead of interpreting Nietzsche’s criticism of Wagner literally, it will show a process in which the target of criticism is directed toward Nietzsche himself by the echo of Wagner’s music. In this way, we will discover a new aspect of Nietzsche’s philosophy through Wagner’s music. But we will not reduce Nietzsche’s philosophy to Wagner’s, because the true meaning of contra is belonging-together(Zusammengehörigkeit). Belonging-together refers to a relationship that is firmly bound through difference and confrontation. Nietzsche and Wagner, and their belonging-together deepen through the making differences. The fact that the 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is the source of the power that binds them also means that the difference points to the lack of each other.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Nietzsche’s freedom and Wagner’s love as differences. Nietzsche wanted to overcome Wagner’s love with his freedom concept, and Wagner wanted to overcome Nietzsche’s freedom with his love concept. However, both their freedom and love are within the basic framework of Western culture called melancholy. The melancholic difference is the veiled essence of this contra.

      • KCI등재

        19세기 말 러시아 사상지형과 니콜라이 그롯의 니체와 톨스토이 해석

        문준일 한국니체학회 2022 니체연구 Vol.41 No.-

        The intensity and breadth of the influence of Nietzsche’s ideas on Europe was very deep in the late 19th and early 20th centuries. However, it was Russia where Nietzsche’s ideas had the greatest repercussion. It is a well-known fact that Nietzsche had a tremendous influence on Russian culture, literature and thought at the Silver Age. Nietzsche’s ideas were introduced into Russia in the early 1890s. Nietzsche’s influence on Russian thought that started from this time gradually increased and reached its peak in 1914 when World War I broke out. This thesis examines the acceptance of Nietzsche in Russia, especially Nikolai Grot’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published in 1893, which is the initial stage of acceptance of Nietzsche. To this end, it was first examined how the ideological topography at the time Russia accepted Nietzsche had an effect on acceptance and interpretation of Nietzsche in Russia, and in this context, the cause and result of Nikolai Grot'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were to be derived. Although there are many studies of Nietzsche by Russian philosophers and writers, the reason for paying attention to Grot’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is as follows. The first is that it is the first study in Russia to compare Nietzsche with other Russian thinkers. Grot contrasts Tolstoy’s Christian altruism with Nietzsche’s anti-Christian individualism in his thesis. The second is that Grot’s interpretation of Nietzsche through comparison with Tolstoy became a model for later acceptance of Nietzsche’s ideas in Northeast Asia. The unique spiritu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Russia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became the basis for creating discourse of Nietzscheanism and Tolstoyanism, and this discourse structure, which was later transmitted to Northeast Asia via Japan, is transformed and accepted in each country’s situation. In this way, a huge map of Nietzsche acceptance in Northeast Asia was formed.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니체의 사상이 유럽에 미친 영향의 강도와 폭은 매우 깊었다. 하지만 니체의 사상이 가장 큰 반향을 얻은 곳은 러시아였다. 니체가 세기 전환기의 러시아 문화와 문학 그리고 사상에 엄청난 영향을 미쳤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러시아에서 니체 사상이 유입된 시기는 1890년대 초반이었다. 이때부터 시작 된 러시아 사상에 대한 니체의 영향력은 점차 증대되어 1차 대전이 발발한 1914 년까지 절정을 이루게 된다. 이 논문은 러시아에서의 니체 수용, 그중에서도 초 기 수용단계인 1893년에 발표된 러시아 철학자 니콜라이 그롯(Nikolai Grot)의 니체 해석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먼저 러시아가 니체를 수용할 당시의 사상 지형이 니체의 수용과 해석에 어떠한 작용을 하였는지 고찰하였고, 이 맥락 속 에서 니콜라이 그롯의 니체 해석의 원인과 결과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많은 러시아 철학자와 문학가들의 니체 연구가 있지만, 그롯의 니체 해석에 주목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러시아에서 니체와 다른 러시아 사상 가와의 비교를 진행한 첫 번째 연구라는 것이다. 그롯은 그의 논문에서 톨스토 이의 기독교적 이타주의를 니체의 반기독교적 개인주의와 대비시켰다. 두 번째는 그롯의 이러한 톨스토이와의 비교를 통한 니체 해석이 이후 동북아에 니체의 사상 수용에서 전형이 되었다는 것이다. 19세기 말의 러시아라는 독특한 정신사적, 시공간적 특성이 니체주의와 톨스 토이주의 담론을 만들어내는 토양이 되었고, 이후 일본을 거쳐 동북아로 전해진 이 담론 구조는 각 나라의 상황에 변형되어 수용되어 동북아 니체 수용이라는 하나의 거대한 지도를 형성하게 되었다.

      • KCI등재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예술론에 대한 비교고찰 - 고통과 몸에 대한 해석을 중심으로

        남재민 한국니체학회 2021 니체연구 Vol.39 No.-

        니체는 그의 대표작 중 하나로 평가되는 선악의 저편 을 통해 철학적 사유 의 동근원성을 제시한다. 이것은 서로 독립적으로 보이는 사유들도 결국 철학함 의 가능성이라는 측면에서는 보이지 않는 힘에 사로잡혀 유사한 궤도로 달리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리는 이와 같은 사유의 가족 유사성을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사유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사유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것은 흔히 니체가 쇼펜하우어의 개념과 용어 를 차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쉽게 유추할 수 있는 사실이다. 그러나 니체의 사유 속 쇼펜하우어의 흔적은 때로는 온전한 형태로 우리에게 모습을 드러내기도 하 지만 때로는 은폐되고 변형된 모습으로 은닉되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 는 니체를 단순한 쇼펜하우어의 계승자로 정의하지 않는다. 이것은 니체가 핵심 적인 사유에서 쇼펜하우어의 사유와 일정한 거리감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즉, 니체는 자신의 저서 곳곳에서 자신만의 독창적인 사유의 지평을 제공하고자 한다. 특히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이런 이중적인 관계는 예술론의 영역에서 두드 러진다. 쇼펜하우어와 니체에게 예술은 각자가 지향하는 삶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는 일종의 이정표이다. 물론 쇼펜하우어와 니체는 모두 예술을 고통과 밀접한 관련성 속에서 해석한다. 이것은 쇼펜하우어와 니체에게 삶이 언제나 고통의 노정이기 때문이다.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관점에서 만약 인간의 삶이 그 자체로 고통 없이 아름답다고 한다면 예술의 존재목적은 사라질 것이다. 그러나 고통을 대하는 쇼펜하우어와 니체의 문제의식은 서로 다르다. 쇼펜하우어에게 고통은 대부분의 인식주체에게 무의미하게 존재하는 것이며, 극복의 대상으로 규정되 는 것이다. 이와 달리 니체에게 고통은 오히려 삶을 위한 필수요소이자, 오직 인 간의 삶에서 존재의미를 가질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고통에 대한 이러한 시선 의 차이는 양자의 몸 개념에 대한 정의를 통해 더욱 두드러진다. 쇼펜하우어에 게 몸은 더 이상 전통형이상학과 같이 인간의 이성적 능력으로부터 규제되거나, 이성적 능력 보다 열등한 것으로 규정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쇼펜하우 어는 몸을 예술에 대한 방해물로 정의한다. 하지만 니체에게 몸은 오히려 전통 적인 이성적 능력을 포괄하는 개념일 뿐만 아니라, 예술충동의 근원이다. Schopenhauer and Nietzsche's reasons are closely linked to family similarities. Of course, this relationship between Schopenhauer and Nietzsche is hard to define as a simple successor. This is because Nietzsche maintains a constant distance from Schopenhauer in its interpretation of key concepts. In other words, Nietzsche uses Schopenhauer's original art philosophy as the foundation. Therefore, for Nietzsche, traces of Schopenhauer sometimes appear to us in intact form, but sometimes in hidden and modified form. This relationship between Schopenhauer and Nietzsche is particularly prominent in the realm of art theory. This stems from the fact that Schopenhauer and Nietzsche not only use similar concepts and terms, but also define art as a milestone for the existential life that each defines. Life is always a pain point for Schopenhauer and Nietzsche. From the point of view of Schopenhauer and Nietzsche, if life is beautiful in itself to humans, the meaning of art's existence will probably disappear. Therefore, both Schopenhauer and Nietzsche interpret art in a close connection to pain. Of course, the two thinkers' responses to pain are completely contradictory. For Schopenhauer, pain is something to escape and overcome. For Nietzsche, on the other hand, pain is rather an essential part of life. And these conflicting views of pain lead to the existence of different art objects. In other words, for two thinkers, art is a milestone that def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 and life. In addition, for the two thinkers, the body is discussed in a close connection with art. For Schopenhauer, the body is no longer regulated or defined as inferior to human rational ability, such as traditional metaphysics. Nevertheless, in Schopenhauer's art theory, the body is defined as an obstacle for art. However, Nietzsche argues that active positivity to the body is art.

      • KCI등재

        니체 죽음론의 현대적 전유를 위한 예비연구 : 하이데거의 니체 이해에 대한 비판적 고찰을 통하여

        오윤정 ( Oh Yoonjung ) 한국미학회 2021 美學 Vol.87 No.2

        본 글은 니체의 죽음론을 현대적 지평에서 재전유하려는 기획하에 개진될 연구를 위한 예비적 고찰에 해당한다. 니체 사유에서 자기 의식의 확실성을 전제로 하는 근대적 주체를 넘어서는 ‘창조적 주체-되기’가 제시되고 있으며, 니체에게서 읽어낼 수 있는 독특한 죽음 사유는 저 ‘창조적 주체-되기’의 면면을 드러내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그래서 니체의 죽음론이 그 이후의 현대 사상가들에 의해 비판적으로 혹은 창조적으로 전유되는 과정을 추적하고 그러한 가운데 니체의 ‘창조적 주체-되기’를 보다 현실적이고 구체적인 실천으로 읽어내 보려는 것이 이 기획의 최종 목표점이다. 이를 위해 하이데거의 죽음론 및 니체 이해를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작업을 통해 니체의 죽음론을 규명하는 것이 본 글의 내용이다. 우선은 니체 죽음론의 대강을 소개하고 이것이 어떻게 죽음에 대한 초기 하이데거의 사유에서 전유되고 있는지 짚어본다. 여기에서 간취되는 양자 사이의 차이, 달리 말하면 초기 하이데거의 니체적 죽음에 대한 오해가 후기 하이데거를 형이상학의 완성자라는 니체에 대한 오해로 이끌었다는 것이 필자의 생각이다. 그래서 이어지는 절에서는 근대적 주체성의 완성된 형태로 제시되는 니체의 ‘힘에의 의지’에 대한 후기 하이데거의 독해를 소개하고 이를 니체의 죽음론을 중심으로 반박해 보인다. 이러한 고찰들을 토대로 마지막 절에서는 니체와 하이데거가 죽음 사유에 있어서 어떤 차이를 가지고 있는지를 구체화하는 작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니체 사상에서 죽음이 의미하는 바를 분명히 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니체적 죽음은 자기의식적 주체의 해체와 구축을 거듭하는 힘에의 의지를 위한 실천임이 드러나게 된다. This paper is a preliminary study for a project that interprets Nietzsche’s thought of death from the contemporary perspective. Nietzsche suggests the ‘creative subject-becoming’ which is beyond the modern subject of self-consciousness; his thought of death plays a crucial role in becoming the creative subject. Thus,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project is to analyze his ‘creative subject-becoming’ in more detail and practical manner, by considering how contemporary scholars after Nietzsche appropriate his thought of death in critical or creative way.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investigates Nietzsche’s thought of death through a critical analysis of Heidegger’s understandings of death and Nietzsche. First of all, I briefly introduce Nietzschean concept of death and then, consider how early Heidegger appropriates it. From this, I addresses an early Heidegger’s misunderstanding of Nietzschean death, which drives later Heidegger to misunderstand Nietzsche as a philosopher who completes nihilistic metaphysics. For this reason, secondly, I refute the Heidegger’s later assertion that the concept of ‘will to power’ in Nietzsche is a complete form of modern subjectivity with an emphasis on Nietzsche’s thought of death. Last, on the basis of these considerations, I clarify what death means in Nietzsche’s thought by discovering what the early Heidegger overlooks in his appropriation of Nietzschean concept of death. In conclusion, this paper shows that death in Nietzsche’s thought is a practice for ‘will to power’ which recurs to destroy and construct the self-conscious subject.

      • KCI등재

        비도덕주의적 니체 해석 비판

        전경진 대동철학회 2016 大同哲學 Vol.77 No.-

        이 글의 목적은 니체의 도덕철학에 대한 비도덕주의적 해석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데 있다. 비도덕주의는 기본적으로 도덕에 반대하는 니체의 입장을 이해하려는 시도라고 볼 수 있다. 비도덕주의는 도덕을 부정적 가치나 극복해야만 하는 어떤 것이라고 주장한다. 하지만 비도덕주의는 니체가 도덕적 가치와는 다른 미적 가치, 또는 도덕과는 다른 윤리적 삶의 형식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는 점에서 무도덕주의와 다르다. 한마디로 비도덕주의적 입장은 니체가 도덕은 거부하면서도 도덕과는 다른 대안적 시각을 지지한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이러한 가치 평가적 기획에는 메타윤리적 질문이 동반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비도덕주의가 지지하는 니체의 대안적 가치가 그가 거부하는 도덕적 가치에 비해 어떤 특권을 가질 수 있느냐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이 글에서 필자는 비도덕주의가 니체의 대안적 시각의 규범적 정당화 문제를 해결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이러한 주장을 위해 필자는 먼저 그것이 제안하는 대안적 시각의 성격에 따라 비도덕주의를 ‘미학적’ 입장과 ‘윤리적’ 입장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각 입장의 의의와 한계를 검토한다. 그 결과 니체에 대한 비도덕주의적 해석이 다원화된 새로운 문화에 살고 있는 우리에게 미적이고 윤리적인 대안적 실존의 가능성을 위한 토대를 마련해 주었음에도 불구하고, 니체의 도덕철학에 담긴 대안적 시각을 규범적으로 정당화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필자는 그 한계가 비도덕주의적 입장이 여전히 ‘좋은 것의 정초’라는 전통 윤리학의 기본가정에 매여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필자는 비도덕주의가 도덕적 가치 대신 니체의 대안적 가치를 정초하려고 한다는 점에서 기본적인 한계를 갖는다고 주장한다. 결론적으로 필자는 그 한계가 니체의 도덕철학을 비도덕주의가 아닌 도덕적 자연주의로 이해함으로써 보완될 수 있고, 그 전환의 의미는 니체의 도덕적 자연주의를 ‘정초의 윤리학’이 아닌 ‘금지의 윤리학’으로 파악함으로써 더 잘 해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ritically examine immoralistic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philosophy. Immoralism can be considered an attempt to understand Nietzsche's position as denying morality itself. Immoralism claims that morality is a negative value, which should be overcome and thrown away. But immoralism claims that Nietzsche advocates aesthetic values or ways of ethical life that are different from moral ones. In this sense, it is not the same as amoralism. In other words, immoralism claims that Nietzsche advocates other alternative values. However, the enterprise of evaluating the value of values necessarily leads to the following meta-ethical question in immoralism.: Is there some privilege in Nietzsche’s alternative values as compared with moral values that he rejects? In this paper I criticize the immoralistic interpretation, because it cannot solve the problem of normative justification of Nietzsche’s positive value. First, I distinguish immoralism into ‘the aesthetic’ and ‘the ethical’ according to the mode of the alternative values within it; then I explore these types to find immoralism’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As a result, I argue that immoralism cannot be normatively justified 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in Nietzsche’s moral philosophy, although immoralism may provide some new grounds for the possibility of an alternative, for instance, as a way to ground aesthetic and ethical existence in a pluralistic world. I argue that the immoralistic position is limited in that it maintains the basic assumption of the traditional ethics which is called “foundation of the good.” That is to say, immoralism is limited in that it only repeats the attempt to pursue a foundation, based on Nietzsche’s positive value in the place of moral value. In conclusion, I argue that such a limit can be compensated for by reading Nietzsche’s moral philosophy not as immoralism but as moral naturalism, and that the significance of this turn can be better clarified by understanding his moral naturalism not as an “ethics of foundation,” but as an “ethics of prohibition.”

      • KCI등재

        니체의 예술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 - 『니체』를 중심으로

        남재민 한국니체학회 2021 니체연구 Vol.40 No.-

        예술은 근대 이후 많은 사상가에게 서양형이상학을 비판하기 위한 도구로 활 용된다. 특히 이것은 예술이 이성중심적으로 전개된 서양형이상학의 한계를 드 러낼 수 있는 좋은 방법이기 때문이다. 우리는 이와 같은 유형의 사상가들의 예 로 니체와 하이데거를 제시할 수 있다. 니체와 하이데거는 모두 서양형이상학의 한계를 지적할 뿐만 아니라, 예술을 토대로 새로운 사유의 가능성을 정초한다. 즉 니체와 하이데거는 전승된 서양형이상학을 이성중심적인 사고의 결과물로 파악하며, 이를 극복의 대상으로 규정한다는 점에서 공통된 사상적 토대를 공유 한다. 니체는 자신의 철학을 전도된 플라톤주의라고 일컫는다. 니체에 따르면 인간 은 플라톤주의의 영향으로 자신의 이성적 능력을 초감각적인 세계이자, 불변하 는 세계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믿음은 서양형이상학 의 역사에서 초월적 진리에 대한 탐구와 정립이라는 형태로 변형된다. 그러나 니체는 이러한 플라톤주의가 전제하고 있는 초월적인 세계에 대한 갈망이 실존 적 삶의 토대, 다시 말해 지금 여기의 의미와 몸과 대지의 의미를 훼손시켰다고 강조한다. 하이데거 역시 니체와 마찬가지로 전승된 서양형이상학에 대한 비판 적 입장을 드러낸다. 하이데거는 전승된 서양형이상학을 존재에 대한 오해와 몰 이해로 점철된 존재신학이라고 규정한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하이데거에게 전 승된 서양형이상학의 역사는 곧 존재망각의 역사이다. 하지만 니체와 하이데거의 사유는 이와 같은 유사한 목적성에서도 불구하고 마치 서로 양립될 수 없는 사유의 간극이 존재하는 것처럼 해석된다. 특히 이것 은 하이데거가 니체의 사유를 니체 자신의 의도와는 달리 전승된 서양형이상학 의 궤도에서 파악하고, 극복의 대상으로 규정할 뿐만 아니라, 니체의 사유와 대 결을 통해 자신의 존재사유를 정립하고자 하는 시도에서부터 기인하는 특징이 다. 그러나 과연 니체와 하이데거의 사유는 영원히 화해할 수 없는 대립적인 평 행선위에놓여있는것일까? 본 논문은 니체의 예술론에 대한 하이데거의 해석과 이와 같은 해석의 과정을 통해 드러나는 하이데거의 사유의 특징을 통해 두 사상가의 화해의 가능성을 모 색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중심적으로 논의되는 것은 더 이상 니체의 사유에 대한 하이데거의 비판적 해석이 정당성과 타당성을 획득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문제로 국한되지 않는다. 즉 여기에서 논의는 니체나 하이데거의 사유를 일방적으로 옹호하거나, 비판하기 위한 것이 아니며, 두 사상가의 사유의 접점과 이를 기반으로 니체의 사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단초와 또 다른 의미지평에 대한 확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Nietzsche and Heidegger not only point to the limitations of Western metaphysics, but also establish the possibility of new reasons based on art. In other words, Nietzsche and Heidegger share a common foundation for ideology in that they grasp the transmitted Western metaphysics as the result of rational thinking and define it as an object of overcoming. However, Nietzsche and Heidegger’s thoughts are interpreted as if there is a gap between incompatible reasons despite these similar purposes. In particular, this is because Heidegger identifies Nietzsche’s thoughts in the trajectory of Western metaphysics. Therefore, Heidegger defines this as the object of overcoming and tries to establish his reason for existence through confrontation with Nietzsche’s reason. But is Nietzsche and Heidegger’s thinking on a confrontational parallel that cannot be reconciled foreve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eek the possibility of reconciliation between the two thinkers through Heidegger’s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art theory and the characteristics of Heidegger’s thoughts revealed through this interpretation process. Therefore, the central discussion in this paper is no longer limited to the question of whether Heidegger’s critical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thoughts can obtain legitimacy and validity. In other words, this researcher’s discussion is intended not to unilaterally defend or criticize Nietzsche or Heidegger’s thoughts, but to present a new interpretation of Nietzsche’s thoughts based on the contact point between the two thinkers.

      • KCI우수등재

        니체와 고대 피론주의 ‒니체의 관점주의와 아이네시데모스의 트로펜을 중심으로‒

        황설중(Sul Joong Hwang) 한국철학회 2019 철학 Vol.- No.139

        이 글의 목표는 니체와 고대 피론주의와의 불가분의 관계를 구명하려는 것이다. 나는 단순히 양자의 유사성에 대한 확인을 넘어서, 고대 피론주의자들의 논변 이론이 어떤 점에서 니체의 인식론이라고 할 수 있는 ‘관점주의(perspectivism)’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는가를 구체적으로 추적하고자 한다. 니체는 서양 철학을 지배해 온 독단주의자들을 공격하고자 하였다. 그들이 얼마나 독단적인 병적 확신에 빠져 있는가를 폭로함으로써 니체는 영혼의 건강을 회복하고자 하였다. 그렇게 하기 위해 그는 고대 피론주의를 전면적으로 수용하였다. 니체의 관점주의는 고대 피론주의자들의 ‘논변형식들(tropen)’을 차용한 것이다. 초월적이며 영구불변하는 진리 발견을 공언해 왔던 온갖 종류의 독단주의자들을 내리치기 위해 그가 들었던 해머의 정체는 아이네시데모스의 트로펜이었다. 내가 볼 때, 고대 피론주의를 수용함으로써 니체는 자신에게 가해진 비판, 즉 그가 ‘자기 지시적 모순(self-referential inconsistency)’의 오류를 범했다는 혐의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가능성을 얻는다. 이런 해명의 가능성은 좀처럼 다른 지적 경로를 통해서는 확보될 수 없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니체가 수미일관하게 피론주의자로서 머물러 있었던 것은 아니다. 양자의 결별은 니체가 피론주의자의 공격에 노출된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니체가 열어젖힌 철학의 새로우면서도 도발적인 지평을 드러내는 계기가 될 것이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inseparable relationship between Nietzsche’s philosophy and ancient scepticism, especially pyrrhonism. I try to not only confirm the similarity of the two but investigate specifically how the forms of argument of pyrrhonists, that is tropen, had a decisive influence on Nietzsche’s perspectivism. Nietzsche attempted to attack the dogmatists who had dominated Western philosophy. He wanted to restore the health of their soul by revealing their illness caused by dogmatic convictions. To do so, he accepted fully the arguments which pyrrhonists designed and employed. Nietzsche’s epistemology, namely perspectiveism, consists of the arguments of ancient pyrrhonsm. The hammer he chose to beat down all kinds of dogmatists professing to discover transcendent and permanent truth was the tropen of Aenesidemus. In my view, Nietzsche gains the possibility of solving the problem of self-referential inconsistency by accepting the rhetoric strategy pyrrhonists adopted to escape from the same contradiction. The way of such disentanglement could hardly be obtained through other intellectual channels. Nietzsche did not, however, consistently remain as a pyrrhonian sceptic. The separation of the two means that Nietzsche is exposed to attacks from the pyrrhonists, but on the other hand that he opens up a new but provocative horizon of the philosophy.

      • KCI등재

        니체 중국 수용의 이중성 - 현대 중국 사상의 표상을 중심으로

        이상옥 한국니체학회 2010 니체연구 Vol.18 No.-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illuminate the influence of Nietzsche philosophical thought(NPT, hereafter) o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China. I suggest the NPT must be comprehended by China`s historical context, through which I hypothesized the representation of NPT were ideology, historicity and art. In 1900`s, Nietzsche philosophical thought(NPT) is the all-not of the Western civilization. And in 1910`s, NPT has expressed the transformation of the ideology as the instrument of the real nation. In 1920’s and 1930`s NPT gradually has been acknowledged by the intellectuals of China as the radical thought, philosophy and art. In conclusion, I would suggest the three points: first, NPT had strong meanings of historicity of China. Second, NPT has represented the politics, enlightenment or reform of realistic world. Third, through the reformation of NPT, we would get to have true and valuable concepts and thought of NPT. 니체의 중국화 과정을 근대와 현대의 공산화 이전 시기에 이루어진 함의와의미, 역사적 맥락을 분석한다. 이 논의는 두 가지 물음에서 시작한다. 왜니체인가와 니체 중국화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니체 이해하기의 전제조건을 중국 사상과 영향도에 있어서 이중적 의미를지닌 것으로 파악했다. 니체의 원래 사상과 중국이 당시 필요한 사상은 그 본질과 형식, 내용이 모두 판이한 차별적인 것이었기 때문이었다. 니체의 중국화의 상징 표상을 이데올로기와 역사, 그리고 문학으로 규정한다. 이데올로기에서 니체의 자유의 의지가 강자의 의지로 오해되었으며 역사는과거의 산물이 아닌 미래의 길잡이로 진화, 발전하는 유기체와 같은 것이었다. 또한 문학에서 예술에 대한 니체의 본질적 함의는 비극 자체에 있는 것만이아니라 비극을 통한 인간 존재의 고통에 대한 극복을 제시해주는 것이 진리이고이것이 예술의 참 모습이라고 하였다. 현대 중국 사상에서의 니체의 존재 의미는 중국 근대사 이후의 역사의 맥락에따른 니체의 변모를 중국적 이해와 해석의 의미에서 분석한다. 니체 중국화의기원은 니체 사후 직후인 1900년대부터 시작되는데 서양사상의 2대 근간인기독교와 평민 정치제도를 부정하는 호소력은 서양사상에 대한 본질의 이해에대한 요구와 아울러 동시에 서양사상의 본질을 부정하는 것을 해석하고 이를재생산해야 하는 이중의 사명을 띠게 된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 1910년대에는이데올로기의 변용의 가능성을 니체를 통해 해독했던 시기로 기록되었다. 1930년대에 들어서서 니체 사상은 그 본질이 서서히 중국 지식인에게 이해되어 가고 있었다. 문학과 사상의 본체가 가장 각광받은 니체 사상의 면모가 되었다. 니체의 고통과 비극의 인생관과 문학론은 중국인들에게 무한한 곤란 극복의의지를 더해 주었다. 결론으로 다음 세 가지를 제시한다. 첫째, 니체 사상은 중국에 적용된 원래의의미와 맥락이 역사성을 띠고 있다. 둘째, 니체는 중국에 정치와 계몽, 현실세계 개조와 해탈을 위한 카타르시스로 그 역할이 주어졌다. 셋째, 니체를 비롯한서양의 중요 사상가를 통해 중국의 문화와 정치의 변용과 본체론에 대한 계시를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니체는 왜 다윈을 비판했는가? - 니체와 다윈의 진화론적 사유 비교를 위한 예비연구

        홍사현 한국니체학회 2013 니체연구 Vol.23 No.-

        본 논문은 니체와 다윈의 사유를 진화적 세계관이라는 동일한 사유모델로그 공통점을 부각시킬 수 있다는 입장을 전제로 하여, 니체의 다윈 비판을 둘러싼 오해와 모순을 해명하고자 한다. 전통형이상학적 사유를 전복시킨 니체의비판적 태도와 마찬가지로 생물학자로서의 다윈 역시 전통적 세계관을 해체하고자 했다. ‘새로운 것이 어떻게 발생하는가’에 대한 진화이론은 신이라는 절대적 창조자, 유형론 및 본질주의에 거부, 그리고 목적론적, 결정론적, 인과론적세계 해석을 거부함으로써 니체의 사유에서와 마찬가지로 전통 철학의 기본전제를 파기하는 동시에 기독교적 세계관의 전제를 무력화시키에 충분한 것이었다. 특히 니체의 ‘힘에의 의지’와 ‘영원회귀’의 사유는 존재 발생의 과정으로설명된다는 점에서 진화적 변화의 내용과 일치한다고 주장할 수 있다. 그런데잘 알려져 있듯이 니체는 한편으로는 다윈을 일찍부터 수용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텍스트 여러 곳에서 명시적으로 다윈주의에 대해 비판한다. 본 논문은이러한 모순을 출발점으로 삼는다. 그렇다면 니체는 왜 다윈을 비판했는가?그리고 니체의 다윈 비판은 무엇이며, 그 내용은 정당한가? 이를 둘러싼 문제들과 대답을 통해 니체와 다윈의 관계를 해명한다. 한편으로 다윈에 대한 니체의입장을 둘러싸고 있는 의견들의 불일치가 어떤 배경에 근거하고 있는지 밝혀내며, 다른 한편으로는 진화론을 둘러싼 논쟁에서 진화론 내의 여러 상이한 입장들로부터 다윈 자신의 사유를 구별해 내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그럼으로 써 니체가 다윈을 비판한 이유가 드러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를둘러싼 논의를 통해 우리는 니체의 비판으로부터 다윈을 변호할 수 있을 뿐아니라, 동시에 다윈의 사유가 오히려 전통형이상학 비판적인 측면들을 니체와공유하고 있음을 부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