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북한 역사소설 연구를 위한 시론

        문흥술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인문논총 Vol.31 No.-

        남북한으로 갈라져 체제와 이념상의 차이로 대립하는 ‘한민족’이지 만, 갈라진 민족을 하나의 민족으로 묶을 수 있는 민족적 공통분모가 분단 민족의 의식의 저류에 흐르고 있다. 남북한 민족의 심층에 자리 잡고 있는 이 집단무의식을 가장 잘 함유하고 있는 것이 남북한 역사 소설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남북한 역사소설은 연속성과 동질성 회복으로서의 통일문학사 기술에 중요한 한 기준이 될 수 있다. 남북한 역사소설을 이런 관점에서 접근하고자 할 때, 먼저 연구방 법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첫째, 남북한 역사소설 전체에 대한 검토를 통해 한민족의 집단무의식을 공유하고 있는 작품을 선별해야 한다. 둘째, 작품 자체의 구조를 충실하게 고찰함으로써 각 작품의 미학적 특질을 추출해야 한다. 셋째,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남북한 역사소설을 유형화할 필요가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당의 공식적 문예 이론이라는 제약과 그것을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북한 작가들의 한계로 인해 작품 대부분이 형식과 내용면에서 도식적인 틀을 유지하고 있기에 유형화가 거의 불가능하다는 난점이 있다. 따라서 남한 역사소설을 먼저 유형화한 후, 그 유형과 같은 범주에 포섭될 수 있는 북한 역사소설을 선별해 동시에 논의하는 방법을 취해야 한다. 다음, 연구 대상 작품 선정과 관련된 측면이다. 해방 이후부터 2000년대까지, 남한 역사소설과 북한 역사소설을 시기별로 그 특징을 분석해 보면 남북한 역사소설의 이질성이 매우 심각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주요 원인으로 북한 역사소설에 나타나는 사회주의 체제 선전과 김일성 우상화로 인한 역사의 왜곡을 들 수 있다. 특히 분단 이후를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왜곡의 정도가 심하다. 이런 점을 고려하여,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논하기 위해서는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에 주목할 수밖에 없다. 곧 분단 이전을 다루는 북한 역사소설 작품들과, 동일하게 분단 이전을 다루는 남한 역사소설 작품들을 대상으로 하여, 동일한 역사적 인물이나 동일한 역사적 사건 혹은 동일한 시대를 어떻게 다루고 있는가를 검토함으로써 남북한 역사소설의 동질성과 이질성을 검토하는 작업이 현재로서는 가장 유효한 방법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연구를 통해, 민족적 집단무의식이 분단 이후 남북한에서 어떻게 변모되어가며, 그 편차는 무엇이고, 그리고 민족적 동일성을회복할 수 있는 공통인자는 무엇인지를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럼으로써 연속성과 동질성의 측면에서 남북한 통일문학사 기술을 위한 발판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南北韓 黃眞伊 小說에 나타난 個人意識 比較

        이경재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7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5 No.1

        In the 2000s, writers such as Kim Taek-hwan, Chun Kyung-lin, and Hwang Suk-jung have simultaneously created historical novels with Hwang Jin-yi. Hwang Jin-yi novels in South and North Korea originated from the historical philosophical situation shared by the two Koreas in the 2000s. The characteristics of the era can be summarized as the weakening of the symbolic effect. This is more prominent in South Korea but it can be seen that some of the 30,000 North Korean defectors testified in North Korea. This situation can not help but highlight the problem of the individual as the subject of life as an important task. Hwang Jin-yi has pioneered a unique way of life against the double suppression of women and parasitism. This is the reason why Hwang Jin-yi was frequently called as a historical object suitable for dealing with a person's problem consciousness in the situation of the 2000s when the symbolic effect was weakened. The three works show different personal concioussness, whi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Hwang Jin-yi created by Kim Tak-hwan, shows the figure of the narcissistic self based on imaginary identification as a result of giving absolute value to individual completion. Hwang Jin-yi of Jeon Kyung-lin tries to build her own self based on the criticism of the existing feudal order, but the result is the way she empties herself. It is a paradox that surrounds an individual. On the other hand, in the novel by Hong Suk Joong, it is difficult to confirm a consciousness for an individual. This novel emphasizes collectivity as a subject of resistance. Although it was created at a similar time, basically, a novel created in South Korea shows a greater interest in individuals than a novel created in North Korea. However, the novels created in South Korea did not create a modern individual in its entirety, which is the inevitable consequence of a medieval existential figure. The unique personal consciousness shown by each work can be confirm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male characters and Hwang Jin-yi. 2000년대 들어 南北韓에서는 김탁환, 전경린, 황석중 등의 작가들이 黃眞伊를 주인공으로 내세운 歷史小說을 同時多發的으로 창작하였다. 비슷한 시기에 黃眞伊라는 동일인물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소설이 남북한에서 동시에 창작된 것은 2000년대 남북한이 일정 부분 공유한 歷史哲學的 상황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黃眞伊는 설화에서부터 여성과 기생이라는 이중적인 억압에 맞서 독특한 삶의 길을 개척해 나간 인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黃眞伊의 모습이야말로 상징계적 효력이 약화된 2000년대의 상황에서 個人이라는 문제의식을 다루기에 적합한 역사적 인물로 황진이가 빈번하게 呼名된 이유라고 할 수 있다. 김탁환의 황진이는 想像的 同一視에 바탕한 나르시시즘적 自我의 모습을, 전경린의 황진이는 고유한 자기를 구축하려고 노력하지만 결국에는 자기를 비우는 모습을 보여준다, 홍석중의 소설에서는 個人에 대한 별다른 의식을 확인하기 힘들며, 이것은 저항하는 주체로서의 集團性이 강조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한 시기에 창작되었지만, 기본적으로 남한에서 창작된 소설은 북한에서 창작된 소설보다 個人에 대하여 큰 관심을 보인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 연구의 역사성과 현재성 고찰 - 남북한의 문학적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오태호 상허학회 2019 상허학보 Vol.55 No.-

        This paper re-examined the history and present status of Hong Myung-hee’s Lim Kkuk-jung Named as the ‘Classics of the Unification Age’. Lim Kkuk-jung was well received in the contemporary times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t is a text that is constantly pondered in both Koreas after the division. In addition, research has been spreading in South Korea to comic contents, comparative text study, the issue of customs, patriotism as a resistance idea, and postcolonial discourse. The evaluation of the pre-division period(1928∼1950) in the same period was evaluated as a novel of social conditions or a novel of a discourse. However, it received more favorable reviews in terms of vocabulary and description, composition and popularity, and how to create realism. After the division, the study of North Korean literature has not been able to escape from the framework of the fixed evaluation of the progressive work that shows the ‘anti-feudalism class struggle’. However, since Kim Jong-il’s Juche literary theory(1992), Kim Jong-il’s point of view has changed his reputation as ‘a work with a strong modernity’. In South Korean literature, however, various researchers such as comic contents, mothers, and postcolonial discourses are carrying out diverse analyzes using new methodologies. Lim Kkuk-jung research shows the difference of recognition about the novels of North and South Korea. However, Lim Kkuk-jung itself is the source text that corresponds to the common literary assets of North and South. And the heterogeneity of such epistemological differences can be the basis for restructuring national identities. Lim Kkuk-jung research needs to be continuously diversified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Classical’ is not the text that stays in the past, but is the present progressive text that is constantly breathing with the present. Therefore, the study of Lim Kkuk-jung covers the status of literary history as a common text of North and South Korean literature. Especially ‘Ethnic property’, which must be reinterpreted and reevaluated continuously. 본고는 월북 작가 해금 30년을 기념하여 벽초 홍명희의 『임꺽정』 연구의 역사성과 현재성을 재조명하였다. ‘통일시대의 고전’으로 명명되는 홍명희의 『임꺽정』은 일제 강점기의 당대적 호평과 함께 분단 이후 남북한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논구되는 텍스트일 뿐만 아니라 남한에서는 최근 들어 만화콘텐츠나 비교 텍스트 연구, 풍속의 문제와 ‘저항사상으로서의 애국주의’, 탈식민성 담론에까지 이르며 연구가 확산되고 있다. 분단 이전(1928∼1950)의 동시대적 평가에서는 강담류 소설이나 세태소설에 머물렀다는 비판적 평가보다는 어휘와 묘사, 구성과 대중성, 리얼리즘적 창작방법 등에서 호평을 받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분단 이후 북한 문학에서의 『임꺽정』 연구는 ‘반봉건 계급투쟁’을 보여주는 진보적 작품이라는 고정된 평가의 큰 틀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김정일의 『주체문학론』(1992) 이후에는 김정일의 지적을 통해 ‘현대성이 강한 작품’으로 평가가 변모하였음을 분석하였다. 하지만 남한 문학에서는 강영주의 대표적이고 지속적인 연구를 비롯하여, 만화 콘텐츠와 모계 인물, 탈식민성 담론 등 다양한 연구자들이 새로운 방법론을 활용하여 다각적인 분석과 해석, 평가를 진행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렇듯 『임꺽정』 연구는 남북한 역사소설에 대한 인식 차이를 보여주면서도 『임꺽정』 자체가 남북 공통의 문학적 자산에 해당하는 원천 텍스트임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그러한 인식론적 차이의 이질성이 ‘민족 정체성의 본질과 현상’을 재구하거나 해체하는 데에 서사적 토대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임꺽정』연구는 남과 북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다양하게 전개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고전’은 과거에 머물러 있는 텍스트가 아니라 끊임없이 현재와 호흡하는 현재진행형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꺽정』 연구는 남북한 문학의 공통텍스트로서의 문학사적 지위를 감당하며 지속적으로 재해석, 재평가되어야 할 ‘민족적 재부’로서의 토대 구축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 KCI등재

        남북한 소설의 이순신 형상화 양상 비교

        장경남 ( Jang Kyung-na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8 민족문학사연구 Vol.66 No.-

        본고는 역사 인물 이순신이 남한과 북한에서 어떻게 소설적으로 형상화되어 있는지를 비교 분석한 글이다. 구체적으로는 서사 구성 방법과 인물 형상화 기법의 비교를 통해 이순신의 형상이 남과 북에서 어떻게 같고 다른지 비교한 것이다. 서사구성면에서 보면 남과 북이 공히 일대기 형식이 아닌 특정한 시기만 다루고 있다. 이순신의 영웅적인 면모를 잘 확인할 수 있는 임진왜란 시기만 대상으로 서사화한 것이다. 남북한 공히 이순신의 영웅서사를 근저에 두고 있지만, 북한의 『리순신장군』은 불사신의 영웅서사로, 남한의 『불멸』은 불멸의 인간서사로 그 결을 달리하고 있다. 인물 형상화면에서도 모두 영웅의 형상을 잘 드러내고 있다. 다만 영웅의 이미지가 서로 다르다. 『불멸』에서는 강한 남성적 이미지의 영웅 대신에 이순신의 인간적 면모에 주목하면서 또 다른 영웅의 면모를 부각시켰다. 이에 비해 『리순신장군』은 민중 영웅으로서의 영웅적 면모를 드러냈다. 영웅상을 하층인민들과 함께 하는 민중의 영웅으로 형상화한 것이다. 남한에서 형상화된 ‘고뇌하는 인간’이순신은 그동안 강한 남성 영웅의 이미지가 강했던 ‘영웅’ 이순신을 다른 각도에서 본 것이다. 대중을 이끄는 강한 리더십을 가진 영웅보다는 대중을 따뜻하게 감싸 안을 줄 아는 부드러운 영웅에 대한 기대는 인간적인 냄새가 풍부한 이순신으로 다가왔던 것이다. 반면에 북한에서 형상화된 이순신은 전쟁에서 승리를 이끈 영웅 일 개인이 아닌 인민들과 함께하는 인민대중의 영웅이다. 북한 사회가 추구하는 영웅은 인민대중과 함께 하는 인물이었기 때문이다. 인민을 중심으로 한 고난 극복의 서사로 접근한 것이다. This paper comparatively analyzes the representation of a historical figure, Yi Sun-shin in South and North Korean novels. Yi Sun-shin has been represented into different looks in South and North Korea. Even though the heroic image of Yi Sun-shin is maintained, its nature is different to each other. The character representation of Yi Sun-shin in both South and North Korea is based on his heroic image while South and North Korean nov-els showed different heroic images to each other. In Immortality of South Korea, Yi Sun-shin was represented as a humane hero focusing on his humane aspect instead of a strong masculine image. In North Korea, still, his heroic aspect is shown. Admiral Yi Sun-shin focus on Yi Sun-shin’s heroic image and this hero is represented as a hero of people coming together with the lower classes. The hero pursued by the North Korean society is the character coming together with the public. The evaluation of real figures could be different in each time and system. However,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s would be a correct attitude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