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글 디지털 폰트 글자사이 연구(1) - 나눔고딕 모임꼴을 중심으로 -

        박재홍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5

        Today, even if the environment of digital typography is getting better, it is a fact that the fundamental typographic problems still have depended on the hand of trained typographers such as graphic designers, editorial designers and typographers. For example, the appropriate and even spacing between letters has widely regarded as typographer's sensory domain. By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space between letters, this research intend to suggest a solution in terms of the equalized letter spacing which is one of the typographic problems. First of all, type body vertically divided into four part in order to execute a detailed typographic analysis. This compares with two part of type body in the advanced studies of Alan and Rita Greer, Jinpyeong Kim and Yongje Lee. Also, a new concept to define the space between letters as '닿공간' is proposed. The main font for this study is NanumGothic typeface which have been widely disseminated for free because that the font is close to the original structure of letterform in Hangeul. Finally, the 216 areas between letters which are made by 6 types of Korean letterforms are calculated and analysed. As a result in NanumGothic typeface syllable blocks, the area of a horizontal syllable block of C1 + V and a vertical syllable block of C1 + V is the biggest whereas the area of the opposite case is the smallest. Therefore, root cause is believed that both sidebearing value of a vertical syllable block of C1 + V is the biggest and the right sidebearing value of a horizontal syllable block of C1 + V is the biggest. 오늘날 향상된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환경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타이포그래피의 문제는 여전히 숙련된 타이포그래퍼의 눈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면, 적정한 글자사이의 균일한 공간배분의 문제는 뛰어난 타이포그래퍼, 편집 디자이너, 그래픽 디자이너만의 감각적 영역이라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면적을 정량적으로 계측해 봄으로써 이러한 타이포그래피의 문제들 중 글자사이의 균일한 공간배분의 해결책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연구인 앨런과 리타 그리어, 김진평, 이용제의 연구에서 제시한 ‘이분각’을 좀 더 세밀한 분석을 위해 ‘사분각’으로 나누고 ‘닿공간’의 개념을 글자사이 분석의 방법으로 제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으로 분석을 위해 널리 사용되고 있는 나눔글꼴 중 그 형태가 글자틀에 가까운 나눔고딕체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ㅁ’계열 6가지 한글 모임꼴을 대상으로 세 글자로 조합될 때 발생할 수 있는 216가지 글자사이의 공간을 계측하고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나눔고딕 모임꼴 글자사이에서 가로모임 민글자꼴과 세로모임 민글자꼴이 만날 때 면적값이 가장 크고 세로모임 민글자꼴과 가로모임 민글자꼴이 만날 때 면적값이 가장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세로모임꼴의 좌우 면적이 가장 크고 가로모임꼴의 오른쪽 여백이 크기 때문에 글자사이의 차이를 발생시키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 KCI등재

        한글 디지털 폰트 글자사이 면적 연구(1) - 나눔명조체를 중심으로

        박재홍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3

        Today, even if the environment of digital typography is getting better, it is a fact that the fundamental typographic problems still have depended on the hand of trained typographers. For example, the appropriate and even spacing between letters has widely regarded as typographer's sensory domain. By quantitatively calculating the space between letters, this research intend to suggest a solution in terms of the equalized letter spacing which is one of the typographic problems. First of all, in the chapter 2, we drew area comparisons of letters between visual and mathematical. The type body vertically divided into four part in order to execute a detailed typographic analysis. This compares with two part of type body in the advanced studies of Alan and Rita Greer, Jinpyeong Kim and Yongje Lee. And then, a new concept to define the space between letters as '닿공간' is proposed. In the chapter 3, for a study of NanumMyungjo's letter spacing, the body size is analyzed and letterforms' areas of the 'ㅁ' series are calculated. Moreover, 216 areas between letters which have arisen in a number of cases are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values between letter spaces figured out. Finally, in the chapter 4, the 216 areas between letters of NanumMyungjo font which is made by 6 types of Korean letterforms are calculated and analysed through table and bar graph. Furthermore, a Study of Letter Spacing in Korean Digital Typefaces compares and research by extending the study of letter spacing between characters of the various Hanguel digital typefaces. 오늘날 향상된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환경에도 불구하고 근본적인 타이포그래피의 문제는 여전히 숙련된 타이포그래퍼의 눈에 의존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예를 들면, 적정한 글자사이의 균일한 공간배분의 문제는 뛰어난 타이포그래퍼들만의 감각적 영역이라 여겨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글자와 글자 사이의 면적을 정량적으로 계측해 봄으로써 이러한 타이포그래피의 문제들 중 글자사이의 균일한 공간배분의 해결책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먼저, 2장에서 시각적 면적과 수학적 면적을 비교하였고 선행연구에서 앨런과 리타 그리어, 김진평, 이용제의 연구에서 제시한 ‘이분각’을 본 연구에서는 좀 더 세밀한 ‘사분각’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1/4분각이 맞닿는 공간을 ‘닿공간’이라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글자사이의 면적을 연구하기 위한 설계를 위해 나눔명조체 글자몸통의 크기를 분석하였고 'ㅁ'계열 모임꼴 면적을 산출하였다. 그리고 글자사이가 나타날 수 있는 경우의 수, 216가지의 면적을 계산하여 차이값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표와 분포도를 통해 나눔명조체 여섯 가지 모임꼴의 216가지 글자사이의 면적 차이값을 비교·분석하였다. 향후, 한글 디지털 폰트 글자사이 면적 연구는 다양한 한글 디지털 폰트들의 글자사이 면적 연구로 확장되어 비교·연구할 것이다.

      • KCI등재

        한글 디지털 폰트 글자사이 면적 연구(2) - 나눔명조체를 중심으로

        박재홍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7 조형미디어학 Vol.20 No.1

        Even if the environment of digital typography is today getting better, it is a fact that the basic typographic problems have still reckoned on the eye of trained typographers. In order to understand these typographic problems more specifically, the previous research in terms of 216 combinations which have arisen in a number of cases with 마, 맘, 모, 몸, 뫄, 뫔 between letters had been conducted. As a subsequent study of previous research, values of Integral between letters which followed by structural type indivisually of the 'ㅁ' series, the 'ㅅ' series, and the 'ㅇ' series are calculated and analyzed. By calculating quantitatively the space between letters,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a desirable solution. It is one of the typographic dilemma in terms of the even letter spacing. First of all, in the chapter 2, we calculated area comparisons of letters between mathematical and visual. The type body divided vertically into four part in order to assassinate a detailed typographic analysis. A new concept to explain the space between letters as '닿공간' and letter spacing is proposed. In the chapter 3, the body size of NanumMyungjo font is calculated and letterforms' areas of the 'ㅁ' series are analyzed. Moreover, in a number of cases, 1,296 areas between letters which have arisen are calculated and the difference cost between letter spacing figured out. In the chapter 4, the results are analysed and calculated through bar graph and table . To sum up, the letter structure of horizontal and vertical combination without final consonant for a syllable such as '솨' of NanumMyungjo font easily influences on the small letter spaces owing to the impacted area of typeface and the pale side bearings between letters. 오늘날 디지털 타이포그래피 환경이 뚜렷히 향상되었음에도 불구하고 타이포그래피의 근본적인 문제는 숙련된 타이포그래퍼의 눈에 의존되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하여 연구자는 선행연구를 통해 나눔명조체의 ‘ㅁ’계열 모임꼴의 216가지 경우의 조합을 연구한 바 있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후속 연구으로써 표본 집단을 확장하여 ‘ㅁ’계열, ‘ㅅ’계열, ‘ㅇ’계열 모임꼴별 글자사이의 적분값을 산출하고 정량적으로 면적을 계산하였고 비교·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확장된 나눔명조체의 ‘ㅁ’계열, ‘ㅅ’계열, ‘ㅇ’계열 모임꼴을 대상으로 디지털 폰트가 사용될 때 모임꼴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글자사이의 문제점을 조사하고 분석하여 글자사이를 균일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개선안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2장에서는 시각적 보정과 수학적 면적의 차이를 비교하고 글자사이의 재정의, 사분각, 닿공간을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나눔명조체 글자 몸통의 크기를 분석하고 'ㅁ', 'ㅅ', 'ㅇ'계열 모임꼴 글자사이가 나타날 수 있는 경우의 수, 1,296가지의 면적을 계산하고 그 차이값을 도출하였다. 4장에서는 그 결과를 표와 분포도를 통해 비교·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보면, 나눔명조체의 섞임모임꼴은 글자면이 많은 홀공간과 글자의 여백이 많은 닿공간에 의해 글자사이에 크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나눔명조체 글자사이의 공간에 가장 크게 영향을 주는 모임꼴은 섞임모임 민글자 모임꼴로 나타났다.

      • KCI등재

        ‘언문지’의 텍스트 분석

        김지홍 진단학회 2013 진단학보 Vol.- No.118

        This paper is a textual analysis of Yu Hui's (1824) Eonmun­ji (諺文志) or "Korean Script for Sino-Phonetics." That is, while paying close attention to the contents of the text, the analysis also considers the social conditions of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in which Yu's work is embedded. The preface indicates that the author had two aims: first, to provide accurate descriptions of the phonetic forms of sino­Korean, and second, to produce the systematic frames for all possible human sounds. However, the contents of the text suggest that Yu did not identif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eries, and that, in vowel clusters, he mis­identified the pivotal organization of vowels merely as a cluster. Nevertheless, when it comes to compound words, Yu was the first scholar to successfully identify two distinct principles through the description of the “glottalized merge-marker" in Korean word­formation (사이시옷), each of these principles applying separately to words and to sentences. From a discoursal perspective, it is presumed that the readers of this text would have consisted of the literati of that period, who would have copied the manuscript individually by hand. The “Question & Answer" format of the text was naturally adopted in keeping with Yu's life­long training in the Neo­Confucian tradition. The influence of several scholars was identified in the text. These scholars include mostly Choi Seok-jung (崔錫鼎, 1646~1715) and Lee Kwang­sa (李匡師, 1705­1777), and also Yu's master, Chung Dong­yu (鄭東愈, 1744~1808). Even though the text deals only with sino­Korean pronunciation, Yu's stance constitutes a departure from his predecessors' flunkeyism to their strong Chinese neighbour. In contrast, Yu's work is decidedly modern in as much as he claims decisively that the Korean phonetic script is a unique tool that could be used to represent the spoken pronunciations of all the languages in the world. ‘언문지’의 연구는 텍스트 내부 및 외부의 논제들과 이 텍스트가 지닌 사회적 관계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논의될 수 있다. 이 글은 앞의 논제들을 다루었다. 먼저 텍스트 내부에서 저술 목적을 확인하고, 이례적인 전탁 글자를 내세운 이유를 비판적으로 살폈다. 중국어 핵모음을 매개로 이뤄지는 음절 구조가 제대로 파악되지 못하였지만, 합성어에 관여하는 독자적 원리를 처음으로 자각하여 적어 놓았음을 높이 평가하였다. 텍스트 외부에서는 비록 필사된 원고본이더라도 당시 추정 독자층들이 존재하였고, 신유학자들의 저술로부터 익힌 문답식 논지 전개 방식을 적극 활용하였으며, 서로 얽힌 텍스트의 성격을 몇 선인들과 관련하여 다루었다. 마지막으로 소중화 의식을 벗어 버리고, 나를 중심으로 능동적으로 세계를 재구성하는 근대 의식의 싹이 ‘언문지’에 들어 있음을 지적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