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중관이 있는 투석환자에서 포도알균 균혈증의 위험인자

        문수연 ( Soo Youn Moon ),이미숙 ( Mi Suk Lee ) 대한내과학회 2008 대한내과학회지 Vol.75 No.3

        목적: 투석 치료 중인 신부전 환자에서 감염을 증가시키는 위험인자로 이중관을 제외하고는 아직 정립된 것이 없다. 이에 이중관을 통해 혈액투석중인 환자에서 포도알균 균혈증의 위험인자를 알아보기로 하였다. 방법: 5년간 이중관을 통해 혈액투석을 받고 있는 입원환자 중 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이 있었던 환자 군과 대조군의 기저질환, 나이, 성별, 신부전의 원인, 항생제 사용 유무와 항생제의 종류 및 혈액검사소견과 APACHE II 점수를 구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포도알균 균혈증이 있는 환자 군이 대조 군에 비해 나이가 많았으며, 입원 시 혈액투석이나 복막투석 치료를 받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입원 시 APACHE II 점수와 혈액요소질소가 높았고, 입원 시 크레아티닌 수치는 낮았다. 다변량 분석에 의하면 입원 시 투석 치료를 시행 받고 있는 것이 포도알균 균혈증의 위험인자였다.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환자의 경우 대조 군에 비해 나이가 많았으며, 입원 시 투석 치료의 빈도와 APACHE II 점수, 혈액요소질소, 크레아티닌이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환자에서 높았다. 이중관 삽입 전 항생제 사용도 황색포도알균 균혈증 군에서 더 많았으며, 다변량 분석 결과 입원 시 투석을 시행하고 있는 경우와 이중관 삽입 전 항생제의 사용, 입원 시 크레아티닌이 높은 것이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의 위험인자였다. Methicillin 내성 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군은 methicillin 감수성 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 군보다 이중관 삽입 시 혈청 알부민과 크레아티닌이 낮았으며, 삽입 전 항생제의 사용 빈도가 높고 일반 병실이나 중환자실에서 이중관을 삽입한 경우가 많았다. 다변량 분석에서 중재시술 실 이외 장소에서의 이중관 삽입과 이중관 삽입 전 항생제의 사용이 위험인자였다. 결론: 혈액투석을 받는 환자들에서 입원 당시 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것이 이중관이라는 위험인자를 배제한 상황에서 균혈증이 발생하는 독립적인 위험인자로, 이런 환자 군에서 이중관을 통한 혈액투석 시 더욱 더 철저한 감염관리가 필요하겠다. 이중관 삽입 전 예방적 항생제 이외의 목적으로 항생제를 투여했던 것이 methicillin 내성 포도알균이나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의 독립적 위험인자였으므로 항생제 사용시 적절한 기준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고 항생제 사용 중인 환자에서 균혈증이 발생한 경우 반드시 내성 균주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하겠다. Background/Aims: Risk factors for infection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during dual lumen catheterization have not been adequately defined. We investigated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Staphylococcal bacteremia (SB)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sing a catheter. Methods: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ith a catheter were categorized into either the SB group (n=43) or control group (n=44). Data on patient demographics, the presence of underlying diseases, antibiotic use, APACHE II scores, and laboratory findings were collected retrospectively. Results: Patients in the SB group tended to be older, and underwent dialysis upon admission more frequently, as compared with controls. In addition, the SB group had higher APACHE II scores, BUN, and lower creatinine levels upon admiss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A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dialysis upon admission was a risk factor for SB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using a catheter. Patients with Staphylococcus aureus bacteremia (SAB) also tended to be older and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both dialysis upon admission and antibiotic therapy prior to catheterization, a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Patients with SAB also had higher APACHE II scores, BUN and creatinine levels upon admission. Antibiotics prior to catheterization, higher creatinine levels, and dialysis upon admission were all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SAB. Patients with methicillin-resistant SB had lower albumin and creatinine levels than those with methicillin-susceptible SB. The incidences of catheterization in the general ward or ICU and antibiotic therapy prior to catheterization were both higher in the methicillin-resistant SB group. Catheterizations in the general ward or ICU and antibiotic therapy prior to catheterization were both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methicillin-resistant SB. Conclusions: In patients undergoing hemodialysis with a catheter, dialysis upon admission was an independent risk factor for SB. Additionally, antibiotic therapy prior to dual lumen catheterization was a risk factor for methicillin-resistant SB. (Korean J Med 75:307-315, 2008)

      • Bacteremia due to Acinetobacter baumannii : Clinical Features and the Trend of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in a Tertiary-Care-Hospital

        이하연,이광선,정진원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의학연구소 2008 中央醫大誌 Vol.33 No.1,2

        배경: Acinetobacter baumannii 균혈증은 최근 증가되고 있는 중요한 병원감염의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A. baumannii 균혈증의 임상적 특성과 최근 5년 동안의 항균제 내성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6년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서울의 3차 대학병원에서 A. baumannii 균혈증으로 증명된 199례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고 항균제 사용실태를 조사하였다. 결과: 최근 5년 동안에 13례 (5.0%)의 A. baumannii가 이미페넴 내성이었고, 106례(53.3%)가 시프로플록사신 내성이었으며 3세대 세팔로스포린 내성은 125례 (62.8%) 였다. 시프로플록사신 내성인 경우에 이전 항균제 사용과 유의한 관련이 있었고 (p<.01), 경비위튜브 유치가 사망률과 관련된 유일한 독립인자였다 (p<.01). 1999년부터 이전에 비해 현저히 이미페넴의 사용이 증가되기 시작하였고, 이때부터 이미페넴 내성인 A. baumannii가 증가되기 시작하였다. 그러나 이미페넴에 대한 내성이 증가되었지만, 이러한 내성균은 A. baumannii 균혈증의 예후와는 관련이 없었다. 결론: A. baumannii 균혈증에서 분리된 균주의 이미페넴과 시프로플록사신에 대한 내성률은 이러한 항균제의 사용량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이러한 항균제 내성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항균제 사용의 신중한 선택과 주의 깊은 모니터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병원획득을 중심으로 한 메티실린 내성 황색 포도알균 균혈증의 위험인자와 예후

        김수현 ( Su Hyun Kim ),류정화 ( Jung Hwa Ryu ),김명신 ( Myung Shin Kim ),최희정 ( Hee Jung Choi ) 대한내과학회 2006 대한내과학회지 Vol.71 No.4

        목적: 병원감염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현재 황색포도알균은 병원감염의 중요한 원인균이다. β-lactamase에 의해 분해되지 않는 반합성 penicillin인 메티실린(methicillin)에도 내성을 보이는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이하 MRSA)의 분리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병원감염에 의한 MRSA의 경우 높은 이환율과 사망률이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지역사회의 빈도 역시 증가하고 있어 본 연구에서는 병원감염 및 지역사회의 MRSA의 위험인자 및 예후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이에 저자들은 1999년 1월부터 2003년 5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에서 치료받은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성인균혈증 환자 164예를 대상으로 하여 지역사회와 병원감염의 빈도, 관련인자 및 예후를 조사하였다. 결과: 황색포도알균에 의한 균혈증은 MRSA는 77예, MSSA는 87예였고 MRSA 중 병원감염은 65예(84.4%), 의료행위 관련 감염은 9예(11.7%), 지역사회감염은 3예(11.7%)였고, MSSA는 병원감염 31예(35.6%), 지역사회감염은 56예(64.4%)였다. 병원감염에서 MRSA의 위험도를 증가시키는 인자는 다변량 회귀분석상 60세 이상(OR 4.9, p=0.017)과 이전의 항균제 사용병력(OR 15.6, p<0.001)이였으며 당뇨나 다른 기저질환은 MRSA의 위험도와 무관하였다. 병원감염 MRSA 중 패혈성 쇽이 있던 군에서 사망 위험률이 13배 증가하였다(p<0.001). 결론: 병원감염에서 MRSA는 67%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60세 이상의 고령과 이전의 항균제 사용 등이 MRSA 위험률을 증가시켰고, 패혈성 쇽이 있는 군에서 사망률이 증가되었다. 황색포도알균, 특히 메티실린 내성의 경우 병원감염과 이에 의한 균혈증의 빈도 및 위험요인과 사망률에 미치는 요인 등을 확인하여 이에 대한 선별적 항생제 치료가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적절한 항균제의 투약이 예후와 관련이 있는지는 향후 전향적 대규모 연구가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Staphylococcus aureus is the most common pathogen causing nosocomial infection; it contributes significantly to patient morbidity and mortality. The incidence of S. aureus bacteremia in hospitals as well as communiti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during the past dec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isk factors and prognosis of methicillin-resistant S. aureus bacteremia.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64 cases of S. aureus bacteremia during 1999-2003 at the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ases, which satisfied the definition of clinically significant bacteremia and whose medical records were available. Results: The number of methicillin-sensitive Staphylococcus aureus infections (MSSA) was 87 cases and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77 cases. There were 65 cases (84.4%) of nosocomial infection, 9 cases (11.7%) of health-care associated and 3 cases (3.9%) of community-acquired MRSA bacteremia.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nosocomial MRSA were previous use of antibiotics (OR 15.6, p<0.001) and advanced age (OR 4.9, p=0.017). The risk factor for increased mortality in patients with nosocomial S. aureus bacteremia was septic shock (Hazard ratio 13.2, p<0.001). Conclusions: MRSA bacteremia was more frequent in patients with previous antibiotic therapy and advanced age. In addition, the risk factor for mortality in patients with S. aureus bacteremia was septic shock. Additional prospective randomized trials to assess the efficacy and initiation of empirical antibiotics in a well matched cohort study are necessary.(Korean J Med 71:405-414, 2006)

      • KCI등재후보

        지속성 균혈증 및 진균혈증-위험 인자 및 임상적 중요성

        최원석 ( Won Suk Choi ),서유빈 ( Yu Bin Seo ),조유미 ( Yu Mi Jo ),김정연 ( Jeong Yeon Kim ),기세윤 ( Sae Yoon Kee ),정혜원 ( Hye Won Jeong ),박대원 ( Dae Won Park ),손장욱 ( Jang Wook Sohn ),정희진 ( Hee Jin Choeng ),김민자 ( Min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6

        목적: 지속성 혈류 감염은 사망률과 재원 기간을 증가시킨다는 이전의 보고는 있으나, 이에 대한 국내외의 연구는 많지 않다. 이에 저자들은 지속성 균혈증과 진균혈증을 보인 환자들에 대해 위험 인자와 임상적 중요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방법: 환자-대조군 연구로 1999년 5월부터 2005년 2월까지 일개 대학 병원에 입원한 환자들에 대하여 후향적으로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지속성 혈류 감염의 정의에 합당한 환자를 선정하였다. 이후 지속성 혈류 감염 환자군의 혈액배양 검사 날짜와 동일한 날짜에 혈액배양 검사가 이루어진 환자 중 당일에만 양성 소견을 보이고 추적 배양검사 결과 음전된 환자를 대조군인 단기 혈류 감염 환자군으로 선택하여 두 군 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연구 기간 중 혈액배양 검사상 양성 소견을 보인 환자는 총 1,737명이었으며, 이 중 연구군이 된 지속성 환자군은 64명이었고, 대조군인 단기 환자군은 146명이었다. 지속성 혈류 감염을 보인 환자들은 1개월 이내의 항생제 사용력, 원내 감염, 농양, 혼합 균주에 의한 감염, Candida sp., 경험적 항생제가 감수성 검사 결과와 부합하지 않는 경우, 중심 정맥 도관 삽관, 처음 혈액배양 검사 당시 중환자실에 재원한 경우가 많았다. 이 중, 1개월 이내에 항생제 사용력(p=0.033), 원내 감염(p=0.026), 농양(p=0.004), 혼합 균주에 의한 감염(p=0.001)은 다변량 분석상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독립적인 연관성을 보였다. 예후의 비교에 있어서는 지속성 환자군이 단기 환자군에 비해 재원 기간이 길었으나(p=0.01), 사망률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지속성 혈류 감염을 가진 환자들에 대하여 1개월 이내 항생제 사용력, 원내 감염, 농양 존재, 혼합 균주에 의한 감염 여부에 대해 확인해 보아야 하며, 이외에도 원인균이 Candida sp.가 아닌지, 중심 정맥 도관을 가지고 있는지, 경험적 항생제의 선택이 적절하였는지, 처음 혈액배양 검사 당시 중환자실에 재원한 경력이 있는지 확인해 볼 필요가 있겠다. Background: Persistent bloodstream infection is known to cause high mortality and a prolonged hospital stay. We performed a study examining risk factors and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persistent bacteremia and fungemia. Methods: This was a case-controlled study.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bacteremia or fungemia in one university hospital in Korea from May 1999 to February 2005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Patients with persistent positive blood cultures regardless of antibiotic treatment for more than three days were assigned to the persistent group. Patients with positive blood cultures only on the same calendar days with the persistent group but negative on follow-up were assigned to the short-term group. Results: A total of 64 patients were enrolled in the persistent group, and 146 patients in the short-term group among 1,737 patients with positive blood cultures. The persistent group was associated with previous antibiotic usage within 1 month (p=0.033), nosocomial infection (p=0.026), having an abscess (p=0.008), and infection by mixed organisms (p=0.001), independently. Candida sp. as a causative organism, treatment with in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s, having a central venous catheter, or ICU care at the time of blood culture was higher in the persistent group as well. The persistent group had a prolonged number of hospital-days (p=0.010),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ortality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Patients with a persistent bloodstream infection should be assessed about previous antibiotic usage within 1 month, nosocomial infection, having an abscess, infection by mixed organisms, Candida sp. as a causative organism, treatment with inappropriate empirical antibiotics, having central venous catheter, or ICU care at the time of blood culture. (Korean J Med 72:647-657, 2007)

      • 특별한 기저 질환 없이 충수돌기염 수술 후에 발생한 Eggerthella lenta 균혈증

        정사라 ( Sara Jeong ),박현영 ( Hyun-young Park ),홍인택 ( In-taik Hong ),강재빈 ( Jae-bin Kang ),문수연 ( Soo-youn Moon ),박기호 ( Ki-ho Park ),이미숙 ( Mi Suk Lee ),손준성 ( Jun Seong Son ) 대한내과학회 2019 대한내과학회지 Vol.94 No.6

        E. lenta에 의한 균혈증은 면역저하자, 위장관 질환 환자에서 드물게 발생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최근에 보고되는 증례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로, 국내에서는 2014년에 처음 보고되었다. E. lenta에 의한 균혈증은 드물지만 사망률은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조기 진단과 적절한 치료가 중요하다. 저자들은 기저 질환 없는 건강한 성인에서 위장관 감염과 관련된 E. lenta 균혈증을 경험하고 치료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Eggerthella lenta (E. lenta) has been reported to cause bacteremia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tract disorders or malignancies and in immunocompromised patients. Cases of E. lenta have been increasing with the recent development of testing equipment. The mortality rate due to E. lenta bacteremia is high. The authors report a case of E. lenta bacteremia in an immunocompetent patient. (Korean J Med 2019;94:530-532)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증례 : 감염 ; 뇌사를 초래한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균혈증 1예

        오대명 ( Dae Myung Oh ),권기태 ( Ki Tae Kwon ),배수현 ( Soo Hyun Bae ),이미정 ( Mi Jung Lee ),설수환 ( Soo Hwan Seol ),도원석 ( Won Seok Do ),전병권 ( Byoung Kwon Jun ) 대한내과학회 2012 대한내과학회지 Vol.82 No.5

        We present a case report of brain death caused by Salmonella enterica serovar Enteritidis bacteremia. A 53-year-old diabetic male was admitted to our hospital with stupor mentality and fever. No evidence of meningitis was found upon cerebrospinal fluid analysis, but diffuse brain edema was shown by magnetic resonance imaging. S. Enteritidis phage type 7 was isolated from blood cultures. We diagnosed the patient with encephalopathy associated with S. Enteritidis bacteremia and treated him by intravenous administration of ceftriaxone and dexamethasone. Fifteen days after admission, the patient was diagnosed with brain death and became a cadaveric donor. Although encephalopathy associated with S. Enteritidis bacteremia is rare, it should be considered as a serious and potentially lethal complication. (Korean J Med 2012;82:637-641)

      • KCI등재

        Vibrio fluvialis에 의한 균혈증 1예

        윤기호(Ki Ho Yun),김정호(Jung Ho Kim),김기방(Ki Bang Kim),윤희정(Hee Jung Yoo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10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11 No.2

        Vibrio fluvialis는 바닷물 또는 해산물에서 발견되는 호염성 그람음성 간균이며 주로 설사 및 위장관염을 일으킨다. 저자들은 71세 남자가 2주 전 해산물을 먹은 후 V. fluvialis에 의한 균혈증으로 내원한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그는 발열을 주소로 내원하여 혈액배양 검사에서 V. fluvialis가 확인되었고 수액 및 항생제 치료로 호전되어 내원 11일째 퇴원하였다. Vibrio fluvialis is a halophilic gram-negative bacilli usually found in sea water or seafood, and mainly cause gastroenteritis and diarrhea illness. We present a rare case of bacteremia caused by V. fluvialis in 71-years old man who has a history of sea food ingestion 2 weeks ago. He was admitted because of fever and V. fluvialis was isolated from blood. The patient was cured with fluid and antibiotics therapy and discharged after 11 days.

      • KCI등재

        증례 : 감염 ; 장게실염에 동반된 Streptococcus viridans와 Bacteroides fragilis 균혈증에 의한 문맥염 1예

        구본호 ( Bon Ho Ku ),김영생 ( Young Saeng Kim ),김종훈 ( Jong Hun Kim ),최유경 ( Yu Kyong Choi ),연재우 ( Jae Woo Yeon ),이성규 ( Seong Gyu Lee ),김수연 ( Sue Yun Kim ) 대한내과학회 2009 대한내과학회지 Vol.76 No.5

        문맥염은 증상이 다양하고 비특이적이어서 조기 진단이 어렵고, 치료시기를 놓치면 높은 치사율을 보이기 때문에 빠른 진단과 치료가 예후에 중요한 질환이다. 저자들은 지속되는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게실염에 동반되어 나타난 S.viridans와 B.fragilis 균혈증에 의한 문맥염을 발견하였고, 항생제 치료만으로 호전되어 퇴원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ylephlebitis, a septic thrombophlebitis of the portal vein or one of its tributaries, is a life-threatening complication of intra-abdominal infection. The causes of pylephlebitis include acute diverticulitis, appendicitis, acute cholecystitis, necrotizing pancreatitis, inflammatory bowel disease, and bowel perforation. Although pylephlebitis is an unusual complication of diverticulitis, its morbidity and mortality remain high. Therefore, early diagnosis and initiation of adequate antibiotic therapy is important for improving the long-term prognosis of patients suffering from this rare disease. We report a case of pylephlebitis with Streptococcus viridans and Bacteroides fragilis bacteremia secondary to diverticuliti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Korean J Med 76:622-626, 2009)

      • KCI등재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균혈증에 의해 발생한 급성담낭염

        이재은 ( Jae Eun Lee ),김광택 ( Kwang Taek Kim ),유준재 ( Jun Jae Yoo ),김미강 ( Mi Kang Kim ),최민호 ( Min Ho Choi ),장현주 ( Hyun Joo Jang ),계세협 ( Sea Hyub Kae ),이진 ( Jin Lee ) 대한췌장담도학회 2014 대한췌담도학회지 Vol.19 No.4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is an ubiquitous aerobic Gram-negative bacillus. Hospitalization and prior antibiotic therapy are risk factors for S. maltophilia infection. This organism is isolated with increasing frequency from hospitalized patients and may cause therapeutic problems because of its intrinsic resistance to common antibiotics and the immunodeficiency status of the affected host. S. maltophilia has been reported to be commonly associated with pneumonia and urinary tract infection. However, biliary infection caused by S. maltophilia is very rare. Herein, we report on a case of acute cholecystitis that developed secondary to S. maltophilia bacteremia in a patient with hepatitis-B related liver cirrhosis and gallbladder stone. Korean J Pancreatobiliary 2014;19(4):189-193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