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들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이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금호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23 어린이미디어연구 Vol.22 No.3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예비유아교사 278명을 대상으로 2023년 5월 4일부터 5월 20일까지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상관분석, 단계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중간 이상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는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예비유아교사의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는 기후변화대응 과거행동빈도,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후변화대응 행동의도에 기후변화대응과거행동빈도가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기는 하였으나 미래지향시간관, 기후변화지식도 인과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와 관련된 변인 탐색

        백성희,김찬종 한국환경교육학회 2019 環境 敎育 Vol.32 No.3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간(과거 행동 빈도, 환경태도, 통제소재, 기후변화 지식)의 관계를 분석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지역 초등학교 6학년 390명의 질문지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내용타당도 검증, 신뢰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거친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과거 행동 빈도였다. 둘째, 초등학생의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는 환경태도와 통제소재와 같은 정서적인 영역의 변인이 중요한 역할을 함이 다시 한 번 입증되었다. 셋째, 개념과 이해에 관한 기후변화의 지식은 기후변화 대응 행동의도에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기후변화의 원인, 영향, 결과, 대응 방법 등에 대한 지식적인 이해가 선행되었을 때, 행동과 정서적인 변인들은 더욱더 의미를 찾고, 그 교육의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major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a causal relationship among behavioral intention on climate change, frequency of past behavior, environmental attitudes, the locus of control, and climate change knowledge of elementary students. Basically, this study presumed 6th-grade students in Seoul as a population. A total of 393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ll 6th grade students; 198 boys; 192 girls. A total of 390 copies of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the remaining three copies were not completed, and so were not used. Descriptive and inferential statistics were introduced for data analysis. The major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variable that has the greatest impact on the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ehavioral intention on climate change was the frequency of past behavior. Second, it has been proven once again that changes in emotional areas such as the locus of control and environmental attitudes play an important role in elementary students' behavioral intention on climate change. Third, knowledge and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about climate change has no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Results provide implications for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activities in and out of school, the importance of the application of the emotions on education. The base of knowledge in climate change will be foundational to these experiences and activities.

      • KCI등재

        유기농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 영향요인 분석

        유소이,박소진,윤하영,Xuefei Dong 한국산업경제학회 2008 산업경제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유기농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구매의도를 설명하기 위하여 계획적 행동모델을 토대로 식품과 관련된 소비자의 개성특성인 식품관여도와 과거 구매행동 빈도 및 예기된 부정적 감정반응 등의 요인들이 추가적으로 포함된 모델을 적용하여 관련 요인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유기농식품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가질수록 구매의도가 증가할 확률이 높아지며, 둘째, 식품에 대하여 관심이 많고 중요하게 생각하는 소비자일수록 유기농식품에 대하여 호의적인 태도를 가지게 될 확률이 증가하며, 과거에 유기농식품을 구매한 빈도가 높은 경우 유기농식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소비자의 감정적 측면을 고려하여 유기농식품을 이용하지 않을 경우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부정적 감정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될수록 이를 완화하기 위해 유기농식품에 대한 구매의도는 유의하게 증가할 것임이 검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유기농식품에 대한 소비자 구매행동을 설명함에 있어서 계획적 행동모델에서 제시된 요인 외에 식품관여도, 예기된 부정적 감정반응 및 과거 구매행동 빈도 등 추가적인 요인들의 중요성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ain behavioral intention of consumers for organic food. To do so, this study applied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TPB) and included some additional factors such as food involvement, anticipated affective reaction and past behavior besides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co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In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the behavioral inten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consumer attitude for organic food and thus behavioral intention of consumers for organic food was tested partially by the TPB model. 2) Futhermore, the behavioral intention for organic food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influenced by some additional factors, such as food involvement, past behavior and anticipated affective reaction. Thus, some other factors related with personal characteristics should be included into the model to raise the explanatory power of consumer behavior.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