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공간정보 관련 법의 동향과 개선방안

        김진(Kim, Jin),고준환(Koh, June Hwan),정승용(Jung, Seung Young) 한국지적학회 2010 한국지적학회지 Vol.26 No.1

        현 정부는 지능국토의 건설, 사이버국토 창조, 유비쿼터스형 국토 구축 및 이를 통한 공간정보시장에서 200,000개의 일자리 창출과 11조원 시장으로 육성하기 위하여 법제도분야에서 국가공간정보체계 기반 조성을 위하여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을, 공간정보산업을 육성하기 위하여 새로이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을 그리고 개별적으로 운영되어 오던 지적법 ? 측량법 ? 수로업무법 을 통합한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을 제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국토의 건설, 사이버국토 창조, 유비쿼터스형 국토 구축 및 이를 통한 공간정보시장 활성화를 위한 국가공간정보에 관한 법률 , 공간정보산업 진흥법 , 측량?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 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government established the "Act on the Survey, Hydrographic survey and the Cadastre" integrating individually operated "Cadastral Act", "Survey Act" and "Hydrographic Act", the "Act on the Encourage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rearing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and the "Act o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constituting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System Basis in order to develop 1.1 triliian Market and 200,000 jobs in the Spatial information field through Intelligent country construction, Cyber country creation and Ubiquitous Country construction. This research present the improvement scheme of "Act on the Survey, Hydrographic survey and the Cadastre", "Act on the Encouragement of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and "Act on the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rearing the spatial information industry through Intelligent country construction, Cyber country creation and Ubiquitous Country construction

      • KCI등재

        공개제한 공간정보 보안심사 전문기관제도에 대한 법제 개선 방안 연구

        박광동 한국부동산법학회 2023 不動産法學 Vol.27 No.1

        Recently, one of the important policy changes related to the national policy of such spatial information is that spatial information with restricted disclosure is not provided to geospatial information providers or location information providers in principle, and spatial information with restricted disclosure can be provid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ecurity review by a specialized security review organization. Translated with www.DeepL.com/Translator (free version) The government’s policy on geospatial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private sector-oriented dynamic economy. This is reflected in the reason for legislating the provision of publicly restricted spatial information in the Basic Act on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is government policy, it is necessary to balance the responsibilities and operational tasks, such as the uniformity of the operation of security review agencies and the agenda of public officials in applying penalties to security review agencies, in relation to the system of designating security review agencies in relation to the provision of spatial information restricted from public disclosure. Considering these points, it is possible to consider deleting paragraphs 2 and 3 of Article 24 of the Enforcement Decree of the Basic Act on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as a way to improve the legisl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difference in the inspection format of the security inspection standards during the security inspection (written and on-site) related to the provision of spatial information restricted from public disclosure by each specialized security inspection agency. However, in this case, it is necessary to adopt a method that can comprehensively check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atters in the inspection format of security inspection standards. Regarding the scope of users of restricted spatial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scope of current users. In this case, the provisions of the “management organization” in Article 2, paragraph 4 of the Basic Act on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should be applied to include public institutions and other private organizations as users of restricted spatial information. Finally,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 legal basis for the designation of spatial data safety zones in order to respond to the demand of economically small private companies to provide spatial data that is restricted from disclosure by establishing Article 36.2 of the Basic Act on National Geospatial Information. 최근 공간정보의 국가정책과 관련하여 중요한 정책의 변화 중에 하나는 종래 공간정보사업자 또는 위치정보사업자에게 원칙적으로 공개가 제한된 공간정보를 제공하지 않는 것에서 보안심사 전문기관의 보안심사의 결과에 따라서 공개가 제한된 공간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공개제한 공간정보와 관련하여 정부 정책은 민간 중심의 역동적 경제와 관련이 있다. 이는 공개제한 공간정보의 제공과 관련한 「국가공간정보 기본법」의 공개제한 공간정보 제공의 입법화 이유에도 나타나고 있다. 그리고 정부의 정책과 관련하여 공개제한 공간정보의 제공을 위한 보안심사 전문기관 지정제도는 보안심사 전문기관의 운영의 통일성 및 보안심사 전문기관에게는 벌칙 적용에서 공무원 의제를 하는 등의 책임과 운영 업무의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한다면 법제개선방안으로는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시행령」 제24조의2제3항을 삭제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리고 현재 보안심사 전문기관별로 공개제한 공간정보 제공 관련 보안심사시 보안심사 기준의 점검 형식의 차이를 제거할 필요가 있다. 다만, 이 경우에 보안심사 기준의 점검 형식은 정량적 사항과 정성적 사항을 종합적으로 점검할 수 있는 방식을 채택할 필요가 있다. 공개제한 공간정보 제공 이용자의 범위 설정과 관련하여서는 현재의 이용자의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제2조제4호에 상의 “관리기관”의 규정을 준용하여 공공기관 및 그 밖에 민간기관도 공개제한 공간정보 제공 이용자로 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경제적으로 영세한 민간기업의 공개제한 공간정보 제공 수요에 대응하기 위하여 「국가공간정보 기본법」 제36조의2를 신설하여 공개제한 공간데이터안심구역 지정에 대한 법적 근거의 마련도 필요하다.

      • 단사진 기반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한 기술연구

        한성만(Han, Soung Man),유충현(Yoo, Chung Hyeon),위광재(Wie, Gwang Jae) 대한공간정보학회 2018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학술대회 Vol.2018 No.5

        3차원 가상현실, 실감정사영상 등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건물 및 구조물에 대한 정밀한 3차원 공간정보제작이 중요하다. 최근 급격한 도시발달로 인해 요구되는 공간정보는 정밀도, 정확도 외에 신속성까지 요구하고 있다. 신속한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위해서는 제작Tool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 및 편의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기존의 방법으로 3차원공간정보 제작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고가의 3차원 입체시 장비와 다년간의 사업 수행경험이 있는 숙련된 기술자가 필요했다. 최근 낱장의 항공사진을 이용해 3차원공간정보를 구축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해외에서 출시되었으나 적지 않은 금액의 라이선스 비용, 꾸준한 기술지원의 어려움 때문에 현장에서 폭넓게 쓰이지는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3차원 공간정보를 구축함에 있어 경험이 적은 기술자도 간단한 기술교육만으로도 쉽게 접근할 수 있고 고가의 입체시 장비 없이도 3차원 공간정보 제작을 할 수 있으며, 데이터를 신속하게 만들어 낼 수 있으나 제작된 성과는 국토지리정보원의 ‘항공사진측량 작업규정’ 및 ‘3차원 국토공간정보구축 작업규정’을 준수하며 성과의 정확도는 작업규정 내의 묘사오차 허용범위 안에 들어오는 기술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지역은 다양한 모습의 빌딩이 존재하는 여의도로 선정했으며 본 소프트웨어로 생성한 건물을 DXF포맷으로 내보내기 한 후 도화데이터와 비교분석하는 방법으로 정확도를 검증해 보았다. 검증 결과 국토지리정보원 수치지도 작업규정에 만족하는 정확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It is important to produce precis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about buildings and structures in order to produce 3D virtual reality, real sense orthoimages, etc. We require not only precision and accuracy of spatial information but also promptness of it, because of rapid urban development recently. In order to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quickly, user’s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about the production tool are crucial. It is necessary to have expensive 3D stereoscopic equipment and skilled technicians who have a lot of experiences about projects in order to perform 3D spatial information production in the conventional ways. Although the software for building 3D spatial information using a single aerial photograph has been released overseas, it has not been used widely in the field due to high-priced license and difficulty of steady technical suppor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the accuracy of the result is within the permissible error tolerance range and the result complies with the "Aeronautical Photogrammetric Survey Regulations" and the "3D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The advantages of these technologies are that skilled experts can access easily with data and produce 3D spatial information rapidly without expensive stereoscopic equipment. The study area was selected as Yeouido where various buildings are located, and the buildings created by this software was exported as DXF format. The accuracy of data was compared and verified with drawing data. As a result of the ve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accuracy satisfying with the digital map production regulations of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 KCI등재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류정림,문선기,추승연 대한공간정보학회 2015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Vol.23 No.5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 u-GIS 환경에서 효율적인 공간 정보 유통을 위한 S-XML 변환 기법

        이동욱,백성하,김경배,배해영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In u-GIS environment, we collect spatial data needed through sensor network and provide them with information real-time processed or stored. When information through Internet is requested on Web based applications, it is transmitted in XML. Especially, when requested information includes spatial data, GML, S-XML, and other document that can process spatial data are used. In this processing, real-time stream data processed in DSMS is transformed to S-XML document type and spatial information service based on web receive S-XML document through Internet. Because most of spatial application service use existing spatial DBMS as a storage system, The data used in S-XML and SDBMS needs transformation between themselves. In this paper, we propose S-XML a transformation method using caching of spatial data. The proposed method caches the spatial data part of S-XML to transform S-XML and relational spatial database for providing spatial data efficiently and it transforms cached data without additional transformation cost when a transformation between data in the same region is required. Through proposed method, we show that it reduced the cost of transformation between S-XML documents and spatial information services based on web to provide spatial information in u-GIS environment and increased the performance of query processing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u-GIS 환경에서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해 필요한 공간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실시간 처리 및 가공 또는 기 저장 되어 있는 정보와 함께 유통된다. 웹 기반 응용서비스 등에서 인터넷 망을 통한 정보가 요청되는 경우 표준 문서인 XML로 전달된다. 특히 요청되는 정보에 공간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공간데이터 처리가 가능한 GML, S-XML 등의 문서가 사용된다. 이 과정에서 DSMS에서와 같이 실시간 처리된 스트림데이터는 S-XML 문서 형태로 변환되고, 웹 기반의 공간정보 응용서비스는 인터넷 망을 통해 S-XML 문서를 전달 받는다. 대부분의 공간정보 응용서비스는 저장시스템으로 기존의 공간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사용하기 때문에 S-XML 데이터와 SDBMS에서 사용되는 데이터간의 상호 변환과정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공간 데이터의 캐싱을 이용한 S-XML 변환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공간 정보 유통을 위한 S-XML과 관계형 공간 데이터베이스와의 효율적인 변환을 위해, S-XML에서 공간 데이터에 해당하는 부분을 캐싱하고, 동일 지역의 공간데이터에 대한 변환이 요구될 경우 캐시 데이터를 재사용하여 별도의 변환 비용 없이 변환한다. 제안 기법을 통해 u-GIS 환경에서 공간정보의 유통을 위한 S-XML 문서와 이를 이용하는 웹 기반 공간정보 응용서비스 사이의 변환 비용을 감소하였으며, 성능평가를 통하여 질의 처리 성능이 향상됨을 보인다.

      • KCI등재

        산사태 위험분석을 위한 국가공간정보 목록 작성에 관한 연구

        김태우,윤홍식,송문수 대한공간정보학회 2017 대한공간정보학회지 Vol.25 No.4

        In the Korea national spatial data infrastructure(NSDI) Portal, a large amount of spatial information produced or hel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is registered and circulated. In order to activate the use of spatial information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our life, it is required to create and manage a list of spatial information in various fields. Currently, NSDI classifies spatial information into seven type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functional classification system. It is difficult for ordinary users to find the information that they want among huge amounts of spatial information that are produced or possessed by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Especially, There are 28 kinds of spatial information data sets regarding public order and safety in NSDI. These data sets are about 1.1% of the total spatial information. In this study, a list of spatial information for disaster management was prepared, and inventory information on digital topographic map, satellite image, and digital elevation model was surveyed based on basic spatial information as a basis of spatial information utilization. In addition, layer information included in various thematic maps is cataloged according to disaster characteristics such as geological, or geographical features. 국가공간정보포털에서는 공공 및 민간에서 생산하거나 보유한 대량의 공간정보가 등록·유통되고 있다. 우리 생활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공간정보의 이용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분야의 공간정보목록의 작성·관리가 요구된다. 현재 국가공간정보포털에는 정부기능분류체계에 따라 7개 유형으로 공간정보를 분류하여 제공하고 있다. 일반 사용자들은 공공 및 민간에서 생산하거나 보유한 막대한 양의 공간정보 가운데에서 찾고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렵다. 특히, 공공질서및안전 분야의 경우 1.1%에 해당하는 28종의 공간정보가 등록·유통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재난관리를 위한 공간정보목록을 작성하였으며, 공간정보 활용의 기본이 되는 기본공간정보를 중심으로 수치지형도, 위성영상, 수치표고모델에 대한 목록정보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각종 주제도에 포함된 레이어 정보를 지질학적, 지형학적 등 재난특성 별로 목록화 하여 산사태 위험분석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 공간 위계별 공간정보 융·복합 추진방안

        조춘만,황성남,Cho, Chun Man,Hwang, Seong Nam 한국공간정보학회 2013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1 No.5

        As ICTs are more advanced, in the current Smart Society that can be characterized by the terms of real-time, mobility and customization, the area of Geospatial Information is required to react to the needs of the society in more practical ways. Because Geospatial Information is getting more accepted as one of the very basic social infrastructure for everyday life activities in all sectors of life. In accordance, the legal basis of convergence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described on Geospatial Information Industry Support Law(Article 2, Item 7 & Article 4 Item 5). But it is required to come up with more detailed and practical definition of convergence GIS with more detailed supporting policies. In this context, this study aims at investigating what the needs of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are in the Smart Society, and suggesting the policy directions and realization strategies of convergence GIS based on spatial hierarchy from global to local. 정보통신기술(ICT)의 발전에 따라 실시간성, 이동성 및 맞춤성 등의 특성으로 대표될 수 있는 오늘날 스마트 사회에서는 공간정보 분야가 보다 적극적으로 사회적 필요성에 대응할 수 있는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왜냐하면 공간정보는 모든 사람활동의 기반이 되는 매우 중요한 기반인프라로서 정보통신의 발달과 더불어 매우 중요한 사회적 기반(Social Infrastructure)으로까지 승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이미 공간정보를 기반으로 다양한 콘텐츠와 기기 등이 결합된 융복합 공간정보 관련 제도기반으로서 공간정보산업진흥법이 마련되어 있다(법제2조7항, 법제4조5항). 그러나 보다 구체적으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명확한 정의 및 세부 지원방안 등이 향후 발전과제로 남이 있다. 이상과 같은 시대적 배경 하에 본 연구수행의 목적은 스마트사회에 요구되는 공간정보서비스로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의 추진방향과 실현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특히, 최근 공간정보 수요는 글로벌, 국가 및 지역 등 다양한 공간위계에서 융복합화의 필요성이 재기되고 실제 실행서비스들이 구현되고 있는 추세에 있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적 공간위계별로 스마트사회의 특성과 공간정보의 역할변화를 고찰하고, 사회적 수요에 대응한 융복합 공간정보서비스 추진의 기본방향과 실현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건축공간 계획방향 연구 - 연구ㆍ교육 활성화를 위한 도서관 정보공간 계획

        Kum-Jin Lee,Jong-Do Park 한국재난정보학회 2018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시대 교육콘텐츠 확보 및 다변하는 도서관 공간∙기능에 대응하여 사회적 변화에 대처할 수 있는 탄력∙창조적 복합기능 정보공간과 인적자원 교류 및 커뮤니티 기반을 갖춘 지역사회 도서관 정보공간 구축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지식, 정보, 기술 및 환경 등 교육 및 연구에 필요한 장소와 컨텐츠를 제공하는 기관으로서 장서중심에서 이용자 중심으로, 특정 이용자 중심에서 지역사회와 자원을 공유하는 도서관으로의 확대∙변화를 추구하여 연구 및 교육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지역도서관으로서의 가치를 증대하고 이용자 중심의 공간 활용을 확대할 수 있는 지역커뮤니티를 위한 도서관 계획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프로그램의 커뮤니티 측면에서는 문화∙엔터테인먼트∙협업 프로그램 활성화 및 사회∙인적 커뮤니티 조성을 통해 도서관의 프로그램을 보완하고 공간을 다변화하여 공간운영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이용자 중심의 연구∙교류 및 커뮤니티 활성화를 도모한다. 둘째, 운영∙환경의 스마트 지원 측면에서는 정보기술기반의 지식문화구현, 공공데이터제공과 지역사회 정보교류, 이용자 중심의 스마트 관리운영 시스템을 구축을 통해 IT정보기술을 기반의 장서∙열람공간이 스마트화정보공간으로 전환하여 지역사회와 상호이용 가능한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활용한 연구생산성을 확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method to construct the information space of community library with the resilient and creative complex information function space, human resources exchange and community base to cope with social changes in response to various contents of library space and functions . As an institution that provides the places and contents necessary for education and research such as knowledge, information, technology and environment, it aims to expand and change from the collection center to the user center, from the specific user center to the library that shares resources with the community, And to find ways to contribute to the revitalization of education. A library plan for communities that can increase the value of local libraries and expand user-centered space utilization is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communities in space and programs, the program will be supplemented through the activation of cultural, entertainment, and collaboration programs and the creation of social and human communities. Second, in terms of smart support for operational and environmental issues, the establishment of a knowledge culture based on information technology, provision of public data and community information exchange, and establishment of smart management operating system centered on users, And to expand the research productivity by efficiently utilizing mutually available data with the local community.

      •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

        김정엽,박수홍,이용익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9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Vol.11 No.1

        Geospatial information, which deeply has an effect on our life, have been evolved as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in Ubiquitous era. Also, Various services are introduced using the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However, there is no classification system, for understanding the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services, considering any developers and users. It needs to be classification system to classify these services. In this paper, we introduced a concept of intelligent geospatial information and developed a service classification matrix regarding to the features of the services. This service classification matrix has three scales; service domain, service intelligent level, and geo-location accuracy. The propose of this matrix can be utilized in two aspects. First, the matrix can improve the reality that doesn't reflect actual demands for the services. Second, the matrix can present the goal of the new services or the development direction. The matrix can be utilized to the geospatial industry as creating the new blue ocean services. However, the service classification matrix needs to modify and complement to have no anything wrong when the various services are applied to the matrix. In the long run, the matrix has to be utilized as a material to make out a service roadmap or TRM(Technical Reference Model). 우리가 살아가는 삶속에 깊숙이 파고든 공간정보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맞춰 지능형 공간정보로 진화하고 있다. 또한 이를 이용한 다양한 서비스 모델이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서비스에 대하여 사용자와 제공자에게 동시에 설명할 수 있는 분류체계는 존재하지 않는다. 이에 다양한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들을 체계적으로 분류할 수 있는 체계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능형 공간정보의 개념을 소개하고 공간정보 서비스들의 특성을 고려한 서비스 분류 체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지능형 공간정보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는 지능수준 척도, 공간정보 정확도, 서비스 영역을 기준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는 두 가지 관점에서 활용될 수 있다. 첫째, 지능형 공간정보의 수요가 늘어나면서 유사한 기능만을 가진 채 실수요를 반영하지 못하고 중복된 서비스들이 나타나는 현실을 개선시킬 수 있다. 둘째, 공간정보 산업의 현황을 들여다보고 새로 진입하게 되는 서비스의 목표 선정이나 미래의 발전 방향을 제시할 수 있다. 이러한 활용을 토대로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는 새로운 블루오션 창출과 같이 공간정보 사업 활성화를 이루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서비스 분류 매트릭스는 향후 개발될 다양한 서비스를 적용하는데 있어 문제점이 없도록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다. 그리고 분류 매트릭스는 궁극적으로 서비스 로드맵을 작성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되거나 참조모델로서 활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하여 U-City의 미래를 더욱 밝게 할 것이다.

      • 개방형 BIM 기반 IFC 모델을 이용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도구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류정림,문선기,추승연,Ryu, Jung Rim,Mun, Son Ki,Choo, Seung Yeon 한국공간정보학회 2015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23 No.5

        2013년 국토교통부는 부가가치와 활용도가 높은 실내공간정보를 국가 핵심 공간정보로 구축 관리하기 위하여 '기본공간정보'로 추가 지정하였으며, 이에 전국의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법률적 근거와 계기가 마련되었다. 하지만 측량/촬영 및 레이저스캐닝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구축할 경우 실내공간의 매핑으로 시각적 서비스차원의 활용은 유리하지만 시간적, 인적, 물적 자원의 소비가 크고 속성정보의 입력을 위해 추가적인 정보가공을 필요로 하는 등 유지관리 측면과 국내 AEC/FM 분야 정보의 활용이 제한적이라고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방형 BIM 기반의 IFC 모델을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고 이를 데이터 시각화 기술과 연계하여 이해와 표현이 쉬운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실내공간정보의 활용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시각화 도구는 Autodesk사의 Revit 내부 프로그램인 IFC Exporter의 오픈소스를 이용하여 실내공간정보를 추출하였으며 실내공간정보의 시각화를 위해서는 Direct3D Library를 사용하였다. 생성된 실내공간정보 객체는 XML 포맷과 상호호환이 가능하며 시설물 유지관리 분야의 COBie 연계, 항공촬영 혹은 UAV를 활용한 공간데이터베이스 구축, 대규모 군사작전 시뮬레이션, 재해/재난 발생 시 대규모 피난 시뮬레이션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실내공간정보 시각화 방안은 국가의 공간정보정책방향에 부합하고 기존 데이터에서 추출하여 생성함으로써 정보생산의 단계가 간편하다. 또한, IFC 기반의 실내공간정보 객체로써 상호운용성이 높고 정보의 편집이 용이하며 데이터의 경량성 측면에서 우수하다. MOLIT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authorized Indoor Spatial Information as Basic spatial information in 2013. It became a legal evidence for constructing and managing Indoor Spatial Information. Although it has a little advantage to utilize as service level tha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laser scan or measurement, it has a lot of problems such as consuming many resources, requiring additional progresses for inputting Object Information. In conclusion, it is inefficient to utilize for the maintenance and domestic AEC/FM field.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by operating IFC model which based on open BIM and to improve availability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with data visualization. The open-sources of IFC Exporter, a inner program of Revit (Autodesk Inc), is used to output Indoor Spatial Information. Directs 3D Library is also operated to visualize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is possible to inter-operate between XML format and the objects of Indoor Spatial Information. It can be utilized in various field as well. For example COBie linkage in facility management, construction of geo-database using air-photogrammetry of UAV (Unmaned Areal Vehicle),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military operations and the simulation of large-scale evacuation. The method that is purposed in this study has outstanding advantages such as conformance with national spatial information policy, high level of interoperability as indoor spatial information objects based on IFC, convenience of editing information, light level of data and simplifying progress of producing inform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