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가야 불교의 전래시기에 관하여 -인문학적 상상력을 중심으로

        장재진 바른역사학술원 2018 역사와융합 Vol.- No.3

        ‘가야불교’의 전래시기와 전승주체에 관련해서 분분하게 논의되어 왔다. 문헌과 유적 및 유물이 부족한 이천여 년 전에 발생했을 것이라고 믿어지는 사건에대해 정의하고자 하니 간단한 문제가 될 수 없다.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는 ‘가야불교’에 대한 개념정립과 함께 정의할 수 있는 문제인데 과연 어떤 종류의 불교가 전래되었는지가 모호하다. 학문하는 방법에 대한 보편적인 인식이 문헌과 고증에 초점을 맞춘 사회과학적 방법론에 의거한 것인지, 인문학적 방법론을 토대로 한 관점인 것인지에 따라서 연구방법과 결론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가야에 전래된 불교가 어떤 종류의 불교인가? 어떤 루트를 통해서 전래되었는가? 어떤 인물이나 전승집단을 통해서 전래되었는가? 그리고 어떤 지역에 전래되었는가? 에 대한 의문으로 가야불교 전래시기에 대한 문제의식이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가야불교 전래의 시기를 고찰해 볼 때, 불교의 수용과 공인 그리고 불교의 융성에 따른 흐름을 고찰하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하면 ‘전래시기’라고 하는 것이 초기의 전래에서 어느 시기까지를 규정할 것인지가 하나의 관건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전래 시기와 수용된 시기에 대해서 처음으로 전래되어 민간에서 유포되었다면 어느 정도의 상황을 전래된 시기로 볼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에 대한 답을 줄 만한 문헌상의 정확한 기록은 없다. 불교의 시작점을기록한 공식적인 입장을 국가에서 공인된 시점으로 전래의 시기를 삼고 있지만, 가야불교의 경우는 이와 다르다. 문헌과 사료에만 의존했던 연구의 한계를 문화교류사의 관점에서 폭 넓은 시각으로 확장시켜야 할 것인지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문제이다. 이제까지의 연구를 종합해서 가야불교 전래의 시기를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북방불교 전래설을 따르든지 남방불교 전래설을 따르든지 상관없이왕후사 창건을 역사적 사실의 시작점으로 보고자 하는 견해(AD 452년)가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고구려, 백제, 가야, 신라의 순서로 공식적인 불교의 공인이정해진다. 둘째, 김수로왕이 즉위하고 도읍을 정할 때(즉위 2년)를 가야불교의시작점으로 보는 견해(AD 44)가 있다. 이 견해에 따르면 기존의 가야불교 전래설(AD 452년)보다 불교전래의 시발점을 372년 올려 잡을 수 있다. 셋째,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왕후사 창건의 시기(AD 452년)나 김수로왕 즉위 후 도읍을정하는 시기(즉위 2년)로 보는 견해는 왕이나 ‘국가에 의해서 불교가 공인’된 시기를 시발점으로 본 것이다. 이와 달리 불교가 전래되어 민간에 유포된 경우를고려해 본다면 훨씬 이전으로 추측해 볼 수 있다. 넷째, 허왕후의 한반도 도래와 동시에 불교가 전래(AD 48)되었다고 본다면 가야불교 전래의 시기는 허왕후와함께하게 된다.

      • KCI등재

        가야 연화문과 가야 불교

        양은경(Eun Gyeng Yang) 부산고고학회 2017 고고광장 Vol.- No.21

        This article begins by asking the question whether Buddhism existed in the Kingdom of Gaya. I traced Gaya’s brand of Buddhism based on real materials, i.e. lotus flower patterns, rather than engaging in research focusing on existing literature. I compared the lotus flower patterns of China with those of the Three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Silla, Baekje, and Koguryeo), using historic sites and relics of Gaya associated with them as basic materials. Although few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remain today, they display a wide range of shapes, and there are many whose periods have not yet been identified. Thus, I engaged in the work of estimating the period of the remaining patterns and how they changed over time by classifying them into types. Thus, the remaining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were divided into six types. As regards their shapes, there are single, double, and triple petals, with pointed petals outnumbering round-shaped ones. About half of them display decorative petal lines/angles or ovaries, while the other half do not. I traced the periods of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by using information on the sites from which they were unearthed and a method based on classification of their types. Thus, No. M3 Tomb in Okjeon, Hapcheon and No. 8 Tomb in Dohang-ri, Haman are said to date back to the late fifth century; No.2 Kiln in Songrim-ri, Goryeong and the one in 158-2 Goa-ri, Goryeong to the early sixth century; and the tomb with murals in Goa-dong to the mid-sixth century. As for the lotus petals, single/plural petals were prevalent in the late fifth century and double petals in the sixth century. Pointed petals were in fashion in all the periods. However, I could not confirm the connection between decorative lines/angles pips and the periods. As it was impossible to determine the periods of the lotus flower patterns made on convex roof-end tiles, they were estimat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concave roof-end tiles unearthed together with them and examining their production techniques. The lotus flower patterns made on the convex roof-end tiles collected from the sites of Dae Gaya royal palaces were estimated to date back to the period preceding the fall of the kingdom in the sixth century based on the shape of decorative lines on the single petals, the way convex roof-end tiles were joined to their concave counterparts, and the way concave roof-end tiles were made. Some of the lotus flower patterns made on the convex roof-end tiles unearthed from Jisan-ri, Goryeong display similarities with those on the original roof tiles of Heungryunsa Temple in terms of the patterns themselves and the production techniques. Thus, they were also estimated to date back to the period preceding the fall of Dae Gaya in the sixth century. I surmise that the lotus flower patterns found in East Asia are associated with Buddhism, and also that the lotus flower patterns made in China from the late fifth to the mid-sixth century and those of the Three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 when the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were made - are directly linked to Buddhism. This article also looks at how lotus flower patterns developed in order to ascertain the interrelationships between the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and Buddhism, and whether Buddhism existed in Gaya, with the help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e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are thought to have been associated with Goguryeo and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in the late fifth century and with Baekje and Silla by the early sixth century. Only a few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remain, but they appear to have derived from diverse sources and systems. Gaya was engaged in a direct diplomatic relationship with the Southern Dynasties of China in the late fifth century, yet the writer could not identify any factors associated with them in the lotus flower patterns of Gaya. In this sense, the lotus flower patterns found in No.8 Tomb in Dohang-ri and the si 본고는 가야에는 과연 불교가 존재하였는가에 대한 의문점을 던지면서 출발하게 되었다. 이에 필자는 기존의 문헌중심 연구에서 벗어나 연화문이라는 실물자료를 기준으로 가야 불교를 추적하였다. 가야 연화문은 현존하는 수량은 적지만 다 양한 형태를 보일 뿐만 아니라 연대가 밝혀지지 않은 사례들이 많았다. 그렇기 때문에 필자는 일차적으로 유형분류를 통 한 연화문의 변화상과 연대를 추정하는 작업을 하였다. 형식분류 결과 가야 연화문은 총 6가지로 구분되었다. 연판의 형태는 단판, 복판, 중판이 모두 확인되었으며 판단은 뾰족한 형태가 둥근 예보다 많은 수를 차지하였다. 능선 혹은 능각의 장식유무와 자방부의 유무는 반반을 차지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가야 연화문에 대한 연대는 유물이 출토된 유적지의 기존 연대를 활용한 방법과 유형분류를 기초로 한 방법으로 나누어 추적하였다. 연판의 형태는 5세기 후반에는 단판과 복판이, 6세기에는 중판이 확인되었다. 판단은 뾰족한 형태가 시기를 막론하고 유행하였다. 능선, 능각 등의 장식과 연자배치는 시기적인 차이가 확인되지 않았다. 유적의 연대가 규명되지 않은 연화문은 모두 수막새에 표현된 것이었다. 이에 수막새의 제작기법과 동반 출토된 암키 와와의 비교분석도 참고로 하여 연대를 추정하였다. 전 대가야궁성지에서 지표 채집된 연화문 수막새는 단판 능선의 연판 형태, 수키와被覆接合法, 고식 암키와 조와술을 통해 6세기대 대가야 멸망 이전시기로 추정하였다. 고령 지산리일대에서 출토된 연화문수막새 중 일부 유형은 흥륜사 창건와와 문양, 제작기법면에서 유사성이 발견되어 6세기대 대가야 멸망 이 전시기로 편년하였다. 일반적으로 동아시아에서 연화문은 불교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므로 본고에서는 가야 연화문과 불교와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해 연화문양의 계통문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문헌기록과의 결부를 통해 가야에 불교가 존재하였는지를 고찰하였다. 가야 연화문양은 5세기 후반에는 고구려, 남조와의 관련성이 엿보였으며, 6세기로 접어들면 백제, 신라와의 영향관계가 확인되었다. 현존하는 가야 연화문은 그 수량은 적지만 기원처와 계통은 다양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가야는 5세기 후반 중국 남조와의 직접적인 외교관계를 진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오늘날까지 남조적인 요소를 확인할 수 없었다. 이러한 의미에서 도항리 8호분과 송림리 가마터의 연화문은 남조와의 교류를 시사하는 중요한 자료로 평가할 수 있다. 고아동벽화 속 연화문은 고구려 고분벽화와 동일하게 불교적인 의미를 내포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고령에서 발견된 연화문수막새 역시 당시 중국, 삼국과 동일하게 불교적인 내용을 가진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러한 추론은 가야인들이 불교를 인식하고 있었기 때문에 가능하다고 보았다. 가야인들의 불교인식에 대한 근거로는 『三國遺事』기록 속 452년 금관가야 왕후사의 존재와 월광태자의 명칭에서 확인되는 불교식 명칭, 6세기 초중반 백제가 불교를 외교정책에 적극적으로 이용한 사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가야’(Gaya) 명칭의 어원(語源)과 가야불교의 시원(始原)

        고영섭 ( Ko Young-seop ) 한국불교사연구소 2017 한국불교사연구 Vol.12 No.-

        이 논문은 한국 고대사에서 삼국에 맞섰던 ‘가야’(Gaya)의 명칭과 가야불교의 시원에 대해 탐구한 글이다. 한반도 남부에 자리했던 가야는 고구려와 백제와 신라에 맞서며 왜국까지 경략하였던 제4의 제국이었다. 수로왕은 붓다의 성도지이자 우리의 영원한 고향인 ‘부다(보드)가야’를 의식하여 나라 이름을 불교식 국명인 ‘가야국’ 혹은 ‘대가락’(가락은 가야의 이명)으로 정하였다. 나아가 수로왕은 가야의 새로운 왕성터를 ‘십육 나한이 살만한 곳’이자 ‘일곱 성인이 살만한 곳’이라는 불교적 왕성 비정을 통해 국제적으로 앞선 선진문물인 불교의 이념에 의해 나라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이 때문에 수로왕이 대륙에서 서해를 건너온 서기 42년은 가야국의 건국 해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왕에 의해 법제적으로 공인된 가야불교의 시원년이기도 하다. 수로왕의 8대손인 질지왕은 수로왕의 뜻을 받들어 대왕사와 왕후사를 건립함으로써 불교 공인을 재천명 하였고 재확인 하였다. 이후 가야는 불교의 이념에 의해 나라를 통치하면서도 철기문화와 조선(造船)기술을 주축으로 대륙과 해양과 교역하여 고구려와 백제 및 신라에 필적하는 사국시대를 안착시켰다. 그리하여 전기의 금관가야 및 아라가야와 철기문화를 기반으로 반도와 대륙과 교역하였던 후기의 대가야는 고대의 한일 및 한중 관계사에서 매우 주요한 족적을 남겼다. 따라서 전기의 금관가야와 아라가야 및 후기의 대가야는 가야제국을 주도한 나라였다는 점에서 이들 나라에 대한 통합적 이해가 필요하며, 이들의 정신문화를 꽃피웠던 불교의 전래와 문화에 대한 종합적 이해도 요청된다. This paper examines the etymology of the name of the country Gaya and the origin of Gayan Buddhism. Gaya, a country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as one of the Four Kingdoms, not only equally competitive with other three kingdoms but also strong enough to invade Japan. King Suro named the country “Gaya,” or “Great Gaya,” after Buddha Gaya where Buddha attained enlightenment, and thus became the spiritual home of Buddhists. King Suro called the new palace site of Gaya both “a place where 16 arhats will live” and “a place where 7 saints will live.” By presenting such a Buddhistic view of the name of the new palace site, he showed his intention to build a country that would be ruled based on Buddhist ideology, which was considered an advance in civilization from the international point of view. For this reason, the year AD 42, when King Suro arrived at Gaya by sailing the West Sea, was both the year of the founding of the country and the first year of Gayan Buddhism. King Suro’s eighth-generation descendant, King Jilji, reconfirmed official recognition of Buddhism by founding the Daewang and Wanghu temples. After that, Gaya was ruled based on Buddhist ideology while focusing on advanced culture such as iron technology and shipbuilding, which led the country to expand its trade range overseas. As a result, Gaya opened the Period of the Four Kingdoms by becoming a country equally competent to the other three kingdoms, Koguryo, Baekje, and Shilla. Thus, Golden Crown Gaya as well as Ara Gaya of the early Gaya period and Great Gaya of the latter Gaya period, which carried on commerce with mainland China, left a very important imprint on the ancient history of Gaya in terms of relations among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These were the major Gaya kingdoms. Therefore,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hese kingdoms is required as well as a more synthetic understanding of the reception and development of Buddhism, which was their spiritual culture.

      • KCI등재

        가야불교(伽倻佛敎)에서 가야산(伽倻山)이 지니는 의미에 관한 고찰

        정명진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2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54

        본 논문은 고대 한반도 남쪽에 건국된 가야지역의 불교전래를 검토하는 연구논문이다. 한반도 남쪽에 위치하는 가야는 한국사에 있어서 고대 국가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러한 이유는 한반도의 역사가 삼국을 중심으로 기록되어 있기 때문이다. 삼국을 중심으로 역사가 기록되어 있기 때문에 그에 따른 한반도 불교전래도 중국을 통해 삼국에 전래되었다는 것이 일반적인 정설이다. 중국을 통한 한반도 불교전래와는 달리 가야의 불교는 중국을 통한 전래가 아닌, 인도에서 불교가 직접 전래된 것으로 추정한다. 가야역사는 일연의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으며, 가야불교 전래도 아유타국에서 가야로 시집온 허황옥을 통해 인도의 불교가 가야로 바로 전래되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가야불교의 전래를 가야지역에 남아 있는 불교유적지 중에서 가야산을 중심으로 가야불교를 살펴보겠다. 가야산은 『삼국유사』에 의하면, 가야가 건국될 당시 북동쪽의 국경지역이다. 『삼국유사』에 의해서 가야산의 명칭은 가야의 건국과 함께 한 것으로 생각해 볼 수 있다. 『신증동국여지승람』 「석이정전」에 의하면, 순응·이정 두 스님이 해인사를 창건할 당시 가야산은 우두산으로 불렸다. 가야산이 우두산으로 불린 이유는 가야의 원어를 통해 알 수 있다. 가야는 범어로 ‘gayā’이다. ‘gayā’는 소(牛)를 의미한다. ‘gayā’는 코끼리(象)로 한역되기도 한다. 그 이유는 ‘gayā’가 코끼리를 의미하는 범어 ‘gaja’와 서로 음이 통하기 때문에 소와 코끼리로 번역된다. ‘gayā’의 원어와 한역 과정을 통해 가야산은 우두산, 상왕산으로 불리었다고 생각할 수 있다. 가야를 의미하는 소와 코끼리는 불교와 관련이 있는 동물이다. 우두산과 상왕산을 통해서 가야산은 불교를 바탕으로 하고 있는 산명이라 생각할 수 있다. 결국 가야의 국경지역인 가야산은 가야불교를 바탕으로 하는 산명이라 생각된다. 가야산의 산명뿐만 아니라 가야산내의 유적지에도 가야와 관련한 설화가 남아있다. 가야산 정상인 칠불봉은 허황옥의 7아들과 허황옥의 오빠인 장유화상이 수행한 곳이고, 가야산내 해인사의 영지는 수행하는 7왕자를 보기 위해 허황옥이 다녀간 곳이다. 가야산의 설화에 나오는 허황옥과 7왕자 그리고 장유화상은 가야건국에서 언급되는 인물들이다. 이렇듯 가야산은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추정할 수 있고, 가야인의 수행흔적이 남아 있는 유적지인 것이다. 가야산은 가야의 의미를 통해서 불교와 관련이 있는 산명이며, 가야산내의 유적을 통해 가야불교의 영향을 받은 지역이라 할 수 있다. 가야산을 통해 가야의 불교전래는 가야 건국 당시 가야에 시집온 허황옥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황정일(Hwang, Jung Il)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가야는「삼국유사」에서 언급된 이후 그 역사성과 더불어 불교 전래와 관련해서 끊임없이 그 진위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불교와 관련해서는 ‘가락(駕洛)’이라는 국명(國名)과 아유타(阿踰陀)라는 전래 지역, 그리고 그 전래 시기가 문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불전(佛典)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함으로써「삼국유사」에서의 가야불교와 관련한 진위를 논구했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야의 국명과 관련한 기존의 주장은 1) 인도의 붓다-가야 (Buddha-Gaya)라는 불교적 지명에 근거한 주장, 2) 남인도 드라비다어 에서 ‘가야’가 물고기를 뜻하기 때문에 가야 지역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되었다는 주장, 3) 고대 한국어의 음운변화(音韻變化)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삼국유사」「어산불영」의 내용과 그 음역어를 추적한 결과, 가야의 원어는 나게라갈(那揭羅曷)에 해당하는 nagarahara에서 유래한 것으로 논구했다. 특히, 이곳은 과거 동서양을 잇는 교역지였으며, 불경과 불상이 중국으로 전해졌던 간다라 (Gandhara) 지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불교의 전래 지역과 관련해서 1) 아유타(阿踰陀)는「라마야나」이후 만들어진 가상의 도시라는 허구설과, 2) 남인도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한 남인도 출자설 등에 대해서는 논자의 기존 연구를 보완해서 고대 인도 중북부 지역에 실존했던 도시로 보았다. 셋째, 가야불교 전래 시기와 관련해서는 「삼국유사」「파사석탑」에서 언급된 ‘상교(像敎)’라는 말에 주목했다. ‘상교=불교’로 이해하는 일반적 해석이 아니라, 상교라는 단어의 본래 뜻인 불상과 교법으로 해석해 보면, ‘상교’ 가 나오는 구절을 ‘불상과 경전이 없어서 절을 짓지 못했다’로 번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면,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는 가야 성립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 Ever since it was mentioned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Gaya, the name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has been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s of whether it actually existed or not, and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n peninsul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Buddhism, the state name of Garak(駕洛), Ayuta(阿踰陀) from which region Buddhism was said to be imported to ancient Korea, and the connection time have been controversial.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ranslite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o define the truth or falsehood of Gaya Buddhist mentioned in Samgukyus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Gaya state name include 1) the Buddhist name place known as Buddha-Gaya in India, 2) Gaya s fish worship faith since Gaya means fish in South Indian Dravidian, and 3) Korean phonological change. However, this writer explored Samgukyusa s Eosanbulyeong(魚山佛影) tale and corresponding transliterations, finding that the word Gaya came from nagarahara mentioned as Nageragal(那揭羅曷). In particular, this place was found to have been a trade hub connecting the West and East in ancient times, and part of Gandhara from which region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were brought to China. Second, with regard to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origin from which Buddhism was brought to Gaya, which include 1) Ayuta(阿踰陀) was an imaginary city created after Ramayana and 2) South India in relation to South India s fish worship faith, this writer complemented the existing theories and saw the area as an actual city in the middle and north region in ancient India. Third, with regard to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attention was paid to ‘Sanggyo(像敎)’ mentioned in Samgukyusa s PasaSeokdap(婆娑石塔). Apar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f ‘Sanggyo=Buddhism’, if the word Sanggyo is originally meant as Buddha image and Buddha teaching, it can be translated as being unable to build temples due to the absence of Buddha image and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if this interpretation is allowed,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founding time of Gaya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anggyo.

      • KCI등재

        고대 해상루트를 통한 불교전파의 가능성과 의미

        한지연 ( Jee Yeon Han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16 동아시아불교문화 Vol.0 No.25

        한국의 고대 가야국에 대한 연구는 다방면으로 진행되어 왔고, 특히 불교전파와 관련하여 허황후에 대한 역사적 사실을 밝히는데 상당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허황후를 매개로 한 불교전파가 한국불교에 있어 어떤 의의를 갖는가에 대해서는 고려의 대상이 되지는 않았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허황후를 중심으로 둘러싼 쌍어문雙魚紋, 불교를 중심으로 고대 해상루트와 가야와의 관계를 밝히고 이를 통해 가야불교의 시발점이 한국불교의 정체성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가를 밝혀본다. 쌍어문은 육로 및 해상로 전역에서 발견되고 있는데 이에 대한 원류를 메소포타미아의 수메르 신화에서 찾아보았다. 그리고 전파과정에서 중국 삼국시대에 등장하는 쌍어와 철기문화와의 관계를 고찰하였다. 즉, 메소포타미아-중국 남부지역과 가야에이르는 철기문화의 연관성을 쌍어문과 연결시키는 시도를 하였다. 이어서 고대 경제무역권을 기반으로 한 전파과정에서 이루어진 불교의 전래문제를 다룬다. 허황후가 중국 남부지역이 아닌 인도 아유타국 출신일 가능성은 가야의 불교전래설화에서 등장하는 불탑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중국을 거쳤을 경우에는 불상이 전래될 가능성이 높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동시에 인도 및 해상루트에 있는 여러 국가의 경우 불탑 중심의 불교문화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가야에 전해진 불교는 인도에서 직접 전파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밝혔다. 고대 사상ㆍ문화ㆍ종교 전파의 성립배경에는 경제 및 무역이 존재한다. 본논문에서도 그 예를 밝힌 바와 같이 일상생활에 활용되는 모든 것은 의식하지 못한 채, 경제무역의 주요 물품이 된다. 이는 반대로 생각하면 바로 그러한 일상도구이기 때문에 항상 존재해야 하고, 이를 위한 경제무역이 성립될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활동이 세계문화 교류의 역동성을 낳았다고 생각한다. 고대 가야의 철기 역시 당시 국제경제무역 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배경으로 작용하면서 이를 통해 한반도 내에서는 최초로 인도로부터 직접 불교를 전해받은 고대 국가로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The design of two fish, that is shown in the tale of legendary Queen of Gaya, Heo Hwang Ok, is also easily found on both land and sea routes. The design is found not only in Sumerian mythology of Mesopotamia but also in Three Kingdoms of China. So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there was a link among Mesopotamia, southern China and Gaya. The link was probably the iron age culture and economy. On the myth of the marriage of Queen Heo and King Suro, she brought a pagoda instead of a Buddhist statue. If she came from China, what she brought should have been a statue, because Buddhism in China had preferred statue. So Buddhism the Queen brought and spread in Gaya must had been came directly from India or at least from the Buddhist countries on the sea route from India. The goods used daily have actually been main items of trade and economy. Since Gaya had skills to refine iron, it naturally became qualified to take a part in the international trade market. It gave Gaya the chance to be the first nation which imported Buddhism directly from India without passing through China.

      • KCI등재후보

        가야사와 가야불교사 인식의 새 지평을 위해서

        이덕일 바른역사학술원 2021 역사와융합 Vol.- No.8

        현재 한국의 가야사 인식은 제대로 정리되어 있지 못하다. 가야사를 집중적으로 연구했던 것은 대일항전기 때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었는데, 이들은 가야에대한 사료가 부족한 것을 기회 삼아 『일본서기』에 나온 임나일본부설에 입각해서고대 야마토왜의 식민지가 가야였다는 관점에서 연구한 것이었다. 광복 후 일본인 학자들의 이런 연구에 대해서 한국(남한) 학계는 총론으로는 “임나일본부설을 극복했다”고 비판하는 척했지만 내용적으로는 ‘임나=가야’라는 임나일본부설의 핵심논리를 그대로 반복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반면 북한 학계는 1963년 김석형이 분국설을 제창하면서 형식적, 내용적인인 면에서 임나일본부설을 완전히 폐기시켰다. 그 결과 남북한의 가야사 인식은 극과 극을 달리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북한 학계는 『삼국유사』 「가락국기」 및 『삼국사기』 등의 문헌사료와 옛 가야지역의 각종 고고학 유적, 유물을 가지고 가야 건국시기를 서기 1세기로 인식하지만 남한 학계는 가야가 서기 3세기 경에 건국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가야사 연구에 있어서 또 하나의 중요한 분야는 가야불교사이다. 『삼국유사』 「가락국기」에서 452년 왕후사를 세웠다는 기록을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라고 해석하지만 이는 가야에서 왕실사찰을 세웠다는 기록이지 가야에 불교가 처음 전래되었다는 기록이 아니라고 해석할 수도 있는 것이다. 허왕후가 서기 48년 아유타국에서 가야로 오면서 가져온 파사석탑은 가야불교의 전래시기를 5세기 중엽으로 보는 시각이 문제가 있음을 말해준다. 『삼국사기』의 고구려·백제 불교전래에 관한 기록은 대승불교의 전래기록인데, 최치원이 쓴 「지증대사탑비」에는 대승불교보다 소승불교가 먼저 들어왔다고 해석할 수 있는 내용이 있다. 이런 사실들은 우리가 과거의 가야사 해석, 특히 대일항전기 때 일본인 식민사학자들이 만든 고정된 가야사의 틀을 근본적으로 다시 검토해야 할 시기에 이르렀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 KCI등재

        가야불교와 파사석탑

        조원영 ( Jo¸ One-young ) 부경역사연구소 2021 지역과 역사 Vol.- No.48

        본 논문은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와 전래된 불교의 성격, 그리고 허왕후가 가지고 왔다고 전하는 파사석탑이 가야의 불교 전래와 관련이 있는지를 검토하고자 작성되었다. 가야불교에 대한 자료로는 『삼국유사』에 전하는 단편적 내용뿐이며 그 외에는 대부분 김해지역에 전승되는 자료들에 한정된다. 그중에서 가야불교와 관련된 전승 자료를 살펴보면 대체로 가야에 불교가 전래될 당시의 사정을 알려주는 내용이라기보다는 가야인들에게 불교가 일반화되어 있던 시대를 반영하고 있어 가야불교 전래 시기를 증명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가야에 전래된 불교의 성격에 대해서는 질지왕대 왕후사 창건을 통해 국가불교 또는 왕실불교로 보고 있다. 전래된 불교의 성격이 국가불교라고 한다면 가야 불교는 남방에서 전래된 것이 아니라 중국을 거쳐서 전래되었다는 점이 명확해진다. 가야불교 전래와 관련 짓는 아유타국과 허왕후의 정체는 단언할 수는 없으나 허왕후와 그 일행이 모두 중국식 이름이라는 것과 중국식 관직명을 갖고 있다는 점, 가지고 온 물건도 ‘중국 점포의 여러 물건’으로 표현한 점 등에서 인도와 관련 짓기는 어려운 듯하다. 아마도 아유타국과 허왕후 관련 설화는 후대의 불교적 윤색을 거쳐 불교를 전해준 인도의 어느 지역, 인물로 묘사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가야에 불교가 전래된 증거로 알려진 파사석탑과 관련된 내용이 실려있는 『삼국유사』 ‘금관성파사석탑’조를 살펴보면 수로왕대에는 가야에 창사·봉불하는 일이 없었는데 그 이유는 불교가 전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하면서 가락국 초기에는 불교가 전래되지 않았다고 명확하게 기록하고 있다. 따라서 가야에 불교가 공인된 시점은 왕후사가 창건된 질지왕 2년(452) 전후이며, 불교가 처음 전래된 시기는 그보다 좀 더 이른 백제와의 외교 교섭이 활발했던 시점으로 보는 것이 설득력이 있다고 본다. 허왕후가 가야로 올 때 가져왔다고 전하는 파사석탑은 그 시기에 제작된 인도의 불탑 양식이 아니므로 인도에서 전래된 탑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현재 남아있는 탑 부재의 표면에 새겨진 문양이 많이 마멸되긴 했지만 다포형식의 공포를 표현하고 있다는 점은 이 탑이 우리나라에 다포형식의 공포가 전해진 원 간섭기 전후에 조성된 고려시대 석탑이라는 것을 알려주고 있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examine the history of Gaya Buddhism, the nature of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and whether the Pasa Stone Stūpa, which was said to have been brought by Queen Heo, was related to Gaya's Buddhist tradition. The data on Gaya Buddhism is only a piece of material handed down to the "Samguk Yusa" and is limited to most other materials handed down to the Gimhae region. Among them, if you look at the historical data related to Gaya Buddhism, it is difficult to prove the period of Gaya Buddhism as it reflects the generalization of Buddhism to Gaya people rather than the fact that Buddhism was introduced to Gaya. As for the nature of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to Gaya, it is regarded as national or royal Buddhism through the creation of the Royal Preceptor of the King Jiilji, the period when Gaya Buddhism was recognized. If the characteristics of Buddhism are national Buddhism, it is clear that Gaya Buddhism was not introduced from the south, but from China. The identity of Ayuttha and Queen Heo, which are related to the tradition of Gaya Buddhism, cannot be asserted, but it seems difficult to build India in terms of the fact that Heo and her party both have Chinese names, Chinese government names, and the items they brought. Perhaps the tales related to Ayuttha and Queen Heo were depicted in some part of India, where Buddhism was transmitted through later Buddhist embellishments. According to the "Samguk Yusa" ‘GeumgwanSeong Pasa Stone Stūpa’, which contains evidence of Buddhism transfer in Gaya, King Suro clearly states that Buddhism was not introduced in Gaya at the beginning of the Garak Kingdom. Therefore, Buddhism was recognized in Gaya around the 2nd year of King Zilji (452), and it is convincing that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earlier than that of Baekje. The Pasa Stone Stūpa, which was said to have been brought by Queen Heo when she came to Gaya, was not a type of Indian stūpa produced at that time, so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not from India. Although many of the remaining patterns on the surface of the stūpa are worn out, the fact that it expresses fear in the form of polymorphism suggests that this stūpa was built before and after the interference period.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 관련 쟁점 재검토― 『삼국유사』에 언급된 불교용어와 음역어(音譯語)를 중심으로

        황정일 보조사상연구원 2018 보조사상 Vol.51 No.-

        Ever since it was mentioned in Samgukyusa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Gaya, the name of an ancient Korean kingdom, has been the center of controversy over the issues of whether it actually existed or not, and of its relationship with the introduction of Buddhism to Korean peninsular. In particular, with regard to Buddhism, the state name of Garak(駕洛), Ayuta(阿踰陀) from which region Buddhism was said to be imported to ancient Korea, and the connection time have been controversial. To explore these issues, this study reviewed previous studies and transliterations of Buddhist scriptures to define the truth or falsehood of Gaya Buddhist mentioned in Samgukyusa.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outlined below. First,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Gaya state name include 1) the Buddhist name place known as Buddha-Gayā in India, 2) Gaya's fish worship faith since Gaya means fish in South Indian Dravidian, and 3) Korean phonological change. However, this writer explored Samgukyusa's Eosanbulyeong(魚山佛影) tale and corresponding transliterations, finding that the word Gaya came from nagarahāra mentioned as Nageragal(那揭羅曷). In particular, this place was found to have been a trade hub connecting the West and East in ancient times, and part of Gandhara from which region Buddhist scriptures and images were brought to China. Second, with regard to existing theories related to the origin from which Buddhism was brought to Gaya, which include 1) Ayuta(阿踰陀) was an imaginary city created after Rāmāyana and 2) South India in relation to South India's fish worship faith, this writer complemented the existing theories and saw the area as an actual city in the middle and north region in ancient India. Third, with regard to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attention was paid to ‘Sanggyo(像敎)’ mentioned in Samgukyusa's PasaSeokdap(婆娑石塔). Apart from the general understanding or interpretation of ‘Sanggyo=Buddhism’, if the word Sanggyo is originally meant as Buddha image and Buddha teaching, it can be translated as being unable to build temples due to the absence of Buddha image and Buddhist scriptures. In other words, if this interpretation is allowed, the Gaya Buddhism preaching time can be traced back to the early founding time of Gaya depending on the interpretation of Sanggyo. 가야는 『삼국유사』에서 언급된 이후 그 역사성과 더불어 불교 전래와 관련해서 끊임없이 그 진위가 문제시되고 있다. 특히, 불교와 관련해서는 ‘가락(駕洛)’이라는 국명(國名)과 아유타(阿踰陀)라는 전래 지역, 그리고 그 전래 시기가 문제로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이 문제들을 중심으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불전(佛典)의 음역어(音譯語)를 추적함으로써 『삼국유사』에서의 가야불교와 관련한 진위를 논구했다. 그 결과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성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가야의 국명과 관련한 기존의 주장은 1) 인도의 붓다-가야(Buddha-Gayā)라는 불교적 지명에 근거한 주장, 2) 남인도 드라비다어에서 ‘가야’가 물고기를 뜻하기 때문에 가야 지역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되었다는 주장, 3) 고대 한국어의 음운변화(音韻變化)에 의한 것이라는 주장 등이 있었다. 그러나 『삼국유사』 「어산불영」의 내용과 그 음역어를 추적한 결과, 가야의 원어는 나게라갈(那揭羅曷)에 해당하는 nagarahāra에서 유래한 것으로 논구했다. 특히, 이곳은 과거 동서양을 잇는 교역지였으며, 불경과 불상이 중국으로 전해졌던 간다라(Gandhara) 지역의 일부였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가야불교의 전래 지역과 관련해서 1) 아유타(阿踰陀)는 『라마야나』 이후 만들어진 가상의 도시라는 허구설과, 2) 남인도의 물고기 숭배와 관련한 남인도 출자설 등에 대해서는 논자의 기존 연구를 보완해서 고대 인도 중북부 지역에 실존했던 도시로 보았다. 셋째, 가야불교 전래 시기와 관련해서는 『삼국유사』 「파사석탑」에서 언급된 ‘상교(像敎)’라는 말에 주목했다. ‘상교 = 불교’로 이해하는 일반적 해석이 아니라, 상교라는 단어의 본래 뜻인 불상과 교법으로 해석해 보면, ‘상교’가 나오는 구절을 ‘불상과 경전이 없어서 절을 짓지 못했다’로 번역할 수 있기 때문이다. 즉 이러한 해석이 가능하다면, 가야불교의 전래 시기는 가야 성립 초기까지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았다.

      • KCI등재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사상적 경향성 연구

        황정일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2023 동아시아불교문화 Vol.- No.60

        본 연구는 가야불교 전래시기의 불교적 경향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이에 허왕후(許王后)가 도래한 시점인 1세기에 해로를 통해서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대승불교일 가능성이 크며, 반면에 육로를 통해서 전래되었다면,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은 논구하였다. 또한, 왕후사(王后寺) 건립 시기인 5세기에 불교가 전래되었다면, 당시 가야는 백제로부터 불교를 전해 받았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당시의 백제는 동진(東晉)의 격의불교적(格義佛敎的) 경향성에 영향받은 것으로 추정된다. 그렇지만, ‘격의불교=대승불교’라고는 할 수 없으므로 백제나 가야에 전래된 불교가 대승불교라고는 단정할 수 없음을 논구했다. 오히려 삼국에 불교가 전래될 당시의 사원건축이나 탑의 양식 등을 볼 때, 당시 전래된 불교가 소승 부파불교일 가능성이 있음을 논구했다. 더욱이 백제의 겸익(謙益)이 소승 부파불교의 5부율(五部律)을 가지고 와 새로운 율서[新律書]를 편찬했을 정도로 백제에는 소승 부파불교의 영향력이 컸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백제불교는 전래 초기부터 적어도 6세기까지 소승 부파불교의 경향성을 띠고 있었으며, 백제에서 전래된 가야불교 역시 그러한 경향성이 있었을 것으로 논구했다. This study sought to understand Buddhist tendencies during the period when Gaya Buddhism was introduced. Therefore, when Heo hwang hoo (許皇后) arrived in the first century, if Buddhism was passed down through sea, it was likely to be Mahāyāna Buddhism (大乘佛敎), whereas if it was passed down through land, it was discussed that it could be Hinayāna Buddhism (小乘佛敎). In addition, if Buddhism was introduced in the 5th century, when Wanghu temple (王后寺) was built, it is presumed that Gaya received Buddhism from Baekje at that time. And it is presumed that Baekje at that time was influenced by the tendency of Gyeogui Buddhism (格義佛敎) from Dongjin (東晉). However, since it cannot be said that “Gyeogui Buddhism = Mahāyāna Buddhism”, it was argued that the Buddhism introduced to Baekje or Gaya cannot be concluded to be Mahāyāna Buddhism. Rather, considering the temple architecture and the style of the pagoda when Buddhism was introduced to the Three Kingdoms, it was discussed that Buddhism that was introduced at the time may be Hinayāna Buddhism. Moreover, it can be seen that the influence of Hinayāna Buddhism was so great in Baekje that Gyeomik (謙益) of Baekje brought the obuyul (五部律) of Hinayāna Buddhism and compiled a new Yulseo (新律書).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Baekje Buddhism tended to be Hinayāna Buddhism from the beginning of the tradition until at least the 6th century, and Gaya Buddhism, which was introduced from Baekje, also likely showed the same tenden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