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사 <운림처사가(雲林處士謌)>에 나타난 강호 인식의 양상과 도선(道仙) 지향

        송재연(Song Jae-yeon) 국문학회 2022 국문학연구 Vol.- No.45

        이 논문은 청음(淸陰) 김상헌(金尙憲, 1570∼1652)의 문학적 생애 가운데 광해(光海) 혼정기(昏政期) 안동(安東) 풍산(豐山)에서의 은거 양상을 재구하고, 이를 토대로 󰡔해동유요(海東遺謠)󰡕 소재 가사 <운림처사가(雲林處士謌)>에 나타난 강호 인식의 양상과 도선(道仙) 지향 의식을 고찰하고자 작성된 것이다. 당쟁과 전란이 연속되었던 혼란기를 보냈던 김상헌은 의리와 절의를 중시하는 도학자적 삶을 살았던 인물이다. 환로(宦路)에 들어선 후부터 광해군을 비롯한 대북파 세력과 정치적으로 대립하며 부침(浮沈)을 거듭했던 그는, 1618년 사회의 혼란과 집권 세력의 박해를 피해 안동의 풍산으로 내려가 3년 동안 이곳에서 은거하였다. 풍산으로 낙향한 김상헌은 청원루(淸遠樓)에서 은거 생활을 시작했다. 청원루에서 얼마 떨어져 있지 않은 곳에는 삼귀정(三龜亭)이 있었는데, 삼귀정 주변의 아름다운 산수자연의 경치를 완상하며 세상의 시름을 잊을 수 있었기 때문에 이곳은 피세(避世)를 위한 은일의 공간으로서 의미를 가진다. 뿐만 아니라 이곳은 지인들과 교유하며 회포를 푸는 풍류의 장(場)으로 심적 위안을 얻을 수 있는 공간이기도 했다. 이와 같은 안동 풍산 은거기에 창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 <운림처사가>는 광해 혼정기의 현실에 대한 실망으로 산수자연에 은거한 처사의 삶을 노래한 작품으로, 풍산 삼귀정 일대의 자연경관을 완상하며 풍류를 즐기는 삶을 통해 속세의 번민에서 벗어나려는 피세적(避世的) 위안과 주어진 분수에 만족하며 천명(天命)에 순응하려는 삶의 태도가 구현되어 있었다. 또한 정치적․사회적으로 혼란스러운 당대 현실을 부정(否定)함으로써 삼귀정 일대의 승경을 ‘선계(仙界)’라는 대리 만족의 공간으로 설정하고, 현실에서 불우(不遇)한 자아가 신선이 된 것처럼 선계를 즐기며 안식과 위로를 얻고자 하는 선취적(仙趣的) 삶을 지향하고 있었다. 아울러 가사 <운림처사가>의 작품 양상은 창작연대와 작자 미상의 상태로 전해지는 처사가 계열의 작품군과는 차이를 보였다. 처사가 계열의 작품군에서는 운림처사로 은거하게 된 상황에서 자연경관의 아름다움과 그곳에서 느끼는 흥취를 추상적으로 표출하고 있을 뿐 은거의 계기나 당대 현실에 대한 인식, 이러한 현실에 대응하는 방식이나 이념적 지향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에 󰡔해동유요󰡕 소재 <운림처사가>에서는 광해 혼정기 현실에 대해 부정함으로써 야기된 천명에 순응하는 운명론적 사고를 바탕으로 ‘선계’라는 이상적 공간을 설정하여 불우(不遇)한 자아가 유선적(遊仙的) 삶을 지향함으로써 위안을 얻고 있었다. This thesis is written to reconstruct Kim Sang-heon s life in seclusion in Pungsan, and to examine the aspects of nature perception and Tao-oriented consciousness expressed in his Unlimcheosaga in Haedongyuyo. Having spent a period of chaos in which political party strife and war continued, he lived a moral life that valued loyalty and incisiveness. From the beginning of his official duties, he was politically opposed to the ruling forces, including King Gwanghae-gun, and in 1618, he went down to Pungsan to live there to avoid social turmoil and persecution of the ruling forces. He was able to forget the troubles of the world while admiring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around Samgwijeong in Pungsan, so this place is meaningful as a space for seclusion. Not only that, this place was also a place where you could get mental comfort as a place of taste for the arts to socialize with your acquaintances. His Unlimcheosaga is about the life of a scholar who lived in nature in disappointment with the reality of the time during the reign of King Gwanghae-gun. It embodies the aspect of escaping from the troubles of the world through enjoying the natural scenery and the attitude of living to conform to fate. In addition, by denying the politically and socially chaotic reality of the time, the beautiful scenery around the Samguijeong is set as a space of surrogate satisfaction called the world of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 and in reality, as if a lonely self became a Taoist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enjoy the beautiful scenery and give them rest and comfort.

      • KCI등재

        연구논문 : 11세기말 12세기초 殷元忠(은원충)의 활동과 사상 경향

        변동명 ( Dong Myeong Byeo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3 역사학연구 Vol.51 No.-

        殷元忠은 11세기말에서 12세기초를 살아간 草野의 學人이었다. 無等山 일원에서 은일의 삶을 누리다 국왕의 부름을 받아 중앙으로 올라가 출사하였지만, 미관말직에 재임했을 뿐 뚜렷한 행적을 남기지 못하였다. 자연히 그의 생애를 전하는 기록도 극히 영세하며, 그의 가문이나 世系 역시 알려진 바가 없다. 그에게 관심을 기울인 연구자를 찾기 힘든 것은 당연해 보인다. 그렇지만 은원충은 생존하던 당시 벌써 상당한 명성을 지닌 인물이었다. 지방의 일개 처사에 지나지 않던 그를 국왕이 개경으로 불러 올렸음이 사서에 전한다. 또한 그와 교유했던 李資玄이나 李仲若은 고려중기 사상계에 새로운 기풍이 일도록 고취한 것으로 이름있는 인물들이었다. 비록 그 행적이 도드라져 보이지는 않지만, 은원충은 관심을 베풀기에 부족함이 없는 인물이었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의 행적을 살피고 더불어 그러는 가운데 드러난 그의 사상 경향과 그 의미를 헤아리려는 게 이 글의 목표였다. 그리하여 당시 고려사회에서 새로운 사상적 풍조가 고개를 들기에 이른 의미를 되새기며, 나아가 그와 같은 신선한 기풍의 진작에 지방지식인이라 일러 무방할 초야의 학인이 나름대로 기여하였음을 이해함으로써, 고려중엽 들어 성장을 거듭하던 지방사회의 한 단면이나마 드러내고자 시도하였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국왕의 부름을 받기 전부터 이미 지방과 중앙에 그 이름이 알려진 인물이었다. 가야산에 들어가 수행 중이던 이중약으로 하여금 월출산으로 옮겨가 道家的 수양을 지속하도록 그가 유도하였다든지, 혹은 관직생활을 하던 이자현이 마침내 청평산 문수원에서 은일의 삶을 누리기로 결정하는 데 그가 영향을 미쳤다는 기록 등이, 그러한 증거였다. 또한 은원충은 도가와 풍수지리 그리고 불교 등과 두루 연결된 삶을 누린 인물이었다. 처사라 불리며 이자현이나 이중약과 연계를 맺었던 데서 그의 도가적 취향이 드러나는 것은 물론이고, 道詵의 설을 앞세워 예종에게 남경 천도를 권유하였다는 기록에서는 풍수지리 전문가로서의 그의 명성이, 그리고 선승 翼宗 및 이자현과의 교유에서는 그가 불교계와도 교분을 맺었던 사실 등이 각각 확인된다. 고려중기에 非儒敎的인 삶을 지향하며 은일을 선택한 가운데 무등산에 묻힌 초야의 학인으로서, 지방과 중앙에 그 이름을 알린 이가 곧 무등산처사 은원충이었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나름의 명성을 바탕으로 肅宗의 부름을 받아 중앙으로 진출하였다. 고려중엽 중앙에서 활동하던 한두 殷氏들, 각별히는 태자시절 睿宗의 후궁이던 은씨와의 연고가 주요한 배경이었다. 개경에 올라간 은원충은 예종과 밀착된 가운데, 이중약을 천거하여 그의 출사에 도움을 주며, 남경 건설과 경영 및 대여진정책에서 일정한 역할을 담당하고, 더불어 『해동비록』의 편찬에도 간여하였을 가능성이 있는 등, 왕권을 옹호하고 강화하는 방향에서 활동하였다. 예종과의 연고에 힘입어 중앙으로 진출하였으며, 이후 예종의 측근에서 정치개혁에 참여하여 왕실을 옹호하고 국왕의 정치적 주도권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였다. 무등산처사 은원충은 도가적 삶을 지향하였다. 그리고 이중약과의 밀착된 관계에서 짐작할 수 있는 것처럼, 그것은 결과적으로 고려 敎團道敎의 성립을 예비하는 일이기도 하였다. 이중약의 경우와 같이 직접적이지는 않지만, 은원충은 고려중기 도교에서 새로운 바람이 이는 데 나름의 기여를 한 인물이었다. 더불어 풍수지리에 조예가 깊었던 그는, 고려 풍수지리사상의 새로운 전개에도 간여하였을 가능성이 높았다. 나아가 불교계와의 교분을 통해 거사불교가 대두하고 선종이 부흥하며 천태종이 개창하는 데 연계됨으로써, 은원충은 고려중기 불교계에서 신사조가 대두하는 것과도 무관하지 않은 인물이었다. 은원충의 그러한 활동이 궁극적으로 국왕 중심의 정치개혁을 뒷받침하는 방향에서 추진된 사실도 또한 그냥 지나쳐서는 안 될 대목이었다. 은원충은 고려왕조 하의 정규적인 교육에서 일찍이 멀어진 채 은일의 삶을 선택한 인물이었다. 초야의 일개 학인으로서, 고려중기 들어 신사조의 기풍이 경쟁적으로 고개를 들고 분출하는 데 기여하였다. 非儒敎的 성향의 지방지식인으로서 중앙의 사상계에서 변혁적인 전환의 움직임이 일도록 고취하는 데 두루 간여한, 보기 드문 인물이 곧 은원충이었다. Eun Won-chung lived in a remote village as a seclusive scholar from the end of the 11th century to the early 12th century. He was entered in the central government by the King`s calling and left his name on the history book. However, Eun Won-chung had already known to the local and central society before he became a governor. The evidence was the record that he had an effect on the retired life of Yi Jung-yag and Yi Ja-hyeon. Eun Won-chung enjoyed Taoism, Feng-shui, and Buddhism, etc through his life time. We can see that he had a taste for Taoism as he, calling a seclusive scholar, was acquainted with Yi Jung-yag and Yi Ja-hyeon. The fact that he was famous for a Feng-shui expert was confirmed by the document which said that he invited king Yejong to transfer the capital to Namgyeong depending on monk Doseon`s Feng-shui theory. Owing to the fact that he had mingled with Yi Ja-hyeon and the monk Ikjong. it reveals that he had a relationship with Buddhists. Eun Won-chung, while being a scholar who pursued a non-Confucian life, chose the life of a hermit on Mudeung-moutain in the middle of Koryo dynasty. Eun Won-chung entered in the central government owing to his relationship to a lady of the Euns ― a royal concubine of king Yejong. After he came to Gaegyeong, he helped Yi Jung-yag to move for office, and intervened in Namgyeong management and policy-making against Jurchen and the formulation of Feng-shui thought. Eun Won-chung participated in political reform as a king Yejong`s close associate and contributed to support the royal family and strengthen the political leadership of the king. The Taoistic life that Eun Won-chung pursued, contributed to bring about a new trend of the times in Taoism in the middle of Koryo. In addition, because he versed in Feng-shui, he intervened to take a new turn of Feng-shui thought. Furthermore, throughout the relation with Buddhists, he made a contribution to emerging the new stream of Buddhism in the middle of Koryo. As a seclusive scholar in a remote village, he was an uncommon person who contributed to make a big change of movement in the central thinking world.

      • KCI등재

        기획논문 : 진주와 남명학의 세계 ; "처사(處士)"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정치참여 방식

        안외순 ( Woe Soon Ahn ) 온지학회 2011 溫知論叢 Vol.0 No.29

        유교사회에서 군자의 ``처사(處士)``는 ``출사(出仕)``와 마찬가지로 해당 정치권력의 정당성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척도이다. 그런데 지금까지 조선시대 ``처사``의 대표인물인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에 대해 그의 ``처사``적 위상이 지니는 정치적 의의에 대한 적극적인 검토가 미흡했다. 이에 본 논문은 남명의 ``처사적 정치참여의 위상``을 검토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유교사상사에서 차지하는 ``처사``의 개념사적 논의를 행하였다. 이를 통해 적어도 유교사상사에서 ``처사``는 정치적 은둔자가 아니라 본질적으로 강력한 정치적 저항 내지 비판으로서의 정치참여 행위였다는 점을 규명하였다. 다음으로 남명의 처사적 삶은 이러한 유교적 교의의 충실한 실천이었음을 논증하였다. 즉 남명의 처사로서의 삶은 자신과 정치적인 소신을 함께 하지 못하는 정권, 곧 겸선(兼善)하지 못하는 정권에 대한 정치적 비판 및 저항의 의사표현이자 저항의지의 실천이었다. 그것은 정치적 은둔이 아니었다. 올바른 정치 구현을 위해 그는, 재야에서, 평생토록 정치적 비판과 제안을 행하였으며, 정치적 후진 양성을 위해 일생을 바쳤다. 그는 ``처사``로서의 ``적극적인 정치적 삶``을 살았다. In a Confucianism based society, Cheosa (處士: not serving the power) of the Great Man is an important criterion to judge the legitimacy of the power of the relevant age like Chulsa (出仕: serving the power). Till today, however, it has not been positive enough to review the political meaning of the position of Cheosa of Nam-myeong Cho Sik (1501-1572) living in Chosun Dynasty. In this study, therefore, I reviewed the position of his involvement in politics as a Cheosa. For this objective, I first looked into the conceptional history of Cheosa in the ideological history of Confucianism. As a result, I recognized that Cheosa in the ideological history of Confucianism was not a hermit but a behavior of political involvement as a strong political resistance and criticism essentially. Then, I recognized that his life as a Cheosa was the expression of his intention for political criticism and resistance against the power that did not go with his political idea, which meant the power did not make the others good as well as the power itself. It was not a political eremitism. In order to realize a righteous politics, he had made political criticism and suggestion through all his life and devoted his life to bringing up his political successors. That is, he lived a positive political life as a Cheosa.

      • KCI등재

        처사가와 양양가의 악조에 대한 연구

        임병옥 한국국악교육학회 2019 국악교육 Vol.48 No.48

        There are currently 12 Gasas. Among the 12 Gasas, 8 songs by Baekgusa, Hwangggyesa, Jukjisa, Eobusa, Chunmyeongok, Sangsabyeolgok, Gilgunak, and Kwonjuga are the songs delivered by Ha Kyuil. Suyangsanga, Cheosaga, Yangyangga and Maehwaga are the pieces of music delivered by Lim Gijun. Cheosaga and Yangyangga, delivered by Lim Gijun, are musical pieces that have the same melody but different lyrics. Cheosaga is a song with eight verses and Yangyangga is a song with ten verses. In Yangyangga, the part of repeating the same melody appears longer than that of Cheosaga. The key and mode of Suyangsanga, Cheosaga, Yangyangga are Jungryeogung pyeongjo. In general, Toeseong occurs when Sangil descends to Gung in Pyeongjo. However, we do not see this phenomenon in Suyangsanga, Cheosaga, Yangyangga and Maehwaga. This can be said to be a characteristic of Gasas those are delivered by Lim Gijun. 현재 전창(傳唱)되는 가사는 12곡이다. 12가사 중에서 백구사, 황계사, 죽지사, 어부사, 춘면곡, 상사별곡, 길군악, 권주가의 8곡은 하규일이 전한 악곡이며, 수양산가, 처사가, 양양가, 매화가는 임기준이 전한 악곡이다. 임기준이 전한 처사가와 양양가는 가사만 다를 뿐 동일한 선율을 가지고 있는 악곡이다. 처사가는 총 8마루이고, 양양가는 총 10마루이다. 양양가는 처사가보다 동일한 선율을 반복하는 부분이 많이 나타난다. 처사가와 양양가의 악조는 중려궁 평조이다. 임기준 전창 가사인 수양산가, 처사가, 양양가 악조는 중려궁 평조이고, 매화가 악조는 임종궁 평조이다. 일반적으로 평조에서 상일이 궁으로 하행할 때 퇴성한다. 그러나 수양산가, 처사가, 양양가, 매화가에서 상일이 궁(宮)으로 하행할 때 변화 없이 진행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이것은 임기준 전창 가사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處士로서 南冥의 삶과 敬義思想

        손흥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3 No.-

        In this article, I studied about Nammyong(南冥) Cho Shik(曺植. 1501~1572)’s learning in three view point. In the first, I studied the necessity of new perspective for studying Nammyong’s learning. Second, I studied the true meaning of Nammyong’s life of the recluse (處士). Thirdly, I searched Nammyong’s the thought spirit of respect and righteousness(敬義思想), and the method of practi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dichotomous thinking should be avoided in studying Nammyong’s learning. The dichotomous thinking is the ‘vital force(Qi) centered theory(主氣論)’ and ‘principle(Li) centered theory(主理論)’ or the Giho school and Yeongnam school in the wake of Yi hwang(李滉. 1501~1570) and Yi I(李珥. 1536~1584). Because this method is the specter of Japanese imperialism and colonialism planted by Takahashi Toru(高橋亨.1878~1967). He was a representative governmentpatronized scholar. Second, Nammyong as the recluse, did not separate heresy. He always fight against injustice, did not go into government service. Because, at that time the king was stupid, the king mother acting as regent, Celibacy climbed to power. Thirdly, Nammyong always advocated reforming government for the security of the nation and the livelihoods of the public. Especially, he emphasized the King’s real sacrifice as a sovereign ruler. His philosophy appear in the 「Shinmyungsado(神明舍圖)」. So, in sum, Nammyong’s philosophy include a modern element. He emphasized the enthusiastic practice(務實). He did not stick to the party interests and the specific academic field. Always, he put stress on the objective and rational attitude in research-practice. I think, there is the universal values of mankind in the Nammyong’s philosophy. And we may find the direction for healing the today’s a chronic disease of the Korean society in the Nammyong’s philosophy. 이 논문은 남명(南冥) 조식(曺植. 1501~1572)의 학문에 대한 새로운 연구관점의 필요성, 그의 처사적 삶의 진정한 의미, 그리고 경의(敬義)정신과 사회적실천방법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남명의 학문은 이황(李滉. 1501~1570)과 이이(李珥. 1536~1584)를중심으로 하는 주리(主理)와 주기(主氣), 기호학파(畿湖學派)와 영남학파(嶺南 學派)와 같은 이분법적 연구를 지양해야 한다. 이러한 이분법적 연구는 일제의어용학자인 Takahashi Toru(高橋亨.1878~1967)가 남긴 일제(日帝)의 잔재(殘滓)이기 때문이다. 둘째, 처사(處士)로서 남명은 학문적으로 이단(異端)을 구분하지 않았다. 그는 늘 불의에 항거하고, 무능한 왕과 그의 어머니가 수렴청정(垂簾聽政)하고, 척신(戚臣)들이 권력을 농단하는 조정에는 출사하지 않았다. 그렇지만 늘 국정에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시무책을 제시하였고, 다양한 문인을 교육하고 교유하면서 장차 다가올 국난을 대비하였다. 셋째, 그는 국가의 안위와 민생을 위해 늘 국정의 혁신을 주창하였다. 특히 남명은 최고통치자인 왕의 진정한 희생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사상은 그가 그린 「신명사도(神明舍圖)」에 잘 나타난다. 종합하면, 남명의 사상에는 근대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그는 무실(務實)을강조하고 적극적으로 실천하였다. 그는 당리당략이나 특정 학문을 고집하지 않았고, 연구와 실천에서 항상 객관적·합리적 태도를 중시하였다. 이러한 남명의학문과 사상은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남명의학문과 삶에서 현대의 한국병을 고칠 수 있는 방향을 찾을 수 있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회천(晦川) 송홍래(宋鴻來)의 처사적(處士的) 삶과 사상

        이세동 ( Lee¸ Se-dong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1 嶺南學 Vol.- No.79

        송홍래가 살았던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는 조선 왕조가 무너지고, 국토가 식민지가 되는 변혁의 격동기였다. 본 논문은 이 격동기에 조선의 백성으로 태어나 일본의 신민으로 살기를 요구받았던 한 선비의 삶과 사상을 조명한 글이다. 그는 일본의 신민이기를 거부하고 조선의 처사로 남기를 원했던 지식인이었다. 일본의 신민이기를 거부하는 것은 그 시대 이 땅의 보편적인 정서였지만, 누구나 다 처사가 되는 것은 아니었다. 처사는 올바름을 닦고 덕을 길러 시대가 부여한 사명을 묵묵히 수행하며 바른 길을 가는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서 송홍래는 분명 처사였다. 그는 올바름을 닦기 위해 스승들을 찾아다녔다. 그는 스승들을 찾아다 님에 있어 학파와 색목을 구분하지 않았다. 장복추와 이종기는 執贄를 통해 맺어진 그의 훌륭한 스승들이었으며, 김흥락과 김도화, 장승택과 김형모, 한주학파의 곽종석과 이승희와 장석영, 기호학파의 전우에 이르기까지 당대의 명망가들이 모두 그의 집지하지 않은 스승들이었다. 그는 이 스승들에게 배워 덕을 기르고 학문을 익혀, 스스로 또 다른 스승이 되었다. 그의 제자들은 이 새로운 스승의 학문과 덕행에 감동해, 자원하여 學舍를 세우고 계를 만들었으며, 그의 장례 때에는 100여 명이 제자로서의 상복을 입었다. 그 제자의 후손들은 현재까지도 격년으로 釋菜禮를 거행하며 회천의 학덕을 기리고 있다. 그는 시대가 요구하는 바른 길을 알고 실천한 사람이었다. 유학의 맥을 면면히 이어온 조선의 선비로서 세계만방에 조선의 독립을 요구하는 청원서에 서명하였다. 목숨을 담보해야 할지도 모르는 이 일을 올바름[義]을 지키기 위해 과감하게 실천함으로써, 136명의 동지들과 함께 조선 유림의 대표가 된 것이다. 그래서 그는 조선의 처사인 것이다. 그는 성리학자라고 할 만한 전문적인 글들을 집필하지는 않았지만, 조선 학술의 근간이었던 성리학에 대한 입장은 분명했다. 퇴계의 학설을 종지로 삼고 기호학파의 학설을 절충하려 했던 스승들의 견해를 지지하고 따랐다. 퇴계학파의 일원임을 분명히 하면서, 스승의 학설을 묵수했다고 할 것이다. From the end of the 19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when Song Hong-rae lived, it was a turbulent period of transformation in which the Joseon Dynasty collapsed and the land became a colony. This paper sheds light on the life and thoughts of a scholar who was born as a people of Joseon during this turbulent period and was asked to live as a people of Japan. He was an intellectual who refused to be a Japanese people and wanted to remain a secluded scholar of Joseon. Refusing to become a citizen of Japan was a universal emotion of the land in that era, but not everyone was a secluded scholar. This is because a secluded scholar is a person who silently carries out the mission given by the times and goes on the right path by cultivating correctness and virtue. In this regard, Song Hong-rae was definitely a secluded scholar. He went around looking for teachers to cultivate the righteousness. He did not distinguish between school and party in searching for teachers. Jang Bok-chu(張福樞) and Lee Jong-ki(李種杞) were his teachers who held a set ceremony, and from Kim Heung-rak(金興洛), Kim Do-hwa(金道和), Jang Seung-taek(張升澤) and Kim Hyung-mo(金瀅模), Kwak Jong-seok(郭鍾錫), Lee Seung-hee(李承熙) and Jang Seok-young(張錫英) of the Hanju school(寒洲學派) to Jeonwoo(田愚) of the Kiho school(畿湖學派), all were his teachers. He learned from these teachers, cultivated virtue, learned learning, and became another teacher himself. His disciples were moved by the learning and virtue of this new teacher, and volunteered to build a school building and build a school to adore him. It is not a small number that about 100 people wore mourning clothes as disciples at his funeral. He was a man who knew and practiced the right path required by the times. As a scholar of Joseon who has succeeded to the Confucianism, he signed a petition demanding Joseon's independence from all over the world. By boldly practicing this task, which may have to guarantee life, for righteousness, he became the representative of Joseon Confucianism with 136 comrades. That's why he is a secluded scholar of Joseon. He did not write articles that could be called Neo-Confucianism, but his position on Neo-Confucianism, which was the basis of Joseon studies, was clear. With Toegye's theory as their motto, they supported and followed the views of teachers who tried to compromise the theories of the Kiho school. While making it clear that he was a member of the Toegye School, he would say that he kept his teacher's theory.

      • KCI등재

        東塢 曺毅坤의 처사적 삶과 天理 志向 양상

        이형성 동양고전학회 2021 東洋古典硏究 Vol.- No.82

        19세기에 활약한 동오(東塢) 조의곤(曺毅坤)은 16세 때 기정진(奇正鎭)에게 수학하면서 과거공부를 지향하지 않고 성현을 독실하게 믿고 의리를 추구하였다. 특히 “총명은 둔한 붓만 못하다”는 격언을 그대로 발휘하여, 스승에게 보고 들은 언행과 가르침 등을 기록하며 학문에 매진하였으니, 75조목으로 이루어진 『강상차록(江上箚錄)』이 그것이다. 조의곤은 사변적 이론보다는 향리에 세운 동오정에서 처사로서의 삶을 지향하며 노사학 보급에 힘썼다. 그의 처사적 삶은 “선을 좋아하여 게을리 하지 않고 편안히 천리(天理)를 행하면서 바른 도로 돌아간다”는 신념에 의한 것이다. 그 신념이 바로 천리를 중시하는 태도는 향도적(向道的) 처사의 삶이었다. 특히 그의 천리(天理)와 지리(地理)가 동일하다는 논지는 산의 혈과 맥의 정기에 의거하여 부귀복수(富貴福壽)를 누리고자 하는 풍수지리의 잘못된 관행을 비판하는 것이었다. 그 이론의 근저에는 이치를 궁구하면서 ‘정성[誠]과 신실함[信]’이란 내면적 자각을 통해 천리를 실현하려는 자세가 깃들어 있었다. 그는 이러한 학적 체계와 삶으로 향리에서 후학을 양상하였다. 이 글은 동오 조의곤의 처사적 삶과 천리(天理) 지향에 대한 양상이다. 본 글의 전개는 그의 저서 『동오유고(東塢遺稿)』를 최대한 원용하여, 종사차록(從師箚錄)과 처사의 주체적 삶, 성리학 기저(基底)와 천리 중시, 향도적 실천과 후학 양성 등이다. Confucian ideas of Confucius and Mencius in Jin period were systematized as Neo-Confucianism in Song dynasty and it compatibly established the creation of the universe, human nature, attitude of cultivation, etc. The desirable human character in Neo-Confucianism is to reach truly cultivated self in harmony of education and learning(敎學) and practice(實踐). The secluded scholar, one of Neo-Confucian human characters, is one who does not take up a public office but put his efforts into study and foster younger scholars in the wilderness. The life of that secluded scholar is to face up squarely to the circumstances of that time and pursue true cultivation, faithfully fulfilling his duties as a scholar. Dongo Jo Eui-gon(東塢 曺毅坤) who played an active role in the 19th century followed study of Gi Jeong-jin(奇正鎭) but did not seek speculative theories. He led his life as a secluded scholar and strived to propagate Nosa study in his hometown. His secluded lifestyle is particularly based on a principle that “fond of goodness and thus no neglect of it, pursuing the law of nature at ease and returning to the righteousness.” This principle firmly demonstrates his attitude to fulfill the natural law by investigating the reason and realizing ‘sincerity and faithfulness’ through his internal self-awareness. This study is on Dongo Jo Euigon’s life as a secluded scholar and his pursuance of the natural law. Making the most of quotations from 『Dongoyugo(東塢遺稿)』, the paper examines his scholarly attitude, secluded lifestyle, stress on the Neo-Confucian basis and natural law, directivity towards cultivation and righteousness and; teaching to younger scholars. This study will be a little help to look into Jo Euigon’s ideas and the aspects of inheritance of Nosa School in Gochang region.

      • KCI등재

        남명 조식의 시문에 나타난 김해의 지역적 성격

        송희복(Song, Hui-bog) 국제언어문학회 2016 國際言語文學 Vol.- No.34

        본 연구는 남명 조식의 시문에 나타난 김해의 지역적 성격을 구명하기 위한 바를 큰 주제로 삼고, 세부적으로는 우선 산해정(山海亭)을 소재로 한 시에서 그의 현실적 거처 및 처사로서의 존재 방식과 태도 및 가치관의 양상을 밝히고, 또한 김해 지역의 역사 유적 및 거주민(백성)의 삶의 현실을 통해 그의 지역 사회에 대한 관심의 정도나, 그가 김해 지역의 인적 교류의 관계망이나 사족 지배층과의 인간관계를 어떻게 맺었는가 하는 양상을 밝혀보려고 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이 논문의 체재는 처사의 공간인 산해정(山海亭)을 소재로 한 시들, 신어산 기슭에 처사(處士)로서 아늑히 깃들이다, 김해 지역의 역사 유적 및 거주민의 삶의 현실, 김해 지역의 인적 교류의 관계망과 사족 지배층 등으로 나누어 명명되어 있다. 끝으로 남는 말에 이르러서는 조식의 시문(詩文)과 장소감에 관하여 연구자의 의견을 덧붙였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part of the life of Cho Shik who is a Confucian scholar of Chosun dynasty. The subject of this paper is local character of Kimhae shown to his poetry and prose. There are lots of ‘Sanhaejung(山海亭)’ meant mountains and sea in his poetry, which are hypothetical resting places, used as poetic material of his poetry. They reflect his value and attitude of life as a rural scholar who reads books and studies without taking any government jobs. In his prose, local cultur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shown through historical remains and real life of people lived in Kimhae, remote region from Seoul. In his poetry and prose written during Kimhae period, we can see so called ‘the sense of place’ projected by his subjective emotions toward specific place, and his identity while living his time.

      • KCI등재

        특집 : 19세기 처사작(處士作)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난 금강산의 의미

        장정수 ( Chung Soo Chang ) 한국시가학회 2013 韓國 詩歌硏究 Vol.34 No.-

        이 논문은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 나타나는 금강산의 장소성(placeness)을 고찰 하였다. 현전하는 금강산 기행가사는 대부분 19세기에 창작되었는데, 그중 처사(處士)작으로 밝혀진 일군의 작품에는 여행 체험의 구체적 서술, 설화·고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관심, 금강산 지형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공통적 요소로 등장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이러한 공통 요소를 통해 19세기 처사들은 금강산을 어떤 장소로 인식하고 있는지, 그러한 인식의 사회적·문화적 배경은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19세기 금강산 기행가사에서는 금강산이 성리학적(性理學的) 도체(道體)로 인식되는 이념적·탈속적 공간이 아니라, 세속적 삶이 지속되는 현실적 삶의 공간으로 인식되는데, 이는 유람(遊覽)의 양상이 일상적 삶의 모습을 띠고 있음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또한 19세기 처사 작 금강산 기행가사는 인문지리서에 가까울 정도로 풍부한 정보를 담고 있는데, 이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 사이에 널리 성행한 지리·역사·유적·유물 등에 대한 박물학적(博物學的) 지식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그로 인해 금강산 기행가사에서는 금강산이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역사·문화적 공간으로 형상화되었다. 아울러 이들 일군의 작품에는 금강산에 대한 풍수적 해설이 빈번하게 출현하는데, 이는 조선 후기 사대부들 사이에 성행한 풍수사상이 산수관(山水觀)에 영향을 끼침으로써 풍수적 측면에서도 금강산이 최고의 명산임을 증명코자 한 의도임을 알 수 있다. 최고의 경관을 자랑하는 아름다운 곳이지만 인간계와 동떨어진 신비로운 곳은 아니며, 우리가 직접 발로 답사해야 할 우리 문화유산과 무수한 이야기가 있는 곳. 지리학이나 풍수의 측면에서도 뛰어난 곳. 이것이 19세기 사대부들이 지니고 있었던 금강산에 대한 인식이다. 이러한 복합적인 인식은 20세기 초까지 지속되는데, 다만 풍수사상은 근대 학문의 유입으로 인해 배제되었다. 이후 일제 강점기에 이르러 근대적 관광이 성행함에 따라 금강산은 세속적, 소비적 관광지의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This essay examines the placeness of Mt. Geumgang in 19th century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Most of the existing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were written in the 19th century. Those which are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Cheosa (處士) are all similary in that they contain descriptions of travel, interest in fables, tales, ruins and relics, and descriptions of the location of Mt. Geumgang according to feng-shui. This essay uses these similarities to examine what kind of place Mt. Geumgang was to 19th century Cheosas and what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 to that understanding was. These scholars didn`t view Mt. Geumgang as an ideological or other-worldly embodiment of Confucian values. Rather, they saw it as a worldly place where everyday life is carried out. This can be seen by noticing that their travels resemble everyday life. The 19th century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which were written by Cheosa were as full of information as human geography texts. This is most likely due to the nobility`s natural history knowledge about geography, history, ruins, and relics in late Joseon. In the Gihaeng Gasa about Mt. Geumgang, Mt. Geumgang was transformed into a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which represents the identity of the Korean people. There are many geographical explanations of Mt. Geumgang according to feng-shui in this group of Gihaeng Gasa. Theories about feng-shui of late-Joseon nobility had a large influence on thoughts about scenery. This shows that the nobility was trying to prove that Mt. Geumgang was the best place according to feng-shui as well. Mt. Geumgang is a beautiful place with an exquisite landscape while continuing to be accessible to humans. It is a cultural heritage site that should be visited by all Koreans. It is the center of numerous stories. It is outstanding when viewed from a geographical or feng-shui point of view. This is how the nobility from the 19th century thought of Mt. Geumgang. This complex perception was carried into the beginning of the 20th century, but the theory of feng-shui was excluded after the introduction of modern academia. Due to the raise is modern style sightseeing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Mt. Geumgang came to have more meaning as a worldly, economic tourist attraction.

      • KCI등재

        이용목(李容穆)의 『백석만성가(白石謾成歌)』를 통해 본 19세기 말 국문시가 창작의 한 국면

        박영민 ( Park Yeong-min ) 한국시가학회 2022 韓國 詩歌硏究 Vol.55 No.-

        백석 이용목은 사대부의 의식과 취향을 지녔으나 갑오개혁 등의 사회 변동을 겪으며 더 이상 예전과 같은 지위를 유지할 수 없었던 인물이다. 이 논문은 이용목이 73세 되던 1898년에 『백석만성가』를 짓게 된 내적 동력을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로써 19세기 말 국문시가 창작과 향유의 한 국면을 구체화할 수 있기를 기대했다. 『백석만성가』에 수록된 18편의 시가는 길어야 22행, 짧으면 5행에 불과하여 가사라하기도 어렵고 시조라 하기도 어렵다. 이렇듯 어중간한 형태의 국문시가가 산출된 것은 조선 후기에 장르 인식이 옅어져 간 결과일 것이다. 그런데 이용목이 이러한 경향에 발맞춘 동력을 묻는다면 ‘만성/희작’의 태도를 표방하며 내키는 대로 가볍게 지었다고 하면서 당시에 유행한 시조를 수용하거나 시가의 관습적 표현을 활용하되 자신의 처지와 인식을 투사한 것이 눈에 띈다. 곧 이용목이 국문시가를 창작하는 과정은 19세기 말 시가 문화를 향유하는 과정이기도 했는데, 이와 같은 창작 태도가 그 장르 규정을 모호하게 하는 동력이 되었을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용목은 『백석만성가』 곳곳에서 자기 자신을 처사로 규정하며 세상과 거리를 둔 채 백운동 주변의 자연에 묻혀 살고자 하는 삶의 자세를 드러낸다. 흥미로운 점은 처사로서의 자기 인식이 치산과 부귀에 대한 비판적 태도와 결부된다는 점이다. 하지만 이용목의 현실비판은 당시의 현실에 기반을 둔 감화와 설득의 전략을 갖추지 못한, 당위적 비판에 지나지 않았다. 결국 본인이나 잘해야 한다는 식의 체념과 비탄에 젖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된다. 그러므로 이용목은 못마땅한 현실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정립하지 못한 채 처사라는 이상적 형상에 기반하여 삶의 근거를 마련하려 한 조선 후기 처사의 한 면모를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백석만성가』는 처사를 자처한 이용목이 만년에 느낀 무력감과 고독감을 토로한 시가집이다. 곧 예전과 다른 인심과 세사를 비웃고는 있으나 그것을 어찌할 수 없는 데서 비롯한 무력감과 세상과 거리를 둘수록 늙어서 쇠한 몸, 홀로 남은 처지로 인해 깊어졌을 고독감을 노래했다는 것이다. 이용목에게 국문시가는 여전히 시여로서 그 시름을 푸는 창구가 된 것으로 파악된다. 이렇듯 무력하고 고독하게 혼란한 세월을 견뎌야 했던 이용목이 내키는 대로 가볍게 창작에 임하면서 자신의 목소리를 낸 것은 시가의 가창과 연행이 활발해지고 가집의 편찬과 보급이 활성화된 19세기 말의 문화적 토대에 기반을 둔다. 따라서 백석 이용목의 『백석만성가』는 전근대의 시가 양식이 1898년까지 지속, 변모한 하나의 국면과 당시의 문화적 기반이 국문시가의 창작과 향유에 미친 영향을 구체화하는 단서를 제공한다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ternal driving force behind Baekseok(白石) Lee Yong-Mok(李容穆) writing the 『Paeksuk-mansungga(白石謾成歌)』 in 1898 when he 73 years old. The 18 poems included in 『Paeksuk-mansungga』 are only 22 lines at the longest and 5 lines at the shortest, making it difficult to say that they are Gasa(歌辭) or Sijo(時調). He wrote poems lightly as he wanted by advocating the attitude of ‘play(戲作)’, and this means that such a creative attitude may have been a driving force that obscures the genre regulations. Lee Yong-Mok defines himself as a recluse(處士) throughout the 『Paeksukmansungga』 and reveals his attitude of life to live in the surrounding nature around Baekun-Dong(白雲洞), keeping a distance from the world. However, it can be considered that Lee Yong-Mok shows an aspect of reclus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which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life based on the ideal form of recluse without establishing his position in an unfavorable reality. 『Paeksuk-mansungga』 is a collection of poems in which Lee Yong-Mok, who claimed to treat himself, expressed the feeling of helplessness and loneliness he felt in his later years. In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pre-modern poetry style until 1898 of giving a voice to the Lee Yong-Mok is in the situation at the end of the 19th century, when the singing/performance culture developed and collection of poems was compiled and distribu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