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율곡(栗谷)의 태극론(太極論) 연구(硏究)

        손흥철 ( Son Heung-chul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8 율곡학연구 Vol.36 No.-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6∼1584)는 「천도책(天道策)」과 「역수책(易數策)」을 지었고, 여기서 그의 태극론이 시작된다. 특히 율곡은 「역수책」에서 우주만물의 생성과 운행 법칙을 역수(易數)로 이해하고 그것을 태극과 음양으로 풀이하여 설명하였다. 율곡은 우계(牛溪) 성혼(成渾. 1535∼1598)과의 편지에서 리통기국(理通氣局)과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을 주장하고, 태극과 음양은 선후가 없으며, 따라서 ‘동정무단(動靜無端), 음양무시(陰陽無始)’의 원칙을 잘 이해해야 한다고 하였다. 『성학집요』에서 율곡은 ‘태극동이생양(太極動而生陽)’에서 ‘生陽’은 결코 ‘유생어무(有生於無)’ 의미가 아니라고 하였다. 그리고 ‘일동일정(一動一靜)’도 그렇게 시키는 어떤 존재가 있는 것이 아니라 동정(動靜)의 기기(氣機)가 본래 그러할 뿐이며, 리와 기도 선후가 없다고 보았다. 율곡은 사암(思菴) 박순(朴淳. 1523∼1589)과의 논변에서 자신의 태극론을 정립한다. 태극은 음양의 기가 아니며, 음양이 동정하는 기기(氣機)라고 하였다. 여기서 태극은 곧 리로 해석될 수 있다. 그리고 음양은 시작과 끝이 없으며, 음양의 동정에 태극은 항상 거기에 존재하며 결코 따로 떨어져 홀로 존재할 수 없다고 보았다. 그리고 무극(無極)의 개념을 시작과 끝이 없는 무궁함의 개념으로 이해한다. 율곡의 태극론은 주리(主理)도 아니고 주기(主氣)도 아니며, 리기일원론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리기론을 정립하는 기초이론이며, 이후 기호학파의 중심이론이 되었다. 이러한 율곡의 태극론은 그의 독창적 견해이며, 결코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1491∼1553)의 주리적(主理的) 설명이나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 1489∼1546)의 주기적(主氣的) 성향과는 다르다. 따라서 이언적과 서화담의 이론을 종합하였다거나 영향을 받았다고 단정하기 어렵다. 그리고 이제는 태극론에 대한 형이상학적 연구와 함께 이것이 인간의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를 살펴야 한다. 우주자연의 큰 흐름[敦化]과 작은 흐름[川流] 무궁하게 계속되는 그 ‘운행의 규율성과 자연의 기능’이 태극이며, 생명의 모든 근원이 태극이라는 의미이다. 태극은 율곡의 생명철학이기도 하다. YulGok Yi I(1536∼1584) wrote “A Questions and answers for the way of Heaven(天道策)” and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 and this is where his Taiji theory began to be formed. He especially understood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operation of the whole creation in the “A Questions and answers the change and the number(易數策)”as the change and the number, and explained it by describing it as Taiji and Yin Yang(陰陽). YulGok emphasized “all penetrating Li and defining Qi(理通氣局)” and “the only one way in li resting on top of the work of qi(氣發理乘一途)” in a letter with WuGye(牛溪) SeongHon(成渾. 1535∼1598),there is no order in Taiji and Yin yang(陰陽), accordingly he said that we need to understand the principles of “having no clue in movement and quietness” and “having no beginning in Yin Yang. In ShengHakJibyo(聖學輯要), YulGok said that Shenyang(生陽) in “Taiji to move and Shenyang(太極動而生陽)” never mean “being comes from nothing(有生於無)”. And he thought that ‘YinYang’s one move, one rest(一動一靜)’ there is no such thing as a schedule for all of them, but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that's the way it is, there is no order in li(理) and qi(氣). YulGok establishes his own theory of Taiji in the argument with SaAm(思菴) Park Soon (1523-1589). The Taiji is not the qi of yin and yang, and is the function of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Here the Taiji can be interpreted as li(理). And the yin and yang has no beginning or ending, and the li(理) is always there in the movement and quietness of yin and yang, and it can never exist alone. And he understand the ideas of the Wuji(無極), endless concepts of beginning and ending. YulGok’s Taiji theory is neither li-centered(主理) nor qi-centered(主氣), it can be called a li qi monotheism. And YulGok’s Taiji theory was the basic theory that established his Li Qi theory, and later became the central theory of the GiHo school. It is his original view, and it is far different from that li-centered(主理) theory of Hoejae(晦齋) Yi Eon-jeok(1491∼1553) and the qi-centered(主氣) theory of HwaDam Seo GyengDuk(徐敬德. 1489∼1546). So it is difficult to be influenced or combined with their theory. And now, along with the Metaphysical study of the Taiji theory, it is necessary to look at how it relates to human life. The endless flow of “the rules of operation and functions of nature” is the Taiji, and all sources of life are Taiji. The Taiji theory is also the philosophy of the life of YulGok.

      • KCI등재후보

        율곡학 심론의 전개와 심화 : 심心과 형기形氣와 기질氣質의 관계를 중심으로

        배제성 (재)한국연구원 2022 한국연구 Vol.- No.11

        율곡의 심성론은 ‘기발리승일도(氣發理乘一途)’와 ‘이통기국(理通氣局)’을 종지로 주자 철학을 일관되게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관점을 수립하였다. 율곡학은 이기심성(理氣心性) 의 구분과 이기불리부잡(不離不雜)의 의미를 명료하게 부각시키면서 그에 내재한 철학적 함의나 문제의식이 수면 위로 표출될 가능성을 높였다고 할 수 있다. 율곡 후학들은그에 따라 부각된 이론적 문제들에 대응하며 학술을 전개하고 심화시키는 양상을 보여주고 있다. 그것은 특히, 기의 역할을 강조하는 학문 체계 안에서 심(心)의 고유한 지위와 역할을 구체화하는 형태로 전개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심기(心氣)와 형기(形氣)의구분’·‘심(心)과 기질(氣質)의 구분’을 중심으로 그 논의의 전개 양상을 고찰하였다. 이두 주제는 인심도심설과 호락논변이라는 중요한 사상사적 맥락과 궤를 같이 하는 가운데 율곡 심론(心論)의 심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Yulgok established a view, represented by ‘principle unifi es, material force delimits’, and ‘unity of the issuance of material force with principle mounting it’, for a consistent understanding of Zhu Xi’s theory. His theory made the issues and implication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more prominent. The successors of Yulgok deepened discussions on these issues. Th is study investigated the implications of the discussions. More specifi cally, we focused on the issue of distinguishing between mind-heart and physical force, and the issue of distinguishing between mind-heart and temperament. Th rough these investigations, we can identify a tendency for discussions about the feature and status of the mind-heart to deepen theoretically.

      • KCI등재

        율곡학의 관점에서 본 호락논쟁의 쟁점과 낙론의 성격 -미발론과 인물성론을 중심으로-

        윤연석 ( Yon Seok Yoo ) (사)율곡연구원(구 사단법인 율곡학회) 2013 율곡학연구 Vol.26 No.-

        본 논문은 18세기 율곡학파 내부에서 발생한 학술논쟁인 호락논쟁을 ``율곡학파의 분기``라는 문제의식 하에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 성리학의 근본 입장을 기발리승일도설 氣發理乘一途說과 리통기국설 理通氣局說로 설정하고, 이에 입각하여 호락논쟁의 양대 쟁점인 미발논(未發論)과 인물성논(人物性論)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미발논변(未發論辨)은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에 대한 해석과 관련되고 인물성논변(人物性論辨)은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 대한 해석 차이에 기인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호론의 대표적 인물인 한원진은 미발(未發)의 영역에 기질(氣質)의 청탁(淸濁)·미악(美惡)이 존재하지만 용사(用事)하지는 않으므로 잠연허명(湛然虛明)한 명덕(明德)의 본체(本體)가 되는데 지장이 없다는 미발기질유선악논(未發氣質有善惡論)을 제기하였는데, 이는 청탁(淸濁)의 기(氣)가 동정(動靜)하고 순선(純善)한 리(理)가 그 가운데 탑재되어 있다는 율곡의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에 입각한 것이다. 또한 태극(太極)과 오상(五常)을 각각 초형기(超形氣)와 인기질(因氣質)로 구분하여 태극(太極)은 인(人)·물(物)이 같고 오상(五常)은 인·물이 다르다는 인물성론(人物性論)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리일(理一)을 리통(理通)으로 해석하여 인·물의 동일성을 설명하고 리분수(理分殊)를 기국(氣局)에 기인하는 것으로 해석라여 인·물의 차별성을 설명하는 율곡의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을 계승한 것이다. 반면 낙론을 대표하는 이간과 이재는 미발(未發)의 영역에 기질(氣質)의 청탁(淸濁)이 존재한다는 호론(湖論)의 입장을 미발기질유선악논(未發氣質有善惡論)으로 간주하고 양웅(揚雄)의 선악혼설(善惡混說)로 귀결된다고 비판하였다. 이들은 기질(氣質)의 청탁(淸濁)이 제거된 본연지심(本然之心)을 제시하여 미발(未發)로 규정하였는데, 이는 심선(心善)에 기반하여 성선(性善)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입장이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심(心)은 청탁(淸濁)의 기(氣)이고 성(性)은 순선(純善)한 리(理)라는 설정하에 기(氣)의 동정(動靜)에 리가 탑재된 것으로 설명하는 율곡의 기발리승일도설에서 이탈한 내용이다. 또한 이간은 태극과 오상을 동일시하여 리를 단지(單指)한 본연지성(本然之性)은 인·물이 같고 리기(理氣)를 겸지(兼指)한 기질지성(氣質之性)은 인·물이 다르다는 인물성론(人物性論)을 제시하였는데, 이는 율곡의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서 인·물의 동일성을 리일(理一)로 설명하고 인·물의 차별성을 기국(氣局)에 기인한 리분수(理分殊)로 설명하는 것과는 차별화되는 입장이다. 이렇게 볼 때 호락논쟁의 양대 쟁점인 미발론(未發論)과 인물성론(人物性論)은 각각 기발리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리통기국설理通氣局說에 대한 해석과 직결되는 문제로, 한원진으로 대표되는 호론(湖論)이 율곡 리기론(理氣論)의 근본 입장을 논리적으로 심화시킨데 반해, 낙론의 대표적 인물인 이간과 이재는 율곡 리기론(理氣論)의 근본 입장에서 이탈하여 새로운 학문적 노선을 개척함으로써 율곡학파의 분기를 초래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issues of Horak debate occurred in the 18th century, in terms of the branch of Yulgok school. To this end, the theory of Weifa and the theory on the nature of human and things which is two main issues of the debate, were examined based on the Yulgok`s theory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Exponent of Horon, Han Wonjin argued that there are impure condition of kijil in the area of weifa and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Humans and things are different. As such, his opinion is based on Yulgok`s fundamental view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On the other hand, Exponent of Nakron, Yi Gan and Yi Jae criticized that Horon`s theory of Weifa was contrary to Mengzi`s theory of good human nature. It shows that the debate of Weifa is related to validity of the theory of good human nature. They separated pure original mind from physical mind and considered pure original mind as Weifa where is not impure condition of kijil. They also argued that the five constant virtues of humans and things are the same. But their opinion was out of Yulgok`s fundamental view of principle and material force. As a resurl, Horon deepened Yulgok`s fundamental position, whereas Nakron escaped from Yulgok`s fundamental position and pioneered new academic route. Therefore Horak debate arised to a branch of Yulgok school.

      • KCI등재

        율곡의 이기지묘(理氣之妙)와 치중화(致中和) -기질변화의 도덕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신순정 ( Soon-jeong Shin ) 한국철학사연구회 2016 한국 철학논집 Vol.0 No.50

        본 논문은 한국유학을 대표하는 인물 중 한 사람인 율곡(栗谷) 이이(李珥, 1537~1584)의 사상을 통해 현대 도덕교육에의 적실성 여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율곡이 송대의 성리학을 계승하면서도 자신만의 독창성을 발휘하여 이기(理氣)관계를 ‘이기지묘(理氣之妙)’로 정립하고,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과 ‘인심도심설(人心道心說)’을 통해 심(心)·성 (性)·정(情)·의(意)의 관계를 연속선상에서 요해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율곡은 한편으로는 인간의 심성에 대한 고찰을 통해 이상적 인간이 되는 길을 제시하였고, 다른 한 편으로는 변통의 묘리를 발휘하여 현실의 사회적 문제에 대한 해답을 제시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러한 율곡사상의 특징은 형식적으로는 그가 중국 정주학의 전통을 계승하면서도 본질 적으로는 『중용』과 『주역』의 시중(時中)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라고 본다. 즉 율곡은 때(時)의 적의성이라는 점에서 시중의 중용의 의미를 중시함과 더불어 ‘치중화(致中和)’를 실천론적 이상으로 설정하였던 것이다. 이 논문은 송대 성리학의 연장선상 위에 선 율곡이 어떠한 인식[앎]의 지평에서 현실성[때]을 담보해냈는지를 살펴보고 그의 심성정의일로설(心性情意一路說)과 기질변화의 교육적 태도를 통해 도덕교육방법론의 현대적 함의를 찾아보고자 한 것이다. This thesis aims to suggest probability of modern confrontation of Yulgok YiYi’s thought. For this, find out the meaning of Li-Qi-Zhi-Miao(理氣之妙) and through the Qi-Fa-Li-Cheng-Yi-Tu(氣發理乘一途), and Li-Tong-Qi-Ju-Shou(理通氣局說), Yin-Xim-Do-Xim-Shou(人心道心說), he creatively reveal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continually. On one side he suggested the way of ideal man, on the other side he was showed adaptablity to the real world. So I think Yulgok had placed emphasis on the Zhongyong(中庸) and Yijing(周易), so he point out the meaning of ShiZhong (時中). Then he had high ideals practical Zhi-Zhonghe((致中和). So This paper is to find out his foundation of epistemology, and then to know It‘s modern meaning of methodology of moral Education’s Implication on the relation of Xin(心)·Xing(性)·Qing(情)·Yi(意). So We ca find out Ji(機) is very important the transition of Qi-Zhe(氣質).

      • KCI등재

        退溪・栗谷 性理說의 재조명과 그 止揚 방향

        이상익 (사)율곡학회 2022 율곡학연구 Vol.49 No.-

        The debate between Toegye and Yulgok can be summarized into two issues. One is how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mind? the other is whether li is an agent capable of the initiative. However, Toegye’s thesis holding that li is capable of the initiatives violates the essential dichotomy between physical ki and metaphysical li and, as a result, faces criticisms even within his own school. This paper agrees with the criticism, arguing that the mind as the essence of ki is the sole agent capable of the initiative. Once the li-capability thesis is rejected, the genuine issue in the debate is how to understand the structure of the mind. Concerning the structure of the mind, Toegye’s ‘li and ki mutually initiate’(理氣互發) reflects the ‘two-natures-two-feelings’ thesis, whereas Yulgok’s ‘ki initiates and li is carried by ki’s initiative following one route’(氣發理乘一途) reflects the ‘one-nature-one-feeling’ thesis. As Toegye and Yulgok agree that the moral mind, the four beginnings, are from the moral nature, the point in question is the source of the human mind. Toegye holds that the source of the human mind is the privacy and partiality of one's physical ki, while Yulgok maintains that (like the moral mind) the human mind also comes from the moral nature of human beings. Here, Yulgok also violates one of the major premises of ZhuXi school. This paper holds that all emotions, including the moral mind, the human mind, the four beginnings, and the seven feelings, are initiated by the perceptional process of the mind and that the moral mind and the human mind are different in terms of their sources and orientations. Based on that, this paper proposes a thesis of ‘ki initiates and both ki and li are carried by ki’s initiative following two routes’(氣發互乘兩途). 퇴・율의 성리설에 대해, 사단・칠정의 관계와 칠정의 개념 문제, 理・氣의 개념과 ‘發’의 의미 문제 등 각자가 같은 개념을 서로 다른 맥락에서 이해함으로써 빚어진 혼란들을 모두 해소하고 나면, 퇴・율 사이의 진정한 쟁점은 둘로 압축된다. ‘마음의 구조’에 대한 이해 문제와 ‘理를 能發者로 볼 수 있느냐’의 문제가 그것이다. 그런데 퇴계의 ‘理의 能發說’은 ‘理와 氣’를 ‘형이상자와 형이하자’로 구분하는 성리학의 기본 논리를 침해하는 것으로서, 퇴계학파 내부에서조차 많은 반론에 직면한 것이다. 논자 역시 理의 能發說을 기각하고, 能發者는 오직 ‘氣의 精爽으로서의 마음’일 뿐이라고 본다. 이처럼 理의 能發說을 기각하고 나면, ‘마음의 구조’에 대한 이해 문제야말로 퇴・율 사이의 진정한 쟁점이라 할 수 있다. ‘마음의 구조’에 대해, 퇴계의 理氣互發說은 二性二情論을 표현한 것이며, 율곡의 氣發理乘一途說은 一性一情論을 표현한 것이다. 퇴계와 율곡은 모두 ‘道心(四端)은 인의예지의 본성이 발한 것’이라고 보았다. 따라서 퇴계와 율곡 사이에 대립의 초점은 ‘人心의 근원이 무엇이냐’ 하는 점이다. 퇴계는 ‘人心의 근원’은 ‘形氣의 사사로움’이라고 보았으나, 율곡은 ‘人心 역시 仁義禮智의 본성에 근원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율곡의 이러한 주장은 ‘大本을 어지럽힌 것’이라는 비판을 면하기 어렵다. 논자는 사단・칠정과 인심・도심 등 모든 감정은 ‘마음의 지각 작용’을 통해서 발현된다고 보며, 그러나 인심과 도심은 서로 ‘근원도 다르고, 지향도 다르다’고 본다. 논자는 이러한 입장을 바탕으로 ‘氣發互乘兩途論’을 제안해 보았다.

      • KCI등재
      • KCI등재

        조선후기 인물성론의 인간학적 가치 -한원진과 이간을 중심으로-

        김문준 ( Kim Moon-joon ) 한국동서철학회 2017 동서철학연구 Vol.0 No.85

        첫째, 인물성동이론이라는 표현은 사용하지 말아야 한다. 성리학자는 모두 인물성 이론자들이다. 인물성 논의에 참여한 학자들은 모두 성리학자들이며, 이들은 모두 근본적으로 인성(사람의 본성)과 물성(사물의 본성)은 다르다는 전제에서 논의했다. 인간은 이 세상에서 가장 완전하고 우수한 존재이며 동물은 불완전하고 열등한 존재라고 보고, 인간성이 동물성으로 전락하는 것을 우려하며 인간성 실현을 학문과 정치의 최종 목적으로 여겼다. 둘째, 인물성론의 양측 모두 학문 근거가 동일하다. 양측 모두이이의 `기발일도`(氣發一途) `이통기국`(理通氣局) 설을 계승했으며, 송시열의 `존중화양이적`(尊中華 攘夷賊)의 가치관과 `존주자 벽이단`(尊朱子 闢異端)의 학문관과 춘추정신을 계승했다. 인물의 본연지성은 동일하나 기질지성이 다르다고 한 이간이나, 기에 내재한 이상 본연지성부터 다르다고 한 한원진 역시 인간의 본성과 도리를 밝히고 도덕가치를 지향하려는 논의를 전개했다. 셋째, 조선 후기 인물성론의 가치는 인성과 물성에 자체에 관한 논의가 아니다. 그 가치는 인간성 내면 탐구의 극치를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인물성 동론이라고 칭해지는 학자도 동물성을 긍정하는 것이 아니라 `존인천물`(尊人賤物)의 가치관을 벗어난 것이 아니다. 넷째, 18세기 인물성론의 주요 내용은 인간 마음의 미발심체, 허령지각, 이발중절 등을 논의하면서 성정을 통괄하는 마음의 주재성을 확립하는 논의로 전개되었으므로 인물성동이론이라고 칭하기 보다는 인물성론, 또는 미발심체론(未發心體論)이나 중화심론(中和心論)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된다. Firstly, the term `Disputa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should not be used. All the scholars who participated in the `Disputa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were neo-Confucians, and they dealt with this topic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nature of man and the nature of things are fundamentally different. They viewed man as the most perfect and superior being in the world, and animals as imperfect and inferior beings, and worried about the degradation of human nature into animal nature. For this very reason, their ultimate goal was the realization of human nature in the realms of both academia and politics. Secondly, both sides of the dispute shared the same studies. They have all studied Yi I`s theory that `one way that ki is generating and then li is on it` and the theory that `principle is penetrating and material force is limited`. They all also shared Song Si-yeol`s values such as `Protecting the Civilization & Rejecting the Barbarianism`, and studied his views on `Respecting for Chu Tzu & rejecting the Heterodoxy` as well as his `Thought of Chuchu`. Both Lee Gan (李柬; 1677~1727), who stated that all men have the same inner nature but different emotional nature, and Han Wonjin (韓元震; 1682~1751), who argued that even the inner nature can vary by person because of the workings of ki, agreed on the importance of revealing the human nature and duty, what is right, and achieving moral values as they carried on the dispute. Thirdly, the value of the `Theory of the Sameness and Difference about the Nature of Man and Things` is not involved in the discussion about the nature of man and animals. Its value actually lies in that it showed the acme of research into the inner nature of man. Even the scholars who believed in the `Theory of the Sameness and Difference about the Nature of Man and Things` did not approve of animal nature nor did they shed their belief that `men are noble and animals are lowly`. Fourthly, the main discussions on the `Theory of the Sameness and Difference about the Nature of Man and Things` in the 18th Century Joseon Dynasty were: the unaroused mind itself (Substance of Heart-Mind), perception of emptiness (empty spiritualty and apprehensiveness), and the aim to substantiate the heart which can generalize the nature of man. For this reason, it is in my opinion that `Theory of the Sameness and Difference about the Nature of Man and Things`, `Theory of the Unaroused Mind Itself (Substance of Heart-Mind) or `Theory of Mind of Mean and Harmony` are more appropriate terms than `Disputation about the Difference between Human Nature and Animal N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