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華西學派 衛正斥邪論의 義理精神 一考察

        유성선 화서학회 2016 화서학논총 Vol.7 No.-

        화서학파의 종장은 이항로이다. 본 논고의 목표는 화서학파 위정척 사론의 의리정신이 개관이다. 본 논고의 차제는 근대성의 의리정신과 문제제기/ 위정척사론의 이해와 구조/ 의리정신의 이론적 기초/ 21세 기 시대정신의 의의와 전망이다. 화서학파는 화서 이항로를 종장으로 당시의 시대정신을 고민하였다. 이 중심은 성리학의 문제인 심설 등의 문제등을 토론하고 강학하였다. 먼저 화서학파의 척사의리는 春秋대일통사상에 기초하는 것으로 尊周 를 중시했다. 위정척사상과 의리정신에 근거한 춘추사상은 공자의 인 의사상의 역사적 표현이다. 모든 문화와 사상은 그 시대적 환경에 기인 한다고 보아도 과언이 아니다. 화서학파의 이론적 기초도 동일하다. 이 러한 위기 상황에서 위정척사의 의리정신은 21세기에도 효율적으로 적용가능한 이론이다. 즉 화서학파는 당시 서세동점의 제국주의 열강 의 문물은 척사의리의 대상으로 접근하고 의병운동으로 저항하였다. 21세기 난세의 시대에 본 논고에서는 정통과 도통, 도덕적 가치 등 화 서학파가 견지한 위정척사 의리정신의 시대정신을 변용하고 적용할 때 임을 전망해 본다. In 1800s, there was a scholar as well as commander of loyal troops, who tried to save the nation just before its collapse. He was Lee, hangro, a master of Hwaseo hakpa. This research aimed at an overview of loyalty spirit of Hwaseo hakpa Wijeong cheoksaron. The phased development of this research was conducted along with loyal spirit of modernity and problem presentation/understanding of Wijeong cheoksaron and its structure/ theoretical basis of loyalty spirit/ significance of 21st century time spirit and prospect. Hwaseo hakpa was concerned about the time spirit of that period mainly with Hwaseo Lee, hangro, which enhanced and discussed the problem as Shimseol, etc., problem of Seongrihak. Above all, their Cheoksa loyalty spirit highly regarded Jonju(尊周), based on Daeiltong idea of Chunchu. Chunchu idea based on Wijeongcheock idea and loyalty spirit was the historical expression of Confucius' benevolence idea. It is within bounds to say that all culture and ideas were based on the environment of the times. Theoretical basis of Hwaseo hakpa was the same. In this crisis situation, loyalty spirit of Wijeong cheoksa is efficiently applicable theory also in the 21st century. That is, Hwaseohakpa intended to approach the culture of imperialism powers of Seosedongjeom of that period as the target of cheoksa loyalty and resisted through righteous army movement. In this 21st century's turbulent period, this research prospects that it is time to transform and apply the time spirit of Wijeong cheoksa loyalty spirit, such as authenticity, continuity, and moral value, etc. to which Hwaseo hakpa held on.

      • KCI등재
      • 艮齋와 南塘의 思想同異와 特徵 -「天命之謂性」장과 「生之謂性」장에 대한 이해를 중심으로-

        전병술 간재학회 2012 간재학논총 Vol.13 No.-

        한원진과 전우는 각각 외적의 침략에 의해 조선이 유린당하거나 멸망하는 시기에 살았던 인물이다. 국가 존망의 위기에 직면하여 둘 모두 지식인이면 마땅히 표출하여야만 하는 우환의식을 충분히 표현하였다. 인성과 물성에 대한 논쟁도 어떻게 하면 인간과 국가의 존엄성을 되살릴 수 있는가라는 실천적 맥락에서 진행되었다. 같은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는데 한원진과 전우는 왜 인·물성동론과 인·물성이론이라는 전혀 다른 길을 걸었을까?한원진은 동물과는 구별되는 인간의 존엄성을 드높임으로써 위기를 타개하려고 하였다. 그는 평생 유가의 정통성을 지키기 위하여 인간과 금수의 구분, 유교와 불교의 구분 및 중화와 이적의 분별에 주력하였는데 핵심은 역시 인간과 금수의 판별에 있었다. 나아가 명을 물리치고 중국을 지배하는 청나라 또한 금수이며 이적으로 보았고, 이제 조선에서 의리의 꽃을 피워야 하고, 이를 바탕으로 청나라를 물리치고 성리학적 인간의 삶의 터전을 되살려야 한다는 강렬한 사명감을 표출하였다. 한원진은 조선의 두 이적 가운데 왜를 징벌하는 것은 한 나라의 사적 원수를 갚는 것에 비해 청을 정벌하는 것은 천하의 대의라고 주창하며 송시열의 뜻을 이어 북벌을 부르짖었다. 이러한 강렬한 대의명분을 지닌 한원진의 입장에서 볼 때, 인간의 본성과 사물의 본성이 같다는 주장은 결굴 중화와 이적이 같다는 말과 마찬가지라는 의미를 띠기 때문에 반대할 수 밖에 없었다. 전우가 인·물성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고 동론을 주장할 당시 호학파의 가장 강력한 무기 또한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주장은 인간과 금수 및 중화와 이적을 구분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귀결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성과 물성이 같다고 믿고 주장한다면 결국은 망국의 길을 걸을 수 밖에 없다는 점이었다. 이러한 비난에 대해 전우는 역사적 전거를 들며 인간의 삶을 사느냐 금수의 삶을 사느냐 하는 문제는 본성의 문제가 아니라 실천의 문제라고 주장한다. 한원진 시대에 사적 원수였던 왜는 전우 시대에 와서 복수의 대의명분의 대상이 되었고, 이제 존화양이도 명·청과 조선과의 관계가 아닌 조선과 왜구와의 관계로 정립되었다. 청과 조선의 관계는 문화의 문제로 귀결되었지만 대한제국과 일본과의 관계는 전우에게 실존적 문제로 다가왔다. 따라서 더욱 확고한 주체성의 정립이 절실하였는데, 전우는 본성에 대한 강력한 믿음이 전제되어야만 주체성을 정립하고 실천적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믿었다. 그는 이러한 관점에서 성의 존귀성을 내세웠고, 인·물성 동이 논변을 통하여 이론적 근거를 확보하려 하였던 것이다.

      • KCI등재

        고려 趙位寵의 義와 叛에 대한 성리학적 논변

        유영옥(Yu, Young-Og) 부산경남사학회 2013 역사와 경계 Vol.88 No.-

        前代의 역사가 끊임없이 재론되는 것은 當代의 이데올로기와 현실 상황이 그에 투영되어 史家의 史筆이 事業과 人物의 賢否를 지속적으로 환기시키기 때문이다. 조선은 성리학 사회였기 때문에 정통과 의리에 대한 엄격한 분변이 古今을 평가하는 가장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따라서 조선후기 성리학의 정통론과 의리명분론이 더욱 강화되는 추세 속에서 『고려사』나 『동국통감』과 같은 조선전기 관찬사서의 史評은 종종 역전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여말선초의 절의자와 개국공신에 대한 평가가 주로 그에 해당되며, 그 이전의 고려인으로는 趙位寵에 대한 史評이 현란하게 상반된다. 조선전기 『동국통감』은 조위총이 거병한 처음은 義였으나 끝은 叛이었다고 하여, 조위총에 대한 義와 叛의 양면적 평가를 확고히 결정하였다, 그로 인해 조선후기 史書들은 대개 義가 叛으로 변질되었다는 ?동국통감?의 사평에서 一步더 나아가, 양자택일로 단정하자면 조위총은 결국 叛으로 귀착되는 인물이라고 인식하였다. 그 속에서 혹자는 조위총이 처음 거병할 때조차 義라고 할 수 있는지 의심하였고, 혹자는 그의 叛逆을 아예 부정하며 거병의 大義만 적극 顯彰하는 쪽으로 그를 재평가하였다. 조위총에게 일말의 大義도 없다고 혹평한 『동사찬요』를 비롯해 『여사제강』 등 17~18c 초반의 史書들은 주로 조위총의 義에 회의하거나 의심하였고. 조위총을 節義之士로 대서특필한 18c 중ㆍ후반 성호 이익과 제자 안정복의 『동사강목』 등은 조위총의 叛을 사소한 흠결로 포용하며 그의 大義를 적극 褒?하였다. 이에 본고는 조선전기 『동국통감』이 조위총을 義와 叛으로 평가한 까닭을 서술하고, 이어서 정통과 의리에 대한 개인의 사유 및 시기에 따라 조위총을 다르게 보는 조선후기 史評들을 차례로 서술하였다. Some figures who were described in history books of the early Joseon period were differently estimated by those of the late Joseon period. One of those figures is Jo, Wi-Chong.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ng-Confucianism, Jeong, Jung-Bu and Lee, Eui-bang are traitors because they carried out the Warriors’ Coup in 1170 and ousted the then monarch, King Euijong. Kim, Bo-Dang and Jo, Wi-Chong rose in arms in order to crack down on those traitors. So they are righteous from the same perspective. History books published in the Joseon period all agreed that Kim, Bo-Dang who had taken up arms in the 3rd year of King Myeongjong’s reign, but failed was righteous. However, they described that Jo, Wi-Chong who had raised an army in the 4th year of the same king’s reign, but failed was just on one hand and rebellious on the other hand. Estimating Jo, Wi-Chong in two ways, ‘loyalty’ and ‘treason’ was made for the first time by a historic publication of the early Joseon period, 『Dongguk Tonggam』. This literature judged that Jo, Wi-Chong’s initial mobilization of armed forces was certainly righteous, or loyal to ‘loyalty’ because it aimed to punish the military coup group that expelled the then monarch. But ?Dongguk Tonggam? concluded that his armed action finally proved to be treasonable since it was wrong in timing. The literature attributed that conclusion to the following three facts. First, Jo, Wi-Chong missed the chance to kill the traitors because he hesitated when Kim, Bo-Dang rose in arms, and failed to cooperate with the latter. Second, prolonged military disputes led by Jo, Wi-Chong became as if they were insurrectional against King Myeongjeong as the power of the monarch were gradually fortified and stabilized. Third, Jo, Wi-Chong tried to depend on Jin by committing an anti-national act, that is, attempting to hand over some part of Koryo to the Chinese country when his situation fell into more trouble. It was a main trend of the late Joseon period that legitimism and the priciples of righteousness and justice were strengthened based on the Sung-Confucianism. Following that trend, Jo, Wi-Chong was estimated in two different ways. Some doubted whether he was righteous while, others negated that he was rebellious. For example, 『Dongsa Chanyo』 and 『Yeosa Jegang』 criticizes him for having risen in arms for his own interest from the outset, which necessarily had to turn to be a revolt. In contrast, Lee, Ik and his disciples, Ahn, Jeong-Bok and Kang, Jae-Hang considered Jo, Wi-Chong’s anti-state acts as trivial mistakes and praised extensively that those acts were based on his great cause. These differences can be attributed to different ways of reasoning that persons who actually estimated Jo, Wi-Chong had about things legitimate and righteou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ung-Confucian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