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각본 『십구사략』 간행의 양상과 의미 -1권을 중심으로-

        이윤석 ( Yoon Suk Lee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14 동방학지 Vol.168 No.-

        한국의 방각본 연구는 고소설 연구자들의 한글소설 연구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한글 방각본 연구의 성과는 상당한 양이 축적되어서 개별 작품의 이본에 대한 비교적 정확한 목록이 작성되어 있다. 그러나 한문 방각본은 아직 전체 목록도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으므로 개별 작품의 이본을 정리하는 일은 아직 엄두도 내지 못하고 있다. 조선의 방각본은 한글본보다 한문본이 먼저 나왔으므로, 한글 방각본의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도 한문 방각본의 연구는 반드시 필요하다. 한국의 서지학자들은 관판본 연구에 주력했기 때문에 민간의 상업출판물인 방각본에 대한 연구에는 소홀했다. 여기에는 ‘최초의 금속활자’라든가 ‘아름다운 활자본’ 또는 ‘고려의 불경’에 비해 1800년 무렵에 비로소 활발해지는 방각본의 출현이 너무 늦다는 생각이 깔려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방각본이 주위의 다른 나라에 비해 늦게 나왔다거나, 책의 외형이나 내용이 조잡하다고 해서 연구할 필요가 없는 것은 아니다. 사략(史略)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원(元)나라 사람 증선지(曾先之)가 지은 『십팔사략(十八史略)을 생각하지만, 조선시대에 읽힌 『사략』은 『십팔사략』에 원사(元史)를 더한 『십구사략(十九史略)』이다. 『십구사략』은 활자본이나 목판본으로 나온 관판본이 많이 있지만, 19세기부터 방각본도 간행되기 시작한다. 필자는 방각본 『십구사략』의 간행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이 논문을 썼다. 이 글에서 필자는 먼저 관판 『십구사략』 간행의 역사를 간단히 살펴본 다음, 현재 남아 있는 방각본 『십구사략』의 목록을 정리했다. 이 과정에서 방각본 『십구사략』은 8권 7책이나 10권 8책의 완질을 간행한 것이 아니라 주로 1권만 간행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필자가 수집한 방각본 『십구사략』 1권의 이본 30여 종을 소개하고, 방각본이 주로 1권만을 간행한 이유를 간단히 살펴보았다. 방각본 『십구사략』이 1권만 간행된 이유는, 20세기 중반까지 남아 있던 서당에서 이 『십구사략』 1권을 교재로 썼기 때문이다. 서당에서는 3권까지도 가르쳤지만, 주로 1권에서 끝을 냈다. 1권은 태고(太古)에서 춘추전국(春秋戰國)까지이고, 2, 3권은 진(秦), 한(漢), 삼국시대인데, 서당의 교육에서는 이 정도의 지식을 가르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생각했음을 알 수 있다. Eighteen Abbreviated Histories of Ancient China (十八史略) was written by Zeng Xian Zhi (曾先之) of the Yuan (元) dynasty. Later, the history of the Yuan dynasty was added to it and so the book eventually got to contain nineteen abbreviated histories of China. Both were imported in Chosun. But mentions about the Zeng’s original version are found only in the Early Chosun period records. The so-called Saryak (史略) came to mean the extended version, Nineteen Abbreviated Histories of Ancient China (十九史略), in late Chosun period. Although the origin of both the Eighteen and the Nineteen was China, they were not popular in their home country. Instead, they gained fame in Korea and Japan. The Eighteen were constantly and widely read in Japan and the Nineteen after in Korea. In Chosun, a large quantity of the Nineteen was published as government publication. However, its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version began to appear from the 19th century. Although the government publication version usually published as seven or eight volumes as a whole, it seems that the commercial book makers made a different decision. Except a few cases, most of the remaining commercial versions only contain the first volume of the entire volume. The reason why they did not published the entire volume was related to Seodang education. The Nineteen was widely read as a Seodang text book but since the education did not go beyond the Three Kingdoms, which was about Volume Three, there was not so much demand for further volumes. The aim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list of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version of the Nineteen with special attention to the publication of the first volume. I have collected more than thirty different versions of the first volume of the Nineteen and classified them. Since there is not even a list of Classical Chinese woodblock printings, this paper would be a stepping stone to the research in this field.

      • KCI등재

        한문방각본의 성격에 대하여

        이윤석 ( Yoonsuk Lee )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방각본은 수요와 공급이라는 시장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책을 사고파는 시장이 없는 곳에서는 방각본이 생겨날 수 없다. 봉건질서가 해체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질서가 ‘신분’이 아닌 ‘돈’이 되는 시대의 산물이 방각본이다. 그러므로 방각본 연구는 이 새로운 사회질서와 관련시켜서 진행해야 한다. 한문방각본이 상층부 지식인의 교양을 요약한 상품이라면, 한글방각본은 하층의 오락을 상품화한 것이다. 방각본은 서민층의 독서물이므로 방각본 연구는 자연스럽게 조선 후기 서민문화 연구로 연결될 수 있다. 서민문화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점은 자료가 없다는 것이다. 역사 연구가 지배층 연구에 국한되는 가장 큰 이유는 남아 있는 자료가 지배층이 남긴 것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연구를 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가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 엘리트문화의 자료뿐이다. 서민들이 향유했던 문화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기록도 별로 없고, 또 자료도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방각본이야말로 서민문화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이므로, 방각본 연구를 통해 조선후기 서민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글방각본은 고소설 연구자들에 의해 거의 완벽한 서지목록이 작성되었지만, 한문방각본은 아직 작품목록도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다. 한문방각본의 연구를 위해서는 정확한 목록을 작성하는 일차적인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논문은 그런 작업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한문방각본을 그 성격에 따라 세 가지 나눠서 검토한 것이다. 그 세 가지는, 한시를 짓는데 필요한 책, 격식을 위한 서적, 초보자의 학습서이다.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class system in the nineteenth century Chosun brought a new type of book market. It was the advent of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both Classical Chinese and Hangul.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se usually represented the culture of the highly educated intellectuals but the ones in Hangul were mainly the products of popular entertainment, especially for the lower class people. As it became relatively easier to change one’s social class by paying money, the number of newly risen upper clas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ese also arose. It can be said that since this new type of books were closely related to a new social order, its research should be advanced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is new social order.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are the materials to understand common people,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researches on these books lead to the studies on the popular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doing so, not only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Hangul should be regarded as the source materials to study it but also the ones in Classical Chinese should be, too.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for such studies is to create a list of the actual works in Classical Chinese. In order to create the lis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ese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groups. The three groups are as follows; the books needed for composing Chinese poems, reference books for rituals and the elementary books for learning the Chinese classics.

      • KCI등재

        방각본 『수호지(水滸誌)』의 판본과 성격에 대한 연구

        유춘동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2 No.-

        이 글에서 다루려는 것은 방각본으로 간행된 ꡔ수호지ꡕ이다. 학계에 알려진 방각본 ꡔ수호지ꡕ는 “경신츈(庚申孟春)”의 간기(刊記)를 지닌 <2권2책본>과 간기가 없는 <3권3책본>이 있다. 그러나 두 종 모두 연구자들이 검토하기 어려웠다. <2권2책본>은 원본이 프랑스 파리 국립동양어대학교에 소장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에는 소개되지 못했고, <3권3책본>은 영인(影印)되어 일찍이 학계에 알려졌지만 영인의 상태가 좋지 못해 판독이 거의 불가능했다. 이처럼 방각본으로 간행된 ꡔ수호지ꡕ는 원본에 접근하기 어려운 문제에다가 이미 소개된 판본조차 읽어내기가 어려워, 두 본의 관계나 판본이 지닌 특성에 대해서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고 다음과 같이 논의를 진행하였다. 첫째, 먼저 실본 조사를 통하여 확인할 수 있었던 방각본 ꡔ수호지ꡕ의 판본을 개관하고, 판본 간의 관계, 판본의 추가 간행 문제를 살펴보았다. 논의를 정리해 보면, 방각본 ꡔ수호지ꡕ는 경판본 <2권2책본>과 <3권3책본> 두 종으로 나뉘는데, <3권3책본>은 경판본 <2권2책본>을 적절히 <3권3책본>으로 만든 것이기 때문에, 안성판본이 아닌 경판본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경판본 <2권2책본>은 중국원본 ꡔ수호지ꡕ와 대조해보았을 때, 전체 분량 중에서 53회에서 끝이 나는 점이라든가, “하회 분셕라”라는 마지막 구절을 통하여 추가로 간행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그러나 신문관(新文館)에서 발행한 활판본 ꡔ수호지ꡕ의 간행사를 통해서 <2권2책본> 이외에는 더 이상 간행되지 않았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방각본 ꡔ수호지ꡕ가 지닌 번역본으로서의 특징을 중국 원본과 대조하여 살펴보았다. 방각본 ꡔ수호지ꡕ는 관련 기록을 통해서 볼 때, 중국본 ꡔ충의수호지ꡕ를 저본으로 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두 본을 면밀히 대조하면서 살펴본 결과, 방각본 ꡔ수호지ꡕ는 원본의 120회 내용 중에서 대략 53회까지의 내용을 축약해 놓았다. 원본에 있던 시(詩), 사(詞), 평어(評語), 삽입시(揷入詩), 편지, 상소문 등은 모두 생략했다. 그리고 등장인물들의 경우 비중을 감안하여 일부만 등장시켰고, 인물의 이름 또한 임의로 만들기도 했다. 번역의 양상은 원본을 크게 삭제한 부분과 원분을 비교적 충실하게 반영한 부분이 주목된다. 전자는 서사전개를 늦추는 경우와 윤리적으로 문제가 있거나 관군들을 죽이는 내용에서, 후자는 무송, 이규, 석수와 양웅의 이야기에서 이루어졌다. 특히 무송의 일화이면서 독립적으로도 볼 수 있는 ‘반금련과 서문경의 이야기’는 방각본에서 자세하게 기술해 놓았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방각본 ꡔ수호지ꡕ의 전반적인 성격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를 통해서 방각본 ꡔ수호지ꡕ의 성격과 번역본으로서의 특성을 확인하는 것은 물론 중국 장편 연의소설이 조선에서 방각본이라는 상업출판물로 만들어 졌을 때, 어떠한 경향과 특성을 보여주는지도 확인해 보았다.

      • KCI등재

        한문방각본의 성격에 대하여

        이윤석 한국고전문학회 2015 古典文學硏究 Vol.47 No.-

        The collapse of the traditional class system in the nineteenth century Chosun brought a new type of book market. It was the advent of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both Classical Chinese and Hangul.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se usually represented the culture of the highly educated intellectuals but the ones in Hangul were mainly the products of popular entertainment, especially for the lower class people. As it became relatively easier to change one’s social class by paying money, the number of newly risen upper class increased and the demand for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ese also arose. It can be said that since this new type of books were closely related to a new social order, its research should be advanced in relation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is new social order.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are the materials to understand common people, therefore it is natural that researches on these books lead to the studies on the popular culture of the late Chosun dynasty. In doing so, not only the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Hangul should be regarded as the source materials to study it but also the ones in Classical Chinese should be, too.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for such studies is to create a list of the actual works in Classical Chinese. In order to create the list,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isting commercial wood-block printed books in Classical Chinese by classifying them into three groups. The three groups are as follows; the books needed for composing Chinese poems, reference books for rituals and the elementary books for learning the Chinese classics. 방각본은 수요와 공급이라는 시장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것이므로 책을 사고파는 시장이 없는 곳에서는 방각본이 생겨날 수 없다. 봉건질서가 해체되면서 나타나는 새로운 질서가 ‘신분’이 아닌 ‘돈’이 되는 시대의 산물이 방각본이다. 그러므로 방각본 연구는 이 새로운 사회질서와 관련시켜서 진행해야 한다. 한문방각본이 상층부 지식인의 교양을 요약한 상품이라면, 한글방각본은 하층의 오락을 상품화한 것이다. 방각본은 서민층의 독서물이므로 방각본 연구는 자연스럽게 조선 후기 서민문화 연구로 연결될 수 있다. 서민문화의 연구에 있어서 가장 큰 난점은 자료가 없다는 것이다. 역사 연구가 지배층 연구에 국한되는 가장 큰 이유는 남아 있는 자료가 지배층이 남긴 것밖에 없기 때문이다. 문화 연구에 있어서도 연구를 할 수 있는 구체적 자료가 남아 있는 것은 대부분 엘리트문화의 자료뿐이다. 서민들이 향유했던 문화가 무엇이었는지에 대해서는 기록도 별로 없고, 또 자료도 남아 있는 것이 거의 없다. 방각본이야말로 서민문화 연구를 위한 중요한 자료이므로, 방각본 연구를 통해 조선후기 서민문화에 접근할 수 있는 통로를 열어나갈 수 있을 것이다. 한글방각본은 고소설 연구자들에 의해 거의 완벽한 서지목록이 작성되었지만, 한문방각본은 아직 작품목록도 제대로 정리되지 않았다. 한문방각본의 연구를 위해서는 정확한 목록을 작성하는 일차적인 작업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 논문은 그런 작업의 일환으로 지금까지 알려진 한문방각본을 그 성격에 따라 세 가지 나눠서 검토한 것이다. 그 세 가지는, 한시를 짓는데 필요한 책, 격식을 위한 서적, 초보자의 학습서이다.

      • KCI등재

        방각본 연구의 몇 가지 문제

        이윤석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이 논문에서 필자가 얘기한 것은 다음과 같다. 방각본 연구를 위해서는 먼저 방각본은 사회의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라는 점을 분명히 해야 하고, 나아가서 방각본 같은 상업출판물이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켰는가 하는 문제도 다룰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을 말했다. 다음으로 최초의 방각본이 무엇인가를 밝히는 문제도 추상적인 논의보다는 개별 방각본 연구를 축적해나갈 필요가 있음을 지적했다. 그리고 필자가 관심을 갖고 있는 몇 가지 방각본, 즉『문자류집(文字類輯)』,『십구사략(十九史略)』,『고사성어고(故事成語考)』와 논란이 있는『임경업전』에 대해 간단히 언급했다.

      • KCI등재

        非小說 漢文坊刻本 刊行에 대한 書誌的 고찰

        옥영정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이 연구는 한문으로 간행된 비소설방각본에 대해 기존의 연구에서 다소 부족한 면이 있는 서지적 고찰을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연구대상인 한문방각본은 방각본 가운데 그 서사 문자가 한글이 아닌 ‘漢文’인 것을 말한다. 다만 본고에서는 한문 방각본 가운데 많은 분량을 차지하고 있는 소설류는 연구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먼저 방각본의 정의와 특징에 대한 기존의 논의 가운데 몇 가지 주요 쟁점을 검토해보았다. 우선 방각본에 대한 서지학적 논의를 통하여 정의를 재고하였다. 방각본의 정의는 민간의 범주와 상업성의 성격을 고려하여 “민간이 영리를 목적으로 간행한 목판본 또는 고활자본”을 일컫는 것으로 수정할 필요가 있음을 밝혔다. 그리고 방각본의 특징을 살펴본 후 한문방각본의 내용과 특징, 형태서지적 특징, 간행의 유형 등을 다루었다. 내용적 특징과 형태서지적 분석, 간행의 유형은 방각본의 특징을 서지학적 관점에서 고찰한 것이다. 특히 간행의 유형에서는 국내판본의 전승, 국외판의 번각, 새로운 간행으로 구분하여 해당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국내 전존하고 있는 한문방각본의 원류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론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bibliographical consideration on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of nonfiction written with chinese characters, centered on what has been insufficiently coped with in previous researches. The subject,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ndicates the ones written with not Korean but Chinese characters, but fiction occupying much of the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s not included in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several main issues among the existing discussions on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First, the definition was reconsidered through bibliographical discussion on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the author clarified that the definition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should be adjusted to be block books or old movable-type books that were published on the purpose of profit by common people, by consideration of the scope of common people and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viability. After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ere established,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material bibliographical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publication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were coped with. Content characteristics, material bibliographical analysis, and types of publication indicate that the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ere considered from bibliographical aspect. As for types of publication, in particular, the author presented methodology to understand the origins of the commercially woodblock-printed books with Chinese characters in Korea by dividing into transmission of domestic printed books, reprinting of foreign printed books, and new publication and providing relevant cases respectively.

      • KCI등재

        완판 방각본 출판의 문화사

        이태영 열상고전연구회 2010 열상고전연구 Vol.31 No.-

        이 논문은 전북 전주를 중심으로 출판한 판매용 책(방각본)에 대하여 문화사적인 배경을 살펴보려는 데 목적이 있다. ‘완판본’은 ‘전주에서 발간한 옛 책’을 말하는데 그 중 ‘완판 방각본’은 ‘전주에서 판매를 목적으로 발간한 옛 책’을 말한다. ‘완판 방각본’은 서울, 대구와 더불어 전국 최고의 수준을 자랑하였다. 완판 방각본이 발달하게 된 요인으로는 전라남북도와 제주도를 관할하던 전라감영의 위치와 역할, 전주 시장의 기능, 한지의 대량 생산, 쌀이 생활의 중심이 되었던 시대에서 중농의 역할과 욕구, 전라도에서 탄생한 판소리의 소설화 과정, 일제시대 한글 교육 및 2세 교육, 지역민의 근대화 욕구 등 매우 다양한 문화적 배경이 존재한다. 이 논문에서는 이들 문화적 배경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를 시도하고 있다. 많은 양이 출판된 완판본은 이 지역민들을 개화시키고, 민주화 시켰다고 볼 수 있다. 특히 완판본 한글고전소설은 서울의 경판본에 비교하여 양과 질이 매우 우수하여 후대의 소설 발달에 큰 공헌을 하였다. 아쉽게도 활자 인쇄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완판 방각본은 쇠락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search on historical background of ‘Wanpan banggakbon’ culture that was published in Jeonju. The ‘Wanpanbon(完版本)’ is the old books that was published in Jeonju. the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is the old books that was published in order to sell in Jeonju. The development of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have various factors as like as a role of the ‘Chollagamyeong’, a production of ‘Hanji’, a role and hobby of the rich farmers, relation of ‘Pansori’ and novel, education of ‘Hanguel’ and the next generation, etc. in this thesis, we have tried concrete argument on cultural backgrounds. The various, many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have enlightened, democratized on peoples of this area. especially ‘Wanpanbon hangeul old novels(完版 한글고전소설)’ have greatly contributed to development of korean modern novels. but ‘Wanpan panggakbon(完版 坊刻本)’ have became weak gradually by the cause of a modernized printing type.

      • KCI등재

        문자류집(文字類輯) 에 대하여

        이윤석 열상고전연구회 2009 열상고전연구 Vol.29 No.-

        이제까지 방각본(坊刻本)은 고소설 연구자들만이 관심을 갖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시대 방각본은 한글 소설만 있는 것은 아니다. 상당수의 한문 방각본이 있으나, 여기에 대해서는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지 않았기 때문에, 아직까지 정확한 목록조차 나온 것이 없다. 본고에서 다룬 문자류집(文字類輯)은 한문 방각본의 하나이다. 문자류집은 한문으로 글을 지을 때 필요한 자구(字句)를 찾아보기 쉽도록 편찬한 유서(類書)이다. 작자와 정확한 간행시기를 알 수 없지만, 19세기 말부터 방각본(坊刻本)으로 여러 군데서 나왔고, 이를 증보하고 교정한 증정문자류집(增訂文字類輯)도 목판본과 함께 활판본으로도 간행되었다. 이 논문에서는 문자류집의 이본, 내용, 그리고 원천이 무엇인가 하는 문제 등을 살펴보았다. 필자는 문자류집의 원천이 무엇인가를 정확하게 밝혀내지는 못했지만, 문자류집의 간행이 새로운 독자층의 대두와 관련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다. 한문 방각본의 독자와 한글 방각본의 독자는 그 성격이 다르겠지만, 이들 모두는 방각본이라는 새로운 매체의 독자층이라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이에 관한 문제는, 앞으로의 방각본 연구에서 매우 중요한 주제가 될 것이며, 특히 지식의 대중화 문제를 연구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으로 다루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 KCI등재

        안성의 방각본 출판 입지

        최호석 ( Choi Ho-suk ) 국제어문학회 2005 국제어문 Vol.34 No.-

        본고는 입지의 측면에서 안성의 방각본 출판에 대해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안성방각본의 현황을 정리한 다음, 방각본 출판의 3대 입지요인이라 할 수 있는 개인적 이유, 교통, 시장의 측면에서 안성의 방각본 출판 입지를 살펴보았다. 먼저 안성 방각본의 출판은 안성에 연고를 둔 자본가가 자신의 연고지인 안성에서 하기에 적합한 사업으로 방각본 출판을 선택하면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방각본 출판은 양성과 죽산이 안성에 합해지기 전, 보개면을 중심으로 한 `옛 안성`에서 행해졌다. 그리고 안성은 방각본 출판에 적합한 교통의 요지였다. 즉 안성은 동래로와 제주로를 이어주는 중간지점에 있었기 때문에 예부터 삼남지방의 물산이 안성에서 모였다가 다시 각각 길을 바꾸어 삼남으로 내려갔다. 또한 안성은 안성천을 통해 아산 방면의 해로와 연결되는 한편, 육로로는 한강 수계로까지 이어졌다. 그래서 물자 이동(교역)의 측면에서 볼 때 안성은 교통의 요충지라고 하겠다. 한편 시장의 규모 면에서 볼 때에도 안성은 방각본 출판의 적합지였다. 즉조선후기 안성군의 인구밀도는 경기도 평균보다 훨씬 높았으며, 안성의 읍내장을 중심으로 양성, 죽산, 직산, 천안, 평택 등 6개의 군현이 하나의 시장권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에 안성방각본의 소비시장은 상당히 컸다. 그리고 이지역의 독서 인구도 적지 않았기 때문에 안성 일대는 소비시장으로서 호조건을 갖추고 있었다. This paper is a research on Anseong Block Print Edition from the regional aspect. I studied the location of Anseong Block Print Edition publishing in the personal and regional causes about the transportation and marketplace. The personal reason is that publishers of Block Print Edition who had a large amount of capital were related with this Anseong area. Therefore all Anseong Block Print Edition were published in `Old Anseong where was centering around Bogae-myeon(보개면) before Yangseong and Juksan merged into Anseong. And Anseong was a place of great transportational importance. Therefore Anseong was suitable for the publication. Because Anseong wa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connection between Dongrae-ro and Jeju-ro, three southern provinces` products had been gathered and distributed in Anseong from old times. Anseong was connected with the waterway in Asan through the Anseong-cheon by the sea route, and linked with the Han-gang by the land route. Considering the size of the market, Anseong was proper for the publication. During the late-Choson, Anseong density of population was higher than Gyeonggi-do`s average. And Six Gunhyeon(郡縣)-Yangsong, Juksan, Jigsan, Cheonan, Pyeongtaek and so on-formed a market network around the Anseong`s local markets. So Anseong could be a huge market for the Block Print Edition. In addition, the number of readers was not small. For those reasons, now I can say Anseong area had excellent conditions of the Block Print Edition market.

      • KCI등재후보

        나손 김동욱 교수의 방각본 연구

        이윤석 근대서지학회 2022 근대서지 Vol.- No.26

        한국의 인쇄문화 연구는 세계최초의 금속활자에 초점을 맞춰서 이루어지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나 활자의 탄생이 중요한 이유는, 이 활자를 이용한 인쇄를 통해 값싸고 손쉽게 서적을 보급할 수 있기 때문이지, 단지 금속활자를 만들었다는 그 사실에 있는 것은 아니다. 조선시대 상류계층이 아닌 일반 민중에게까지 서적을 보급시킬 수 있었던 계기는, 바로 방각본의 출현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방각본 연구는 김동욱이 선편을 잡은 이래, 고소설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김동욱 이후에 한글방각본의 연구는 어느 정도 성과를 이루고 있으나, 한문방각본은 아직 그 전체 목록도 만들어지지 않았다. 김동욱은 『춘향전』 연구를 위해 방각본을 연구하기 시작한 후, 고소설 일반, 그리고 한문 방각본까지 그 범위를 넓혔다. 이와 같은 김동욱의 방각본 연구를 생각한다면, 현재 한국의 방각본 연구는 김동욱의 연구에 머무르고 있는 것 같은 인상을 지울 수 없다. 과거에 비해 방각본 연구가 늘어났다고 하지만, 좀 더 높은 수준의 방각본 연구가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