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陳述, 指稱艅絢代漢語 "得"字補語句硏究

        金允經,金昌吉 한국중국언어학회 2001 중국언어연구 Vol.13 No.-

        본 논문은 項(Argument)과 술어관계(Predication)에 관한 이론과 韓中對比의 방법을 통하여 현대 중국어의 "得"字 補語 構文을 분석 고찰하였다. 본 논문은 네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1. "得"字 補語 構文에 대한 현재까지의 연구 결과에 대하여 간략하게 소개하고 논평을 하였다. 2. 유관 이론문제와 가설이다. 진술과 지칭 및 항과 술어관계에 관한 이론을 소개하고 논평을 하였으며, 우리 자신의 견해를 피력하였다. 즉 중국어에서 용언 성질을 갖는 하나의 성분만 있으면 술어관계를 가질 수 있다. 3. 韓中對譯의 각도에서 語義대비를 하였으며, 술어관계 이론과 방법으로 "得"字 補語 構文을 다시 4개의 小類로 분류하였다. 4. "得"字 補語 構文의 성립과 구조의 어의 특징을 고찰하였다. 중국어의 "得"字 補語 構文은 두 개의 술어가 하나로 융합되면서 축약된 구조이고, 많은 문장으로 파생되는 주요 원인은 두 개의 술어가 공통의 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며, 전체 문장은 인과관계를 가진다.

      • KCI등재
      • 가능보어 구성요소인 得의 어법화과정에 대한 추론

        박건영 청주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論集 Vol.52 No.-

        本稿硏究了可能補語'得'字在漢語語法的歷史上有如何演變。根 据'得'字的語法化歷程,考察了共時上'得'字的語法化過。'得'字的本義原來是"獲得,得到"的動詞。'得字'是在古代漢語中位于名詞前的動詞,後來逐漸可用于動詞前,表示"得到, 實現"’的意思, 變爲助動詞。到了中古漢語時期, '得'字移位于動詞後邊, 結成連動結構,表示爲動作之‘實現’。近代漢語中"V得"結構表示兩種意思,一是表示動作有結果的動詞, 一是表示實現動作的機能。隨着"V得"結構的大量使用,動詞後面的'得'字分化爲表實現或表可能的功能。有的"V得"固定化發展下來,成爲一個詞彙。在現代漢語語法體系裏, 有的'得'字演變到補語標識的結構助詞, 有的'得'字從補語標識的結構助詞進一步虛化爲語素,成爲詞的一部分。

      • KCI등재

        韩国学生学习汉语中汉字书写的问题分析

        胡津?(Jin-ling Hu) 중국어문논역학회 2006 中國語文論譯叢刊 Vol.17 No.-

        This article shows some Chinese character writing mistakes made by Korean students and discusses the causes derived from history and current society of these problems. In the article we can find that Chinese character performsa special function and positions in a unique place in both Korean history and current Korean society. This is one of the main factors that resulted in Chinese character writing problems, including wrongly written characters, mixed application of traditional Chinese character an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 etc. Besides, the shortage of current Chinese character teaching is also the reason for writing problems. To solve these problems, the article suggests that Chinese language teachers of Korean students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character writing problems and then add Chinese character learning into the whole processes of Chinese language learning.

      • KCI등재
      • KCI등재

        古代漢語 ‘得’字 語義․語法 分析

        여병창 중국인문학회 2010 中國人文科學 Vol.0 No.46

        本文就“得”的語義句法特徵,為漢語語法史的建立,進行一種專題研究。“得”是最古老的古汉语基本词汇之一,最早见于甲骨文,是一个实义动词。從其字形來看,本義應為“获得、得到”,在历代文献中出现频率很高。本文主要以≪尚書≫、≪论语≫、≪左傳≫、≪孟子≫、≪荀子≫、≪戰國策≫等六部有代表性的先秦文献爲語料,對1,319个全部“得”字用例分爲{X-f-得1-Y}, {X-f-得2-Y}, {X-f-得3}及其他結構等四种结构作一定量、定性的分析,試圖描写“得”字用法的使用情况和语义․句法特征,幷對其所謂的助動詞用進行討論。由此主要提出如下两种意见:第一,‘得’字起初是主要待體詞性賓語的动作动词,但后来通過构成‘得而VP’、‘得VP’等連动结构的阶段,≪论语≫以后才逐漸产生可以帶謂詞性賓語的用法。第二,先秦汉语中的‘得’虽兼有带体词性宾语和谓词性宾语的两种用法,但它们都表示‘得到;获得’意义的及物动词。再说,先秦时期尚未產生助動詞用法。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