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원리를 적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

        손지민(Son Ji min),황인철(Hwang In chul)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장신구는 과거에 권력과 주술을 상징하는 수단에서 현대에 이르러서는 인간의 미적욕구를 충족시켜주는 개성 표현의 수단으로, 의미가 확장되고 있으며 오랜 세월동안 인간과 함께한 역사성이 있다. 특히 오늘날에는 사용자의 취향에 맞는 장신구를 선호하게 되면서 조형성이 강조되어졌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신구 디자인의 새로운 조형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새로운 조형원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따른 조형원리는 자연을 모티브로 하며, 다양한 조형성 도출이 가능한 자연 속의 프랙탈 현상을 선택하였다. 프랙탈 이론은 현대에 이르러서야 컴퓨터의 발달로 체계가 잡혀, 막연한 존재였던 자연 현상이 분석과 설명이 되면서 여러 분야에 활용되었다. 예술은 현시대를 반영하기에, 현대의 첨단과학이 발견한 자연 현상의 새로운 조형형태를 디자인으로 발전시킬 당위성을 갖는다. 새로운 조형원리를 위해 이론적 바탕으로는 프랙탈 기하학의 이론과 조형원리를 살펴보았다. 이론은 만델브로, 쥘리아 집합 등을 통해 정리하고, 프랙탈 기하학의 조형성(자기유사성, 불규칙성, 비선형성)과 그 속에 있는 조형원리(반복, 중첩, 왜곡)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프랙탈 기하학이 현시대에서 응용되는 사례를 정리하였고. 또 장신구 디자인에 활용된 사례들을 찾아 분석하여 디자인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여기서 고찰한 조형적인 특성들을 새로운 장신구 제작에 응용할 수 있도록 개념과 조형적 효과를 정리하였다. 프랙탈 기하학은 자연을 수학적으로 분석하고 탐구하였으나, 다양하고 독특한 조형성으로 인해 장신구 제작에서 디자인의 모티브 역할을 충분히 한다. 인간의 미적욕구가 사라지지 않는 한, 장신구는 조형예술로서 계속된 변화가 필요할 것이다. 그리하여 새로운 조형개념을 통해 다양한 디자인 창출을 시도하고 제작자가 이를 수용할 것을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해본다. Jewelry were used as a means to symbolize power or incantation in the past, but now, the meaning of them has been extended and they are used to satisfy our aesthetic needs and exhibit our personality. Historically, they have been with human beings for a long period. Particularly, today, users prefer jewelry fitting their taste, and formativity has become emphasized. Here, this study is going to present new formative principle in order to enhance new formativity in jewelry design. Formative principle takes nature as its motif and has selected fractal phenomena within nature from which a variety of formativities can be extracted. In this age, fractal theories have come to obtain the system with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Natural phenomena deemed to be obscure previously have come to be used in many areas being analyzed and explained. Since art reflects the time, it has the appropriateness to develop the new forms of natural phenomena discovered by advanced science in this age into some sort of design. For new formative principle, this author examined as theoretical grounds the fractal theories and formative principles of fractal geometry. This researcher arranged fractal theories with Mandelbrot and Julia sets and analyzed formativity in fractal geometry (self-similarity, irregularity, nonlinearity) and formative principle within that (repetition, overlapping, distortion) to discover the effects of expression, for example, unity, stability, dynamism, and space creation. This study found and analyzed the cases applying it to formative works and jewelry design and discovered the possibility of applying it to design. To apply the formative characteristics considered here to designing new jewelry, this author arranged the concepts and formative effects. Although fractal geometry analyzed and explored nature mathematically, for its diverse and unique formativity, it plays enough roles as a motif in designing jewelry. Unless humans’ aesthetic needs disappear, jewelry need constant changes as formative arts. This author expects that with new formative concept, designs will be tried diversely, and producers will accept it.

      • KCI등재

        일루미네이션디자인을 통한 디자인 교육 실행 연구 : 성경 텍스트를 활용한 디자인 교과목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김수화(Kim Sue hw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4

        본 연구는 부산크리스마스트리문화축제의 일루미네이션디자인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성경의 텍스트를 활용하여 디자인 교육을 진행한 실행연구이다. 부산크리스마스트리문화축제는 부산의 구도심인 광복동거리에서 매년 연말에 진행되는 대표적인 겨울축제로서, 일루미네이션이 주를 이루는 빛축제이다. 빛축제를 위한 일루미네이션디자인은 해당 축제의 주제와 내용적 콘텐츠를 심도있게 연구하여 이를 빛조형물의 외형에 담아내는 일이며, 형태와 색, 빛소재의 다양한 물리적 특성, 연출 등을 고려하여 디자인 하는 것으로, 디자인 교육의 새로운 콘텐츠로 적합하다. 교육의 측면에 있어서 새로운 교육 콘텐츠의 개발은 늘 필요하며 특히 창조성과 독창성이 강조되는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는 더욱 그러한데, 일루미네이션에서 활용되는 빛소재의 물리적ž조형적 특성은 이를 충족시킨다. 본 연구는 2014년도 2학기와 2015년 1학기에 동서대학교 산학협력형 디자인 수업으로 진행된 '일루미네이션디자인'교과목을 통해 부산크리스마스트리문화축제를 위한 일루미네이션 프로젝트를 실행함으로서, 일루미네이션디자인을 새로운 디자인 교육 콘텐츠로 개발하고 또한 성경의 텍스트를 디자인 교육의 콘텐츠로 활용하는 아이디어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방법과 내용은 첫째로, 일루미네이션의 개념과 특성을 고찰하여 빛소재를 활용한 새로운 디자인 교육 콘텐츠로서의 일루미네이션디자인을 제안하였다. 둘째로 내용을 시각화 하는 유형의 디자인 조형 교육 콘텐츠로서 성경 텍스트의 대중성, 서사성, 소재다양성, 조형성, 스토리텔링, 창의성의 특성을 기술하였으며, 컨셉을 시각화된 외형으로 발현시키는 디자인 교육 콘텐츠로 적합성을 설명하였다. 셋째로 실행 프로젝트인 부산크리스마스트리축제의 일루미네이션 영역과 범위, 분류, 스토리텔링 전개를 서술하였다. 넷째로 일루미네이션디자인 교과목의 실행에 관하여 교육 목표와 기대효과, 교육 방법과 평가 방법, 주제와 스토리텔링 전개, 그리고 프로젝트의 실행을 통해 개발된 일루미네이션디자인의 결과물과 각 조형물의 성경 텍스트 시각화 내용을 서술하였다. 성경 콘텐츠를 활용한 부산크리스마스트리문화축제 일루미네이션 개발 프로젝트는 디자인 교육 콘텐츠로써 조형 교육 뿐 아니라 디자인을 통해 대중의 참여와 소통을 경험하는 디자인의 교육적 실천으로서의 의미를 가지며, 학생이 지역의 문화 창조에 기여하는 기회를 제공하고, 학교와 지역사회의 협업을 통하여 지역사회와 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가지게 하였다. 더불어 이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의 결과는 일루미네이션 산업에서의 디자인의 기여 가치를 강화하도록 제안하는 데에 기여하였다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based on using texts found in the Bible to build the lights in the Busan Christmas Tree Festival and applying it to the formative design education. The festival is located in the city of Busan in the Gwangbok area in a street adorned with religious landmarks. It is a classical winter festival that happens at the end of every year with the Christmas lights being the main attraction. It is necessary to do an in depth study of the theme and content of this festival in order to include those concepts in the appearance of the light sculptures. The various physical attributes, form and color, the direction and other aspects of light mu be considered to create the design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ay that illumination is a suitable new content for design education. There is a constant need to develop new educational content for design education in schools. Subjects of design education require creativity and originality and illumination design, studying the properties of light, contains both.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4 and the first semester of 2015, the Busan Christmas Tree Festival was a project given to a design class where students needed to cooperate with firms on an "Illumination Design". This was the beginning of developing Illumination design as a new content for design education and using Bible texts was the means to learn formative design. The method and content of this study is divided into four parts. The first part, consists of the concepts and attributes of illumination to suggest illumination design as a new content for design education. The second, describes the visual contents of formative design education, such as public appeal, narrativity, variations in material use, formativeness, storytelling and creativity of Bible text use. It is an explanation and expression of a visual concept through design. The third section, analyzes the field, classification, and storytelling development of the illumination in the Busan Christmas Tree Festival. Lastly, the fourth part, describes the goals and expected results of an illumination class in design schools, the teaching and evaluation methods, and the development of themes and storytelling. Through the light festival project, visualization methods of illumination design were developed, specifically in the interpretation of Bible texts using lights. Using Bible contents in the illumination project of the Busan Christmas Tree Festival gave the students an opportunity to create a local culture. Through the cooperation of the school and local community, the students were able to gain a sense of pride for their community and culture, but was also given an opportunity to communicate with the local people while building their portfolio with a real life case. The results of this design education program which may have contributed to propose to enhance the contribution value of the design in the illumination industry.

      • KCI등재

        태극(太極)과 팔괘(八卦)문양을 활용한 우산디자인 연구

        유명희(Yoo, Myung-hee)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3

        태극과 팔괘문양은 우리의 전통적인 문양 가운데서도 상징성이 가장 강한 것으로서 오늘날까지 우리생활 속에 그 의미만큼이나 강렬한 이미지로 존재하고 있는 이유는 그기에 우리민족의 근본사상과 문화적 정서가 담겨 있기 때문이다. 현대는 상품의 고부가가치 제고수단으로 국가의 고유문화를 담아낼 수 있는 디자인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고 이를 활용함에 있어서도 우리 고유의 전통문양은 매우 중요한 가치로 평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무한경쟁의 세계시장에서 차별화된 우리 민족 고유의 정서와 사상이 담긴 태극과 팔괘문양의 역사적 배경과 의미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이를 우산디자인을 위한 텍스타일디자인을 개발하고 시제품으로 제작해 봄으로써 전통문양의 현대적 디자인 활용 가능성을 모색해 본 것이다. 태극이 갖고 있는 대칭적 균형의 조형미와 사상적 원리, 빨강과 청색, 또는 노랑의 기본 색상은 다소 진부한 느낌으로 인식될 수 있지만, 이를 현대적인 디자인 트렌드로 순화시키는 디자인 시도이다. 또한 팔괘의 간결하고 절제된 선과 면은 태극과의 효과적인 조화, 또는 단독으로 적용하여 강렬한 이미지의 패턴으로 구사해 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태극과 팔괘의 조형 적인 요소를 활용한 텍스타일 디자인은 현대적 감각의 디자인으로 재해석하는 새로운 디자인 모티브로 한국을 상징하는 브랜드 이미지로 활용하는데 큰 의미를 둘 수 있다. 디자인 시제품 제작과정을 통해서는 소재, 패턴의 크기, 색상 조절 등 상품화 활용의 다양한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어, 태극과 팔괘문양의 상징적 의미와 더불어 가장 한국적인 디자인아이덴티티를 확립하는데 매우 유리한 소재라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다변화되는 국제 경쟁력 속에서 더 많은 한국 전통적 이미지의 소재발굴과 한국문양의 현대적 응용을 모색하는 창의적인 디자인 연구개발로 국가 상징에 대한 새로운 이미지를 형성되어지길 바란다. 또한 이를 일상생활 속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국민들에게 보다 친근한 이미지를 구축하고 대한민국 브랜드 가치를 높인 디자인상품의 개발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전되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The pattern of Taegeuk, known as the Great Ultimate, and that of Palgwae, known as the eight trigrams of divination, have been most tenacious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and they can have existed until this day as exquisite meaning and image in our lives since they bear fundamental ideas and culture of our people. As, modernly, the importance of the design which can embody the native culture of the nation is emphasized as the method giving high added value to the product, our own traditional pattern has more important value. In this study, we first contemplate academically historical backgrounds and meanings of Taegeuk and Palgwae patterns that contain native sentiment and spirit of our people which is differentiated in the world market of limitless competition. On the basis of this consideration, we seek an applicability of the traditional pattern for modern design by developing textile design for umbrella and producing prototype using the design. This is an attempt to apply Taegeuk to modern design by refining to the contemporary design trend, although an aesthetic value with symmetrical balance, an ideological principle, and primary colors-centric basic colors, red, blue, and yellow, which Taegeuk contains, can be recognized as a somewhat hackneyed sense. Also simple and understated lines and faces of Palgwae are employed as an intensive image pattern by reconciling them with Taegeuk neoterically or using independantly. I ascertained that these textile designs utilizing the formative constituents of Taegeuk and Palgwae are appropriate to use as the brand images symbolizing Korea as new design motives through reinterpreting from a modern viewpoint of design. And, through the making process of prototype, I found that the diverse possibilities of the utilization for commercialization including adjustment of materials, size of pattern and colors are secured, so these patterns can be very favorable material to establish the most ‘Korean’ identity of design with symbolical meaning of Taegeuk and Palgwae patterns. By this study, I wish the new image of nation’s symbol to be formed by excavating more motives of Korean traditional image and developing creative design for modern application of Korean pattern, in the diverse situations of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Also, I hope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design products which construct more intimate image to the public and enhance the value of Korean brand through utilizing this new image with various ways.

      • KCI등재후보

        옵티컬 패턴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의 패턴 연구

        김미진(Kim, Mi-jin),안일훈(Ahn, Il-hoon)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0 조형디자인연구 Vol.13 No.4

        현대는 창의력과 다양성이 요구되는 지식기반의 사회이며 디자인의 사회라 할 수 있다. 디자인 문제가 다면적인 것에서 고도의 기술적인 것까지 범위가 넓어지고 다양해짐에 따라 디자이너의 작업 영역은 확대되었다. 디자인은 우리 생활 속에서 다양하고 광범위한 측면에서 필요로 하고 있다. 디자인은 주어진 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여러 가지의 조형요소 가운데서 의도적으로 선택하여 그것을 합리적으로 구성하는 창조활동이며 그 결과의 실체가 곧 디자인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주어진 목적을 조형적으로 실체화하는 것이다. 입체조형 활동은 디자이너가 표현하고자 하는 의도를 구체적인 형태로 제작해 표현함으로써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활동이다. 이는 기본적으로 입체에 대한 충분한 이해를 기반으로 하여 재료나 소재에 따른 적절한 조형 방법을 선택하고, 조형 원리를 응용하여 자신의 의도를 효과적으로 표현하는 것이 중요한 분제가 된다. 조형은 형식상 평면조형과 입체조형으로 구분되어지며 이것은 조형의 필수 기초과정으로 미술과 디자인에서 시각적 요소로 나타내어진다. 조형의 기본요소라고 불리어지는 점.선.면은 실제로 존재하는 구체적 대상(Concrete Objects)이 아닌, 인간이 사물의 모습을 인식하는 사유세계의 '추상적 대상(Abstract Objects)'이다. 옵티컬 패턴은 패턴의 구성으로 평면에서 입체효과로 보이는 등의 시각적 착시를 표현하는 것으로 점, 선, 면의 구성요소를 반복과 크기를 변화시키고 공간에서의 돌출, 부풀림 등을 이용하여 시각적 운동감과 움직임, 리드미컬한 역동감을 보여준다. 이러한 옵티컬 패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시각적 구성을 이용하면 장신구 디자인에 활용 가능한 장식적 패턴과 다양한 입체조형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옵티컬 패턴을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옵티컬 패턴의 개념을 정리.분석한 후 점.선.면으로 구성되어져 우리의 시각적 착란을 일으키는 2차원의 옵티컬 패턴을 이용하여 입체 형태로 조형화시키는 방법을 모색하고 이를 장신구 디자인의 표현 수단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Today is a knowledge based society demanding creativity and variety and can be called a society of design. The scope of the design issue becomes wider from many years to advanced technology and accordingly, the work area of designers is expanded. Design is required in the various and comprehensive aspect in our life. Design is a creative activity to intentionally select one of various formative elements and reasonably compose it in order to accomplish a given purpose and its subject of its result is namely design. In other words, it is to substantiate the given purpose formatively. A cubic formative activity is an activity to produce and express the intention of designer's expression in a concrete type to transfer it to the counterpart. This basically is based on sufficient understandings of a sold and its important issue is to select a formative method appropriate to materials and apply the formative principle and efficiently express what he/she intends. Modeling is formally divided into the plane modeling and cubic modeling and this as an essential basic course of modeling is expressed as a visual factor in fine arts and design. All the things existing on the earth are 'solids' with various sides and volume in the 3 dimensional space. The point, line and side called the basic elements of modeling are not the concrete objects which practically exist but the ’abstract objects' in the thinking world that human beings recognize the appearances of things. For this formative study, this study is going to search for a method for formalize the two dimensional optical patterns and utilize it as an expression method of accessory design by arranging and analyzing the concepts of optical patterns and using the two dimensional optical patterns which cause visual distraction which are composed of the point, line and side of the basic elements of modeling.

      • KCI등재후보

        지역정체성 반영을 위한 공공시설물 디자인 연구

        이돈태(Lee, Don-tea),최민수(Choi, Min-soo)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1

        공공디자인과 도시브랜드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각 지역의 행정기관과 디자인계의 활동이 활발한 가운데, 우리는 디자인을 통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홍보하는 다양한 결과물을 확인할 수 있다. 여러 가지 공공디자인 구성물 중 인쇄매체만의 역할이 있듯 공공시설물디자인 또한 지역의 정체성을 수렴하기 위해서는 조형디자인의 관점에서 해결해야 하는 과업과 역할이 있다. 본 논문은 지역정체성을 반영하는 공공시설물의 조형디자인 프로세스 제안 및 적용/검증을 목적으로 이 같은 과업에 일조 하는데 의의를 두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시설물 디자인 과정에 지역의 정체성을 반영하기 위해 동반되어야 할 활동과 접근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기존 수도권 도시들이 정체성을 반영하고 있는 모티브 현황을 조사하여 직설화법으로의 편향과 무분별한 상징물의 사용, 시설물간의 부조화를 문제점으로 도출하였다. 해결의 방향을 선진 사례 분석을 통해 무분별한 장식 배제, 함축적인 조형의 사용, 시설물 통합 디자인으로 설정하고 이를 실천하기 위해 디자인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프로세스는 크게 대상지의 핵심 가치 도출, 조형정체성 가설 수립 및 검증, 긍정효과 정의 및 디자인 지침 수립/전개로 이루어진다. 공공시설물의 조형요소를 지역정체성이 반영되도록 전개 과정부터 수정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이 프로세스를 특정 지역사례에 접목하여 공공시설물 디자인을 제안함으로서 가설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조형전개과정에서 특정 정체성과 상징성을 반영하기 위한 사례와 요소 연구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Nowadays, we can find lots of results to attempt for expressing identity of each city with design approach due to risen interest with public-design and city brand in our society. As visual communication designers take a role as design public sign with their own process, street-furniture should be designed with a view of product designer. Street furniture of reflecting identity in each city is proposed by a design process which is verified with some examples as a aim of a writing in this essay. Major problems such as ‘a representation of outspoken’, ‘insensitively using symbol of identity’ and ‘disharmonious design objects’ are revealed by a gathering recent date of method to reflect identity for city brand. Directions of solution are set with a exclusion of decoration, implicative forms and a integrated design, through a research of pioneering instance. A proposed design process is composed with core value research, Identity Exploration of Product Element and Definition of PVI&Design Implementation, Moreover, the process that let designers can fix and develop a tentative plan to reflect identity to each product at every step is applied to a specific place to evaluate it.

      • KCI등재후보

        명품 주얼리 디자인의 이미지 분석과 조형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배정후,안일훈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1 조형디자인연구 Vol.14 No.2

        명품에 대한 객관적인 지식과 정보 공유로 브랜드의 상징적인 이미지는 물질적 가치를 표현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심리적인 만족감을 충족시키고 있다. 이러한 심리는 일부 부유충만을 대상으로 하던 명품이 20 · 30대를 비롯해 청소년 소비자까지 새로운 소비 주역으로 대두하게 하였으며 희소가치가 높은 명품 선호현상으로 확산되고 있는 것이다. 전 세계의 다양한 명품 브랜드의 중요한 소비시장이 된 우리나라는 명품 주얼리도 높은 성장세를 나타내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인지도가 높은 명품 주얼리의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 분석과 아이템 및 브랜드별 특성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사진자료 수집은 명품 주얼리 브랜드 중에서 인지도가 높은 까르띠에, 쇼메, 반클리프아펠 부쉐론, 샤넬, 티파니로 한정하였으며 명품 브랜드 패션 매거진 노블레스(Noblesse) 사이트에 소개된 주얼리 사진과 각 브랜드 인터넷 홈페이지를 대상으로 하였다. 대표적으로 337개의 사진이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으며 내용분석과 통계분석(SPAW Statistics 18)으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첫째. 아이템별 특성은 네크리스, 링, 이어링의 경우 다이아몬드와 화이트골드를 소재로 한 페미닌· 로맨틱 이미지가 많이 나타났으며, 브토치의 경우에는 유색보석과 플래티늄이 특징적으로 사용되었으며 다양한 이미지가 나타났다. 둘째, 브랜드별 특성은 까르띠에의 경우 꽃, 팬더, 나사 로고 모티브와 삼색골드가 사용되었고, 쇼메는 거미졸, 벌, X자 크로스 링크 모티브와 핑크골드가 사용되었으며 반클리프아펠은 알함브라, 극락조 모티브와 다양한 이미지가 시용되었다. 티파니는 멜레 다이아몬드를 많이 사용하였고 부쉐론은 자연물을 유색보석으로 표현하였으며 샤넬은 까멜리아꽃과 혜성을 모티브로 한 디자인과 진주를 사용한 것이 특징적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미지별 특성은 클래식 이미지의 경우 다이아몬드와 화이트 골드를 소재로 한 쇼메와 반클리프아펠의 링에서 주로 나타났고 페미닌 · 로맨틱 이미지는 다이아몬드와 유색보석, 화이트골드를 소재로 한 네크리스와 링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으며, 모던이미지는 심플한 디자인의 쇼메, 까르띠에, 샤넬, 티파니의 네크리스와 링에서 나타났고, 복합이미지는 까르띠에와 부쉐론, 반클리프아펠의 다양한 소재의 여러 아이템에서 니타났음을 알 수 있다. 이 연구 결과가 명품 주얼리 디자인의 이미지와 조형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서 차별화 된 주얼리 디자인 연구에 보다 실증적으로 도움이 되고자 한다. Symbolic image of Brand has been complementing the function which express material value and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rough the objective knowledge and information sharing for the Luxury Product. Information sharing expands the range of the consumption for the Luxury Product from a small minority of the upper class to wild 20 · 30 ages. They are the rising driving force in the market of the it. It has been showing that our country has placed significant market of Luxury Brand including the Luxury Jewelry. In this study. we researched that Image Analysis for Design of the Luxury Jewelry and characteristics which is expressed by each item and Brand in focusing high awareness in our country. The collections of photography are taken for six Luxury Jewelry Brand which has high awareness. They are Cartier, Chaumet, Van Cleef-Arpels, Boucheron, Chanel, Tiffany, This job was made through the Nobless(Fashion Magazine) internet site and each Brand’s homepage 337 materials were used for analysis. For the analysis the data, we taked the content analysis and statistical analysis in using SPAW Statistics 18. We could get the three results, for the analysis, First, characteristics for each item showed that the feminine-romantic image has appealed frequently in case of necklace, ring, and earrings which is made by diamond and white gold and various image has appealed in case of Brooch which is made by color gemstone and platinum, Second, in the study of characteristics for each brand, flower, panda, screw logo, motive shapes and three colors gold are used in Cartier, cobweb, bee, X-cross link motive shapes and pink gold are used in Chaumet, alhambra, bird of paradise motive and various images used in Van Cleef-Arpels. Tiffany used a lot of melee diamond, Boucheron expressed the nature things with color gemstone and Chanel used especially the design of motived by camellia flower and comet and the pearl. Third, in case of image, Chaumet and Van Cleef- Arpels’s ring showed frequently classic image which is made by diamond and white gold, femine-romantic image are showed in necklace and ring commonly which is made by diamond, color gemstone and white gold. Modern image are showed in Chaumet, Cartier, Chanel and Tiffany's necklace and ring, and complex image appeared in Cartier, Boucheron and Van Cleef-Arpels’s so many item with various material. We wish that this study could be helpful for the researching of Jewelry design through the analysis of the Luxury Jewelry’s image and formative characteristics.

      • KCI등재

        국가 이미지 디자인의 파열

        신혜성(Shin Hyes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7 조형디자인연구 Vol.20 No.1

        본 논문은 1968년 멕시코시티 올림픽의 공식 디자인과 거리 미술 사이의 관계와 간극을 고찰한다. 멕시코 올림픽 위원회의 수장을 맡은 페드로 라미네즈 바스케스는 이상적인 국가 이미지를 만들어내기 위해 노력했다. 올림픽 그래픽 디자인은 멕시코의 전통 예술과 옵아트와 같은 국제적 예술 양식을 훌륭하게 혼합한 것으로 평가되며, 멕시코를 더욱 매력적이고 발전된 모습으로 그려내는데 이바지하였다. 하지만 공식 디자인이 보여준 국가의 이미지는 억압적인 정부의 통치에 고통 받고 있던 멕시코인들의 실생활과는 매우 동떨어져 있었다. 다른 국가들의 68혁명과 관련된 멕시코 학생 운동은 올림픽 디자인을 차용한 정치풍자의 거칠고 강렬한 이미지들을 생산해냈다. 오륜기의 다섯 바퀴는 탱크의 바퀴로 변형되고, 1968 올림픽 마스코트인 평화의 비둘기가 총검에 찔려 죽은 이미지 등으로 제작되었다. 올림픽 개막 열흘 전인 10월 2일 뜰라뗄롤고의 삼문화 광장에서는 시위대가 처참하게 살해되었다. 학살에서 폭로된 국가 이미지의 모순에 대한 자각은 젊은 예술가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멕시코 현대미술의 의미 있는 전환점을 이끌어냈다. 올림픽의 공식 디자인과 이를 전유한 거리 미술의 간극 사이에 위치한 국가 이미지는 이율배반을 드러낸다.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nd the gap of images between the formal design of Olympic Games and the street art in 1968 of Mexico City. Pedro Ramírez Vázquez, the chief director of Mexican Olympic Committee, strived for making the ideal image of the nation. The graphic design of the Olympic regarded as successful hybrid between mexican traditional art form and the international art trend such as Op art, and contributed greatly to represent Mexico as a country more attractive and developed. But the nation s image made by the formal design was far away from the real life of mexican people who resisted the oppressive government. The mexican students movement that allied to other country s 68 revolution produced rough and strong images of political satire borrowing the formal olympic design ; 5 circles of olympic flag was transformed to a wheel of a tank. A dove of peace, 1968 olympic mascot was killed by bayonet. 10 days before of the opening of the Olympic Games, the night of October 2nd, the demonstrators in Plaza of Three cultures at Tlatelolco were massacred. The awake to the contradiction of nation s image exposed during the massacre influenced to young artists and derived significant turning point of mexican contemporary art. The nation s image located in-between the formal design of Olympic and its appropriation in the street art discloses antinomy.

      • KCI등재

        광주~대구간 고속도로 준공 기념 상징조형물 제작 연구

        황인철(Hwang In Chul),이한슬(Lee Han Seul)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6 조형디자인연구 Vol.19 No.3

        오늘날 상징조형물은 공공미술의 한 분야로서 상징적인 장소의 표지물, 도시환경과의 조화와 친밀감, 인간다운 삶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특히 도시공간 안에서 현대인들에게 가장 밀접한 상징조형물은 개인의 취향이나 일시적인 경제가치의 판단이 아닌 주변 환경을 아우를 수 있는 심미적, 공간 조절적, 실용적, 공공 예술적 표지물로서 작품이 설치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상징조형물은 국내에서 유일한 2차로 고속도로인 88올림픽고속도로의 4차로 확장준공과 동서화합의 상징노선임을 기념하기 위한 전국 현상공모를 통하여 광주 방향에 있는 함양산삼골 휴게공간에 제작 설치한 것이다. 본 당선 설치작품인 ‘한마음 한 길’은 고속도로 이용객들이 친밀감을 느낄 수 있고, 주변 환경과의 조화와 화합이라는 창작의도를 토대로 작품의 디자인 프로세스와 실 조형물의 제작 및 설치과정을 체계화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상징조형물의 개념과 기능에 대한 이론적 고찰, 상징조형물의 유형을 세분화하여 조형성과 상징성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광주~대구간 고속도로 준공기념에 맞는 주변 환경생태조사와 함께 상징성을 연구 분석하였고 사람 인(人), 사랑, 심장, 인터체인지, 삼태극의 주제를 선정하여 동서화합의 노선을 상징화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이론적 연구와 체계적인 작품구상은 아이디어 전개, 3D시뮬레이션, 축소모델링, 실조형물 제작 및 설치의 단계로 제시하였다. 광주~대구간 고속도로 준공기념 상징조형물인 ‘한마음 한 길’은 최종 결과물을 통하여 동서화합이라는 상징노선에 대한 준공의 의미를 담아 정체성을 확립시킴으로써 그 지역의 활성화와 랜드마크적 공공예술로서의 작품을 제시하였다. Today’s symbolic sculptures, a part of public art, symbolically represent the region and exhibit harmony and intimacy in an urban environment. Symbolic sculptures in the modern urban setting, in particular, are intimately related to people so that they must be public art works that embrac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considering aesthetics, space efficiency, and practicality rather than individual’s preferences or temporary economic value. Likewise, this symbolic sculpture at the Hamyang-Sansamgol rest area along the Kwangju bound lane of the Kwangju-Daegu Highway was designed and installed in such a way that it presents a symbolic meaning to the region. The Kwangju-Daegu Highway, formerly known as the 88 Olympic Highway, used to be the only two-lane highway in Korea. To commemorate the widening of the highway to four lanes and its representation of the unity of the East and the West, a national public competition was open for designs. The winning art work, titled “One Heart and One Route”, provides the sense of intimacy to the drivers. And the design process, production, and installation of the art work have been systemized based on the creation concepts focusing on the subjects of harmony and balance. This study broke dow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types of symbolic sculptures to analyze in terms of characteristics of the sculptures and symbolism. Using that as the basis, the study further researched and analyzed the ecological environment and symbolism of the area suitable for the completion of the highway construction connecting Kwangju and Daegu. Subsequently, the research identified man, love, heart, interchange, and Samtaekuk (heaven, earth, human) as the thematic subjects to represent the unity of the East and the West. Theoretical studies and systematic works such as above entails a development process which consists of conceptual ideas, 3D simulation, model building, and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the actual art work. The symbolic sculpture commemorating the Kwangju-Daegu highway construction, “One Heart and One Route”, conveys the East-West unity and establishes the regional identity. Furthermore, it is a public art serving as the regional landmark that revitalized the regional economy.

      • KCI등재

        크리놀린의 조형성을 응용한 장신구디자인 연구

        김도아(Kim Do a)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15 조형디자인연구 Vol.18 No.1

        장신구와 의복은 인체의 아름다움을 드러나게 해주고, 시대가 느끼는 미적 기준에 도달하게끔 만들어 준다. 인간은 서로 의식하고 주목받길 원하며 존경받고 싶어 하는 욕구를 자신의 신체를 치장함으로서 들어내며 이는 장신구와 복식을 통해 표현하여 왔다고 할 수 있다. 때로는 신체적 고통이나 불편을 감수하면서까지 과장된 장신구나 의복을 착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신분이나 정체성을 나타냄과 동시에 인간의 욕망을 표출하고 과시하여왔다. 그 중 복식은 인체의 형태를 보완하여 또 다른 아름다움을 재창조하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스커트를 부풀리기 위해 입는 속옷의 일종인 '크리놀린(Crinoline)'은 19세기에 유행했던 양식으로 약 1850년부터 1870년까지 20년 동안의 짧은 기간이지만 산업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굉장히 확산적으로 유행되어진 복식이다. 혼자서는 거동도 할 수 없을 정도로 불편함을 주는 옷이었지만 귀족 뿐 아니라 모든 계층이 입었던 옷이다. 이는 여성이 얼마나 아름답고 싶은가에 대한 열망을 단편적으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본 연구자는 과장된 외형적 선의 실루엣으로 자신을 과시하고픈 욕망의 대표적 표현수단으로 크리놀린이라는 주제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크리놀린이 가진 조형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역사적 내용을 살펴보고 시대적 흐름에 따라 변화한 이들의 형태들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과장, 과시하고픈 욕망의 수단인 이 주제가 가지고 있는 선의 교차반복, 원의 방사배열, 면의 분할 등의 조형성에 대해서 분석하고, 이런 조형요소들을 응용하여 현대 장신구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표현할 수 있는지에 대해 디자인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가 단순히 복식의 외형적인 실루엣만을 디자인 요소로 이용한 장신구 디자인이 아니라 복식을 통해 자신의 욕망을 드러내고자 했던 인간의 심리를 이해하고 조형적인 요소를 분석하여 장신구를 제작함에 있어 보다 깊이 있는 디자인이 제시할 수 있는 연구의 발단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Jewellery and clothes make us expose beauty of human body and reach aesthetic criteria felt by the times. Humans are conscious of each other, want to receive attention, expose their desire of receiving attention by decorating their body and express this through accessories and clothes. Sometimes humans wear exaggerated accessories or clothes, enduring physical pain or inconvenience, and express their identity or position through this while showing off their desire. Among them, clothes can be regarded to play a role of recreating another beauty by complementing the shape of human body. Crinoline is a type of underwear to spread skirts and was in at the 19th century. While it was a short period of 20 years from around 1850 to 1870, this costume was extremely popular due to development of industrial technology. While this costume was too uncomfortable for the wearer to move easily by herself, it was enjoyed by all classes including aristocrat. It fragmentarily shows desire of women for beauty. I selected "Crinoline' as the main form of expression of desire to show off with exaggerated silhouette of appearance. I examined the historical contents and their forms of changes according to flow of the times, in order to draw the formativeness of Crinoline. Through this, I analyzed the formativeness such as split of face, radial arrangement of circle, cross repetition of line that this subject has, the means of desire to show off and exaggeration, and presented the design regarding how to utilize and express such formative element in modern accessories. I hope this study may serve as the starting point for study that can present more in-depth design in production of jewellery by understanding psychology of humans to express our desire through costume, not just as jewellery design, using only external silhouette of costume, and analyzing formative elements.

      • KCI등재

        유니버설 실내가구 디자인 개발 연구 : 시각장애인 사용자를 중심으로

        박대현(Park, Dae-hyeon),박소형(Park, So-hyoung) 한국조형디자인학회 2021 조형디자인연구 Vol.24 No.4

        최근 빠르게 변화하는 VUCA 세계관이 중요해짐에 따라, 유니버설 디자인은 과거보다 사용자층이 매우 다양해지고 배려가 필요한 사용자층을 보조해주는 기능 외에 심리적, 감각적으로도 만족시켜줄 수 있는 경험을 제시하는 디자인 전략 구축이 필요해졌다. 시각장애인은 일반인과는 다르게 일상생활을 영위함에 있어 독립성이 낮고, 생활을 위한 다양한 도움들이 필요하나 주된 일상 생활공간인 가정 내부 환경에서 공간 활용의 주가 되는 가구 분야에는 시각장애인들을 대상으로 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적용된 가구 개발 사례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잘 다루고 있지 않은 시각장애인 사용자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안전성, 명료성, 심미성을 가진 가구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체계적이고 객관적인 수치화를 통해 유니버설 디자인 달성도를 판단할 수 있는 전맹 시각장애인 대상의 사용자 중심 프로세스와 PPP평가를 적용해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모서리의 곡률을 극대화한 안전성, 타깃 사용자 및 비장애인의 감각적 만족감을 충족하는 심미성, 시각 외 정보인 청각 사인 및 촉지 사인을 통해 서랍 칸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는 명료성을 강조한 디자인 가구를 렌더링하고 유니버설 디자인 달성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여 장단점을 수치화해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체계적 방법론에 입각한 디자인 개발 사례를 통해 향후 전맹 시각장애인들에 실내생활을 배려한 제품 개발을 위한 자료로 앞으로의 유니버설 디자인 연구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As the rapidly changing VUCA worldview has become more important recently, Universal Design needs to establish a design strategy that presents experiences that can satisfy psychologically and sensibly in addition to functions that vary widely and assist users in need of consideration. Unlike the general public, visually impaired people have low independence in their daily lives and need various help for their lives, but there are very few household development cases with universal design for the visually impaired in the household environment. Therefore, this study proposed a furniture design with safety, clarity, and aesthetics in consideration of the specificity of visually impaired users that are not well covered in Korea. In addition, by analyzing cases of universal indoor furniture at home and abroad for the blind, problems were identified, and design development based on user-centered processes and PPP evaluation was developed, and design furniture emphasizing safety maximizing curvature, aesthetics satisfaction of users, and quantitative evaluation of non-visual information. Through design development cases based on systematic methodology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helpful in future universal design research as data for product development that considers indoor life for the blind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