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동향 : 한국심리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금명자,정상화,신다겸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인터넷 중독과 관련한 심리학적 연구동향을 알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한국심리학회지”에 2000년부터 2014년 10월까지 게재된 총 71편의 논문들을 대상으로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 통계방법을 분석하였고, 관련변인에 대하여 세분화하는 작업을 하였다. 분석한 결과, 인터넷 중독 관련 연구는 2001년부터 발표되기 시작하여 매년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고, 대부분 초·중·고학생(75%)을 대상으로 연구되었고 대학생과 성인이 25%였다. 연구주제는 관련변인에 대 한 연구가 50.7%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는 척도개발 및 검증과 중독과정에 대한 연구가 각각 15.5%로 많았으며 프로그 램 개발 및 효과검증은 14.0%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개관 및 이론연구는 2.8%이고 실태연구는 1.4%로 상대적으로 적게 연구되었다. 연구방법으로는 질적연구 4%에 비해 대부분 양적연구(87.3%)로 이루어졌으며, 양적통계분석에서는 회귀분 석 또는 변량분석이 68.1%를 차지해 많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관련변인으로는 개인변인에 대한 연구가 50.0%로 가장 많았으며 사회·환경적변인 32.0% 인터넷 특성관련변인 16.7%순으로 나타났고, 그 내용으로 가장 많이 다루어진 것은 충동성과 부모-자녀의사소통, 또래 및 친구관계변인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trend of internet addiction research. For this purpose, An analysis of the research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ical Association for a 15-year(2000-2014) period was conducted. A total of 71 articles were analyzed with regard to research objects, research subjects, research method and related variables subdivi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ternet addiction related study has been published from 2001. The number of articles published has been increased every year. Common research objects wer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ain research subject were the related variables, process of internet addiction, development internet addiction scale, intervention straties of internet addiction.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has been used mainly, most research methods used for this studies quantitative approaches were ANOVA-related or multiple regression-related statistical analytic methods. Related variables falled under the individual variable, Social-environment, internet trait related variable. The contents was impulse, parent-child communication, peer rela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 스마트폰 중독 연구 : 근거이론 접근법을 활용한 중독위험군의 특성 도출을 중심으로

        권상희,최윤정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기존의 휴대전화 중독이나 인터넷 중독과는 달리 새로운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 현상을 좀 더 경험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스마트폰 중독위험군으로 고려되는 미취학 아동과 초중등생을 관찰한 TV 프로그램을 1차 자료로 삼아 분석했다. 특히 선행연구에서 드러난 중독의 예측변인들에 한정하지 않고 경험적 자료를 토대로 인과적 설명을 귀납적으로 도출하기 위하여 근거이론 접근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스마트폰 중독 경향성은 스마트폰의 미디 어적 특성이 예견한대로 몸에서 분리하지 못하면서 다양한 유형의 멀티태스킹을 유발하고 있으며 면대면 소통 대신 미디 어 매개 커뮤니케이션으로 소통의 욕구를 실현시키게 만들고 있다. 나아가 외부세계에 대한 학습과 세상과의 소통 경로로 SNS가 차지하게 됐으며 이는 가상세계의 현재화로 나타나고 있다. 그밖에 연구결과의 시사점을 논의했다. This research examines smart phone addiction phenomenon which are different from cellular phone addictive use or internet addictive use. Based on grounded theory method, television program, which had observed smart phone usage behaviors of elementary students and preschoolers, was analysed. The result suggests that smart phone addiction resulted in much greater multitasking behaviors. It also shows that smart phone addiction was closely connected with the psychological needs for communication and interaction. In other words, many children used smart phones instead of face-to-face communication in order to learn the external world and to have relationships with peer groups. Finally th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was discussed.

      • 가상현실 섹스(virtual reality sex)에 대한 고찰

        임세라,배연정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가상현실 섹스(virtual reality sex)는 기술 발달에 의한 새로운 성 활동으로, 가상현실을 통하여 성적 각성을 얻는 일련의 행동들로 구성된다. 가상현실 섹스는 포르노그래피를 보면서 성인용품(sex toys)을 통해 성적 자극을 얻을 수 있다. 가상 현실 섹스는 다른 사람과 직접적인 만남 없이 이상형에 가까운 이성에게 사랑을 느끼며 성적 자극을 얻거나 유지할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선호될 것으로 보이지만, 아직 가상현실 섹스에 대한 국내의 연구는 사실상 전무한 상태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포르노그래피와 사이버섹스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들을 살펴봄으로써 가상현실 섹스와 관련하여 논의되 어야 할 주제들을 탐색해보고자 하였다. Virtual Reality sex is a relatively new sexual activity due to new technological advancements, which involves a series of behaviors to attain sexual arousal through virtual reality. People are able to attain or maintain sexual arousal by watching virtual reality pornographies with sex toys. Although it will be more likely to be preferred so that individuals feel like falling love with ideal types of men/women and gaining sexual arousal without individuals being faced with others, virtual reality sex research is absence in domestic. Therefore, by examining past research on pornography and cyber sex, it discussed the future research topic related to virtual reality.

      • 사이버상담으로 호소된 가수지망 청소년의 진로탐색 연구

        이영선,김병관,김소연,차진영,최요한,방나미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가수 관련 진로를 지망하는 청소년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내적 경험을 알아보고자, 청소년 사례 15개를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가수를 지망하는 이유, 진로결정의 장애 요인, 진로결정의 촉진 요인, 진로탐색과정에서의 노력이라는 4개 영역과 14개 범주로 결정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들이 확인되었다. 가수를 지망하게 된 이유 영역에서는 내담자에 대한 주변 인정이나 음악에 대한 긍정적 경험, 그리고 가수에 대한 내담자의 견해가 가수를 지망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의 장애요인 영역을 살펴본 결과, 내담자들이 음악에 대한 재능 부족과 실천의지 부족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과 부모님의 진로 반대 및 가족분위기 등과 같은 가족구성원과의 갈등, 그리고 학교 및 학업관련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요인과 내담자를 향한 주변의 부정적 조언도 내담자가 진로를 결정하는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수라는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작용하는 촉진요인으로는 노래를 부르면서 느끼는 긍정 적 심리경험과 가수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수를 지망하는 내담자들이 진로탐 색과정에서의 노력으로는 가수가 되기 위한 실천행동, 진로계획수립, 가수가 되기 위한 정보요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진로 영역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연예인 지망 청소년 관련 문제를 보다 구체화하여, 가수지망 청소년들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영역화하고, 내적 경험을 세밀하게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수 지망 청소년들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서 청소년 진로 상담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향 및 개입전략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nner and external experience that adolescents go through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The analysis incorpora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o explore 15 cyber counseling cases written and posted by the youth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2010.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cyber counseling cases differentiated 4 domains and 14 categories. The 4 domains entail the following reasons: desiring to be a singer, obstacle factors in career decisions, promotion factors i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The analysis identified major content that included the surrounding recognition of the client's musical ability, the client's positive experiences with music, the client's views about becoming a singer, and the reasons for wishing to be a singer as important factors in hoping to become a singer. In addition, analysis of the obstacle factors in the adolescents' career decisions indicated that adolescents are experiencing a number of inner factors, including their lack of ability in music, lack of will to practice to become a singer, conflicts with family members, and conflicts related to studies and academic attainments. Economic factors related to the adolescents and negative feedback for youth who become singers were obstacle factors for the youth. On the other hand, promoting factors in deciding upon a career to be singer were the youths' psychological experience with positive emotions when singing a song and strong commitment to become a singer.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ndeavoring behaviors of the youth wanting to be singers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were: conducting practical actions, setting career plans, and requesting information to become singer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in depth an adolescent’s experience in wanting to be a singer and setting effective directions and intervention skills when counseling students considering this career decision.

      • 스마트폰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청소년 성별에 따른 사용행태의 차이 : 로그 데이터 분석을 중심으로

        김주연,남길우,김인혜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중학생들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실제 사용행태와 관련해 실증적 데이터를 이용해 성별의 차이를 알아보고 자 하였다. 사용관리 애플리케이션 조사에 동의한 학생 199명을 대상으로 로그 기록을 수집하였으며, 남성은 128명, 여성 은 71명이었다. 첫째, 애플리케이션당 일일 사용횟수는 여성이 많은 반면, 일일 사용시간은 남성이 더 길었다. 둘째, 콘텐츠 별 사용비율을 살펴본 결과 남성은 도구/생산성, 소셜, 게임 콘텐츠 등의 순으로 나타났고, 여성은 소셜, 도구/생산성, 사진 콘텐츠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남성은 게임, 동영상 플레이어/편집기, 만화 콘텐츠를 하루에 여성보다 더 많이 긴 시간 사용한 반면, 여성은 돈벌기, 라이프스타일, 사진, 소셜, 엔터테인먼트, 음악 및 오디오, 정보수집 및 참고자료 콘텐츠를 하루에 남성보다 더 많이 긴 시간 사용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gender differences in the actual usage of smartphone applications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empirical data. The log records were collected from 199 students 128 who agreed to answer smartphone use management application research questions, male and 71 female. First, while the total number of applications used is higher for females, the total usage time is higher for males. Second, as a result of content usage ratio, males appeared in the order of tool/productivity, social, game content, and so on. Likewise, Female's social, tools/productivity, photo content, and so on. Third, males use games, video players/editors, and cartoon content for a longer time than females in a day. On the other hand, females use money, lifestyle, photography, social, entertainment, music and audio, information gathering, and reference content more than males in a day.

      • 부모양육태도, 또래관계의 질과 휴대폰 사용행동의 관계 :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정복자,박은아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부모양육태도 및 또래관계의 질에 따라 휴대폰 사용행동에 어떤 차이가 있으며, 부모양육태도와 또래관계의 질이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울산의 4개 지역에서 휴대폰을 소지한 6학년 남녀 초등학생 489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또래관계의 질과 부모양육태도 휴대폰 이용 정도 및 휴대폰 의존성에 관하여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부모양육태도 하위요인인 애정-적대 차원과 자율-통제 차원에서 각 집단간 휴대폰 의존성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또래관계의 질에 따라 휴대폰 사용행동에서 유의미 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래관계의 질 하위요인인 갈등 및 대립수준이 높을수록, 사회정서적 지지가 많을수록, 그리고 또래 관계 만족이 높을수록 휴대폰 의존성이 높게 나타났다. 부모양육 태도가 자율적일수록, 또래관계의 질이 만족스러울수록 초등학생의 휴대폰 사용은 내용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사용행동을 볼 수 있으므로 아동의 휴대폰 사용을 양적으로 제한하 기보다 사용행동의 질적 측면을 지도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cell phone using behavior based on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nd the effects of the perceived parental rearing attitudes and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on primary school students’ cell phone using behavior. Four hundred eighty nine sixth grade male and fema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followed: First,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ell phone dependency. However,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cell phone using degree in love-hostility dimension and autonomy-control dimension.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on cell phone using behavior based on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As conflict-resistance dimension was higher, daily cell phone usage time was longer, and socio-emotion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peer relationship were higher, usage of text messages and phone calls were more. Third, regression analysis showed socio-emotional support factor of quality of peer relationship effects on cell phone dependency, and satisfaction of peer relationship effects on daily amount of text messages. These results suggest supervising the way to use cell phone in right ways not just limiting the amount of cell phone usage of primary school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