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대상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김동일,방나미,정여주,허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타당하고 효율적인 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구안하여 이를 준거로 청소년 대상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은 프로그램 모형 설 계, 이론적 기반, 요구조사, 전문가 자문의 과정을 통해서 최종 개발되었다. 개발된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 그램의 효과성을 확인하고, 프로그램 진행의 타당성을 검증하였으며 참여 멘티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분 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중․고등학생으로 실험집단 89명, 중․고등학생 통제집단 93명으로 구성되었다. 대학생과 대학원생 16명이 멘티들을 지도하는 멘토로 참가하였으며, 수퍼바이저가 멘토 교육을 실시하고, 멘토링 프로그램의 진행과 참여를 감독 및 조력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 변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자 기조절학습, 학습전략이었다.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의 실시 전과 실시 후, 그리고 프로그램 종료 한 달 후에 총 3차에 걸쳐서 척도 설문지를 실시하고 반복측정 분산분석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종속변인인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자기조절학습에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유의한 사후검사 평균 차이가 나타났으며, 이 중에서 학습전략과 자기조절학습척도에서의 실험집단과 통 제집단간 평균 점수 차이는 1개월 후인 추후검사에까지 지속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자기조절학습 이론 과 요구조사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멘토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프 로그램의 개입을 통해서 학습상담 멘토링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an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e program. The format of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on the need. The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consists of 10 sessions. The subjects of this program were middle school students and high school students. 89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93 students assigned to the non-experimental group. The supervisors performed the mentoring education for mentors and supervised the overall process of the mentoring program.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e mentoring program, pre, post, and follow-up test were evaluated by two group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has positive effects on Academic Self-efficacy, Self-regulated Leaning, Learning Strategy. Scores of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when compared with scores of the control group in the post-test. In the one month follow-up test, the experimental group maintained the scores on the Self-regulated Leaning, Learning Strategy. The results suggest that Learning Counseling Mentor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for this study may be useful in counseling adolescents to deal with the learning and psychological problems.

      • KCI등재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공감능력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김동일,허은,방나미,정여주 한국상담학회 2010 상담학연구 Vol.11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youth mentoring program that can promote academic self-efficacy and emotional empathy capacity, an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is mentoring program is based on Bandura's self-efficacy improvement and empathy capacity improvement principle, and is developed through the structural counseling developing model, proposed by Park(1995). The program is formed into 10 sessions and is revised according to the advises from the professionals on mentoring program.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ogram was carried out onto 145 students of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as an experiment group, and onto 128 students of high school and middle school as a comparison group. As a result, all of the emotional empathy capacity, academic self-efficacy, learning strategies ha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experiment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The result of MANOVA analysis on emotional empathy capacity had showed that studen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mentoring program had showed statistically signigicant improvement compared to the controlled group in the part of the emotional sensitiveness, recognizing ability about feelings toward strangers, in the extent of response to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and the willingness to help people in problems. As the result of MANCOVA analysis of academic self-efficacy,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on the score of task difficulty and the efficacy on self-control. At last, as the result of MANCOVA analysis of the score of learning strategie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on the scores of learning motivation, self-efficacy, cognitive meta-cognitive strategy.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정서적 공감 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는 청소년 대상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본 멘토링 프로그램은 Bandura의 자기효능감 증진 원리와 공감적 능력 증진 원리에 기초하고 있으며, 프로그램의 구안과정은 박인우(1995)의 체계적인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따라서 조사, 분석, 설계, 구안의 과정을 거쳤다. 총 10회기로 구성된 멘토링 프로그램을 구안한 후, K지역의 중학생과 고등학생 145명 실험집단과 128명 통제집단에게 효과검증을 하였다. 그 결과, 정서적 공감 능력,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습전략 모두 실험집단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상승하였다. 정서적 공감 능력 척도 중, 정서적 감염에 대한 민감성, 낯선 타인에 대한 느낌 인식 능력, 다른 사람이 느끼는 긍정적, 부정적 정서 경험에 반응하는 정도, 곤경에 처한 타인을 돕고자 하는 의지 부분에서 통제집단에 속한 학생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 중, 과제난이도에 대한 점수와 자기조절 효능감 점수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전략 중, 학습동기, 자아효능감, 인지 초인지 전략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 KCI등재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동등화척도 개발 연구

        김동일,정여주,허은,방나미,김은정 한국상담학회 2011 상담학연구 Vol.12 No.1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the parallel forms (A, B, C) of Korean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and validating Type A, Type B, and Type C. The following is the procedure of this study. Previously developed internet addiction scales were collected and reviewed. Based on this review, the 85 items for the preliminary test were selected and these items were confirmed by the committee of professionals on education and psychiatry. The preliminary test was done on 36 elementary students and the final items for the standardization survey were select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preliminary test. The standardization survey was fulfilled from 19, October to 6, November, 2009 during 3 weeks nationwide to about 1600 students at elementary and middle, high schools. Items for type B and type C scales were determined and the validity and the equivalence of two scales were tested. At last, the cut point scores for high risk group and medium risk group of both Type B and Type C scale are decided. The following is the result of this study. Each 20 item of type B and type C scale were selected by the determinant analysis. For the analysis of construct validity, we tested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12.0. The result supported that the model of Type A, B, C all have a good fit for both elementary students and middle, high school students(NFI = .94, CFI = .95, RMSEA = .64). To verify the equivalence of three types of scale, we used Equal-percentile Method by Kolen & Brennan(2004) and the result showed the equal raw scores of Type B and Type C with Type A. For the analysis of the validity scales and the distraction scales, we analyzed the frequencies and the accumulated percentages and checked the intersected percentage of both scales using the cross tab analysis. As a result, we can present the cut point percentage of the validity of the response. At last, based on the result of the standardization survey, we presented the standard scores that define the high risk group, the medium risk group and the general group for each type of scales. High risk group was defined above 43(elementary school)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of standardized score and medium risk group is between 39 and 43(elementary school) and between 45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in Type B. High risk group was defined above 42(elementary school)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of standardized score and medium risk group is between 38 and 42(elementary school) and between 45 and 50(middle and high school) in Type C.

      • 솔리언또래상담 학교운영모형 개발 - 운영지침을 중심으로

        이영선,강석영,김병관,정혜연,방나미 한국청소년상담원 2010 청소년상담연구(총서) Vol.2010 No.-

        최근 확대되고 있는 청소년 학업중단이나 비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기개입의 방 안으로 또래상담의 중요성이 확대되고 있으며, 또래상담의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또래상담운영의 필요성이 증대되면서, 한국청소년상담원에서는 2000년에‘학교에서의 또래상담운영지침’을 발간하여 또래상담운영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조력해 왔다. 그러나 학교현장에서 다양한 변화들이 일어나고, 또래상담운영의 운영을 뒷받침할 수 있는 지침이 추가되어야 한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또래상담운영 모형 개발이 필요해졌다. 2010년부터 교육과학기술부의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5개년 기본계획에 따라서 전국의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또래상담지도자 양성교육이 운영되는 바, 또래상담운영 모형 및 지침서 개발의 필요성이 절실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학교현장 중심의 또래상담 운영지침서와 학교운영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또래상담 운영지침서와 학교운영모형을 개발하기 위해서 선행연구를 통해 서 국내외 또래상담 운영 연구와 현황을 파악하고, 또래상담의 성과를 보여주는 연구들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 지침서의 분석을 통해서 기존 지침서의 전체적인 구성과 단계별 과정을 분석하였다. 기존 지침서에서의 준비, 기획, 훈련, 활동지도, 평가의 5단계를 이해, 기획, 운영, 형가의 4단계로 수정하였다.

      • KCI등재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 개발

        강석영(Kang, Seokyoung),양은주(Yang, Eunjoo),방나미(Bang, Nam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1 열린교육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schmidt(2007)의 학교상담 프로그램 개발 절차에 근거하여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을 위한 개입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고, 전문상담교사 11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의 구성 요인에 대해서 확인한 후, 프로그램의 수혜자에 대한 요구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모듈식 접근을 활용하여 프로그램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잠재적 학업중단청소년 18명(남9명, 여9명)을 대상으로 전문상담교사 6명이 개발된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평가하였다. 측정도구는 학업중단의도와 학교적응유연성척도를 사용하였다. 효과검증을 위한 방법으로는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학업중단의도척도와 학교적응유연성척도의 변화 정도를 검증하였고, 추후에 실제 학업지속 여부를 확인하고, 프로그램 만족도를 포함한 종합평가지를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의 평가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서 프로그램에 참여한 전문상담교사와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을 대상으로 평가회의와 상담회기평가지 작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프로그램 실시 이후에 학업중단의도척도와 학교적응유연성척도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상승하였으며, 잠재적 학업중단 개입 프로그램은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의 학업중단 예방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잠재적 학업중단 청소년에 대해서 예방적 차원에서의 개입을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ho have a high dropout risk, and thus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adolescent school dropouts and to adolescents' sound development. In order to increase effectiveness and field applicability of the program, needs assessments were conducted with school counselors who are supposed to run the dropout prevention program for high risk youth at school. The program was devised with seven modules and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18 adolescents who were categorized as having a high dropout risk at 6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the Gyeonggi area. Pre-tests and Post-tests were conduct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thoughts and attitudes dropout scale together with a school adjustment resiliency scale were applied. A program evaluation form was also administered. Counselors were also asked to fill out the program evaluation form. As a result, after participating in this program, students' motivation to dropout of school decreased. School counselors evaluated the program positively in general. Specifically, they reported that the program is timely, practical, and could contribute to adolescents' wellbeing. As for the students' satisfaction of the program, overall the satisfaction score was lower than school counselors,' but the scores on the program's easiness, practicality, and utilization were relatively high. Therefore, for future study, it is recommended that an intervention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a high dropout risk who are currently attending school, is developed. In order to support high dropout risk students and to increase their school adjustment, it is necessary to analyze all aspects of student lives. A comprehensive treatment approach, considering all these environmental aspects for high dropout risk youth could lead them to successful school adjustment.

      • 사이버상담으로 호소된 가수지망 청소년의 진로탐색 연구

        이영선,김병관,김소연,차진영,최요한,방나미 한국인터넷융합학회(구 한국인터넷중독학회) 2016 인터넷중독연구 Vol.1 No.-

        본 연구는 가수 관련 진로를 지망하는 청소년들이 진로탐색 과정에서 겪는 내적 경험을 알아보고자, 청소년 사례 15개를 합의에 의한 질적 연구 (CQR: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가수를 지망하는 이유, 진로결정의 장애 요인, 진로결정의 촉진 요인, 진로탐색과정에서의 노력이라는 4개 영역과 14개 범주로 결정되었다. 자료 분석을 통해서 다음과 같은 주요 내용들이 확인되었다. 가수를 지망하게 된 이유 영역에서는 내담자에 대한 주변 인정이나 음악에 대한 긍정적 경험, 그리고 가수에 대한 내담자의 견해가 가수를 지망하는데 중요하게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진로 결정의 장애요인 영역을 살펴본 결과, 내담자들이 음악에 대한 재능 부족과 실천의지 부족 등과 같은 내적인 요인과 부모님의 진로 반대 및 가족분위기 등과 같은 가족구성원과의 갈등, 그리고 학교 및 학업관련 갈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제적 요인과 내담자를 향한 주변의 부정적 조언도 내담자가 진로를 결정하는데 장애요인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수라는 진로를 결정함에 있어서 작용하는 촉진요인으로는 노래를 부르면서 느끼는 긍정 적 심리경험과 가수에 대한 확고한 의지가 중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가수를 지망하는 내담자들이 진로탐 색과정에서의 노력으로는 가수가 되기 위한 실천행동, 진로계획수립, 가수가 되기 위한 정보요청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진로 영역에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는 연예인 지망 청소년 관련 문제를 보다 구체화하여, 가수지망 청소년들이 진로결정 과정에서 겪는 경험을 영역화하고, 내적 경험을 세밀하게 탐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수 지망 청소년들의 내적 경험을 이해하는 기초자료로서 청소년 진로 상담에 있어서 효과적인 방향 및 개입전략을 설정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xplore the inner and external experience that adolescents go through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The analysis incorporat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of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to explore 15 cyber counseling cases written and posted by the youth attending secondary school in 2010. Analysis of the content of the cyber counseling cases differentiated 4 domains and 14 categories. The 4 domains entail the following reasons: desiring to be a singer, obstacle factors in career decisions, promotion factors in career decision making, and efforts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The analysis identified major content that included the surrounding recognition of the client's musical ability, the client's positive experiences with music, the client's views about becoming a singer, and the reasons for wishing to be a singer as important factors in hoping to become a singer. In addition, analysis of the obstacle factors in the adolescents' career decisions indicated that adolescents are experiencing a number of inner factors, including their lack of ability in music, lack of will to practice to become a singer, conflicts with family members, and conflicts related to studies and academic attainments. Economic factors related to the adolescents and negative feedback for youth who become singers were obstacle factors for the youth. On the other hand, promoting factors in deciding upon a career to be singer were the youths' psychological experience with positive emotions when singing a song and strong commitment to become a singer. Finally,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endeavoring behaviors of the youth wanting to be singers in the process of career exploration were: conducting practical actions, setting career plans, and requesting information to become singer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ill provide some useful information for understanding in depth an adolescent’s experience in wanting to be a singer and setting effective directions and intervention skills when counseling students considering this career deci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