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가정 중․고교 이주청소년의 학업생활과 지원에 관한 사례 연구

        오덕열,배은주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2

        본 연구는 인천광역시 일반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가정 중・고교 청소년들의 학업생활 모습을 확인하여 이들이 겪고 있는 다양한 어려움을 파악하고, 필요한 교육지원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사회의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 및 중앙아시아 출신 외국인가정 중・고교 청소년들의 학업생활과 교육지원방안은 무엇인지에 대한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이를 위해 면담조사를 실시하였다. 반구조화된 면담 후 반복적 비교 분석을 하였고, 영역 분석 및 분류분석 이후 성분 분석을 통해 범주를 확정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중학생들은 한국어 수준에 따라 교과 학습과 교우관계에 큰 차이를 보였으며 방과후에는 관심분야 및 진로에 관한 학습을 다양하게 하였으나, 관련된 정보를 얻기가 쉽지 않았다. 고등학생들은 대학 진학에 대부분의 시간을 쏟고 있었으며, 특히 외국인 특별전형을 위한 토픽(TOPIK) 공부에 주력하고 있었다. 방과후 활동과 다양한 경험들도 역시 대학 진학과 연결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담이나 장학금 수혜, 진학정보 입수 등에서 어려움이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유엔아동권리협약에 따라 이주청소년에게는 체류자격과 무관하게 ‘불리하지 않도록’ 지원과 배려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체계적인 수준별・맞춤형 한국어학습 기회, 러시아어 전공 대학생 멘토링, 이중언어 역량 강화, 전문적인 심리상담 및 진로진학 상담, 사회적 포용기반 강화와 자치 및 교류 활동 지원 등이 요청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middle and high school youth from Russian and Central Asian foreign families attending general schools in Incheon City grow into healthy members of the community. To this end, they check their school life, identify various difficulties they are experiencing, and seek necessary educational support measures. Therefore, the interview was conducted. After the semi-structured interview,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was performed, and the category was confirmed through component analysis after area analysis and classific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middle school students showed a big difference in subject learning and companionship according to their Korean level. After school, various studies were conducted on the field of interest and career path, but it was not easy to obtain related information. High school students were mostly focusing on TOPIK study for special admission for foreigners. After-school activities were also related to college admission. However, there were difficulties in counseling, scholarship benefits, and obtaining information on college entrance. According to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migrant youth need support and consideration so as not to be disadvantageous regardless of their status of stay. Therefore, customized Korean language learning, mentoring of Russian college students, strengthening bilingual capabilities, professional psychological and career counseling, strengthening the found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nd support for autonomy and exchange activities are necessary.

      • KCI등재후보

        한국말의 힘과 생산성

        최봉영 한국인격교육학회 2010 인격교육 Vol.4 No.2

        이 글에서는, 사람이 말에서 힘을 얻어 재주와 슬기를 기르고 씀으로써 문화를 일구며 살아가기 때문에, 말이 달라지면 생각을 풀어내는 방식이 달라지며 말로써 재주와 슬기를 기르고 쓰는 것 또한 달라진다는 사실을 논의하였다. 한국말이 씨말에 다양한 토를 붙여 매우 다양한 마디말, 이름말, 풀이말을 만들어내고, 한국말로써 앎과 느낌뿐만 아니라 현상을 매우 촘촘하게 분석할 수 있으나, 유감스럽게도 학술말과 일상말 그리고 외국말의 어울림은 우리말이 중심이었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현실은 그렇지 못하다. 이 점에서, 오늘날 우리나라의 인문학과 이에 기반을 둔 사회과학과 교육과학이 한국인과 한국사회에 실용적인 도움을 주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을 찾아야 한다. 한국 사람이 한국말을 잘 가꾸고 쓰면 재주와 슬기를 크게 기를 수 있는 반면, 그렇지 않으면 재주와 슬기를 기르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인들이 한국말로써 생각을 하면, 일상 생활에서는 물론이거니와 학문적으로 묻고 따지고 밝히는 일에서도 뛰어난 힘을 낼 수 있다. 특히 인문학 영역에서 큰 발전을 거두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한국인의 말, 삶, 발달, 가르침과 배움, 학문과 사회 발전에 대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capability and productivity of the Korean Language because human beings live with cultivating culture through fostering their ability and wisdom by the use of language. Language is the foundation of the lives and academic activities into which thoughts run and out of which they grow. People's thoughts and perspectives can be dictated by language. Every language forces human beings to perceive different worlds. In this viewpoint, the Korean Language is very different from the others including English. As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its morphemes combine with its stem to represent detailed feelings and phenomena. Korean people have different ways in which phenomena are perceived and expressed that they think, act, and live. Korean is the key to create new development of our knowledge and culture. We Koreans, however, do not have paid proper attention to the capability and productivity of Korean. Especially current Korean scholars have ignored unique Korean language and culture. It has reduced the productivity of Korean people. In this paper, therefore, it was explored to build a new paradigm for explaining Korean life & development, their teaching & education, their study & research, their social advancement in terms of the Korean Language.

      • KCI등재후보

        다문화시대 한국종교문화와 한국인의 가치관 연구

        최주열 한국인격교육학회 2017 인격교육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tolerance and harmony in the traditional Korean religions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virtues of character that global citizens should build in the world of a multi-cultural community in the global era. As religion is a cultural phenomenon that people have made, religion and culture are inseparable. Within the Korean religious culture, a variety of high religions are in tune with Shamanism, which has become a folk belief, establishing a unique religious culture, and having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of Korean values. One feature of Korea's religious culture is a sort of religious pluralism based on which Shamanism, Buddhism, Confucianism, and Christianity coexist, and the other value-oriented feature embraces tolerance, passionate sentimentalism, temporal utilitarianism, harmonic syncretism and shaman faith in blessing. Tolerance is deeply related to the effect of geographical environment in Korea, and harmonic syncretism is derived from the idea of harmony in the myth of Dangun, which values communal culture. Tolerance and harmony as a unique Korean religious culture coming from Korea's specific environment are greatly different from those of foreign countries' in that essential sentiment where the human heart brings people together. Tolerance and harmony as Korean values of religious culture have been the center of Shamanism, Buddhism, and Confucianism. As a virtue of mutual respect and understanding, which is a requirement in school education in a multicultural community, tolerance and harmony are meaningful as ideas of world citizens' education as they embody the core principles of character building. Overcoming conflicts and confrontations in a multicutural society in the global era, they are also meaningful as a family virtue with blood ties in the global village in which each member builds unity and harmony. 이 연구에서는 글로벌시대 다문화사회의 지구촌공동체에서 세계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할 인격의 덕목으로 관용과 조화에 대해 한국전통 종교인 무교, 불교, 유교 문화의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종교는 인간이 만들어 온 문화의 한 현상으로 종교와 문화는 뗄 수 없는 관계를 갖고 있으며, 문화 창조에 영향을 미쳐온 인간의 가치관은 당대의 종교적 의식에서 깊은 영향을 받아왔다. 한국의 종교문화는 다양한 고등종교가 민간신앙화 된 무교와 함께 어우러져 조화를 이루며 독특한 종교 문화를 형성하였고 한국인의 가치관 형성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한국 종교문화의 일반적 특성으로 무교, 불교, 유교, 기독교 등 다양한 종교가 조화를 이루는 종교 다원주의 성격을 갖고 있으며, 가치 지향적 특성으로는 포용적 관용주의, 열정적 감성주의, 현세적 공리주의, 조화적 혼합주의, 무교적 기복주의를 들 수 있다. 특히 열정적 감성주의는 한국인이 타 종교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수용하는 계기가 되었다. 관용은 한국의 지리적 환경의 영향과 깊은 관계가 있고, 조화는 단군신화의 조화사상에서부터 드러나고 있으며 공동체문화를 중시하였다. 한국 자연환경의 영향 속에 한국종교문화의 특성으로 나타나고 있는 관용과 조화는, 인간 내면의 본질적 정서가 나와 타자가 함께 융합될 수 있는 일체감이 내포되어 있다는 점에서 서양 및 기타의 관용과 조화의 개념과 차이가 남을 알 수 있었다. 한국 종교문화의 가치관으로서 관용과 조화는 무교문화, 불교문화, 유교문화에서 중심 가치로 자리하고 있으며 다문화시대 다양한 문화와 종교의 차이에 따른 갈등과 대립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덕목이 되었다. 한국의 관용과 조화는 다문화사회의 학교교육에서 요구되어지는 상호 이해와 존중을 위한 가치 덕목으로 다문화 인격교육의 핵심 원리를 구현하는 세계시민교육의 교육이념으로서 의의를 지니고 있으며, 글로벌시대 다문화공동체에서 구성원들 간 상호 화합과 조화를 이루는 지구촌 한가족 혈연공동체의 덕목으로서의 의의도 있다.

      • KCI등재

        중종대 원점법(圓點法) 연구

        여영기 한국인격교육학회 2024 인격교육 Vol.18 No.1

        This study has delved into archival materials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during the Joseon Dynasty, aiming to dissect the essence and constraints of the Wonjeombeop reinforcement policy.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expanded the application of Wonjeom(圓點) from Sabuhakdang(四部學堂) and Hyanggyo(鄕校)'s Yuhag(幼學) to encompass the examination qualification criteria of Singnyeon(式年) Hyanghanseongsi(鄕漢城試), persisting until the abolition of Seodowonjeombeop(書徒圓點法) in the 32nd year of King Jungjong's reign (1537). The application of Wonjeom(圓點) to Hyanggyo students for Singnyeon Hyanghanseongsi's qualification was unprecedented and has not recurred thereafter. At that time,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was enforced to restrict the qualifications of all levels of Gwanhak's students, effectively limiting almost all Gwageo(科擧) and Gwasi(課試)‘s qualifications. The reinforcement of the Wonjeombeop during King Jungjong's reign originated from policy considerations aimed at addressing the quantitative increase in students. However, criticism arose for the excessive enforcement of the Wonjeombeop, which contradicted the educational ideals and beliefs of Yuhag. As local educational autonomy expanded and the availability of competent educators became feasible, both Yuhagwonjeombeop(幼學圓點法) and Seodowonjeombeop(書徒圓點法) were abolished. The introduction and subsequent abolition of the Wonjeombeop during the Joseon Dynasty underscore the complex interplay between the autonomy and coercion facets of academic governance amid the backdrop of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improvement of students. 본 연구는 중종대 시행되었던 유학원점법(幼學圓點法) 관련 사료들을 분석하여 원점법 강화정책의 성격과 한계를 논한 것이다. 유학원점법은 중종 11년(1516년) 원점법 적용대상을 사부학당과 향교의 유학(幼學)까지 그 대상을 확대하여 식년 향한성시 응시자격기준을 정한 규정으로서, 이를 필두로 하여 거의 중요한 모든 과거와 과시의 응시자격을 제한하는 방향으로 강화되어갔으며, 중종 32년(1537년) 서도원점법(書徒圓點法)이 폐지될 때까지 시행되었다. 유학원점법은 지방 향교 교생까지 식년 향한성시의 응시자격기준으로 원점을 적용한 것은 전례를 찾아볼 수 없으며 이후에도 나타나지 않는다. 이러한 중종대 원점법 강화정책은 중종대 학생수의 양적 증가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고민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원점법의 지나친 강화는 유학의 교육적 이념과 신념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지방의 자치적 교육능력이 제고되고 우수한 교관의 자치적 수급이 가능해지면서 유학원점법과 서도원점법은 폐지되었다. 하지만 유학원점법을 혼란만을 초래했던 제도로 간주해서는 안 된다. 유학원점법은 중종대 재적 학생수의 증가 속에 새로운 학사관리의 필요성이라는 당시 교육문제의 현안 속에서 강구되었던 제도 중 하나이며, 지방 향교의 자치적 운영능력이 성숙해져서 그 교육현안이 해소되면 그 결을 따라 함께 사라지는 것이 더 자연스러운 제도의 진화였기 때문이다. 중종대 원점법 강화 정책의 도입과 폐지는 학생의 양적 증가와 질적 제고라는 배경 속에서 학사관리의 자율와 강제라는 두 측면의 길항관계를 보여준다.

      • KCI등재

        국가교육위원회의 이상과 현실: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조정호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4

        Korea's education policy has a problem of changing abruptly with the change of government.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was launched in September 2022 as an administrative body under the direct control of the president with the ideal of setting up education policies under a long-term vision, centered on national development, away from factional interests. However, the reality is grim. Contrary to the legislative intent, the government and the National Assembly have raised concerns by designating members of the national education committee as factional figure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possibility and tasks of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were considered with the focus on the educational ideology. Policies, which are measures for realizing political purposes, inevitably have a political character. Since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s not absolute, it has been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eriod and social environment. However, considering that neutrality is to maintain a fair position that is not biased toward either side, political neutrality in education is a matter that can be improved in the direction of ideology of Hongikinkan (弘益人間), the educational ideology of Korea.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the National Education Commission to establish a hundred-year policy that determines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 based on the educational philosophy of Hongikinkan, and for this, improvement of the composition and operation of the committee and follow-up studies from various perspectives are needed. 한국의 교육정책은 정권이 바뀜에 따라서 돌변해온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벗어나 교육정책을 국민 발전을 중심으로 정파적 이해관계를 떠나서 장기적 비전 아래 마련하자는 이상에서 국가교육위원회가 대통령 직속 행정기구로 2022년 9월 출범했으나 현실은 암울한 실정이다. 입법 취지와 다르게 정부와 국회는 국가교육위원회 위원을 파당적 인물로 지명하여 우려를 불러일으켰다. 이에 본고에서는 교육이념을 중심으로 교육의 정치적 중립의 가능성과 과제를 고찰하였다. 정치적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방책인 정책은 정치성을 띨 수밖에 없다. 그래서 교육의 정치적 중립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기에, 시기와 사회환경에 따라서 다르게 해석되어 왔다. 다만, 중립이 어느 한 편에 치우치지 않는 공정한 입장을 지키는 것이라고 볼 때, 교육의 정치적 중립은 우리나라의 교육이념인 홍익인간의 지향과 실천에서 제고될 수 있는 사안이다. 따라서 한국의 미래 발전을 좌우하는 백년대계 정책을 수립할 국가교육위원회는 교육이념인 홍익인간에 입각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한 위원회의 구성과 운영에 대한 개선과 다양한 관점에서의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학습 장학의 개념 탐색

        정수현 한국인격교육학회 2023 인격교육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tribute to the discussion of new paradigm of supervision suitable for the era in which the initiative of learners is emphasized by suggesting the meaning, necessity, and procedures of learning supervision in contrast with existing supervision as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First, focusing on the fact that supervision is guidance and advice for teaching-learning activities, this study trie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learning supervision by distinguishing learning-centered supervision from teaching-centered supervision and comparing learning supervision with learning consulting. Subsequently, the necessity of learning supervision is presented in terms of restoring the nature of supervision, change in the educational paradigm according to changing conditions, and relieving the excessive responsibility of teachers. The types and principles of learning supervision are exemplified and the example of the process of learning supervision presented. Finally, suggestions for the settlement of learning supervision are presented. 이 연구의 목적은 기존의 장학이 교수 중심 장학이라고 보고 그와 대비되는 학습 장학의 의미와 필요성, 절차 등에 대해 제안함으로써 학습자의 주도성이 강조되는 시대에 적합한 장학의 새로운 패러다임에 대한 논의에 이바지하고자 하는 데 있다. 우선, 장학이 교수-학습 활동에 대한 지도․조언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교수 중심 장학과 학습 장학을 구분하고 학습 장학과 학습 컨설팅을 비교하여 학습 장학의 특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이어서 학습 장학의 필요성을 장학의 본질 회복, 여건 변화에 따른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 교사의 과도한 책임 완화 측면에서 제시하였다. 학습 장학의 유형과 원리, 절차도 예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 장학의 정착을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평화교육 연구동향 분석: 2000년~2020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대상으로

        정지수,김경이 한국인격교육학회 2020 인격교육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of peace education research through analysis of the trend of peace education research, and to obtain suggestions for practice of peace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248 domestic studies on the subject of peace education for the past 20 years, the number of studies on peace education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nd "change of North-South relations," "policy direction of government," and "school violence." Situational factors such as "incident" were associated with the study. Peace education research is most often researched on concepts and theories, followed by textbooks and curriculum, practical fields and cases in that order. There have been many studies on peace education in the school area, and the fields of related journals were diverse. In terms of research methodology, literature research was largely accomplished, with a few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studies. Suggestions for research in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since peace education needs to be approached comprehensively, research on educational activities conducted in the context of lifelong education is needed. Second, it is necessary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peace education can be operated continuously, and it is necessary for education specialists and practitioners to study the curriculum together. Thir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field of peace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explore peace education in various ways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uch as quantitative studies and qualitative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평화교육 연구동향 분석을 통해 평화교육 연구 방향 탐색과 평화교육 실천에 시사점을 얻기 위함이다. 지난 20년간 평화교육을 주제로 한 국내 연구 248편을 분석한 결과 평화교육 연구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남북 관계의 변화’, ‘정부의 정책 방향’, ‘학교폭력 사건’ 등의 상황적 요인이 연구와 관련이 있었다. 평화교육 연구는 개념 및 이론에 대한 연구가 가장 많고, 교과서 및 교육과정, 실천현장 및 사례의 순으로 연구가 이루어졌다. 학교영역에서의 평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 많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련 학술지 영역은 다양했다. 연구방법론에서는 문헌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양적연구와 질적연구는 소수였다. 평화교육 현장 연구를 위한 시사점으로는 첫째, 평화교육이 종합적으로 접근될 필요가 있으므로 평생교육의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교육 활동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평화교육이 지속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하고, 교육과정을 교육 전문가와 실천가가 함께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평화교육 현장 연구가 필요하며, 양적연구과 질적연구 등 다양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여 평화교육을 다각도로 심도 있게 살피는 것이 필요하다.

      • KCI등재

        COVID-19 이후 달라진 대학생활에 대한 경험

        한송이,조성범 한국인격교육학회 2021 인격교육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what students have experienced since COVID-19 was discovered. This study focuses on the voices of students to investigate how those who have experienced a completely different college life through COVID-19 are aware of the changes. In order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8 students in third year and fourth year of S University in Seoul. These students have fully experienced college life before COVID-19 emerged and can provide copious information on their changed experiences. The study revealed that students experienced changes in their college life in terms of 1) learning, 2) interpersonal relationships, 3) lifestyle, and 4) perception of university. Due to COVID-19, students were prevented from having an enriched college experience, and they reconfirmed the significance of campuses that were places where they could experience a variety of learning encounter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community support is necessary to respond to the effects of COVID-19 on students. 본 연구는 COVID-19 상황에 따라 달라진 대학생활 과정에서 학생들이 무엇을 경험하고 있는지를 질적으로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COVID-19를 통해 이전과 전혀 다른 대학생활을 경험한 학생들이 변화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학생의 목소리를 통해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 소재 S 대학의 3-4학년 재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들은 COVID-19 이전의 대학생활을 충분히 경험한 학생들로, 변화된 경험에 대해 심층적 정보 전달이 가능한 학생들이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학습, 인간관계, 생활태도, 학교에 대한 인식의 측면에서 대학생활의 변화를 경험하고 있었다. 학생들에게 COVID-19는 이전에 할 수 있었던 것을 하지 못하게 된 결핍의 시기였으며, 대학과 캠퍼스라는 공간은 학습 그 이상의 다양한 경험을 느낄 수 있는 곳이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공동체적 지원이 필요함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교육전문박사(Ed.D.) 과정에 재학 중인 초등교사의 정체성

        정수현,김연구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1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identitie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d.D. through the analysis of their experiences and perceptions during the doctoral course. Eight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Ed.D. courses were interviewed.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ocess: before admission (concerns and motivations), after admission (experience in the coursework), completion and graduation (expectations and plans). Ed.D. students experienced confusion and conflict of identity in the middle of educational theory and educational practice, and due to such conflicts, they placed their identity as a doctoral student on a lower priority or they considered taking a leave of absence. The identities of Ed.D. students were found to be connected with the identities of ‘The Marginal Man’ and ‘Teacher Researcher’. Because of these characteristics, they had the potential to transcend the gap between educational theory and practice and the framework of customs. However, this potential has not yet been manifested due to the background condition of ‘teaching as a safety valve’.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improvement of the linkage structure between the bachelor's,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at the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necessity of establishing identity during the Ed.D. program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교육전문박사(Ed.D.) 과정에 재학 중인 초등교사의 박사학위 과정 중 경험과 인식에 대한 분석을 통해 그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들의 정체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현재 Ed.D. 학위과정에 참여 중인 초등학교 교사 8명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입학 전(진학에 대한 고민과 동기), 입학 후(코스워크 과정에서의 경험), 수료 및 졸업(학위에 대한 기대와 계획)에서의 경험과 인식을 확인하였고, 이를 통해 정체성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Ed.D. 과정생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중간에서 정체성의 혼란과 갈등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갈등으로 인해 박사과정생으로서의 정체성을 후순위에 두거나 휴직을 고려하고 있었다. Ed.D. 과정생의 정체성은 ‘주변인’과 ‘교사연구자’로서의 정체성과 연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Ed.D. 과정생은 교육이론과 교육실천의 괴리나 관습의 틀을 넘어설 수 있는 존재로서의 가능성도 보여주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가능성은 ‘안전판으로서의 교직’이라는 배경적 조건으로 인해 아직 발현되고 있지는 않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육대학교 학사, 석사, 박사과정 간의 연계 구조 개선과 박사과정의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과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 후기청소년의 정신건강 탐색(I)

        김혜숙 한국인격교육학회 2022 인격교육 Vol.16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life stress on depression and sleep quality for college students at seven universities in the P region. The stress-inducing factors that college students experience in their daily lives were analyzed around eight categories: [Employment and Careers], [Relationship with Professor], [Opposite Sex Friend], [Same-Sex Friends], [Relationship with Parents], [Economic Circumstances], [Academic] and [Value Formation].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iggest stress among the eight categories of daily stress-inducing factors for college students came from [Employment and Careers] and [Value Formation].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life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r=622). In addition,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quality and life stress also showed significance (r=.369). The effect of life stress on depressive and sleep quality variable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eight categories of stress-inducing factors in life, the variables that most influenced depression were found to be [Employment and Careers] and [Value Formation]. Meanwhile, factors that influenced sleep quality were [value formation]-related stresses. Considering the developmental nature of late adolescence, college students are focused on identity, value building, and occupational value issues.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universities to consider a wide range of educational and emotional support to address these issues. 본 연구는 P지역 소재 남·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증상과 수면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대학생이 일상생활에서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유발요인으로 취업 및 진로, 교수와의 관계, 이성 친구, 동성 친구, 부모와의 관계, 경제적 사정, 학업 및 성적, 가치관 형성 등 8개의 범주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일상생활 스트레스로 인한 정신적, 신체적 반응으로서 우울증과 불면, 즉 수면의 질 저하 문제를 살펴보고 이들 간의 관계와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의 일상생활 스트레스 요인 8개 범주 중 가장 점수가 큰 것은 [취업및진로, 학업및성적, 가치관] 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일상생활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역기능적 반응으로 우울과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상관(r=.622)을 나타냈고, 신체적 건강의 역기능적 반응으로 수면의 질 또한 유의한 상관(r=.369)을 보였다. 일상생활 스트레스가 우울과 수면의 질 변수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일상생활 스트레스 유발 요인 8개 범주 중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가치관] [동성친구] [가족관계] [경제적사정] [취업및진로]의 순서로 나타났다. 반면, 수면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8개 범주들 중 [가치관] 관련 스트레스가 유일하였다. 후기 청소년기의 발달적 특성을 고려할 때 대학생 시기는 정체감과 가치관 형성, 직업 선택, 대인관계 등의 문제에 대한 고민과 관심이 집중되는 시기이므로 이에 대한 교육적, 정서적 지원이 필요하다. 교육과정 설계 단계에서 대학생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 인격적 성장을 위한 교육모델 구축이 필요하며 관련 콘텐츠와 프로그램 개발에 지속적 관심과 지원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