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학교 운동선수의 체력 특성에 관한 연구

        조홍관,김형준,채정룡,김극로 한국운동과학회 1998 운동과학 Vol.7 No.2

        중학교 운동 선수의 체력 특성에 관한 연구. 운동과학, 제7권 제2호, 207-220, 1998.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운동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을 위하여 선수 개개인의 체격 및 체력 특성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야구선수 9명, 농구선수 8명, 축구선수 10명, 수영선수 8명, 태권도 선수 10명 등 각각 운동경력 3년 이상 된 운동선수 45명과 비운동선수로 체력상태가 좋은 일반 학생 45명 등 총 그룹 90명의 피검자로 선정하였다. 체력측정은 근력측정을 위한 back strength, 완력, 순발력 측정을 위하여 제자리멀리뛰기, 50m 달리기, 근지구력 측정을 위하여 윗몸일으키기, 턱걸이, 전신지구력 측정을 위하여 harvard step test, 1000달리기, 민첩성과 유연성 측정을 위하여 side step test, reaction time 등을 측정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1) 순발력 측정결과, 제자리 멀리 뛰기에서 야구선수, 농구선수 등이 다른 운동선수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2) 근지구력 측정결과, 윗몸일으키기에서 수영선수가 다른종목 운동선수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전신지구력 측정결과, 하바드스텝테스트 점수가 농구선수, 축구선수 등에서 다른 운동선수들 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또한 1000m 달리기는 축구선수가 다른 운동선수들 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5). 3) 민첩성 측정결과, 반응시간에서 태권도 선수가 다른 운동선수들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5). 4) 유연성 측정결과, 운동집단 각각에서 비슷하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5) 비운동선수와 운동선수의 체력측정결과, 운동선수가 근력, 근지구력, 전신지구력, 민첩성 등에서 비운동 선수보다 높았으나(P<.05, P<.01), 순발력, 유연성 등은 비슷하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KCI등재후보

        생산직 근로자와 규칙적 운동참여 사무직 근로자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요인 및 기초체력 기준치설정

        최대혁,이철호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최대혁, 이철호. 생산직 근로자와 규칙적 운동참여 사무직근로자의 관상동맥질환 요인 및 기초체력 기준치 설정.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105-117, 2002. 본 연구는 20·30대 연령층으로 육체적 노동을 하는 생산직 근로자들과 좌업생활을 하지만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사무직 근로자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기초체력기준치를 설정하고 규칙적인 운동이 관삼동맥질환 요인에 미치는 관계를 분석하여 근로자들의 체력향상을 위한 운동프로그램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K공단지역 남자 규칙적 운동참가 없는 생산직근로자(I) 20대 89명, 30대 124명과 규칙적으로 운동에 참여하는 사무직근로자(O) 20대 173명, 20대 99명으로 272명을 대상으로 신장, 체중, 스텝테스트, 악력,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 윗몸 일으키기, 팔굽혀펴기, 사이드스텝, 제자리높이뛰기 등 기초체력 항목과 BMI, 혈압, 혈당, 총콜레스테롤 등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 항목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기초체력은 전반적으로 생산직근로자집단과 규칙적 운동 참여 사무직 공무원집단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좌업생활을 하지만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는 사무직근로자집단이 유연성을 제외한 항목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비교적 육체노동을 하는 생산직근로자들의 체력수준이 "보통" 이하 수준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적극적인 체력관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생산직근로자집단온 윗몸일으키기와 유연성이 "나쁨"으로 공무원집단도 유연성이 "나쁨"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요통의 원인인 유연성 결여와 근력의 불균형에 해당하므로 향상운동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최대산소섭취량과 관상동맥질환 위협요인간의 상관관계는 20대 생산직과 사무직 모두 BMI, 수축기 혈압에서 유의한 관계가 나타났으며 연령을 제외한 편상관분석에서는 혈당, 이완기 혈압, BMl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하여 제시된 생산직 및 사무직 근로자의 관상동맥질환 위험인자와 기초체력 기준치 설정을 기초로 이를 예방하는 규칙적 운동이 실시되어야 하며, 차후의 연구는 생활습관과 신체활동을 통제한 종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Choi, D.H., Lee, C.H. Study on the Determination of Criteria for Coronary Artery Disease and Physical Fitness for Industrial Workers and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Officials. Exercise Science, 11(1): 105-117, 2002.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ation of criteria for physical fitness as well as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factors and revealed the correlation coefficience between VO_2max and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factors in 20 to 39 years old industrial workers and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officials of Korea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consisted of both 213 male(20s: 89, 30s: 124) industrial workers and 272(20s: 173, 30s: 99) regular exercise participation male officials who checked medical examination and physical fitness test at K-Fitness Center.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Coronary artery disease risk factors- BMI, systolic and diastolic blood pressure, total cholesterol, blood glucose were normal in all groups. 2) Health related fitness- Caroliopulmonary endurance was "good" in O but "fair" in I. Muscle endurance was better than "fair" in O but less than "fair" in I. Muscle strength was "good" in 20's O and "fair" in other groups. Flexibility was "poor" in all groups. The statistics analysis was shown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s except flexibility(p<.05). 3) Skill related fitness- Power was "good" in all groups. Agility was "poor" in I but "fair" in O. skill related fitness. The statistics analysis indicated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agility(p<.05). Also,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ce between VO_2max and coronary artery risk factors which were BMI(-.183), systolic blood pressure(-.286), diastolic blood pressure and BMI(-.128), systolic blood pressure(.161) for 20's in industrial workers and officials and systolic blood pressure(-.294), diastolic blood pressure(-.276) for 30's in industrial worke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re were significant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ce when age was controlled between VO_2max and coronary artery factors which were BMI(.118), diastolic blood pressure(-.165) and BMI(-.114), blood glucose(.254) for industrial workers and officia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regular exercise increases physical fitness and decrease risk factors of coronary artery disease even if sedentary whit colors. Therefore, Industrials workers need to participate physical fitness program for health and prevention of absence from work.

      • KCI등재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유산소 운동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오상덕 ( Sang Duk Oh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오상덕.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유산소 운동이 월경곤란증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17-424, 2011. 최근 월경곤란증을 최소화할 수 있는 치료방안으로 운동요법이 대두되고 있으며, 월경 시 적당한 강도의 운동은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 많은 통증 유발정도를 줄일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적절한 운동 강도와 운동량을 구명함으로서 월경곤란증 완화에 효과적인 운동요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과 함께 연구대상인 일차성 월경곤란증을 가진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장기간의 운동 요법을 제시하여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트레드밀 걷기운동이 월경곤란증 및 월경통 유발인자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월경통증의 시상척도(Visual Analogue Scale, VAS)설문을 통해 월경곤란증 점수가 70점 이상이고 VAS로 측정한 월경통증이 5 cm이상인 자를 사전 선발한 후, 연구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0대 여대생 50명을 선정 월경곤란증 및 통증 여부를 의료기관 여성검진센터를 방문 진단 후 본 연구에 대상으로 최종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유산소 운동; VO2max 50%, 에너지소비량; 200 kcal, 400 kcal)을 통해 제시된 결과는 아래와 같다. VAS(Menstrual Pain point, Dysmenorrhea point)는 에너지소비량 별 운동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고,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변화는 유의 차 없었으나, VAS(Menstrual Pain point)는 운동기간(p<.01)효과에서, VAS(Dysmenorrhea point)도 운동기간(p<.001)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GE2, PGF2α, TXB2 모두 에너지소비량 별 운동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였으며, 에너지소비량에 따른 변화는 유의한 차 없었다. 하지만 PGE2는 운동기간(p<.001), 상호작용(p<.01)효과에서 PGF2α는 운동기간(p<.01)효과에서 TXB2는 운동기간(p<.001)효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Oh, S. D. The Effects on Menstrual Pain of Aerobic Exercise into the Energy Expenditure. Exercise Science. 20(4): 417-424, 2011. Exercise treatment as a method of caring has a dysmenorrheal is on the rise in order to minimize the side effects, and it is reported that an exercise of moderate intensity gives positive effects and lessen the degree of induction of pain. This survey would look into moderate intensity and amount of exercise to provide fundamental materials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exercise treatment, and influences of how treadmill walking exercise according to energy expenditure affects to the causing factors of dysmenorrheal and menstrual pain by presenting an exercise treatment for a period of long time to women in her twenties has a primary dysmenorrheal as subjects of investigation. Select university female students in their twenties got over 70 points and 5 cm through VAS (Visual Analogue Scale) questionnaire. Select 50 students among them understood the object and accepted to the participation of the survey. The results through the method (aerobic exercise; VO2max 50%, energy expenditure; 200 kcal, 400 kcal of survey are as follow. VAS (Visual Analogue Scale, Dysmenorrhea Point) was reduced as exercise period prolong. VAS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in exercise period (Visual Analogue Scale; p<.01, Dysmenorrhea Point; p<.001). PGE2, PGF2α, TXB2 was increased as exercise period prolong. PGE2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xercise period (p<.001) and interaction (p<.01). PGF2α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xercise period (p<.01). TXB2 does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in energy expenditure and to have significant difference of exercise period (p<.001).

      • KCI등재

        과체중 및 비만 여성에서 운동 후 ST 분절의 상승과 심박수-회복 궤도(Rate-Recovery Loop)의 변화

        고성경,최건식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2

        고성경, 최건식. 과체중 및 비만 여성에서 운동 후 ST분절의 상승과 심박수-회복 궤도(Rate-Recovery Loop)의 변화. 운동과학, 제13권 2호, 167-176, 2004. 과체중 및 비만이 운동 및 운동 후 ST 분절의 상승에 미치는 영향과 심박수-회복궤도(Rate-Recovery Loop)를 이용한 관상동맥 질환 위험도를 진단하기 위하여 25-40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최대하 운동부하 검사를 실시하였다. 운동부하 검사 시 ST 분절은 V5 유도에서 측정하였다. 연구결과 운동시 ST 분절은 운동 시간에 따라 그 값이 하강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특히 과체중 Ⅰ, Ⅱ군과 비만군의 ST 분절이 100㎶ 이하로 하강하였다. 동일집단에서 안정시 ST 분절에 비해 정상체중군은 6분과 최대하 운동시의 값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과체중 Ⅰ군은 최대하 운동과 회복 1분의 값이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과체중 Ⅱ군은 6분과 최대하 운동 및 회복 1분의 ST 분절이 안정시에 비해 차이가 있었으며, 비만군도 최대하 운동과 회복 1,3분의 값이 안정 시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운동 직후 ST 분절은 4개 집단 모두 안정 시 값 이상으로 상승하였다. 운동 후 심박수-회복 궤도는 정상체중군과 과체중 Ⅰ, Ⅱ군의 경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였으나, 비만군은 시계방향으로 변하였다. 심박수-회복궤도지수는 정상체중군이 +335㎶였으며, 과체중 Ⅰ군은 +467㎶, 과체중 Ⅱ군은 +354㎶, 비만군은 +215㎶로서 과체중 Ⅰ군이 가장 높고 비만군이 가장 낮았다. 연구 결과를 종합할 때 정상체중, 과체중 및 비만 여성은 최대하운동 직후에 ST 분절이 상승하는 것으로 보이며, 심박수-회복궤도로 판단할 때 비만군은 정상체중군보다 관상동맥 질환에 대한 위험도가 더 높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Ko, S.K., Choi, K.S. Post-Exercise ST Segment Elevation and the Rate-Recovery Loop in Obese and Hyperlipidemic Women. Exercise Science, 13(2): 167-176, 2004. This study investigated post-exercise ST segment elevation and the rate-recovery loop in obese and hyperlipidemic women. The subjects were 25-40 years old and were classfied into four group: Normal Wesght(NW, n=12), Overweight-Normal Cholesterol (0WNC, n=12), Overweight-Hypercholesterolemic (OHC, n=11), and Obese-Hypercholesterolemic (OHC, n=11). During and after treadmill exercise, the ST segment was measured in ECG lead V5. The Rate-RLI (recovery loop index) was the mean ST segment elevation during each heartbeat in the rate-recovery loop. During exercise, the ST segment was depressed. The St segments in the OWNC, OWHC, and OHC groups were depressed below 100㎶ (1mm), which is considered diagnostic of ischemia. In the same groups, the ST segments differed significantly from the respective resting level in each group at 6-min exercise and submaximum in NW, at submaximum and 1-min recovery in OWNC, at 6-min exercise, submaximum, and 1-min recovery in OWHC, and at submaximum and l-and 3-min recovery in OHC. The rate-recovery loops were counterclockwise in NW, OWNC, and OWHC, but clockwise in OHC. The Rate-RLI was +335, +467, +354, and +215㎶ in NW, OWNC, OWHC, and OHC, respectively. There was not post-exercise St segment depression in normal or obese woman, but He ST segment was elevated above the normal level immediately after stopping exercise. The rate-recovery loop of obese women was an Intermediate loop, reflecting a higher risk of coronary artery disease than in women of normal weight.

      • KCI등재

        점진적 최대운동 후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심폐기능과 회복기 젖산농도에 미치는 영향

        박계순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3

        박계순. 점진적 최대운동 후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심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2권 제3호, 367-375, 2003. 본 연구의 목적은 점진적 최대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연속되는 최대운동수행 시 심폐기능과 혈중젖산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축구동아리 선수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사전과 사후실험을 실시하였다. 사전실험은 1차 점진적 최대운동 후 부가적인 산소흡입이 없이 10분간 휴식한 다음 연속적으로 2차 점진적 최대운동을 실시하였으며 사후실험은 동일한 방법으로 1차 점진적 최대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으로 산소를 흡입한 다음 2차 점진적 최대운동을 실시하였다. 본 실험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심박수와 산소섭취량은 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를 흡입함에 따라 연속되는 운동수행시 운동초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둘째, 호흡교환율은 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를 흡입함에 따라 연속되는 운동수행시 운동초기와 최대값에 있어서 유의하게 낮았다(p<.05). 셋째, 혈중 젖산농도는 운동 후 회복기 부가적인 산소를 흡입함에 따라 연속되는 운동수행 후 회복기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결론적으로 점진적 최대운동 후 회복기의 부가적인 산소흡입은 연속되는 운동수행시 운동초기에 동일한 운동강도에서 심박수, 산소섭취량의 감소, 호흡교환율의 감소 등 생리적으로 심폐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연속적인 운동수행 후 회복기에 혈중젖산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측면에서 효과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권투와 같이 짧은 시간에 끝나는 운동에 유효하다고 하겠다. Park, G.S. The effects of oxygen supplement after an maximal exercise, come to changes i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lactic acid during second exercise. Exercise Science, 12(3): 357-375,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dditional oxygen supplement after an maximal exercise, come to changes in cardiopulmonary function and blood lactic acid during second exercise. The subjects are 7 healthy amateur soccer players(25.40±2.54yrs). The experiments are divided into two parts,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pre maximal exercise tests were performed continuously without any additional oxygen supplement, and the post tests were the same except the inhalation of oxygen supplement during the recovery time after the first maximal exercises, then the second maximal exercise tests were peformed. The results of those tests were obtained as followed outcomes. First of all, the heart rate and the amount of oxygen intake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beginnings of the continuous exercise due to the additional oxygen intake during the recovery after an exercise. Secondly, respiratory exchange ratio(R) following of the additional oxygen intake during the recovery after an exercise turned out to be significantly low as we see the results of the maximum value, and at the beginnings of the continuous exercise. Thirdly, blood lactic acid decreased significantly while recovering from the continuous exercise after the additional oxygen intake during the recovery after an exercise. In conclusion, the additional oxygen supplements during the recovery periods after the maximal exercises produced good results in the continuous exercises that would bring positive effects to the cardiopulmonary functions such as increased heart rate, also increased amount of oxygen intake, the decreased respiratory exchange ratio, and the reduction of lactic acid concentration during the recovery.

      • KCI등재

        운동 트레이닝 강도가 비만 여성의 복부 지방 감소에 미치는 영향

        강현식 ( H. S. Kang ),김창근 ( C. K. Kim ),박수현 ( S. H. Park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0 운동과학 Vol.19 No.4

        비만 여성을 대상으로 운동 트레이닝의 강도가 복부 지방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세계당뇨병연맹의 아시아기준인 허리둘레 >80cm에 충족한 총 46명(통제집단, n=20과 운동집단, n=26)의 중년여성으로 하였다. 운동 집단은 중강도 집단(n=12; VO2max 50%)과 고강도 집단(n=14; VO2max 80%)으로 나누었으며, 이들 집단의 운동 형태는 걷기 혹은 가벼운 조깅으로 하였다. 운동량은 두 집단 모두 동일하게 12주 동안 주당 3일, 세션 당 400kcal를 소비하는 것으로 하였다. 피험자들은 프로그램 실시 내내 일일 신체활동량을 측정하기 위해 가속도계(Kenz Lifecorder EX accelerometer)를 착용하였으며, 설문지를 통하여 식이섭취량을 조사하였다. CT 촬영은 프로그램 전, 후에 복부의 피하 및 내장지방량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실시하였으며 허리둘레, 체중, 제지방, 체지방량과 심폐체력은 프로그램 전, 중(6주), 후에 측정하였다. 여러 변인들을 분석한 결과 복부 피하지방량은 통제집단과 두 운동 집단에서 유의한 상호작용이 나타났으나, 운동 집단 즉, 중강도 집단과 고강도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복부 내장지방은 운동 프로그램을 실시한 두 집단에서 사전과 사후에 지방량이 유의하게 감소(p=.001)하였다. 통제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중강도 집단과 고강도 집단 모두에서 신체 비만관련 변인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운동 집단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운동 트레이닝 강도는 비만인 여성에 있어 운동-유발성 복부지방 감소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인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lking/jogging exercise training intensity on abdominal fat losses in obese women. A total of 46 middle-aged women (control group, n=20 and exercise training group, n=26), who met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IDF) criterion for abdominal obesity with waist circumference(WC) of >80 cm, were invi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exercise groups were further divided into either Moderate-intensity (n=12; VO2max 50%) or high-intensity group (n=14; VO2max 80%), and they underwent a supervised walking/jogging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illicit energy expenditure of 400 kcal per session regardless of exercise intensity, with a frequence of 3 days per week for 12 weeks. Subjects were asked to wear the Kenz Lifecorder EX accelerometer for the objective measurement of physical activity during the entire period of the experiment. Computerized tomography (CT) was used to quantify subcutaneous adipose tissue (SAAT) and visceral adipose tissue (VAT) both at before and after the walking program. WC, weight, BMI, percent body fat, and cardio/respiratory fitness were measured at the baseline, at the mid-point, and after the walking program. Two-way Mixed ANOVA showed that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oth the low- and high-intensity groups had significant reductions in SAAT,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xercise groups. A significant time effect only (p=.001) was found in changes in VAT, indicating that VAT was significantly reduced in all the groups following the walking/jogging program. Significant time by group interactions were found for WC (p=.001), weight (p=.001), BMI (p=.001), and percent body fat (p=.001). A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oth the Moderate- and high-intensity groups had significant reductions in those body fatness variables,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wo exercise group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current study indicate that exercise training intensity would be not a critical factor in determining exercise training-induced abdominal fat losses in obese women.

      • KCI등재

        척수 편측절단 손상 후 일회성 운동량에 따른 neurotrophins 단백질발현 및 수용체 활성

        오명진 ( Myung Jin Oh ),한재덕 ( Jae Duk Han ),서태범 ( Tae Beom Seo ),김종오 ( Jong Oh Kim ),정일규 ( Il Gyu Jeong ) 한국운동생리학회(구 한국운동과학회) 2011 운동과학 Vol.20 No.4

        오명진, 한재덕, 서태범, 김종오, 정일규. 척수 편측절단 손상 후 일회성 운동량에 따른 neurotrophins 단백질발현 및 수용체 활성. 운동과학, 제20권 제4호. 475-486, 2011. 본 연구는 흰쥐의 흉추 9번을 반측절단 손상을 유발시키고, 1주 동안의 휴식 후 저강도 운동 처치를 15분, 30분, 60분, 90분으로 나누어 1회 실시하였으며, 운동직후 손상신경조직을 적출하여 형태적 변화와 신경성장관련 인자들의 발현정도를 분석하였다. 실험동물은 7주령된 SD계열 수컷 흰쥐 60마리를 실험대상으로 normal 그룹, 척수손상(SCI) 대조군, SCI+운동15분그룹, SCI+운동30분그룹, SCI+운동60분그룹, SCI+운동90분그룹으로 총 6그룹으로 설정하였다. 운동처치는 저강도운동으로 1회 실시하였다. 그 결과 BDNF 단백질의 발현량은 운동 60분 > 30분 > 90분 > 15분순으로 60분에서 가장 많이 발현되었으며, 수용체인 TrkB mRNA의 발현량은 30분 운동그룹에서만 높게 발현되었다. NGF 단백질 발현량은 손상 후 운동그룹 모두가 손상그룹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수용체인 TrkA mRNA의 발현량은 운동 15분 > 60분 > 30분, 90분순으로 운동 15분에 가장 높게 발현되었다. NT3 단백질 발현량에서는 운동 30분, 60분 > 90분 > 15분순으로 운동 30분과 60분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수용체인 TrkC mRNA의 발현량은 운동 30분 > 60분, 90분 > 15분순으로 운동 30분에서 가장 높게 발현되었다. 형태학적인 변화로 반응성 별아교세포의 변화는 일회적인 운동량만으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한 결론은 척수손상 후 운동처치에 따른 신경성장관련 인자들의 발현량은 운동약 30분~60분정도에서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Oh, M. J., Han, J. D., Seo, T. B., Kim, J. O., Jeong, I. G. The effects of quantity of treadmill exercise on expression of neurotrophins and receptor after spinal cord hemisection in the rats. Exercise Science. 20(4): 475-486, 2011. Sixty male Sprague-Dawley rats (230±10 g; 7 week in age) were assigned equally to six different groups; Normal (n=10), Spinal cord injury (SCI)(n=10), SCI+15m treadmill training (TMT)(n=10), SCI+30 mTMT (n=10), SCI+60 mTMT (n=10), SCI+90 mTMT (n=10). Every rat in SCI and SCI+TMT groups underwent laminectomy at thoracic vertebra ninth(T9) level and then hemisection the exposed spinal cord site in the anesthetized condition. After one week-recovery from injury, rats in SCI+TMT group exercised on a motorized treadmill for 15, 30, 60, 90 min/d. All tissues were used for H&E, immunofluorescence staining, Western blot and RT-PCR. The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one-way ANOVA and Tukey`s post-hoc. and presented as mean±standard deviation. BDNF induction levels in the injured spinal cord significantly showed more increases in exercise group with SCI and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ime of exercise, but NGF did not differ from another groups. TrkB mRNA which is receptor for BDNF was increased in only exercise group for 30 minutes and TrkA mRNA which is receptor for NGF was upregulated in two exercise group for 15 and 60 minutes. Also, TrkC mRNA, activated by NT-3, was significantly enhanced in exercise group for 30 minutes. Thus present data suggest that exercise plays a important role for axonal regeneration and functional recovery after SCI.

      • KCI등재

        운동과 사우나 시간의 땀 성분 비교분석

        김병로 한국운동과학회 2000 운동과학 Vol.9 No.1

        운동과 사우나 시간의 땀 성분 비교 분석. 운동과학 제 9권 1호. (181)-(189), 2000. 본 연구는 운동시 흘리는 땀과 사우나시 흘리는 땀의 성분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대학 카누 선수 7명과 체육학과 일반학생 7명을 대상으로 땀 속의 무기질 성분 중 나트륨, 염소,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땀 성분 중 나트륨, 염소, 칼륨, 칼슘 농도는 운동 선수 집단이 비운동선수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마그네슘 농도는 운동선수 집단과 비운동선수집단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나트륨, 염소, 칼륨, 칼슘 농도는 운동시가 사우나시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마그네슘 농도는 운동시와 사우나시간에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운동선수 집단이 비운동선수 집단에 비해 땀속의 무기질 농도가 낮게 나타난 것은 평상시 규칙적인 운동의 긍정적인 효과가 발현된 것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운동시가 사우나시에 비해 땀 속의 무기질 농도가 더 많이 배출된 사실은 지금까지 알려진 것과는 거리가 있는 것으로서 향후 지구성 운동선수들의 시합에나 트레이닝시 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analysis of sweat composition between exercise and sauna. Exercise Science, 9(1): 181-189, 200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nalysed the sweat composition between exercise and sauna. Fourteen volunteers from C university(7 canoe athletes, 7 nonathletes) particpated in this study so tha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The concentration of Na^+, Cl^- , Ca^(2+), K^+ of sweat compositions in the athlete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the non-athlete group.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Mg^(2+) of sweat compositions between both groups. The concentration of Na^+, Cl^-, Ca^(2+), K^+ of sweat compositions during exercise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during sauna.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concentration of Mg^(2+) of sweat compositions between exercise and sauna.

      • KCI등재

        점프 운동학습이 소뇌 퍼킨제 세포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전태원,정성태,임재형 한국운동과학회 1998 운동과학 Vol.7 No.1

        점프 운동학습이 소뇌 퍼킨제 세포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7권 제1호. 71-80, 1998. 점프운동학습 후 소뇌 퍼킨제 세포의 변화를 알아 보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소뇌 퍼킨제 세포의 핵과 핵주위부의 여러 소기관을 관측했다. 하루 50회씩 10일간 점프운동학습한 집단과 통제집단의 핵과 핵주위부의 분포, 형태, 크기 및 구조를 관찰했다. 운동학습진단은 two-way shuttle box를 개조한 운동학습 기구에서 학습했다. 시행에 앞서 30초 동안 준비기를 주고 이어서 5초동안 불빛으로 조건자극을 제시한다. 5초간의 조건자극이 끝남과 동시에 5초 동안 무조건자극인 전기자극을 가한다. 따라서 쥐는 전기자극이 부여되기 전에 조건자극이 제시되는 5초 이내에 반대편으로 점프운동으로 넘어가야 한다. 통제집단에 비하여 운동학습집단의 소뇌 퍼킨제 세포의 핵은 더 크고 동질적으로 나타났다. 또한 운동학습 집단의 핵주위부의 소기관들도 통제집단에 비하여 두드러지게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즉 운동학습집단의 경우, 소뇌 퍼킨제 세포의 골지복합체, 과립형질내세망, 니슬소체가 더욱 활성화되었다. 따라서 운동학습은 소뇌 퍼킨제 세포의 형태에 영향을 미치며 운동학습에 의해 소뇌 퍼킨제 세포에 가소성을 일으키고 변화될 수 있다는 근거를 시사하고 있다, 또한 소뇌 퍼킨제 세포 뿐만 아니라 다른 운동 뉴런도 특정 운동학습에 의해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중추신경의 가소성 연구를 위해서는 소뇌피질 분자층의 형태학적 변화를 다각적으로 고찰해야 할 것으로 본다.

      • KCI등재후보

        인위적 전기자극이 비만여성의 근기능 및 운동지속능력에 미치는 영향

        홍용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1

        홍 용. 인위적 전기자극이 비만여성의 근기능 및 운동지속능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1권 제1호, 119-130, 2002. 본 연구는 비만인들에 있어서 6주간 저주파를 이용한 인위적 전기자극과 운동 시 인위적 전기자극의 병행처치가 슬관절 신전근 및 굴곡근에 미치는 영향과 운동지속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여 비만인들의 스포츠 참여증진을 유도할 수 있는 효과적인 운동수행능력의 증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규칙적인 운동에 참여하고 있지 않은 34명의 비만 여성들로서, 이들은 전기자극집단(FES group, 10명), 운동집단(EX group, 13명), 운동과 전기자극을 병행 실시하는 집단(EX+FES group, 11명)으로 구성하였고, 각 집단별, 집단간 처치 전·후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FES와 EX+FES group에게 처치한 6주간의 인위적 전기자극은 슬관절 신전근부를 이용하여 50Hz의 강도에서 주당 3일, 1일 1시간씩 실시토록 하였다. 또한 6주동안 FES를 제외한 두 집단들에 처치한 운동 방법은 트레드밀과 고정식자전거를 이용해 각 개인별로 자각적 운동강도를 기준으로 최대운동의 60% 수준에서 주당 3일, 1일 300∼400㎉가 소모되도록 하였다. 각 집단별 처치 전·후간 근 기능과 운동지속능력에 대한 측정은 근 기능의 경우 등속성 기구를 이용해 슬관절부에서 초당 60˚의 각속도에서 3회 최대 운동을 실시토록 하여 체중당 peak torque %로서 계측하였고, endurance ratio %는 초당 180˚의 각속도에서 26회 최대 운동을 실시하여 평가하였다. 또한 운동지속능력은 자동개스분석기를 이용해 최대산소섭취량, 운동지속시간, 무산소성역치 수준으로서 평가하였다. 그 결과 EX집단에 비해 EX+FES집단에서 근 기능중 좌,우측 슬관절에서의 peak-troque의 변화가 굴곡과 신전근 모두에서 가장 높은 증가정도를 보인 반면, FES group에서는 처치 전·후간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근 지구력에 있어서는 EX+FES집단에서만 오른쪽 굴근에서 유의한 증가가 나타났으며 다른 두 집단들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운동지속능력의 변화에 있어서는 EX+FES집단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과 운동지속시간, 무산소성 역치수준 모두에서 처치 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EX집단에서는 최대산소섭취량, 무산소성 역치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증가정도에 있어서는 EX+FES집단에서 보다 높은 증가정도를 보였다. 한편 FES 집단에서는 무산소성 역치에서만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에서와 같은 FES의 처치는 근 기능과 운동지속능력의 증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운동 시 인위적 전기자극을 병행처치하였을 경우, 운동만을 실시하였을 때보다 근 기능과 운동지속능력에서 보다 높은 증가정도를 보여 운동 시 인위적 전기자극의 병행 실시는 비만자들의 운동기능의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적 방안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Hong, Y.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 Stimulation on the Functional Muscle Strength and Endurance Exercise Capacity of Obese Women during Submaximal Exercise. Exercise Science 11(1): 119-130,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tify the influence of six weeks of low-frequency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FES) and FES on functional strength of knee flextion and extention muscle and endurance exercise capacity during the exercise. The subject of this study were 34 obese women who didn't take part in regulated exercise training. The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group (FES; 10), exercise group(EX; 13),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during the exercise group(EX+FES; 11). And investigated with six weeks of the induced changes on each groups. Knee extensor muscles(KEM) of FES and EX+FES group were carried out using a electric stimulator at 50Hz for 1 h/day and 3 days/wk, and two groups (EX and EX+FES group) receiving training sessions were three time a week for 6 weeks. The range of energy expenditure is 300∼400㎉/day at a 60% of maximal exercise capacity using ratio scale of perceived exertion (RPE). Function of muscle capacity test were performed three isokinetic exercise (60˚/sec) and endurance ratio % were performed twenty-six isokinetic exercise (180˚/sec) at knee joint using cybex. Endurance exercise capacity (VO_2max, endurance time, anaerobic threshold;AT) were measured using anatomic gas analyzer. The peak-troque of flexer and extensor on the Knee joint were increase in the EX+FES group than EX group after 6 wk, but not significant increased in the FES group. And muscle enduranc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right flexer muscle in the EX+FES group, but not significantly altered on FES and EX group. The VO_2max, endurance time, AT were all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FES group, and EX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on the VO_2max, AT after 6 wk. But the altered level were more high in the EX+FES group than EX group. Whereas, there were slight increase only on AT in the FES group. The data indicated that functional capacity of knee flextion·extention muscle and endurance capacity was not affected by FES of the current study. But this exercise capacity was affected by exercise and FES during exercise. And functional strength of knee flextion·extention muscle and endurance exercise capacity were more high by FES during exercise than only exercis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FES during exercise using more efficient method to improve the functional capacity of exercise on the obese individua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