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집 :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제도와 이념에의 결박과 성찰 - 현대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최병구 ( Byoung Goo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대표적인 ‘현대문학사’ 몇 종을 민족문학과 아카데미즘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문학사』(1939), 『조선신문학사조사』(1948), 『한국문학사』(1973), 『한국근대민족문학사』(1993), 『민족문학사 강좌』(2009),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를 검토하였다. 주지하는바 그간 출간된 현대문학사는 민족문학사의 틀안에서 작업된 것이었다. 하지만 근대적 학술체계로서 문학사는 아카데미즘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사가의 인식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문학의 성격과 위상은 개별 문학사에서 차이를 갖게 된다. 서구적 보편과 조선적 특수의 관계에 대한 사유, 즉 비교문학적 시각은 문학사에 내재되어 시기별로 유동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최근 10년 한국사회 전반의 변화 속에서 대학 인문학의 위상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문학사가 과거와 같은 위치를 차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향후 문학사 쓰기의 향방은 ‘국가-대학-국어국문학’이라는 문학사 쓰기의 전통적인 틀을 어떻게 새롭게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several representative of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from colonialperiod to date in the aspec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cademism. Specifically,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1939), ‘Main Currents of Thought in Cho-Seon New Literature’(1948), ‘History of Korean Literature’(1973), ‘National History of Modern Literature’(1993), ‘Lecture on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2009), and ‘History of Literature after History of Literature’(2013) were investigated. As noticed, the previous publications regarding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were complet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history of literature as a modern academic system was constructed indifferent ways based on historians’ perspectives on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sm and reality.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and reputation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different in individual history of literature. The thoughts of relations between Western society as universal and Cho-Seon as particular, namely the perspectives on comparison literature which were inherent in history of literature was in a state of flux according to a time. The reputation of humanities in university has remarkably changed in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over the last decad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no longer in the same place as it was in the past. The direction of writ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years to come hinges on how to transform its traditional framework of ‘nation-university-Korean literature.’

      • KCI등재

        특집 : 통일 담론과 남북한 문학사 소통방안

        김성수 ( Seong Su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글은 ‘우리’ 한국문학(사)의 타자이자 소수자라 할 북한문학(사)을 어떻게 볼것인가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 북한문학은 언젠가는 재통합될 한반도 이북의 우리 민족의 문학이니 이념 차이 때문에 무조건 배제할 수는 없다. 북한문학도 문학이며 ‘우리문학’이기에, 궁극적인 통합을 위해서 원래 하나였던 것이 해방 직후 분단된 과정을 천착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백철의 『조선신문학사조사』, 조연현의 『한국 현대문학사』, 한효의 「현대조선문학사조」, 안함광의 『조선문학사 1900~』, 과학원 문학연구실의 『조선문학통사』 (하) 등을비교하였다. 그 결과 남북 학자들이 자기중심으로 현대문학사를 전유하고 상대를 배제하는‘뺄셈의 서술’을 통해, 자기 체제의 역사적 정통성을 확보하려 했음을 알았다. 나중에 승리한자가 이미 존재했던 역사적 실상을 왜곡, 재편하는 것이 공식 역사 기술의 당연지사겠지만,공식화와 정전화를 공고히 할수록 원래 하나였던 우리문학사, 민족문학을 결과적으로 영구분열시킬 수밖에 없었다. 즉, 자기중심적 정통성 담론은 기실 모국어의 분단을 공고화하는분단문학사의 출발일 뿐이다.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남북한의 문학사를 통합 서술한 실질적인 성과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결과 최근 남북한의 현대문학사 서술은 완전히 다른 나라 것처럼 되었다. 가령 북한의 『조선문학사』 16(2012)는 ‘조선민족제일주의’와 ‘수령론’으로 점철된 ‘선군(先軍) 문학사’를 정초하고, 남한은 문학사 자체를 공식화하지 않거나 아예 해체하는 분위기이다. 그나마 민족문학사연구소의 『새민족문학사강좌』(2009)가남북문학(사)의 공존을 소수자담론으로나마 서술한 수준이다. 문학사적 분단의 재검토를통해 적대적이거나 무관심해진 북한문학과의 상호 이해와 교류, 통합방안을 다시 고민할 때이다. 북한문학의 실체를 인정하고 부단히 소통하며 남북 문학의 공존을 서술해야 우리 민족문학사의 재통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begins with the question of what perspective we should take towards the North Korean literature which has been regarded as the other party of Korean literature.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the literature of the Korean race in the northern part of Korean Peninsula of the reunified Korea and therefore cannot be blindly rejected due to the difference of ideology. The North Korean literature is also a literature and the literature of Korean race. Thu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examine the period right after the nation’s liberalization from Japanese forced occupation, the starting period of the nation’s division. In relation to that, this study compared the Joseon New Literature History Survey by Baek Cheol, Korean Modern Literature History by Jeo Yeon-hyeon, Modern Joseon Literature History by Han Hyo, Joseon Literature History After 1900s by Ahn Ham-gwang, Comprehensive History of Joseon Literature by the Literature Lab of the Institute of Science, etc.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cholars in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ttempted to secure historic legitimacy of their regimes through the description of ‘subtraction’ aiming to appropriate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in a self-oriented manner and exclude the counterparty. The self-oriented legitimacy discourse is merely the starting point of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divided nation which signified the division of mother tongue as afact. There has been little outcome providing insight into the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through integrated approach until recently after 1950s. As a result, the modern literature history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has been described as completely different history. For example, the no. 16 volume of Josen Literature History of the North Korea was based on the literature history rooted in the military-first principle oriented toward Joseon Race First Policy and Theory of Great Leader, while the South Korea dismantles the literature history itself. Fortunately, the New Race Literature History Lecture by Race Literature History Lab at least describes the coexistence of literature of the South Korea and the North Korea as minority discourse. The reintegration of literature history would be achieved only when the existence of North Korean literatureis recongized and the coexistence is promoted with communication.

      • KCI등재

        냉전과 월남지식인, 냉전문화기획자 오영진 : 한국전쟁 전후 오영진의 문화 활동

        이봉범 ( Lee Bong-beo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6 민족문학사연구 Vol.61 No.-

        오영진의 삶과 예술은 냉전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닌다. 미소분할 점령 하 남북한 모두에서 민족국가(문화)건설에 실천적으로 참여했을 뿐만 아니라 지리적 경계를 넘나든 국제적 냉전경험을 바탕으로 문화냉전 전을 수행한 대표적인 지식인이다. 북한에서 조선민주당과 평양문협을 거점으로 한 민족문화건설이 좌절된 후 월남하여 대한영화사, 문총, 한국문화연구소 등을 기반으로 단정수립 후 격화된 남한사회의 ‘내부 냉전’의 중심에서 반공 분단국가 강화를 선도했다. 한국전쟁 기간에도 월남지식인들이란 특수집단을 기반으로 문총북한지부 결성 및 기관지 『주간문학예술』발간, 중앙문화사 창설 등 문예조직과 미디어의 공고한 연계를 토대로 한 전시 문화전을 주도했다. 조선민주당, 서북청년단, 반공통일연맹 등 월남인반공단체들과의 공조에 힘입은 바 크다. 오영진은 한마디로 숨은 냉전문화기획자 였던 것이다. 그 일련의 과정은 세계냉전과의 접속을 통해 촉진/ 제약된다. 오영진은 가장 앞서 세계자유문화회의, 유네스코 등 전후 문화냉전 전을 수행하고 있던 세계적 냉전문화 기구들과의 협력채널을 개척하여 연대를 모색했다. 이 채널을 통해서 최신의 서구 냉전문화를 수용하여 특유의 냉전문화론을 정립하는 한편 이를 자신이 관장한 미디어를 거점으로 효과적인 인정투쟁전략을 구사함으로써 문화 권력을 확보하기에 이른다. 또한 미공보원, 미극작가협회, 아시아재단 등 다양한 경로로 미국과 접속해 물적, 인적, 사상적 후원을 받게 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인 문화냉전 전이 가능했다. 이로 볼 때 오영진은 한국의 냉전문화연구의 유효적절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오영진의 냉전문화기획이 가장 돋보인 것은 전향공간에서 그가 기획ㆍ총괄한 한국문화연구소 주최의 종합예술제 개최이다. 이 종합예술제는 문학예술계, 지식인사회 전체를 전향의 한복판으로 끌어들여 문화지식인들의 자진 전향을 독려ㆍ강제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지리적, 사상적 남북적대를 확대재생산하는 동시에 지배체제의 우월성을 배타적으로 승인ㆍ공고화 하는데 결정적인 계기로 작용했다. 분산적으로 진행되던 문화적 내부냉전을 공세적으로 확산시켜 내부평정작업에 크게 기여했던 것이다. 문화적 헤게모니투쟁의 역동적인 장으로 기능했던 전향공간의 정치적 논리를 기회로 포착해 월남지식인이란 불리한 신원을 역전시키며 문화 권력의 중심부로 진입하는 놀라운 정치력을 발휘했던 것이다. 『살아있는 이중생 각하』는 전향공간에서 자기신원을 증명하기 위한 목적이 강하게 투사된 텍스트이자 내부냉전에서 승리한 친일문화인들이 냉전진영론에 입각해 한국문화계를 장악하고 구국 또는 애국의 이름으로 문화냉전을 주도하는 주체로 재탄생하는 극적 전환을 암시ㆍ정당화한 텍스트라 할 수 있다. 열전의 와중에서 전개된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은 조직, 미디어의 물적 토대에다가 국방부 정훈국, 미공보원, 아시아재단 등의 후원과 원조까지 받음으로써 더욱 공세적으로 추진될 수 있었다. 특히 아시아재단과의 긴밀한 유대를 통해 오영진을 정점으로 한 월남예술인 집단은 대한민국 국민으로, 문화제도권으로 안정적인 진입이 가능했고 대공 사상(심리)전, 문화전의 전초가 될 수 있었다. 오영진의 문화냉전 전의 예술적 전략과 논리는 ‘기록주의’이다. 기록주의는 민족현실에 대한 처절한 위기의식의 산물로서, 열전 및 냉전의 한복판에서 존망의 위기에 처한 민족현실의 특수성을 비판정신에 입각하여 리얼하게 형상화하는 정신 내지 방법으로 제기된 것이었다. 기록성에 대한 지향은 당면한 반공 산주의 투쟁의 효과적인 방법적 대안이었으며, 서구 냉전예술과 접속하는 매개 고리로 세계의 초점으로 부상한 민족현실에 대한 기록주의를 통해 문화냉전 전의 이니셔티브를 확보하기 위한 욕망의 발현이기도 했다. 그의 기록주의는 대중계몽성 제고의 가능성을 바탕으로 선전전, 심리전의 유력한 수단으로 기능하고 또 문학 예술적으로 새로운 기풍을 진작시켰음에도 불구하고 반공주의와 민주주의의 모순적 결합을 내포한 것이기에 저항적인 담론으로 발전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소군정하의 북한』은 기록주의의 전략적 텍스트였다. Oh Young Jin``s life and art are undivided from the cold war. He practically participated in South and North Korea``s nation building, each were under US and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He was also a typical intellectual who performed cultural cold wars with his borderless, international cold war experience. He led to entrench anticommunism(and the divided country, the result of that) in the center of South Korea``s internal cold war that had been intensified after the establishment of separate government. During the Korean war period, he also led cultural wars by the stable connection between the media and the literature organizations of which the group of the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In a word, Oh Young Jin was a hidden cultural cold war planner. The process of that was promoted/limited by the access to the worldwide cold war. The cultural cold war planning by Oh Young Jin reached its peak at his planning of Composite Art Festival held by Korean Culture Institute. This Composite Art Festival bringing literature artists, intellectuals to the center of the conversion, encouraged and forced self conversions of them. So that it spread and reproduced geometric and ideologic hostilit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and served to recognize exclusively the superiority of South Korean ruling system at the same time. Living Lee Jung Sang his excellency is the text for the strong purpose of proving Oh Young Jin himself in conversion situation, as it implies and justifies the moment pro-Japanese winning the internal cold war was reborn who dominated south Korean cultural fields by logic of ideological blocs and led cultural cold wars in the name of patriotism. Oh Young Jin``s cultural cold wars during the hot war could be pushed forward with material foundations of the institute and media, in addition to the aid from AFIED(Armed Forces Information and Education Division) of Korea defense ministry, the US information service, and Asia foundation. The group of defector intellectuals to south Korea was able to join stably in Korean nation and orthodox culture by the strong bond with Asia foundation especially, so that it made an outpost for ideological(psychological) and cultural wars to communism. The artistic strategy and logic of Oh Young Jin is ``record priority principle.`` The emphasis on record was a effective method for urgent anti-communism struggle, as a result of ambition to seize the initiative in cultural cold wars. It was also a method of an access to western cold war art that the ``record priority principle`` of Korean national reality which was focussed on globally. North Korea under Soviet Union military government is the strategic text on record priority principle.

      • KCI등재

        임화 문학의 현재성 ; 임화의 신문학사 인식과 전통 -구소설과 신소설의 연속성-

        김현양 ( Hyeon Yang Kim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08 민족문학사연구 Vol.38 No.-

        임화(林和)의 `신문학사(新文學史)`는 중세문학과 근대문학의 질적 차별성을 전제로 서술되어 있다. 임화는 조선의 근대문학으로서의 신문학은 근대정신을 내용으로 하고 서구문학의 장르를 형식으로 한 조선어로 쓰여진 문학이라 규정하면서, 신문학사는 중세문학과 단절된 서양문학의 이식(移植)문학사라고 했다. 그런데 `신문학사`를 구체적으로 기술하면서, `신소설(新小說)`을 `구소설(舊小說)`의 형식과 외국문학의 내용(정신)이 결합된 양식적 특성을 보이는 `과도기(過渡期)의 문학`이라 했다. `구소설`의 형식을 계승하고 있는 것을 승인한 것은 신문학이 서구문학의 장르를 형식으로 한 조선의 근대문학이라고 한 그의 인식논리와 모순된다. 형식뿐만 아니라 내용에 있어서도 임화의 인식논리와 구체적 기술은 모순된다. 임화가 「혈의루」, 「은세계」, 「치악산」, 「귀의성」 등을 통해 예로 들고 있는 신소설의 내용적 특성은 「사씨남정기」, 「최척전」, 「춘향전」 등 탈봉건적 지향을 드러내는 구소설에서도 포착된다. 임화의 인식논리에 따르면, `신소설`은 근대문학이라 할 수 없으며 본격적인 근대문학은 「무정(無情)」으로부터 출발하게 된다. `신소설`은 `구소설`과 역사적으로 연속된 양식이며, `신소설` 시기까지의 소설사는 근대문학의 전사(前史)가 된다. 임화는 `이식`을 말했으나 실제로는 `계승`을 서술한 것이다. ImHwa(林和)`s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新文學史) is described a differentiation of middle ages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in quality. ImHwa defined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that it was the literature that does a modern spirit to contents, and was written to the Korean language which did a genre of the Western European literature with formats. ImHwa described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that it was stopped with middle ages literature and it was the transplant history of literature of West literature. By the way, ImHwa actually described `New-novel` that it was a combinded literature which put together with a format of `Old-novel` a and a Contents of literature abroad. But what the Korean modern history of literature is succeeding to a format of `Old-novel` is to be contradictory with his thought. In addition to formats in contents, Logical recognition of ImHwa and the actual description are each other contradictory. The internal volume characteristic of `New-novel` which ImHwa is taking for example through Hyeoluiru, Eunsegye, Chiaksan, Gwiuiseong is caught `Old-novel` such as Sassinamjeonggi, Choecheokjeon, Chunhyangjeon. According to recognition logic of ImHwa, `New-novel` is defined to the modern literature. The true modern literature starts from Mujeong. `New-novel` is `Old-novel` and a form having continued historically. the history of novel until `New-novel` appears becomes the premodern literature. ImHwa told `transplant`, but actually it is to have described `succession`.

      • KCI등재

        문학과 정치 혹은 문학의 정치 ; 문학의 정치 문사연의 새로운 20년을 위하여

        최원식 ( Won Shik Wo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1 민족문학사연구 Vol.46 No.-

        이 글은 민족문학사연구소(약칭 ``문사연``) 창립 20주년을 기념하는 4차 심포지엄(부산대, 2010.12.22)에 제출된 발제문을 수정·보완한 것이다. 알다시피 ``문사연``은 학문을 통해서 나라의 민주화와 민족의 통일에 기여하고자 한 진보적 학술운동의 일환으로 창립되었다. 그런데 약칭에서 ``문``이 강조되듯이 ``문학``의 근본적 차원을 중시한 ``문사연``은 문학연구를 제대로 수행하는 것에 의해서 운동에 기여하고자 하였으니, 통일문학사를 준비하는 전망 아래 고전문학과 현대문학 양자를 아우르는 ``한국문학통사 다시 쓰기``라는 공동작업을 추진함으로써, 분야를 넘어, 학연(學緣)을 넘어, 민족문학론 내부의 차이를 넘어, 하나의 학파로 발전하기를 기대한 것이다. 그런데 문학성과 운동성을 동시에 추구하였던 ``문사연``의 균형이 최근에 이르러 흔들리는 경향이 보인다. 다시 말하면 전문성의 강화에 비해 운동성이 현저히 떨어졌다. 당연히 관여해야 할 민족문학론을 둘러싼 논쟁이나 목하 진행중인 ``문학과 정치`` 토론에 ``문사연``은 짐짓 비켜나 있다. 이 방관상태는 ``문사연``의 고유업무인 문학연구에도 일정하게 반영되었거니와, 비통합적 경향이 증가되는 것은 그 단적인 예로 된다. 이 분산된 전문성을 학파로 들어올릴 구심점을 다시 구축하기 위해서, 정치의 과잉과 정치의 실종, 이 두 가장자리를 여읠 중도(中道)를 지향한 창립정신을 새로운 상황에 비춰 복원하는 일이 요체다. 첫번째 고리가 ``문사연``을 다른 학단과 결정적으로 차별짓는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연합이다. 둘째 고리는 북한 및 통일에 대한 토론이다. 셋째 고리는 일국주의의 극복이다. 널리 인정되다시피 이제 통일은 왕년의 일국주의로부터 오지 않는다. 남에 의하건 북에 의하건 일방통일의 가능성은 반도를 둘러싼 4강의 길항이란 조건에 비춰볼 때 더욱더 실현되기 어렵다. 민족주의를 활용하되 그를 넘어서는 훈련이 실천적으로 요구되는데, 이 세 고리를 축으로 연구소 내부를 다시 정비함으로써 새로운 20년을 향해 출범하는 ``문사연``의 정치를 다시금 작동시켜야 할 때다. This essay is a revision of the manuscript submitted at the symposium (Pusan National University, 2010.12.22) to hold a celebration of the 20th anniversary of the founding of Institute of Korean Literary History(IKLH). IKLH which was established in 1990 as part of the progressive academic movements to mprove the democratization and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as however a little different from other progressive academic societies. Stressing academic expertise as well as practical activeness, we have been trying to take the golden mean between literature and politics. Recently the middle-of-the road course is in motion as the latter weakens. In fact the former is also problematic. Increasing separative tendency, the convergence, the core organizing principle of IKLH is getting little by little less meaningful. To rebuild a solid foundation for the next two decades what to do next? By securing 3 sources, namely, joining of classical literature and modern literature, xamining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overcoming the doctrine of one country, we do give life to politics of IKLH.

      • KCI등재

        ‘코리아문학사’ 구상의 경과와 시각

        김현양 ( Kim¸ Hyeon-ya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4 No.-

        ‘코리아문학사’는 한반도의 분단으로 인해 야기된 민족문제인 ‘분단 문제’를 해소/해결하고자 하는 ‘탈분단’의 학술적 실천의 일환으로 서술되는 문학사를 의미한다. 이 논문은 1990년부터 지금까지 ‘코리아문학사’를 구상한 핵심적인 연구들을 대상으로, 이 연구들이 ‘코리아문학사’의 실천적 목표와 그 성격을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지금까지 제안된 ‘코리아문학사 구상’은 대체로 ‘통일’을 목표로 한 ‘동질성의 문학사’였음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이 논문은 ‘코리아문학사’는 ‘탈분단’을 목표로 한 ‘이질성의 문학사’로 구상되어야 하며, ‘미래의 문학사’가 아니라 ‘현재의 문학사’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refers to the history of literature that is described as part of the academic practice of “dedividend” which aims to resolve the “dividend problem,” a national problem caused by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is study examined in detail the practical goals of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how they designed its Characteristic, targeting key studies since 1990. Through this,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proposed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was largely a “literature history of homogeneity” aimed at “unification.” Based on thi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conceived as a “literature history of heterogeneity” aimed at “de-division”. It also suggested that “The integrated Korean Literature History” should be “the present literary history”, not “the history of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 중국 내 발행 잡지 자료를 중심으로

        김병민 ( Jin Bing-min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9 민족문학사연구 Vol.71 No.-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은 다중 주체성의 특징을 잘 보여준다. 즉 일본 인식을 통해 민족 주체성을 확립했고, 중한관계 인식을 통해 이중 주체성을 확립했으며, 세계평화에 대한 인식을 통해 다중 주체성을 확립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자신들을 민족해방의 주체, 중국 항일투쟁의 주체, 세계 피압박민족 해방의 주체로 인식했다. 한국 망명지사들은 이데올로기의 영향으로 인해 다양한 주체들이 부단히 분화되고 조합되는 복잡한 역사 과정을 경과했다. 그들은 항일투쟁과 민족해방의 기치 아래 역사적인 회합을 이루었으며, 중국의 항일투쟁과 세계적인 반파시스트 전쟁의 승리를 위해 함께 싸워 나갔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주체성 확립은 일련의 독특한 특징과 가치를 보여준다. 먼저 신채호와 신규식 등의 ‘정신적 자아’, ‘양심적 자아’는 철학사상 면에서뿐 아니라 투쟁실천 면에 이르기까지 주체성 확립에 정초적인 역할을 했다. 또한 한국 망명지사들의 민족 주체성, 이중 주체성, 다중 주체성의 삼자 구성 중에서 민족 주체성은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의 확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중 주체성과 다중 주체성은 물론 민족 주체성에 의한 민족국가 상상―민족의 해방과 자유 실현을 제일 목표로 삼았다. 한편 한국 망명지사들의 중국체험은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의 중국 체험은 본토 체험을 가속화하고 승화시켜 주었으며, 중국의 담론 환경 속에서 새로운 사상의 수용과 창조의 기반을 마련하면서 민족 문제 및 세계평화 문제에 대하여 직시하게 했다. 한국의 망명지사들은 중국의 담론장을 통해 민족 담론, 항일 담론, 국가 담론을 구축하여 제국담론과 식민 담론을 전복하기에 이르렀다. 한국 망명지사들의 동아시아 인식과 주체성 확립은 20세기 전반기 동아시아의 정신적 가치―지식 담론의 참신성과 혁명성을 보여주는 생생한 기록이다. The East Asian recognition of Korean exiles illustrates the characteristics of multiple subjectivity. In other words, it established national subjectivity through Japanese recognition, established dual subjectivity through Chinese-Korean relations recognition, and established multiple subjectivity through recognition of world peace. In other words, the Korean exiles recognized themselves as the subject of national liberation, the subject of the Chinese anti-Japanese struggle and, by extension, the subject of the world’s oppressed people. The Korean exiles appeared as various subjects under the influence of ideology and established a knowledge discourse, and the various subjects continued to divide and combine, but they formed historic convergence under the banner of anti-Japanese struggle and national liberation, and fought together for the great victory of China’s anti-Japanese war and global anti-fascist wars. The establishment of th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shows a series of unique features and values. First of all, Shin Chaeho and Shin Gyusik’s “spiritual ego,” “conscientious ego” played vital roles in establishing the subjectivity not only in philosophical thought but also in fighting practice. Secondly, among the national subjectivity,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of Korean exiles, the national subjectivity directly influences the establishment of double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Therefore, the goal was to realize the nation-state imagination-liberation and freedom of the people, based on not only dual subjectivity and multiple subjectivity, but also the national subjectivity. Next, the Chinese experiences of Korean exiles played a crucial role in establishing their East Asian recognition and subjectivity. Their experiences in China accelerated and sublimated the mainland experiences, and the discourse environment in China prepared the acceptance and creation of new ideas, and went on to face up to the world peace issues. The Korean exiles have built national discourse, anti-Japanese discourse and national discourse through China’s “discussion ground,” which has led to the overthrow of imperial and colonial discourse. The Korean exiles’ recognition of East Asia and the establishment of their subjectivity are vivid records of the novelty and revolutionary nature of the intellectual discourse-the spiritual values of East Asia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 KCI등재

        북한 고전문학사의 지향과 한계 남북한 : 고전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이 가능한가?

        김준형 ( Kim¸ Joon-hyeong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4 No.-

        이 글에서는 북한에서 간행한 15권집 『조선문학사』를 분석함으로써 남북한 고전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이 가능한가에 대한 해답을 찾고자 했다. 1990년대 초중반 소련의 붕괴로 야기된 세계사적 패러다임의 변환은 남북한 간에 문학을 바라보는 시각의 차이를 벌렸다. 남한에서는 문학사의 의미를 축소 및 해체하는 경향이 강해진 반면, 북한에서는 『주체문학론』의 등장으로 인해 문학사의 비중이 커졌다. 이런 상황에서 남북한 문학사 기술에서 동일한 지향을 마련하는 일은 더욱 요원해졌다. 그럼에도 이런 문제를 제기함은 민족사적 과업이나 통일운동과 같은 당위론적 답변이 아닌 상대방에 대한 이해를 전제하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대상에 대한 이해 및 소통에서 그 해답을 찾을 수 있다는 것과 같은 맥락이다. 이런 전제 아래 이 글은 15권집 『조선문학사』에서 중요한 두 지점, 즉 시대구분과 서술체계의 특징을 주체문학론의 지침과 연관하여 읽었다. 15권집 문학사의 시대구분은 세기별로 구획하였다. 그것은 일차적으로 북한 역사학계의 봉건사회를 염두에 두었지만, 그와 다른 시각으로 『주체문학론』에서 지침으로 제시한 혁명적 문화예술의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 일부러 시대구분의 유용성을 배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서술체계 역시 『주체문학론』에 근간을 두었는데, 선택과 배제의 원칙에 따라 일부러 현재의 지배력을 강화할 수 있는 작품들로 문학사를 구성하였다. 그러다보니 다룰수 있는 대상 작품이 한정되었고, 문학사에 빈 공간도 많아졌다. 15권집 문학사에서 왜곡된 해석이 많아진 이유도 여기에 있다. 또한 이전 문학사에 없던 새로운 자료의 등장 및 이전과 달라진 해석 등도 정치가 문학에 관여한 결과다. 이런 양상은 남북한 문학사에서 접점 찾기를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그럼에도 남북한 모두 문학사 기저에 ‘사람’을 두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물론 북한에서는 사회적 존재로서의 사람으로 사회의 관계망에 주목한 반면, 남한에서는 인문적 존재로서의 인간의 본연적 가치에 무게를 둔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그렇다 해도 사람이라는 접점이 존재한다는 점은 낭만적일지언정, 결국은 ‘사람’이라는 축이 통일 문학사의 가능성을 열어두는 열쇠로 작동해야 함을 말한다. 남북한 문학사의 접점은 결국 문학을 넘어서서 사람의 문제로 확산할 때 비로소 소통도 가능해질 터다. This article attempted to find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he same orientation is possible in the technology of classical literary history in North and South Korea by analyzing the 15 books published in North Korea,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e transformation of the paradigm of world history caused by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in the early and mid-1990s widen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Koreas in viewing literature. In South Korea, the tendency to reduce and dismantle the meaning of literary history has increased, while in North Korea, the importance of literary history has increased with the advent of “Juche Literature Theory.” In this situation, it has become even more difficult to prepare the same orientation in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technology. Nevertheless, raising these issue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presuppose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party, not a justifiable answer such as a national historical task or the unification movement. Under this premise, this article reads two important points in the 15th volume collection of Korean Literature History, namely, the distinction of tim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describe system in connection with the guidelines of “Juche Literature Theory.” The period of literature history in the 15th volume is divided by century. It was primarily focused on the feudal society of North Korea’s historical and academic circles, but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it can be seen as deliberately excluding the usefulness of the period division in order to emphasize the value of revolutionary culture and arts suggested as a guideline in the “Juche Literature Theory.” The describe system was also based on the “Juche Literature Theory”, and the history of literature was composed of works that could deliberately reinforce the current dominanc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selection and exclusion. As a result, the subject works that could be handled were limited, and the number of contents excluded from the history of literature increased. This is the reason why distorted interpretations have increased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e 15th volume. In addition, the emergence of new materials that did not exist in previous literary history and interpretations that were different from before are the result of politicians’ involvement in literature. This aspect has made it difficult to find contact point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Nevertheless, it is interesting that both South and North Korea have ‘human’ at the base of literary history. Of course, the difference is that North Korea pays attention to the social network as a person as a social being, while in South Korea, it puts weight on the natural value of human beings as a human being. Even so, the fact that there is a point of contact with human means that although it may be romantic, in the end, the axis of ‘human’ should act as the key to open the possibility of unified literature history. When the contact point of the history of literature between the two Koreas eventually spreads beyond literature to human problems, then communication between the two Koreas becomes possibl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