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운명과 행복, 근대(인)의 자기인식과 그 매개 - 최서해 소설을 중심으로 -

        최병구 ( Choi Byoung Goo ) 국제어문학회 ( 구 국제어문학연구회 ) 2017 국제어문 Vol.0 No.72

        이 글은 최서해 소설의 문화정치적 의미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행복이라는 매개를 경유한다. 1920년대 행복이라는 개념은 정치와 문화의 영역을 횡단하며 유통되었다. 정치의 영역에서 행복은 일본의 통치를 비판하는 논리로 사용되었으며, 문화의 영역에서 행복은 선과 양심의 가치를 통해 획득해야 것이 되었다. 이러한 맥락에서 신경향파 시기 최서해 소설은 가족에 대한 인식을 통해 불행의 전환을 목표로 한다. 사적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가족의 불행은 자기의 양심을 고양시켜서 스스로를 공적 영역에 참여하려는 주체로 거듭나게 한다. 이 과정에서 드러나는 공포나 파국의 상상력은 불행의 전환, 즉 행복을 쟁취하려는 시도이다. 이러한 그의 시도는 1920년대 후반의 작품에서는 돈과 양심의 경계에서 공감과 부끄러움의 감정을 표현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이전의 작품이 불행의 전환을 위해 비현실적 상황을 마련한 것이었다면, 말년의 작품은 문화와 정치의 논리가 경제적인 것(돈)으로 환원되는 현실에 대응할 수 있는 실천의 계기를 주체의 내면에서 마련하고자 한 것이다. 최서해 소설에 나타난 마르크스주의의 핵심은 여기에 있는 것이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cultural and political meanings of Seo-Hye Choi`s novels. For this, the author uses happiness as a theme. The concept of happiness has been used throughout the fields of politics and culture. Happiness in the field of politics was used as a basis for criticizing Japanese rule, and happiness in the field of culture was obtained through the values of the good and conscience. In this context, Seo-Hye Choi`s novels in the period of the New Tendency Group aim to transform misfortune through the awareness of family. Families`misfortunes, which can be seen in the private sphere, became a subject that participates in the public sphere by improving people`s conscience. The fear and imagination of collapse revealed by this process is an attempt to achieve happiness, the transformation of misfortune. His attempt presents the emotions of empathy and shame on the boundary between money and conscience in his work in the late 1920s. His previous work created unrealistic situations to transform misfortune, while his late work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actions that can respond to reality, turning the logic of culture and politics into an economic thing (money). The gist of Marxism demonstrated in Seo-Hye Choi`s novels is located here.

      • KCI등재

        논문 : 사회주의 문화 담론과 프로문학 ; 신경향파 문학 탄생의 주변(1920~1923)

        최병구 ( Byoung Goo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2 민족문학사연구 Vol.49 No.-

        이 글은 신경향파문학, 나아가 프로문학의 기원을 사회주의 운동가들과의 연계 속에서 재구성하려는 시도이다. 일찍이 임화가 언급한 바 있듯, 지금까지 프로문학연구에서 <염군사>의 존재는 거의 고려되지 못했다. 1920~1921년『공제』,『대중시보』를 거점으로 활동했던 김약수, 변희용, 정태신등은 노동자 문제를 자기 인식과 인류 보편의 문제로 확대시켰다. 이는 노동문제를 프롤레타리아 계급에 국한된 논의가 아니라 자유, 평등이라는 민주주의의 가치들과 결합하려는 시도였으며, 그 과정에서 자유주의적 성격을 보이게 된다. 이들이 1924년 <북성회>의 일원으로 귀국하여 <염군사>와 <북풍회>를 조직할 때까지 이러한 관점은 이어진다. 즉, <염군사>의 사상적 배경으로『공제』와『대중시보』의 자유주의적 성격이 고려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한편 1922년『신생활』을 중심으로 활동했던 정백, 이성태, 신일용등이 제출하는 담론의 기본적인 특징도 자기 인식과 자유평등의 문제에 놓여 있다는 점에서 <염군사>계열과 유사하다. 즉 일본을 거점으로 한 <북풍회>와 조선을 거점으로 한 <서울파>의 노선 차이와는 별도로, 담론의 층위에서 양쪽 집단이 전유하는 사회주의 문화의식은 동일했던 것이다. 1922년 말 『신생활』필화사건을 계기로 예술과 운동 양쪽에 걸쳐 있던 사회주의 운동가들은 대부분 지하운동으로 빠져들게 된다. 이러한 분화의 와중에 1920년대 초반 사회주의 운동가 담론의 자유주의적 특징들은 미적 담론으로 전화하여 문단 내부로 포섭된다. 특히『신생활』그룹의 정백, 이성태, 신일용은 김기진, 김복진등과 교류하며 카프 결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게 된다. This article reconstructs the New Tendency Group`s Literature, further the proletarian literature`s origin through the link to proletarian activists. As Lim Hwa said before, the existence of <Yemgunsa> in the proletarian literature, to date, has not been considered. Kim Yak-Soo, Byun Hee-Lyong, and Jeong Tae-Shin doing in『Kongje』,『Daejungsibo』made a labor problems expand the issue of self-awareness and cosmopolitan problems. This is an effort not to discuss a labor problem within the proletariat but to connect a labor problem to democratic values, liberty and equality and it shows liberal features in this process. Until they organize <Yemgunsa> and <Bukpunghoe> after becoming memebers of <Bukseonghoe> in 1924, this perspective continues. That i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Yemgunsa> should be considered as liberal features of 『Kongje』,『Daejungsibo』. Meanwhile, the basic features of the discourse that Jeong Back, Lee Seong-Tae, and Shin Il-Young say are similar to <Yemgunsa> with regard to self-awareness, liberty and equality. In other words, with the exception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line of <Bukpunghoe> in Japan and that of <Seoul socialist group> in Chosen, cultural awareness of socialism that both sides have are identical in the layers of the discourse. Most socialist activists working at both the arts and movement sink into the underground movement because of 『shinsaenghwal』 "Pilhwa" incident in the late 1922. During this separation, the liberal features of the socialist activists discourse in the early 1920 are changed into an aesthetic discourse and then are taken into the literary world. In particular, Jeong Back, Lee Seong-Tae, and Shin Il-Yong in 『shinsaenghwal』have a direct effect on forming KAPF through communicating with Kim Gi-Jin and Kim Bok-Jin.

      • KCI등재

        특집 : 한국문학사 서술의 경과: 제도와 이념에의 결박과 성찰 - 현대문학사 서술을 중심으로

        최병구 ( Byoung Goo Choi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14 민족문학사연구 Vol.56 No.-

        이 논문은 식민지 시기부터 최근까지 대표적인 ‘현대문학사’ 몇 종을 민족문학과 아카데미즘의 시각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신문학사』(1939), 『조선신문학사조사』(1948), 『한국문학사』(1973), 『한국근대민족문학사』(1993), 『민족문학사 강좌』(2009), 『문학사 이후의 문학사』(2013)를 검토하였다. 주지하는바 그간 출간된 현대문학사는 민족문학사의 틀안에서 작업된 것이었다. 하지만 근대적 학술체계로서 문학사는 아카데미즘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사가의 인식에 따라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이에 따라 민족문학의 성격과 위상은 개별 문학사에서 차이를 갖게 된다. 서구적 보편과 조선적 특수의 관계에 대한 사유, 즉 비교문학적 시각은 문학사에 내재되어 시기별로 유동하는 특징을 보이는 것이다. 최근 10년 한국사회 전반의 변화 속에서 대학 인문학의 위상은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다. 더 이상 문학사가 과거와 같은 위치를 차지할 수 없게 된 것이다. 향후 문학사 쓰기의 향방은 ‘국가-대학-국어국문학’이라는 문학사 쓰기의 전통적인 틀을 어떻게 새롭게 마련하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This paper examined several representative of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from colonialperiod to date in the aspect of national literature and academism. Specifically, ‘History of Korean New Literature’(1939), ‘Main Currents of Thought in Cho-Seon New Literature’(1948), ‘History of Korean Literature’(1973), ‘National History of Modern Literature’(1993), ‘Lecture on History of National Literature’(2009), and ‘History of Literature after History of Literature’(2013) were investigated. As noticed, the previous publications regarding history of modern literature were completed within the framework of national history of literature. However, history of literature as a modern academic system was constructed indifferent ways based on historians’ perspectives on relationships between academism and reality. Accordingly, the characteristics and reputations of national literature were different in individual history of literature. The thoughts of relations between Western society as universal and Cho-Seon as particular, namely the perspectives on comparison literature which were inherent in history of literature was in a state of flux according to a time. The reputation of humanities in university has remarkably changed in the change of Korean society over the last decad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is no longer in the same place as it was in the past. The direction of writing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for years to come hinges on how to transform its traditional framework of ‘nation-university-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초기 프로문학에 나타난 감성과 제도의 문제

        최병구 ( Byoung Goo Choi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2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47

        이 논문의 목표는 프로문학에 나타난 감성의 문제를 식민지 제도의 문 제와 결합하여 해명하는 것이다. 카프의 문인들은 1910년대식 감성의 비 판적 계승자였다. 이는 프로문학에도 ``정``의 문제가 중요하지만, 사회주의 의 영향으로 사회제도를 이전과는 전혀 다르게 표상했음을 의미한다. 박영희와 김기진의 비평에서 나타나듯 프로문학은 사회주의의 비판적 이성 과 결합된 감성의 혁명을 강조했다. 당대의 검열제도를 형상화한 소설에 서 드러나듯, 프로문인들은 감성의 사용을 통해 식민지 사회제도의 문제 를 날카롭게 비판했다. 하지만 실제 소설의 서사화 과정에서 비판적 이성 은 거의 나타나지 않고 감성적 측면만 강하게 부각된다. 이는 김기진의 소 설 「Trick」의 사례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식민지의 합법성을 통과하기 위해 카프문인들이 전략이었다. 다시 말해 검열제도를 통과하는 동시에 검열제도 자체를 비판하기 위한 방법이었던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icate the emotion of the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combined with the problems of colonial system. Korean Proletarian writers were the inheritors of the sensitivity of the 1990s. It means that the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was represented in definitely different ways because of the effect of socialism, even if the issue of ``emotion`` was a salient feature. As the criticism of Park Young Hee and Kim Ki Jin shows, the Korean Proletarian Literature placed emphasis on the revolution of emotion related to critical rationality of socialism. As novels which formed the censorship system of the time illustrates, the Korean Proletarian writers keenly criticized the problems of social system of the colony through the use of sensitivity/emotion. However, it is easy to witness an emotional factor, not critical rationality in the process of narration in the novels. As the novel of <Trick> by Kim Ki Jin describes, this was the strategy the Korean Proletarian writers used in order to establish colonial legitimacy. In other words, this was the way to avoid the censorship system and criticize the censorship itself simultaneously.

      • KCI등재

        신체와 정동: 1930년대 프로문학의 문화정치적 역학 -임화와 김남천을 중심으로-

        최병구 ( Choi Byoung-goo ) 한민족어문학회 2017 韓民族語文學 Vol.0 No.77

        이 글은 1930년대 초반 카프를 신체와 정동의 개념에 초점을 맞추어 재구성하고자 했다. 특히 1930년 일본에서 귀국한 임화와 김남천을 중심으로 볼셰비키화의 논리와 정념의 정치성이 결합되는 양상에 주목했다. 1929년 임화와 김남천은 일본에서 `무산자사`활동을 하며 공산당 재건 운동에 참여했다. 1931년 김남천은 카프 1차 검거 사건에 휘말려 투옥되고, 1933년 임화와 김남천은 `물 논쟁`을 벌이게 된다. 이러한 일련의 정치적 사건을 겪으며 두 작가는 정동되는 신체에 주목했다. 임화는 시 창작을 통해 생산양식의 발전이 초래한 삶과 변화된 인간의 정념을 관찰했으며, 김남천은 소설 「물」에서 고깃덩어리로 전락한 인간을 묘사하며 정동되는 신체의 중요성을 드러냈다. 또한 두 사람은 당대의 인쇄 미디어에 대한 인식과 비평을 공유했다. 식민 권력의 사회주의 탄압을 돌파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자기의 신체로부터 찾았던 것이다. 1930년대 초반 프로문학은 주체의 감성에 주목했던 1920년대의 흐름을 공유하면서도, 구체적인 삶과 접하는 신체를 통해 법과 미디어의 문제를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차이를 갖는다. This paper reconstructs in the early 1930s focusing on the concept of body and affection. In particular, this paper focuses how the logic of being Bolshevik and the politics of emotion combine based on Im, Hwa, and Kim Nam-Cheon, who returned from Japan in 1930. They worked for the Musanjasa in Japan and participated in the Communist Party`s reconstruction movement. Kim Nam-Cheon was imprisoned for the first arrest of KAPE in 1931, and then Im, Hwa, and Kim had “the argument about Mool.” Throughout these incidents, two writers focused the body to be moved. Im Hwa investigated how developing modes of production changes human emotions through creating poems, and Kim Nam-Cheon revealed the importance of the body to be moved in describing humans who became “chunks of meat” in the novel Mool. Further, the two writers shared awareness and critics of print media in that period. They recognized the body as a possibility for overcoming socialist repression by colonial authorities. Proletarian literature in the early 1930s shared the flow of the 1920s, focusing on subjects` emotions, and at the same time made a tremendous difference in how the literature aroused the issues of how the law and media pay attention to bodies, which encounter specific.

      • KCI등재

        1920년대 비평(사)의 문화적 배경 또는 논쟁의 심층

        최병구(Choi, Byoung goo) 구보학회 2020 구보학보 Vol.0 No.25

        이 글은 식민지 시기 비평 논쟁을 ‘지식과 문화로서 사회주의’라는 시각에서 재독하였다. 구체적으로 ‘내용-형식 논쟁’(1926), ‘아나키즘 논쟁’(1927), ‘대중화 논쟁’(1929)을 살펴보았다. 세 논쟁에 일괄되게 흐르는 맥락은 자본주의 법과 미디어 체제에 대한 논객들의 대응이다. 이 글에서는 그 대응을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했다. 첫째 자본주의와 대립하는 체제로 사회주의를 이해하는 방식으로, 박영희와 볼셰비키파가 여기에 해당한다. 둘째, 자본주의 법과 미디어 체제 속에서 사회주의의 이상향을 대중들에게 전파하려는 시각이다. 김기진이 대표적인 인물이다. 셋째, 두 번째와 마찬가지로 법과 미디어 체제를 의식하지만 그것을 부정하며 대중들과 만나려는 시도로서 임화의 경우에 해당한다. 임화는 첫 번째와 두 번째를 횡단하며 활동했던 인물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렇게 볼 때 식민지 시기 비평 논쟁은 조직의 혁명론과 문화적 혁명론이 대립하며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두 가지 입장은 때로는 겹치고 또 엇갈리며 식민지 시기 사회주의 고유의 문화를 형성했다. This article rereads the criticism debate in the colonial perio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ism as knowledge and culture’. Specifically, the author examined ‘Content-Format Debate’ (1926), ‘Anarchism Debate’ (1927), and ‘Commonization Debate’ (1929). The context that flows into the three debates is the responses of commentators to capitalist laws and media systems. In this article, the responses were largely categorized into three main types. First, this is the way Park Young-Hee and the Bolshevik faction understand socialism as a system that conflicts with capitalism. Second, the view is to spread the ideal of socialism to the masses in capitalist law and media system. Kim Ki-Jin is a representative figure. Third, like the second, it is the case of Lim Hwa as an attempt to meet the public, being conscious of the law and the media system but denying it. Im Hwa was also a figure who crossed the first and second lines. In this regard, the criticism debate can be seen as a conflict between the organizational and cultural revolution. The two positions sometimes overlap and diverge, forming a unique culture of socialism during the colonial period.

      • KCI등재

        1970년대 호모 이코노미쿠스의 탄생과 과학기술의 문제 - 조세희 작품을 중심으로 -

        최병구 ( Choi Byoung-goo ) 한민족어문학회 2019 韓民族語文學 Vol.0 No.86

        이 글은 조세희의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1978), 『시간여행』(1983), 『침묵의 뿌리』(1985)에 나타난 호모 이코노미쿠스(Homo economicus) 탄생의 메커니즘을 살펴보았다. 『난장이가 쏘아 올린 작은 공』은 1970년대 도시 재개발 사업을 배경으로 선/악의 순환구조에 경제 문제가 어떻게 개입하는지를 살펴본 작품이다. 노동자 계급을 ‘선’으로 자본가 계급을 ‘악’으로 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선/악의 경계에 대한 성찰과 정동의 문제를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이러한 맥락은 『시간여행』에서 ‘신애’를 통해 더욱 구체화된다. 한편 조세희는 과학과 문학의 통합에 대한 견해를 지속적으로 제출했으며, 기술의 속도에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이는 『침묵의 뿌리』에서 사진기를 매개로 한 현실 개입으로 전환되었다. 작가는 기술문명의 도구인 사진기로 속도에 뒤처진 현장을 찍어 공유함으로써 현실에 개입하고자 한 것이다. 그 과정에서 경제와 기술이 교육, 생태, 정치 등 문화 전반에 걸쳐 있다는 사실이 드러나게 되는 점이 중요한 성과이다. This study examines the birth of Homo economicus in “The small ball which a pygmy shot up (1978)”, “Time Travel (1983)” and “The Root of Silence (1985)”. “The small ball which a pygmy shot up” investigated how economic problems interfered with the circulation structure of good / evil in the urban redevelopment project in 1970s. It is meaningful not to define the working class as the good and the capitalist class as the evil but to raise the problem of reflection and affection on the boundary of good / evil. This context is further elaborated through 'Shin-Ae' in “Time Travel”. On the other hand, Jho Se-Hee continuously reported his views on the integration of science and literature, and also made it clear that he was uncomfortable with the speed of technology. It was transformed to reality intervention through camera in “The Root of Silence”. The writer sought to intervene by shooting and sharing the scenery behind the speed using a camera which is a tool of technical civilization. In the process, it was a significant achievement that the economy and technology spread throughout culture including education, ecology, and politics.

      • KCI등재

        프로문학과 운명 그리고 법

        최병구(Choi, Byoung Goo) 구보학회 2008 구보학보 Vol.4 No.-

        이 글은 프로문학 연구의 새로운 방향을 제기하기 위해 운명과 법이라는 키워드에 주목하여 1920년대 프로소설을 분석했다. 지금까지의 프로문학 연구는 운동사/비평사적 관점에서 수행됨으로써, ‘소설과 비평의 간극’을 확대시키고, 1920년대 프로소설을 ‘이념의 미달태’로 정의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필요한 작업은 ‘이념’의 외부에서 소설의 내부를 들여다보는 일이다. 1920년대 프로소설은 ‘운명의 무죄성’에 대한 자각과 사회제도의 모순을 비판하려는 의지로 구성되었다. 사회제도는 법권력과 이를 뒷받침하는 학교, 교회 같은 기관들의 중층구조로 이루어졌다. 이러한 구조는 인간의 운명을 불행으로 만드는 구조적 원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1920년대 프로소설은 이러한 지점들을 하나의 장치처럼 소설 곳곳에 배치시켜 놓고 있다. 이를 통해 프로소설은 사회 제도에 의해 억압된 인간을 구원하겠다는 휴머니티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무엇보다 이 점은 프로문인이 전유했던 사회주의란 무엇인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앞으로의 프로문학 연구는 이러한 지점들을 고려하는 가운데 새롭게 진행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nalyzed 1920s proletarian novels focusing on key words of fate and law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proletarian literature. Proletarian literature studies until today have focused on history of movement and critique, expanded ‘gap between novels and critiques,’ and defined 1920s proletarian novels as ‘a form of incomplete ideolog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first thing that needs to be done is to look at the inside of the novel from the outside position of ‘ideology.’ Proletarian novels of the 1920s are structured with consciousness of ‘non-guilt of fate’ and the will to criticize contradictions of the social system. The social system consists of layers such as the power of the law and facilities that support the law, such as schools and churches. This structure is presented as a structural reason that causes misfortune in the fate of people. 1920s proletarian novels place these points here and there in the stories. Through this, proletarian novels express humanity that tries to save people repressed by the social system. Above all, this is an important point because it shows what socialism claimed by proletarian writers is. Future studies on proletarian literature can find a new direction that considers such points.

      • KCI등재

        1920년 초반 행복 개념의 문화정치적 상상력

        최병구 ( Choi Byoung-goo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이 글은 1920년대 초반 행복 개념의 문화정치적 의미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3ㆍ1 운동 이후 식민지 조선에는 도덕과 감정에 기초한 국가체제에 대한 인식이 담론장을 풍미했다. 이에 따라 일본의 통치체제는 조선 민중의 행복이라는 감정을 위해야 한다는 비판적 언설이 대세를 이루었다. 비록 이러한 인식과 비판이 현실에서는 이루어지기 어려웠지만 그 과정에서 행복의 감성은 정치와 문학을 매개하는 자원으로 자리 잡았다. 사적 행복이 아니라 공적 행복을 위해 나의 정념을 투영해야 한다는 의식이 폭넓게 확산된 것이다. 이 시기 수많은 사회운동단체들의 설립과 그들이 발간했던 문학잡지들은 대표적인 사례가 된다. <경성청년구락부>가 발간한 잡지 『신청년』의 경우 `공감`이라는 감정을 제시했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cultural political meanings of happiness in the early 1920s. After Samiljeol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day), the recognition of national systems based on moral and sensibility was predominated in the discourse sphere in the colonial Chosen. Accordingly, a critical remark that a ruling system of Japan should care for happiness of the people in Chosen was prevalence. Although this aforementioned recognition and criticism of the ruling system could not achieve real change, these efforts allowed the emotion of happiness to be placed as a tool to mediate politics and literature. The consciousness of reflecting my emotion for public happiness not private public was pervasive. New definitions regarding the emotion of subjects mediated by happiness heavily impacted literature. Social movement organizations established in this period distributed new literary/political emotion through publishing literature magazines. “Sin-cheong-nyeon” published by “Gyeong-seong-cheong-nyeon- gu-rak-bu” provided empathy.

      • KCI등재

        사회주의 조직운동과 문학, 소설과 비평의 사이 - 1927년 카프 1차 방향전환기 재독(再讀) -

        최병구 ( Choi Byoung-goo ) 국제어문학회 2014 국제어문 Vol.60 No.-

        이 글은 카프 1차 방향전환의 기점으로 알려 진 1927년을 다시 읽으려는 시도의 하나로 아나키즘 논쟁과 『예술운동』을 살펴보았다. 일반적으로 카프 1차 방향전환은 `문예의 목적의식론`을 통해 정치적 성격을 강화한 것으로 평가된다. 아나키즘의 자유주의적 경향의 축출과 일본에 거점을 둔 제3전선파의 유입이라는 운동사적 사건과 박영희, 한설야 등 카프 논객들의 비평이 이를 증명한다. 하지만 당시 비평과 소설을 교차해 볼 때 논의의 지형도는 이러한 일방적 흐름과는 다르게 형성된다. 아나키즘 논쟁 당시 임화는 개인의 내적 의식을 비판하면서도 부르주아 법제도와 자기의식을 사유하는 특징을 보인다. 비평적 흐름과는 반대로 카프 논객들의 소설에서 주인공 개인의 내면과 식민지 제도의 문제가 결합되고 있음이 확인된다. 『예술운동』에서는 문예의 정치투쟁화를 주장한 박영희와 그러한 주장이 기계적ㆍ이론적 추수에 불과하다는 이북만이 논의가 충돌한다. 이북만은 프로문학이 부르주아 제도 전반에 개입할 것을 촉구했다. 실제 작품에서도 이러한 논의의 틀이 확인된다. 요컨대 1927년을 기점으로 시작되는 카프 1차 방향전환은 1920년대 전반기 사회주의 예술론의 핵심을 이루는 개인의 자유의지와 `조직으로서 카프`라는 목적의식이 충돌하는 시기라고 할 수 있다. 그 충돌과 변형의 지점은 작가들마다 서로 다르게 나타났던 것이다. In an attempt to reexamine the year 1927 known as the moment of the first change of direction of KAPF, this paper scrutinized the debate on anarchism and art movement. The first change of direction of KAPF seems to support political characteristics throughout `a sense of purpose in literature.` This is verified by two factors; 1) the events of driving liberal tendency out from anarchism and influx of the third party based on Japan, 2) the critique of Park, Young-Hee, Han Seol-Ya, and etc. However, the discussion is differently constructed when we relate critique to novels. In those days of the debate on anarchism Im, Hwa not only criticized internal consciousness of individuals also thought of bourgeois law system and self-consciousness. On the contrary to the trend of critique, the inner side of main characters is connected with the problems of colonial system in the novels of the KAPF disputants. In `art movement,` Park, Young-Hee who argues political resistance conflicts with Lee, Buk-Man who asserts that the Park`s argument mechanically follows its theory without consideration of the context. Lee, Buk-Man urged KAPF to intervene in the bourgeois system. This framework can be seen in the actual works. In other words, the first change of direction of KAPF in 1927 can be the moment when individuals` free will that is a focal point of the theory of socialist art conflicts with a sense of purpose, KAPF as an organization. The point of the conflicts and transformations were differently shown in accordance with the wri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