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의 문화다원론적 재조명 - 『여헌선생성리설』의 이론적 해명을 중심으로-

        엄연석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1 남명학연구 Vol.70 No.-

        This essay aims to reexamine the cultural pluralism implied in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as a fundamental theory that constitutes Jang Hyeon-kwang's Science of Changes, with the goal of transition from conflict to fusion. Jang, Hyeonkwang imparted meaning as an origin to cause immeasurable changes in concrete reality rather than one invariable universal principle in the concept of the Endlessness(無極) and the Great Ultimate(太極). His consideration of Li as Tao composing mysterious operation has a philosophical meaning encompassing various values of reality. Jang Hyeon-kwang thought that Gyeong and Wi have invariable universality and standard timeliness in changing circumstances by interpreting Li-Chi as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e mentioned that following Gyeong and Wi of Li-Chi as it was the enterprise of saint with the standard Wi. According to him, because good and evil, order and confusion of human world all depend on a correct establishment of longitude and latitude or not, monarchal governing principle rides on an excellent governance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s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經緯說) could be interpreted in a way that accommodates realistic and empirical pluralism in that latitude as standard to which handles changing circumstances in accordance encompasses specificity and diversity with invariable longitude. He understood inner correlative relation among six lines of a hexagrm as what has continuity vertically and horizontally within the framwork of ontology and cosmogony of the Great Ultimate, Yin and Yang, the Four Symbols, the Eight Trigrams. And this view is intimately connected with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Jang Hyeon-kwang recognized discernment of good and evil, judgment of right and wrong as Gyeong of common morality of engagement of talent and policy draft in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On the other hand, it can be seen in view of Wi of coping with change that his view of engagement of talent satisfies diversity and multiplicity of government position. In the last analysis, this view point means that administration theory that surrounded the theory of longitude and latitude has characteristic accepting political and cultural pluralism. 본 논문은 현대사회의 당면 문제에 대한 이론적 추구로서 衝突로부터 融和로의 전환이라는 목표하에 장현광 역학(易學)을 구성하는 핵심 이론으로서 經緯說에 내포되어 있는 문화다원론적 의미를 재조명하였다. 장현광의 태극설과 경위설이 함축하고 있는 문화다원론적 함의를 해명한다는 것은 태극 개념과 경위 개념을 구성하는 理와 氣를 수직적 가치의 차이를 가지는 것이 아니라 수평적이고 상보적인 의존성을 가지고 조화를 이루는 측면을 지니고 있음에 주목하고자 하는 것이다. 장현광은 무극과 태극 개념 속에 하나의 불변하는 보편적 원리보다도 구체적 현실에서 헤아릴 수 없는 변화를 낳는 근원으로서의 의미를 부여하였다. 그가 리를 도의 신묘한 작용을 이루는 것으로 본 것은 현실의 다양한 가치를 포괄하는 철학적 의미를 갖는다. 장현광은 리기를 經緯說로 해석하여 경과 위가 불변의 보편성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에서 표준적 시의성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하였다. 그는 리기의 경위를 그대로 따라 행하는 것을 표준적인 緯를 갖춘 성현의 일이라고 언급하였다. 그에 따르면, 인간 세상의 선악과 치란은 모두 경위가 올바르게 세워졌느냐에 의존하는 것이므로, 제왕의 통치 원리는 經緯를 잘 다스리는 데 달려 있다고 보았다. 장현광의 경위설은 불변하는 경과 함께 변화하는 상황을 시의성에 맞게 처리하는 것으로서 ‘緯’가 특수성과 다양성을 포괄할 수 있는 의미를 가진다는 점에서 현실적 경험상의 다원성을 수용하는 방향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는 한 괘 여섯 효의 내적 상관관계를 태극, 양의, 사상, 팔괘의 존재론적 관점과 생성론적 관점에서 縱橫으로 입체적으로 연결하여 보고 있는데, 이러한시각은 경위설과 긴밀한 연결성을 갖는다. 장현광은 인재등용론에서 선악을 분별하고 시비를 밝히는 것을 인재등용과 정책입안의 상도로서 經으로 보았다. 반면에 그의 인재 등용관이 직책의 다양성과 다원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은 應變의 緯의 관점에서 볼 수 있다. 요컨대, 이러한 관점은 그의 經緯說을 중심으로 한 경세론이 정치문화적 다원성을 수용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음을 뜻한다.

      • KCI등재

        합천지역 남명 유적에 대한 문화론적 독해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3 No.-

        남명학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우리는 남명학의 대중성과 실천성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 남명의 합천 유적을 주목한 것이다. 합천지역의 주요 남명 유적은 12개소이다. 삼가면 5개소, 합천읍 2개소, 쌍책면 2개소, 가야·용주·대병면 각 1개소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삼가면은 남명의 탄생지이자 남명이 뇌룡정과 계부당을 지어놓고 강학을 하였던 곳이니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유적에는 복원된 생가처럼 유적으로 남은 곳도 있고, 이영공유애비처럼 비의 형태로 남아 있는 곳도 있으며, 함벽루처럼 문학경관으로 남아 있는 곳도 있다. 남명 유적은 이처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남명의 합천 유적에는 남명학의 주요 부면들이 잘 드러나 있다. 탄생지에서는 위대한 학자의 등장에 대한 예감, 뇌룡정과 함벽루에서의 부동과 역동이라는 남명 자아의 역설구도, 부모 묘비에서의 과장되지 않는 효심, 황강정과 사미정에서의 진정성 있는 우정, 이영공유애비에 나타나는 관료와 백성의 이상적 관계, 「을묘사직소」에서의 비판적 현실인식 등이 그것이다. 합천지역 남명 유적에 대한 활용 방안으로는 뇌룡정에서의 神性 찾기 프로그램 개발, 합천의 내외적 연계망을 활용한 남명학 문화탐방 노선 개발, 함벽루를 중심으로 한 회통 문화의 재구성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로써 합천 공간을 중심으로 남명학의 핵심은 더욱 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t is inevitable to keep the popularity and practicability of Nammyung studies in mind in order to make a new breakthrough in the study of Nammyung studies. In this aspect, this study focused on Nammyung's relics in Hapcheon. There are 12 major relics of Nammyung in the Hapcheon area including five in Samga-myeon, two in Hapcheon-eup, two in Ssangchaek-myeon, and one in Gaya-, Yongju- and Daebyeong-myeon. Of these places, Samga-myeon deserves special attention as the birthplace of Nammyung and the place where he pursued study after building Noiryongjeong and Gyebudang. Some of the relics are in the form of restored house of his birth; others in the form of a monument like Iyeonggongyuaebi; and still others in the form of literary scenery like Hambyeokru. Nammyung's relics exist in very diverse forms. The major aspects of Nammyung studies are well revealed in his relics in Hapcheon. They include a prediction of a great scholar at his birthplace, the paradoxical structure of his ego between Budong and Yeokdong at Noiryongjeong and Hambyeokru, his unexaggerated love for his parents on their tombstones, his sincere friendship at Hwanggangjeong and Samijeong, ideal relations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people in Iyeonggongyuaebi, and his critical perception of the reality in Eulmyosajikso. Based on these,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utilization of his relics in Hapcheon: a program of finding divine nature at Noiryongjeong, a route to explore the culture of Nammyung studies based on Hapcheon's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Hoitong culture around Hambyeokru. These measures will help Nammyung studies based on space secure practicability as well as popularity.

      • KCI등재

        하동 安溪 마을의 인문 환경 -學術文化 인프라의 조성 및 경영을 중심으로-

        김학수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58 No.-

        Chosŏn was a state ruled by civil officials (文治國家) as well as a community of ruling by rituals (禮治) that was made with literary and elaborated with courtesy. The literati those who believed in Learning of Master Zhu in respect, posed themselves as devoting performers for civil administration (文治), and they had a strong attachment to village, which was the space of realization of Ga (家), a basic unit of the state. The village was implanted to them as not only for dwelling and living, but also as a knowledge community that has a self-sufficient in academic culture. They accepted general realization of this conception as Chosŏnization of the Learning of Master Zhu. Village as a human environment is not formed, but it is a space constructed by human being who has particular ideology and value. The merits and demerits of the space are directly related to the ability of the person who designs the space. When the person who is far-sighted with brilliant vision involved in the design, it will be able to ensure an excellence of characteristics, that is an elegance of the space. The origin thought of the Ha clan in Angye village was the Learning of Master Zhu and the Study of Nammyŏng. The former was a vertical thought that has generality, and the latter was a horizontal value that was based on distinctiveness. They created their culture by putting these two things vertically and horizontally. Through this, they gave prominence to their existence and expanded their social and academic field as well. It was early 17th century that the Ha clan settled in Angye in 15th century secured the supreme control of the space and started to manage the village in the perspective of the Learning of Master Zhu and the Study of Nammyŏng. On its peak, there was a scholar called Ha Hong-do who was preferred by Yŏngnam academia. The academic culture infra that he and his descendants constructed and managed―Munam(文巖), Kyŏngsŭngjae(敬勝齋), Mohanjae(慕寒齋), Chongch'ŏnsŏwŏn(宗川書院), Chikpanghŏn(直方軒), Kwangyŏngjŏng (光影亭), Igoksŏdang (尼谷書堂), Sasansŏdang(士山書堂)―had reflected their goal of academic culture and sociopolitical line of Angye village. Their lives set in Angye village were remained in historical stratum in 300 years’ time and we are trying to ruminate on their lives through this historical stratum. This is what the village is. Writings could be corrected or elaborated according to one’s needs and interests, but the traces of life which were built impregnably as time passes do not tolerate hasty changes. This is the scene of the cultural history of village, that is simple and sincere, also severe. 조선은 文으로 빚고 禮로 다듬은 文治國家이자 禮治의 공동체였다. 朱子學을 尊信했던 양반 사대부들은 ‘文治’ 구현의 충실한 수행자를 자임했고, 국가의 기초 단위인 ‘家’의 실현 공간인 마을에 대한 애착은 강렬했다. 그들에게 마을은 住居와 生活을 넘어 學術·文化를 자급하는 知識共同體로 착상되었고, 그것의 보편적 구현을 朱子學의 朝鮮化로 받아들였다. 인문 景觀으로서의 마을은 形成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한 이념과 가치를 지닌 인간이 造成하는 공간이다. 그 공간의 우열은 그것을 디자인하는 인간의 능력과 직결된다. 시대를 내다보는 안목과 식견을 지닌 인간이 디자인에 개입할 때 그 공간은 形質의 수월성, 즉 格調를 담보할 수 있다. 안계마을 河氏의 本源的 思惟는 朱子學과 南冥學이었다. 전자가 보편성을 지닌 종적 思惟라면 후자는 특수성에 바탕한 횡적 가치였다. 이들은 양자를 종횡으로 엮에 자신들의 문화를 만들어 갔고, 또 그것을 통해 자신들의 존재성을 부각시키며 사회·학문적 영역을 확대해 나갔다. 15세기에 안계에 정착한 하씨들이 이 공간에 대한 우월적 지배력을 확보하고 주자학·남명학적 개념과 구도 속에서 마을을 경영하기 시작한 것은 17세기 초반이었고, 그 정점에는 그 시대의 嶺南學界가 선호했던 河弘度라는 학자가 존재하고 있었다. 그와 그 자손들이 조성하고 경영했던 文巖[門巖]·敬勝齋·慕寒齋·宗川書院·直方軒·光影亭·尼谷書堂·士山書堂 등의 학술문화 인프라는 안계마을의 학술문화적 지향과 정치사회적 노선을 반영하는 것이었다. 안계마을을 무대로 펼쳐졌던 그들의 삶의 모습은 300년의 시간 속에서 역사의 지층으로 남았고, 우리는 이 지층을 통해 그들의 삶을 반추하려 한다. 마을은 이런 것이다. 글은 인간의 필요와 이해에 따라 고칠 수도 있고, 곱게 단장할 수도 있지만 시간의 경과 속에 견고하게 다져진 삶의 자취는 섣부른 개변을 용인하지 않는다. 이것이 마을의 문화사가 지니는 質實하면서도 혹독한 장면이다.

      • KCI등재

        德山洞府의 문화지리적 상상력- 「神明舍圖」와 ‘덕산 문화’의 상관성 -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This study presented an approach to Deoksandongbu in the aspect of cultural geography, being based on a hypothesis that Sinmyeongsado, which Nammyong published in Sancheongjae, was in a certain functional relation with Deoksandongbu. In the structural aspect, Ipdeokmun serves as a gate to a relationship. Open Deoksandongbu can be a state ruled by Taeiljingun. In the ideological aspect, the Confucian ideals of Yosunilwol meet the Taoist ideals of Mureungdowon. It is the same with the space of Deoksan, where there is Ipdeokmun at the boundary point based on Sinmyeongsado. Once passing through the narrow space called Deokcheonbyeori, the visitor is inside in the huge space. A unique culture was created in the structure of Gwang(廣)-Hyeop (狹)-Gwang(廣). In Deoksan, various stories related to Nammyong have been passed down. In those stories, he would enjoy a luxurious life in Deoksan, live with an unmarried woman that became a snake out of her love for him, give his friend a grave and have it returned after his death, or competed against Toigye in a Taoist magic contest. Those stories have been transmitted broadly among the people in Deoksan and formed an oral culture with a different aspect from the correlations between Sinmyeongsado and Deoksandongbu. The people focused on interest in those Nammyong stories. 본고는 德山洞府를 문화지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인 바, 남명이산천재에 게시했던 「신명사도」와 덕산동부가 일정한 함수관계에 놓인다는 가설에 기반한 것이다. 구조적 측면에서 입덕문은 口關 역할을하며, 확 트인 덕산동부는 태일진군이 다스리는 나라일 수 있다. 사상적측면에서는 堯舜日月의 유가적 이상과 武陵桃源의 도가적 이상이 상호맞물린다. 덕산 공간 역시 「신명사도」에 근거하여 그 경계지점에 입덕문이 놓이고, 덕천벼리라는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 안쪽에는 넓은 공간이 나타난다. 廣-狹-廣의 구조 속에서 독특한 문화가 생성되었던 것이다. 덕산에는 남명 관련 이야기가 언중에 의해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다. 남명이 덕산에서 사치를 즐겼다, 자신을 사모하다가 구렁이가 된 처녀와 함께 살았다, 幽宅을 친구에게 주었다가 사후에 돌려받았다, 퇴계와 도술 시합을 벌여 이겼다는 등의 이야기가 대체로 그러한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주로 덕산 일대에 민중 사이에서 광범하게 전해지는 것으로, 「신명사도」와 덕산동부의 상관성과는 또 다른 측면의 구술문화를형성하였다. 민중들은 남명 이야기를 흥미 본위의 대항 담론으로 이끌어 간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德山九曲 設定의 필요성과 의의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6 남명학연구 Vol.51 No.-

        Raising a question about why Deoksangugok was not set in Deoksandongcheon below the Cheonwang Peak of Mt. Jiri, which was Nammyeong Jo Shik(1501-1572)'s shelter in his later years, this study focused on discussing why Deoksangugok should be set, what grounds should be met to set Deoksangugok, what kind of place Deoksangugok was, what historical and cultural facts it had, and what significance and expected effects its setting had. Those discussions would not be enough to fully understand the cultural background of Deoksangugok setting, which was why the study provided a general description about the tradition of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from Confucius and Mencius to Zhu Xi in East Asia and also the perceptions of nature and Gugok culture among the classical scholars of Joseon. The study then looked into the efforts made by the scholars of Gyeongsangwudo to inherit Nammyeong studies in the second half of Joseon, when the scholarship of the region was in serious depression, including the efforts to worship Nammyeong along with Hoijae and Toigye by establishing the status of Samsan Seowon and promote Deoksangugok along with Dosangugok and Oksangugok by writing and sending out Samsangugok poems in order to figure out what to do today to preserve and inherit the heritage of Nammyeong studies. Inheriting the spirit of old sages in the region, the significant figures today should make it a top priority to set and manage Deoksangugok and turn Deoksan into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true to its name. It will be critical to secure the field and content to inherit and experience Nammyeong studies. If a new academic tradition is created of worshipping the three sages of Yeongnam sought after by Ahn Deok-mun and Ha Beom-woon based on them, Yeongnam will be reborn as the home of Confucius and Mencius. When the day comes, Yeongnam will attract global attention as the cradle of Confucianism comparable to Qufu and Mt. Mui of China. 이 글은 南冥 曺植(1501-1572)의 만년 은거지인 지리산 천왕봉 아래 德山洞天에 德山九曲이 설정되지 못한 점에 문제의식을 갖고, 덕산구곡의 설정이 왜 필요한지,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근거는 무엇이어야 하는지, 덕산구곡의 실체는 구체적으로 어떤 장소이며 그 역사적·문화적 사실은 무엇인지, 덕산구곡 설정의 의의와 기대효과는 무엇인지를 논의하는 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러나 이것만을 논의하면 덕산구곡을 설정하는 문화적 배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기 때문에 앞에 孔孟과 朱子로 이어진 동아시아 山水認識의 傳統과 九曲文化, 조선시대 선비들의 산수인식과 구곡문화 등을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리고 慶尙右道 지역의 학술이 극도로 침체된 조선후기 이 지역의 학자들이 南冥學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한 것 중에 三山書院의 位相을 鼎立하여 晦齋·退溪와 함께 南冥을 추숭하고자 한 노력, 三山九曲詩를 지어 보내 陶山九曲·玉山九曲과 함께 德山九曲을 드러내기 위한 노력 등을 통해, 오늘날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하는 것이 남명학을 보전하고 계승하는 길인지를 찾아보려 하였다. 이러한 이 지역 선현들의 정신을 계승하여 오늘날 뜻 있는 인사들이 우선적으로 해야 할 일이 德山九曲을 設定하고 경영하여 德山을 명실상부한 道學의 聖地로 만들어나가는 것이다. 이는 남명학을 계승하고 체험할 수 있는 현장과 콘텐츠를 확보하는 중요한 일이다. 이를 통해 安德文과 河範運이 추구한 영남의 세 先賢을 함께 존모하는 새로운 학풍을 만들어나간다면 嶺南을 鄒魯之鄕으로 거듭나게 할 것이다. 그렇게 되면 영남이 중국의 曲阜나 武夷山 못지않은 儒學의 産室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을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주제 양상

        하강진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2 No.-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Chokseongnu’s pavilion(矗石樓) poetry and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re-recognition of tradition and creative succession, identifying the total amount of poetry is the most critical. Based on this, it is necessary to derive the consciousness of various themes reflected pavilion poetry.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riter group, the form and the contents of the works are summarized as follow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First, there were 710 writers and 1028 works of 884 poem titles in Chokseongnu’s pavilion. This is tentative but it is the country’s largest size as a single pavilion to date. The largest number of the writers, over 49% of the total, were from Gyeongnam Province, and among them, about 87% were from western Gyeongnam Province, including Jinju. The biggest number of the writers were tourists, and many of the works were by officials involved in the governance of the city. Moreover, there were a number of writers with family members or colleagues who were writers. Second, approximately 87% of the total number of works, or about 893 poems, showed the time of creation. The number of works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was 133, which was a relatively small distribution. Approximately 33% of the works, or 335 poems, were created after 1900, which was the result of mass production of works by writers from Gyeongnam Province who were born after the late 19th century. Third, among Chokseognu poetry, there was a significantly high number of seven-character poems, which accounted for 93%. Among them, seven-character regulated verse poems reached about 75%, indicating they were commonly enjoyed by many people. This was derived from the general creative tendency of rhyme-borrowing poems, which utilized the authority from the original works. Jeong Eulbo’s poem in the previous section served as the original work only until the Joseon Dynasty. In the late Joseon period, 40% of the people borrowed rhymes from Shin Yuhan’s works, which proves it was a big trend. In addition, poetic dictions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sites of Japanese Invasion of Korea have been used customarily, which was clearly a different point from other palace-pavilion poems. Fourth, Chokseongnu poetry's themes could be divided into into four types: praise in the cultural landscape of Jinju, response to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and will for national salvation, the memories and internal reflections of patriotic heroes, the real purpose of tourism and the consciousness of the times. Since the late Joseon Dynasty, there had been a trend of creation with a theme that calls on patriotic heroes to have internal reflections or to promote the spirit of strong loyalty. As a result, many poems highlighting only outstanding scenery have disappeared, and it served as an occasion to achieve the correct consciousness of the times through Chokseongu tourism or writing poems. In this context, anti-national entertainment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was strongly criticized using poems. I hope that this diachronic and positivistic study on Chokseongu’s pavilion will help not only enshrine the characteristics of poetic literature but als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terary world but also constitute various aspects of local literary history and further describ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본고는 촉석루 제영시의 역사적 전개와 작품의 내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전통의 재인식과 창조적 계승이라는 측면에서 시문의 총량 파악은 무엇보다 절실하며, 제영시에 반영된 다양한 주제 의식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방대한 문헌을 두루 뒤져 촉석루 제영시 전모를 가늠할 수 있었다. 이 집성 자료를 바탕으로 작가층의 성격, 작품의 형식과 내용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촉석루 제영시의 작가는 710명, 작품 수는 884제 1,028수에 달했다. 이는 잠정적이기는 하나 현재까지 전국의 단일 누정으로서는 최다 수준이다. 그리고 작가는 경남 출신이 가장 많아 전체 49%를 넘고, 그중에서도 진주를 비롯해 서부 경남 출신이 약 87%를 차지했다. 또 작가는 유람객이 제일 많고, 고을 통치와 관련된 관리들의 작품도 적지 않았다. 작가들 중에는 스승과 제자, 혈연관계가 있는 문인들이 많은 점도 특징이다. 둘째, 창작 시기를 알 수 있는 작품은 893수로 전체 약 87%에 달했다. 이중 임진왜란 이전의 작품은 133수로 비교적 적은 분포를 보였다. 작품의 약 33%인 335수가 1900년 이후에 창작되었는데, 이는 19세기 후반 이후로 출생한 경남지역 문인들의 작품이 대거 양산된 결과였다. 셋째, 촉석루 시 중 7언시가 93%로 압도적인 비율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7언율시가 약 75%에 달해 대표적인 양식으로 향유되었음을 알았다. 이는 원운의 권위를 활용하는 제영시의 일반적 창작 경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선편을 잡은 정을보의 시는 조선전기까지만 원운으로서 기능했다. 조선후기에는 신유한의 시를 차운한 이가 40%일 정도로 거대한 흐름을 이루었다. 또한 임란 사적과 유관한 시어가 관습적으로 활용되었는데, 이는 다른 누정시와 분명히 구별되는 지점이라 하겠다. 넷째, 촉석루 시의 주제는 진주의 문화경관에 대한 상찬, 임진왜란의 대응과 구국 의지, 순국 영웅의 기억과 내면 성찰, 유람의 진정성과 시대의식의 네 가지로 유형화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이후로는 순국 영웅을 호출해 내면을 성찰하거나 강개한 충의 정신을 주제로 내세우는 창작 경향이 지배했다. 이에 따라 빼어난 경관만을 부각하는 시는 자취를 거의 감추었고, 촉석루 유람이나 작시 행위를 올바른 시대의식을 체득하는 계기로 삼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일제강점기의 반민족적 유람 풍조를 시를 통해 준열히 비판하기도 했다. 촉석루 제영시를 대상으로 진행한 통시적이고도 실증적인 본 연구가 누정문학의 특성을 구명함은 물론 지역문학사를 다양하게 구성하고, 나아가 한국문학사를 기술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지리산 덕산동의 文化元型과 名所의 의미

        최석기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3 No.-

        This study set out to identify and establish th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of Mt. Jiri and figure out the meanings of its major attractions clearly based on poetry and prose works left by many different scholars after a trip to it in Joseon. The discussions about them led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The status of Mt. Jiri was further enhanced among Confucian scholars in Joseon as they perceived the mountain as the center of the nation and the major fundamental presence of its southern regions beyond its image as a guardian mountain to hold and defend the nation's territory in a huge and vast manner at the southern tip of the land, stretching down from Mt. Baekdu. Moreover, Nammyung Jo Shik, a moralist in middle Joseon, chose to retire to hermitage in Deoksandong of Mt. Jiri and made it the gathering place for moralists. After his death, it was regarded as a sacred place where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egan and received the ongoing inflow of pilgrims. There are three types of cultural archetypes in Deoksandong of Mt. Jiri: first, Deoksandong was Nammyung's place of retirement around Sancheonjae and his Daechukji as a seeker of truth that wished to cultivate the way of man and combine it with the way of Heaven; secondly, Deoksandong was established as a sacred place of moral philosophy in Joseon after the Deokcheon Seowon was built to praise and emulate his learning and virtue; and finally, Deoksandong was considered as the origin of moral philosophy by Neo-Confucian scholars in the climbing course to Cheonwang Peak via the Daewon Buddhist Temple and Jogaegok. This course became a popular course among those who hit the road to find human nature and seek the truth. These three cultural archetypes of Deoksandong hold huge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culture. There are several major attractions in Deoksandong: Ipdeokmun was named by Nammyung to signify an entry into the world of moral philosophy; Takyeongdae was a place where scholars were able to wash their hat strings in the clean and clear water flowing down from the upstream; Gomajeong and Mt. Suyang would transmit the old stories of hermits; Sancheonjae was the place where Nammyung completed his moral philosophy in his latter years; Deokcheon Seowon and Sesimjeong were built to commemorate the learning and virtue of Nammyung after his death; Songgaekjeong would pass down the stories of Nammyung holding a banquet to see off Oh Geon; Myeonsangchon was the place where Oh Geon had an injury in the forehead, being drunk; and the valley of the Daewon Buddhist Temple and Jogaegok were the places where the big origin of truth would begin to flow. All of these attractions have profound connections to Nammyung's moral philosophy, enriching the meanings of Deoksandong in culture and history. These relics show the spiritual orientation of his moral philosophy and Joseon's moral philosophy directly, thus providing good content for experience and field study. It is thus needed to continue the work of understanding their meanings right and promoting them broadly so that they will not be forgotten. 이 글은 조선시대 여러 학자들이 지리산 덕산동을 유람하고 남긴 시문을 통해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정립하고, 주요 명소에 대한 의미를 명확히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는데, 본 논문에서 논의한 내용을 바탕으로 결론을 도출하면 다음과 같다. 지리산은 조선시대 유학자들에 의해 백두산에서 뻗어 내려 국토의 남단에 크고 넓게 웅거한 鎭山이라는 의미를 넘어, 우리나라의 중심이고 남쪽 지방의 祖宗으로 인식됨으로써 그 위상이 한층 격상되었다. 그런데다 조선 중기 도학자 南冥 曺植이 지리산 덕산동을 은거지로 택함으로써 도학자의 은거지로 자리를 잡았고, 남명 사후에는 도학의 원류가 흐르는 聖地로 인식되어 순례자들이 끊이질 않았다. 지리산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덕산동은 山天齋를 중심으로 한 南冥의 만년 은거지로 人道를 닦아 天道에 합하기를 구한 求道者의 大畜地이었다. 둘째, 덕산동은 德川書院이 건립된 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고 본받고자 하는 朝鮮 道學의 聖地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셋째, 덕산동 중에 大源寺와 肇開谷을 경유해 天王峯에 오르는 코스는 성리학자들에게 道學의 源流가 흘러나오는 곳으로 인식되어 본성을 찾아나서는 구도여행코스가 되었다. 이 세 가지 덕산동의 문화원형은 그 문화사적 의미가 매우 크다. 덕산동의 주요 名所로는 도학의 세계로 들어간다는 의미로 南冥이 붙인 入德門, 상류에서 맑고 깨끗한 물이 흘러내려 갓끈을 씻을 수 있는 濯纓臺, 은자의 고사가 전해지는 叩馬汀과 首陽山, 남명이 만년에 도학을 완성한 山天齋, 남명 사후 남명의 학덕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德川書院과 洗心亭, 남명이 문인 吳健을 전송한 고사가 전해지는 送客亭과 오건이 술에 취해 이마에 상처를 입었다는 고사가 전해지는 面傷村, 도의 큰 근원이 흘러나온다는 大源寺 계곡과 肇開谷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런 명소는 모두 남명의 도학과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어 덕산동의 문화역사적 의미를 풍부하게 해준다. 곧 이런 유적지는 남명의 도학, 조선 도학의 정신지향이 무엇인지를 단적으로 보여주는 의미가 있기 때문에 체험학습, 현장학습을 하는 데 좋은 콘텐츠를 제공해 줄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의미를 올바로 이해하고 널리 알리는 일이 지속되어 잊히지 않게 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19~20세기 江右文人의 鄭蘊 인식 -某里 漢詩를 중심으로-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4 No.-

        본고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연구소가 추진하는 강우지역 전통선비마을 연구의 일환으로 ‘거창 강동마을’ 기획에 의해 집필되었다. 강동마을은 桐溪 鄭蘊(1569-1641)으로 대표되는 草溪 鄭氏家의 세거지이다. 정온은 조선 역사에서 매우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고, 그의 생애 또한 평범하지 않은 굴곡진 삶이었다. 역사 속 그의 위상도 가볍지 않았다. 그는 南冥 曺植(1501-1572)의 高弟인 來庵 鄭仁弘(1535-1623)의 문인으로, 인조반정 이후 강우지역의 학술을 대표하던 인물이다. 반정이 있기까지 10년 간 제주에 유배되었고, 병자호란 때는 그 치욕을 감당치 못해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으며, 이후 낙향하여 某里에 은거하였다. 사후 강우지역의 후학들이 정온의 節義를 숭상하여 그곳에 某里齋를 짓고 그 뜻을 표상하였다. 그러나 그의 玄孫인 鄭希亮이 가담한 戊申亂(1728)으로 인해 정온도 모리도 모두 역사에서 잊혔다. 이후 2백여 년도 더 지난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갑자기 수많은 지식인이 모리를 찾아와 정온의 절의를 추숭하고, 또 많은 遊記와 한시를 남겼다. 19-20세기 강우문인들은 오랜 시간 중앙정계에서 소외되어 재야 지식인으로 존재하였다. 그들 앞에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국난기가 전개되었고, 그들은 혼란 속에서도 지식인으로서의 책무와 역할을 해야만 했다. 그동안 고수해온 전통유학의 이념과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의 괴리는 그들의 처세와 태도에 무력감을 안겨 주었고, 그 결과 國恥로 귀결되는 현실에 울분과 분노를 표출할 수밖에 없었다. 그때 강우지역의 선현인 정온은 강우문인에게 삶의 지표를 제시하는 표상이 되었고, 수많은 강우문인이 모리를 찾지 않을 수 없었다. 갑작스레 많은 사람이 찾아와 多作이 산출되는 특이한 경우였고, 의외로 이 시기 모리 한시에 투영된 정온 인식은 거의 일관되게 나타났다. 형식상으로는 정온의 모리 시에 차운하여 읊은 것이 많고, 내용상으로는 정온 당대의 삶을 회고하거나, 자기 시대에 필요한 절의 정신을 그에게서 찾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이를 통해 19-20세기 강우문인이 인식한 정온에 관한 인식뿐만 아니라, ‘모리’가 지닌 장소의 정체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전통한옥에 대한 한문학 유산의 문화콘텐츠 활용 연구-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 예시를 중심으로 -

        박순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8 남명학연구 Vol.60 No.-

        The objects related to classical Chinese literary heritage can be easily encountered in our everyday life throughout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Among them, the traditional Korean houses has been a subject of considerable interest not only in Korea and abroad since the 1990s, it is not necessary to reconsider that it is a tangible heritage which is very important as tourism resource as well as cultural property value. Among the classical Chinese heritage associated with the houses,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s(樓亭記) is one of the richest and deepest contents. As a result, this paper focuses on the Writings, and examined it as a story material that can be used as cultural contents beyond the viewpoint of considering them as merely classical Chinese texts. And we constructed this as a digital archive, and sought to find ways to utilize not only professional researchers but also cultural workers and general public conveniently. There are three factors that can be considered as meaningful cultural contents in the Writings. The first is information about the person, it is about the landlord and several related persons mentioned within the Writings. The second is information about traditional Korean houses, it is about how to build the houses, why it was built, and what is thought in each building structure. The third is information related to the name of the houses, it is about the world view of intellectuals of the time in the name of the houses. For the more detailed discussion under the above viewpoint, and one Writing was analyzed intensively. The digital archive of Writings about Traditional Houses- cultural contents was constructed using wiki software. The advantages of wiki softwar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yone can easily make it and it costs almost nothing. Second, the hyperlink function can be easily implemented. Third, it can encourage participation of many people. Fourth, indexing is done automatically by 'sorting' function. And we present an example of archiving using wiki software, archived a detailed analysis in the previous chapter. We show the capture screens actually implemented and added explanations, and emphasized that this can be conveniently used as cultural contents. 한문학 유산과 관련이 있는 대상들은 의식주 전반에 걸쳐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쉽게 마주칠 수 있는데, 이 가운데에서도 전통한옥은 1990년대 이래로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상당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문화재적 가치를 비롯해 관광 자원으로서도 매우 비중 있는 유형 유산임은 굳이 재론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전통한옥과 연관된 한문학 유산 중에서도 樓亭記는 가장 풍부하고 깊이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자료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누정기에 집중하였으며, 누정기를 단지 한문학 텍스트로만 간주하는 차원을 넘어 문화콘텐츠로서 활용할 수 있는 이야기 소재로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를 디지털 아카이브(Digital Archive)로 구축하여 전문 연구자뿐만이 아니라 문화계 종사자 및 일반 대중들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누정기에서 문화콘텐츠로서 의미를 가질만한 요소들은 크게 세 가지로 상정해볼 수 있는데, 첫째는 인물에 대한 정보로서 누정기 내에 언급된 건립자 및 여러 관련 인물들에 대한 정보이다. 둘째는 전통한옥에 대한 정보로서 전통한옥을 어떻게 지었는지, 그렇게 지은 이유가 무엇인지, 건물의 구성 하나하나에 담긴 생각은 무엇인지 등에 관한 정보이다. 셋째는 전통한옥의 이름과 관련된 정보로서 집 이름에 담긴 당대 지식인의 세계관에 대한 정보이다. 위와 같은 관점 하에서 보다 구체적인 논의를 위해 누정기 1편을 집중 분석하였다. 누정기-문화콘텐츠의 디지털 아카이브는 위키 소프트웨어를 활용하여 구축하였는데, 위키 소프트웨어의 장점은 다음의 4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누구나 쉽게 작성할 수 있으며 무료로 제작할 수 있다. 둘째, 하이퍼링크(Hyperlink) 기능을 쉽게 실현시킬 수 있다. 셋째, 많은 사람들의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넷째, ‘분류’ 기능을 사용하여 자동으로 색인(index)이 만들어진다. 위와 같은 장점을 충분히 수용하여 본고에서는 위키 소프트웨어로 제작한 아카이브 구축 예시를 제시하였다. 앞 장에서 자세히 분석한 바를 아카이빙한 것이다. 실제로 구현된 모니터 화면을 부분별로 캡처하여 설명을 덧붙였으며, 이것이 문화콘텐츠로 편리하게 활용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19~20세기 江右文人의 鄭蘊 인식 -某里 漢詩를 중심으로-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2 남명학연구 Vol.74 No.-

        This article was written under the ‘Geochang Gangdong Village’ project as a part of the research on the traditional scholar village in the Gangwoo region promoted by the Nammyonghak Study Institute, the Cultural Institute of Gyeongnam,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angdong Village is the residence of the Chogye Jeong clan, represented by Donggye Jeong On (鄭蘊). Jeong On lived a very chaotic period in the history of Joseon, and his life was also an unusual tough one. His status in history was not light. He was a literary person of Naeam Jeong In-hong (鄭仁弘), the best disciple of Nammyun(南冥) Cho Sik (曺植), and was a representative of the academics of the Gangwoo region after the Injo coup. He was exiled to Jeju for 10 years due to the Injo coup, and he tried to commit suicide at the time of the Second Manchu invasion of Korea because he could not bear the humiliation, but was unsuccessful. Thereafter, he retired to the country and lived a secluded life in Mo-ri. After his death, younger scholars in the Gangwoo region revered his integrity spirit and built the Mo-ri hall in the place of his secluded life to represent his will. However, due to the Mushin Rebellion (1728), which was joined by his great-great grandson Jeong Hui-ryang (鄭希亮), both Jeong On and Mo-ri were forgotten from history. In the middle of the 19th century when more than 200 years passed, a large number of intellectuals suddenly came to Mo-ri to adore Jeong-on's fidelity, and leave behind many travelogues and Chinese poems.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were alienated from central politics for a long time and existed as intellectuals out of power. In front of them, a period of national turmoil such as the Late Period of Chosun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unfolded, and they had to fulfill their responsibilities and roles as intellectuals in the midst of chaos. The gap between the ideology of traditional Confucianism and the rapidly changing circumstances of the times gave a sense of helplessness to their use of life and attitudes, and as a result, they could not but express their resentment and anger at the reality that resulted in the national humiliation. At that time, Jeong On, a sage of old in the Gangwoo region, emerged as a symbol to present the way of life to the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and during this time, numerous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could not but visit Mo-ri. It was an unusual case where a large number of people suddenly came to produce a lot of work, and surprisingly, the recognition of Jeong On projected in the Chinese poems written in Mo-ri during this period appeared almost consistently. In terms of the form, many of the Chinese poems were recited borrowing the rhythm of Jeong On’s poems written in Mo-ri and in terms of contents, the Chinese poems were expressed as those that recollected the life of Jeong On in his time and furthermore, as those that found the spirit of fidelity necessary in their time from him. This was a phenomenon that appeared commonly not only among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but also among all literary persons regardless of their regionalism and academic genealogy. Through the foregoing, it was possible to find the identity of the place of ‘Mo-ri’ as well as the recognition of Jeong On by the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본고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연구소가 추진하는 강우지역 전통선비마을 연구의 일환으로 ‘거창 강동마을’ 기획에 의해 집필되었다. 강동마을은 桐溪 鄭蘊(1569-1641)으로 대표되는 草溪 鄭氏家의 세거지이다. 정온은 조선 역사에서 매우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았고, 그의 생애 또한 평범하지 않은 굴곡진 삶이었다. 역사 속 그의 위상도 가볍지 않았다. 그는 南冥 曺植(1501-1572)의 高弟인 來庵 鄭仁弘(1535-1623)의 문인으로, 인조반정 이후 강우지역의 학술을 대표하던 인물이다. 반정이 있기까지 10년 간 제주에 유배되었고, 병자호란 때는 그 치욕을 감당치 못해 자결을 시도하였으나 성공하지 못했으며, 이후 낙향하여 某里에 은거하였다. 사후 강우지역의 후학들이 정온의 節義를 숭상하여 그곳에 某里齋를 짓고 그 뜻을 표상하였다. 그러나 그의 玄孫인 鄭希亮이 가담한 戊申亂(1728)으로 인해 정온도 모리도 모두 역사에서 잊혔다. 이후 2백여 년도 더 지난 19세기 중반에 이르러 갑자기 수많은 지식인이 모리를 찾아와 정온의 절의를 추숭하고, 또 많은 遊記와 한시를 남겼다. 19-20세기 강우문인들은 오랜 시간 중앙정계에서 소외되어 재야 지식인으로 존재하였다. 그들 앞에 구한말과 일제강점기라는 국난기가 전개되었고, 그들은 혼란 속에서도 지식인으로서의 책무와 역할을 해야만 했다. 그동안 고수해온 전통유학의 이념과 급변하는 시대 상황에의 괴리는 그들의 처세와 태도에 무력감을 안겨 주었고, 그 결과 國恥로 귀결되는 현실에 울분과 분노를 표출할 수밖에 없었다. 그때 강우지역의 선현인 정온은 강우문인에게 삶의 지표를 제시하는 표상이 되었고, 수많은 강우문인이 모리를 찾지 않을 수 없었다. 갑작스레 많은 사람이 찾아와 多作이 산출되는 특이한 경우였고, 의외로 이 시기 모리 한시에 투영된 정온 인식은 거의 일관되게 나타났다. 형식상으로는 정온의 모리 시에 차운하여 읊은 것이 많고, 내용상으로는 정온 당대의 삶을 회고하거나, 자기 시대에 필요한 절의 정신을 그에게서 찾는 것으로 표출되었다. 이를 통해 19-20세기 강우문인이 인식한 정온에 관한 인식뿐만 아니라, ‘모리’가 지닌 장소의 정체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