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낙동강의 서원과 ‘한강학풍(寒岡學風)’

        정우락 한국유교학회 202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5

        이 글은 낙동강 연안에 건립된 서원 가운데, 정구가 제향된 곳을 중심으로 이들의 연대의식과 함께 ‘한강학풍(寒岡學風)’을 고찰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서원을 주목한 것은 이곳에서 조선시대 영남 선비들의 고민과 그들의 실천을 가장 확실하게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낙동강 연안 가운데 대구권, 즉 구미, 칠곡, 김천, 성주, 대구, 고령 지역을 그 범위로 설정했다. 이 지역에 서원이 어떻게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서원이 이 지역의 학술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하는 부분을 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로써 낙동강 연안학인 ‘강안학’의 일 부면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다. 전국에 걸쳐 정구가 제향된 서원은 선조 연간에 건립된 창녕의 생사당을 포함하여 19개소이다. 이 가운데 대구권 서원으로는 연경서원(대구), 천곡서원(성주), 회연서원(성주), 사양서원(칠곡), 도동서원(대구) 등 5개소이다. 정구가 그러했던 것처럼 정주학을 중심으로 한 도학의 증진과 김굉필을 통한 도통의 확립은 대구권 강안학이 지닌 한강학풍의 제일의(第一義)이다. 그러나 도학을 확보하는데만 함몰되지 않고, 개방적 성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 지역에 퇴계학과 남명학을 교융시키면서도 기호 사인들의 문집이나 저술 목판이 대거 수장되면서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을 본고에서는 ‘주체적 개방성’이라 명명하고 적극 다루었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amine the "Han gang's Academic Style" along with their sense of solidarity, focusing on the places where the Han River Jeong-gu holds rituals among the seowon built on the coast of the Nakdonggang River. We focused on Seowon because it provides a glimpse into the concerns and practices of Yeongnam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We focus on the Daegu region, namely Gumi, Chilgok, Gimcheon, Seongju, Daegu, and Goryeong, along the coast of the Nakdong River. The main task is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vows in this region and the role they played in the academic history of the region, which is summarized in the ‘Han gang's Academic style.’ There are 19 seowon honoring Jeonggu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Changnyeong's Saengsadang(生祠堂),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mong them, there are 5 seowon in the Daegu area: Yeongyeong Seowon(Daegu), Cheongok Seowon(Sungju), Hoeyeon Seowon(Sungju), Sayang Seowon (Chilgok), and Dodong Seowon(Daegu). As with Jeonggu, the promotion of Dohak centered on Jeongjuhak and the establishment of Dotong through Kim Goengpil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 ‘Han gang's Academic style’ of Hanganhak in the Daegu area. However, it was not depressed only in securing Dotong, but also showed an open tendency. This is because while converging Toegyehak and Nammyeonghak in this area, knowledge was created by storing a large number of writings and woodblocks of writings of scholars in the Giho area. We could call this 'independent openness'.

      • KCI등재
      • KCI등재

        德山洞府의 문화지리적 상상력- 「神明舍圖」와 ‘덕산 문화’의 상관성 -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5 No.-

        This study presented an approach to Deoksandongbu in the aspect of cultural geography, being based on a hypothesis that Sinmyeongsado, which Nammyong published in Sancheongjae, was in a certain functional relation with Deoksandongbu. In the structural aspect, Ipdeokmun serves as a gate to a relationship. Open Deoksandongbu can be a state ruled by Taeiljingun. In the ideological aspect, the Confucian ideals of Yosunilwol meet the Taoist ideals of Mureungdowon. It is the same with the space of Deoksan, where there is Ipdeokmun at the boundary point based on Sinmyeongsado. Once passing through the narrow space called Deokcheonbyeori, the visitor is inside in the huge space. A unique culture was created in the structure of Gwang(廣)-Hyeop (狹)-Gwang(廣). In Deoksan, various stories related to Nammyong have been passed down. In those stories, he would enjoy a luxurious life in Deoksan, live with an unmarried woman that became a snake out of her love for him, give his friend a grave and have it returned after his death, or competed against Toigye in a Taoist magic contest. Those stories have been transmitted broadly among the people in Deoksan and formed an oral culture with a different aspect from the correlations between Sinmyeongsado and Deoksandongbu. The people focused on interest in those Nammyong stories. 본고는 德山洞府를 문화지리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것인 바, 남명이산천재에 게시했던 「신명사도」와 덕산동부가 일정한 함수관계에 놓인다는 가설에 기반한 것이다. 구조적 측면에서 입덕문은 口關 역할을하며, 확 트인 덕산동부는 태일진군이 다스리는 나라일 수 있다. 사상적측면에서는 堯舜日月의 유가적 이상과 武陵桃源의 도가적 이상이 상호맞물린다. 덕산 공간 역시 「신명사도」에 근거하여 그 경계지점에 입덕문이 놓이고, 덕천벼리라는 좁은 공간을 통과하면 안쪽에는 넓은 공간이 나타난다. 廣-狹-廣의 구조 속에서 독특한 문화가 생성되었던 것이다. 덕산에는 남명 관련 이야기가 언중에 의해 다양하게 전해지고 있다. 남명이 덕산에서 사치를 즐겼다, 자신을 사모하다가 구렁이가 된 처녀와 함께 살았다, 幽宅을 친구에게 주었다가 사후에 돌려받았다, 퇴계와 도술 시합을 벌여 이겼다는 등의 이야기가 대체로 그러한 것이다. 이러한 이야기는 주로 덕산 일대에 민중 사이에서 광범하게 전해지는 것으로, 「신명사도」와 덕산동부의 상관성과는 또 다른 측면의 구술문화를형성하였다. 민중들은 남명 이야기를 흥미 본위의 대항 담론으로 이끌어 간 것이라 하겠다.

      • KCI등재

        虛齋 林汝松 文學의 주제와 그 의의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2 No.-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amine the ways that Lim Yeo- song, who was a reclusive intellectual, created works based on his life. Trying to answer the question, the study first focused on "Sasanghak," which represented "search for truth in life" and placed importance on the daily aspects of people including Soaesoeungdae and Gigeodongjak. Researchers usually focus their attention on problematic authors in the literary history or figures with major status in the ideological history, and this research direction is very natural. Many classical scholars in Joseon, however, made an inquiry into truth by leading a life oriented toward the country and created works based on their life experiences with importance placed on the family whether it was voluntary or not. In these aspect, the present study decided to focus on Lim that led a creative life by respecting daily aspects, life, and simple and ordinary things even though he was relatively less known. The logic that worked in his literature was represented by the cultivation theory, familism, and view of nature, on which he put the great emphasis as he lived in the country. In the aspect of cultivation theory, he highlighted such concepts as Geogyeong, reputation, and Sindok and made active use of them in his creative process. In the aspect of familism, he devoted his particular affection to his parents vertically and to his little sibling horizontally. In his view of nature, he expressed infinite free and contentment in nature even though he tried to find Confucian ideals such as Inji and Sehanji in mountains and rivers. The significance of Lim's literature can be found first in his self-awareness of "right here and right now." He also accepted more diverse materials, rediscovering little things in life. These seem to be literary effects of Sasanghak. 본고는 隱求型 지식인 임여송이 자신의 생활을 어떻게 작품화하였던가 하는 문제를 살피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事上學’이라는 관점을 설정하였다. 이것은 ‘생활 속에서 진리 찾기’를 의미하는 바, 灑掃應對나 起居動作 등 인간의 일상을 중시한다. 우리는 흔히 문학사적 측면에서의 문제적 작가나 사상사적 측면에서의 주요 위상을 지닌 인물을 주목한다. 이러한 연구방향은 지극히 당연한 것이다. 그러나 조선의 수많은 선비들은 자발적이든 비자발적이든 향촌을 중심으로 자신의 생활을 영위하며 진리를 탐구해 왔고, 가족을 중시하며 생활에의 체험을 작품화해 왔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고는 비교적 덜 알려져 있지만 일상과 생활, 평범과 소박을 존중하며 작품 생활을 해 왔던 한 작가에 집중한 것이다. 임여송 문학의 주제는 수양론적 측면, 가족주의적 측면, 그리고 자연인식의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향촌에서 생활하면서 그 자신이 이를 가장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수양론적 측면에서는 居敬과 明誠, 그리고 愼獨 등의 개념을 내세우면서 적극 작품화하였고, 가족주의적 측면에서는 위로는 부모, 옆으로는 동생에게 각별한 애정을 가졌다. 그리고 산수 속에서 仁知나 歲寒之意 등 유가적 이상을 찾고자 하기도 하지만, 그의 자연관에는 무한한 자유와 자족감이 내포되어 있었다. 임여송 문학의 의의는 ‘지금-여기’에 대한 자각을 첫 번째로 꼽을 수 있다. 그리고 생활 小事를 재발견하며 소재를 더욱 다양하게 수용하고 있었다. 사상학의 문학적 효과라 할 수 있을 것이다.

      • 李震相의 山水興趨와 그 文學思想의 哲學的 基底

        정우락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8 No.-

        본고는 이진상의 문학관을 살피는데서 출발했다. 그는 '直心'과 '明理'를 그 문학관의 기반으로 삼았으므로 부화한 수식을 배격하며 達意를 강조하게 된다. 이것은 성리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진 문학론이기도 했다. 이진상 스스로는 그의 문학이 성글고 거칠다(踈而宕)고 자평했다. 그는 활달한 문학적 기상이 있었으므로, '산수벽'과 '문자벽'을 동시에 지닐 수 있었다. 산수벽이 있었으므로 조선의 산수를 두루 기행하였고, 문자벽이 있었으므로 만나는 사물마다 흥을 일으키고 또한 수많은 작품을 창작했다. 이진상의 산수 기행은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를 통해 그는 道脈을 생각하며 스스로의 의무를 자각하기도 하고, 국토산하를 굽어보여 거대한 자아를 체험하기도 하며, 또한 역사유적을 만나면서 회고의 서정을 느끼기도 했다. 사물을 만나면서 창작된 그의 문학에는 어떤 사상이 작용하였을까? 사물의 인식방법과 존재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전자는 사물을 사실적으로 그리는 즉물적 인식과 사물을 통해 성리학적 이념을 살피는 이념적 인식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후자는 보편자와 개별자가 동시에 강조되는 조화적 존재와 개별자보다 보편자가 더욱 강조되는 합일적 존재가 중시되었다. 이것은 다시 사물에 대한 이념적 인식을 통한 합일적 존재를 성취하자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이같은 사상이 그의 문학에 작용하면서 그의 문학은 다양하게 생산된다. 그리고 이 사상은 사물로부터 본원을 보는 倒看의 인식론과 경험적 사실에서 궁극적 원리를 추론하는 逆推의 추리법이 그 기저에 있었고, 이것은 '心則理設'을 강조한 그의 주리론과는 방향을 서로 달리하는 것이었다. 추상적 논리의 세계인 철학과 구체적 경험의 세계인 문학은 상호 경쟁 혹은 협동한다. 이것은 이진상의 경우에서도 충분히 확인된다. 철학적 논리로 위의 추상적 태극에서 아래의 구체적 사물을 보았다면, 문학적 직관으로 아래의 구체적 사물에서 위의 추상적 태극을 보았다는 것이다. 그는 다양하고 복잡한 용어들을 제시하면서 장황하고 정밀한 철학적 논설로 주리론을 갈파했다. 그러나 감성에 그 출발점을 마련해 둔 문학작품은 짧으면서도 함축적이다. 이진상 문학의 경우 觀物察理의 이념적 인식과 개개의 사물에 내재해 있는 보편성을 더욱 강조하는 합일적 존재가 문학의 이면에서 중요한 원리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n examination on Lee Jin-sang's views of literature. His literary view was based on "jiksim(直心:to make mind upright)" and "myeogri(明理:to clarify reason)", so he rejected rhetorical flourish and emphasized to inform others his ideas enough, which was a general literary theory of Neo-Confucianism philosophers. Lee Jin-sang assessed his own literature as loose and coarse one himself. Since his literary spirit was active, he could have "Sansubyeok(山水癖:to like nature too much)" and "Munjabyeok(文字癖:to like writing too much)" at the same time. His "Sansubyeok" caused him to travel widely throughout Korean hills and waters, and his "Munjabyeok" led him to be inspires by every things he met with and write a number of works. He made various tours in hills and waters, which made him think a spirit of duty and realized his own duties. Looking down at a country, he experienced a huge ego, and watching historical remains, he felt lyricism of recollection. What ideas influenced his literature written through meeting with things? The ideas can be divided into a recognition method and an existence method of things. The former placed emphasis on sachlichkeit cognition that things are described realistically and ideological cognition that philosophical ideas are examined through things. The latter attached importance to a harmonious being who emphasizes a universal person and an individual person more than an individual person, which was brought into a conclusion that a united being had effects on his literature, which was produced variously. In addition, these ideas were based on Dogan(倒看:thinking in reversed views)'s epistemology to see an origin through things and Yeokchu(逆推:to reason in the reverse order) to reason ultimate principle based on empirical facts. In this respect, it is different from his theory of Li, which emphasized "Simchiriseol(心卽理設:a theory that mind is reason)". Philosophy, the world of abstract reasoning, and literature, the world the concrete experience, compete or cooperate with each other. This respect is identified enough in Lee Jin-sang's literature. That is, using philosophical reasoning, he looked down at concrete things from the upper abstract entity of the cosmos and looked up at the abstract entity of the cosmos from the lower concrete things using literacy intuition. Presenting various and complex terms, he proclaimed the theory of Li with long and minute philosophical reasoning. However, his literacy works based on susceptibility were short and significant. In case of Lee Jin-sang's literature, ideological cognition of Gwanmulchalli(觀物察理:the theory of watching landscapes and thinking reason) and a united being emphasizing universality immanent in each thing affected the background of his literature as important principles.

      • KCI등재

        寒岡 鄭逑의 事物認識方法과 世界志向

        정우락 한국사상문화학회 2009 韓國思想과 文化 Vol.49 No.-

        본 논의는 寒岡 鄭逑(1543-1620)의 사물인식이 어떠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이를 통해 그가 지향한 궁극의 세계는 무엇인가 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 과제를 수행하기 위하여 먼저, 誠⋅敬⋅義를 핵심개념으로 하는 성리학적 수양론을 살펴볼 필요가 있었다. 정구는 이들 개념에 민감하게 반응하면서 청소년기부터 노년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수양론을 중심으로 사유하고 행동하였다. 정구 사물인식의 두 방향은 이념적 인식과 역사적 인식으로 구조화되어 있다. 이 때문에 자연을 통한 천리자득의 세계와 관리로서의 현실적 포부를 함께 작품화할 수 있었다. 두 방향의 사물인식은 상보 내지 조화를 잃지 않았다. 이 같은 內外相養的 성향은 한강학의 회통적 세계지향을 가능케 하는 중요한 원리로 작용하였다. 한강학에 깊이 내재되어 있는 회통성은 결국 천인합일이라는 聖學의 궁극처를 추구하는 과정 에서 마련된 것이라 하겠다. 여느 문인들이 그러하였듯이 한강은 이를 관념적으로 이해하는데 그치지 않았다. 심학과 역사지리학 혹은 의약학을 아우르는 전방위적 학문분야는 말할 것도 없고, 그 저술의 浩瀚性은 이를 설명하는 좋은 예가 된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rocess of recognition of objects of Hangang Jeonggu(寒岡 鄭逑, 1543-1620) and the ultimate vision he aspired to achieve. Subsequently a review was made on the 'Theory of Mind Cultivation(修養論)' based on Neo-Confucianism Philosophy(Sung Confucianism) in which mindfulness(誠), respect(敬), and justice(義) serve as its central concepts. Hangang Jeonggu was acutely aware of these concepts and the Theory of Mind Cultivation functioned as an essential framework in his thoughts and conducts coherently from his adolescent years till the old age. The structure of Hangang's recognition of objects can be classified into ideological and historical recognition. Accordingly he was able to combine an appreciation of the law of nature with a realistic ambition as a public official, so as to integrate them in his work. Such distinctive two inclinations of the object recognition were complementary with each other and harmonious. Inner and outer mutual enhancement was a fundamental principle of the communicative cosmopolitan vision of Hangang's philosophy. The communicative characteristic deeply ingrained in the philosophy of Hangang was generated by the process of pursuing the ultimate vision of the Neo-Confucianism Philosophy, that is 'unification of the nature and humankind.' Contrary to other contemporary writers, Hangang did not limit his understanding of this vision to an ideological interpretation. He was well informed of diverse academic fields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including the 'Study of Mind(Shimhak),' historical geology, and medicinal pharmacology. Moreover the nature of 'grand generosity' radiated as a unique characteristic throughout his writ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