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우락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4 退溪學과 韓國文化 Vol.- No.34
본고는 士林들의 사물인식에 대한 방법론에 입각하여,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의 경우를 중심으로 16세기 사림파 작가들의 사물관과 문학정신 및 한국 한문학사에서 사림파의 사물관이 어떠한 추이로 전개되었는가 하는 문제를 탐구하기 위하여 마련되었다. 성리학자들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은 대체로 셋으로 나누어서 이해할 수 있다. 즉물적 인식, 이념적 인식, 역사적 인식이 그것이다. 이는 모두 '자아-사물-개념'이라는 사물인식의 삼각구도를 형성한다. 즉물적 인식의 경우 개념이 사물 그 자체가 되고, 이념적 인식의 경우 성리학에서 제시하는 추상적 이념이 되며, 역사적 인식의 경우 구체적 현실이 된다. 16세기 사림파 작가 가운데, 불가사상에 다소 개방적이었던 임훈은 주로 즉물적 인식을 동원하며 창작활동을 했다. 사물을 보면서 사물 자체를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物'로 요약된다. 철저한 성리학적 입장을 고수했던 이황의 경우, 이념적 인식이 주도적이다. 사물을 보면서 이념을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理'로 요약된다. 그리고 같은 성리학자로서 도가사상에 개방적이었던 조식은 역사적 인식이 주도적이었다. 사물을 통해 사람과 그 사람이 처한 역사적 현실을 살피는 것이니 '觀物察世'로 요약된다. 이들은 모두 성리학자이지만 불가나 도가를 보는 입장이 서로 다르며, 사물관 역시 이처럼 다르게 나타났던 것이다. 사물관과 문학정신은 어떠한 상관관계에 놓이는가? 임훈은 사물을 인식하는 방법을 독자적으로 개발해 내기도 했는데, '廣奧論'이 그것이다. 사물에 대한 '넓게 보기'와 '깊게 보기'를 이렇게 나타내었는데, 이를 통해 그는 자연을 섬세하게 자각하고자 했다. 이황은 자연을 통해 진리를 발견하고, 이것을 興感處로 여겨 作詩活動을 전개하였다. 그는 불멸하는 진리의 본체로 理를 상정하였으므로 그의 사물에 대한 인식방법이 종국에는 理로 귀결되게 했다. 그리고 조식은 사물을 통해 역사적 현실을 중시하고자 했다. 사물을 보면서 사람은 생각한다는 '睹物思人'으로 구체화하였는데, 이는 그의 문학정신이 사람과 그 사람이 거느린 역사적 현실에 더욱 밀착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물에 대한 인식의 방법은 임훈과 이황, 그리고 조식이 활동했던 16세기를 전후로 해서 다소 변화를 겪은 것으로 보인다. 즉 사물에 대한 이념적 인식이 지속되는 가운데, 사실적 재현이라 할 수 있는 즉물적 인식이 16세기 이전에는 강세를 띠며, 16세기에는 이념적 인식이 더욱 정치해지고, 그 이후에는 역사적 인식이 서서히 나타난다는 것이다. 이것은 아마도 성리학의 도입과 그 발전, 그리고 실학적 사유의 요청이라는 시대적 흐름이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was written to study matters involving Sarim School writers' view of things and literary spirit in the sixteenth century focusing on the cases of Lim Hoon(林薰), Lee Whang(李滉) and Cho Sik(曺植), and kinds of changes developed for Sarim School's view of things on the history of Chinese classical literature in Korea based on methodology on Sarim's awareness of things.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usually divided awareness of things into three parts: materialistic awareness, ideological awareness, and historical awareness. This means that all of them form a triangular composition for recognizing things called 'Self-Things-Ideology.' A concept becomes a thing itself for a case of materialistic awareness an abstract ideology shown in Sung Confucianism for a case of ideological awareness, and concrete realities for a case of historical awareness. Among writers of Sarim School in the sixteenth century, Lim Hoon, who was somewhat open-minded toward Buddhist ideologies, conducted creative activities based main on materialistic awareness. Since it involves examining things themselves while looking at them, it can be summed up as 'Gwanmul-chalmul(觀物察物).' As for Lee Whang who adhered to a downright viewpoint of Sung Confucianism, ideological awareness played a leading role. As it examines ideology while looking at things. it can be summarized as 'Gwanmul-Challi(觀物察理)'. In addition, Cho Sik. who was open-mined toward Taoist ideologies as the same scholar of Sung Confucianism, was involved mainly in historical awareness. Since it deals with examining people and historical realities of their situations through things it can be summed up as 'Gwanmul-chalse(觀物察世) ' Although they are all scholars of Sung Confucianism, they have different viewpoints toward Buddhism and Taoism, and their viewing of things also appeared different as such. What kind of a correlation does view of things have with literary spirit? Lim Hoon developed a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independently and is called 'Gmng-oron(廣奧論)' 'Looking Widely' and 'Looking Deeply' on things were expressed as such Lim Hoon aimed to be aware of nature delicately. Lee Whang discovered the truth through nature and he thought of it as a place of interest and started writing poems. As he introduced Yi(理) as the ieal thing of imperishable truth his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was eventually concluded as Yi In addition Cho Sik aimed to take a serious view of historical realities through things. He concretized to 'Domul-sain (睹物思人)', which depicts thinking of people while looking at things and this meant that his literary spirit is adhered more to people and their historical realities. It seems as though a recognizing method for things went through some changes around the sixteenth century when Lim Hoon. Lee Whang and Cho Sik were active. This means that while ideological awareness for things continued materialistic awareness, which could be said a realistic reproduction, was strong before the sixteenth century, ideological awareness became stronger in the sixteenth century and historical awareness emerged slowly after that. This may had occurred with the introduction and development of Sung Confucianism and the reflection of the passage of an era with the requisition for realistic reasons.
정우락 한국유교학회 2024 유교사상문화연구 Vol.- No.95
이 글은 낙동강 연안에 건립된 서원 가운데, 정구가 제향된 곳을 중심으로 이들의 연대의식과 함께 ‘한강학풍(寒岡學風)’을 고찰하기 위해 기획된 것이다. 서원을 주목한 것은 이곳에서 조선시대 영남 선비들의 고민과 그들의 실천을 가장 확실하게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고는 낙동강 연안 가운데 대구권, 즉 구미, 칠곡, 김천, 성주, 대구, 고령 지역을 그 범위로 설정했다. 이 지역에 서원이 어떻게 존재하고 있으며, 이들 서원이 이 지역의 학술사에서 어떤 역할을 하였는가 하는 부분을 주로 파악하고자 했다. 이로써 낙동강 연안학인 ‘강안학’의 일 부면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다. 전국에 걸쳐 정구가 제향된 서원은 선조 연간에 건립된 창녕의 생사당을 포함하여 19개소이다. 이 가운데 대구권 서원으로는 연경서원(대구), 천곡서원(성주), 회연서원(성주), 사양서원(칠곡), 도동서원(대구) 등 5개소이다. 정구가 그러했던 것처럼 정주학을 중심으로 한 도학의 증진과 김굉필을 통한 도통의 확립은 대구권 강안학이 지닌 한강학풍의 제일의(第一義)이다. 그러나 도학을 확보하는데만 함몰되지 않고, 개방적 성향을 보이기도 했다. 이 지역에 퇴계학과 남명학을 교융시키면서도 기호 사인들의 문집이나 저술 목판이 대거 수장되면서 새로운 지식을 생성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측면을 본고에서는 ‘주체적 개방성’이라 명명하고 적극 다루었다. This article is designed to examine the "Han gang's Academic Style" along with their sense of solidarity, focusing on the places where the Han River Jeong-gu holds rituals among the seowon built on the coast of the Nakdonggang River. We focused on Seowon because it provides a glimpse into the concerns and practices of Yeongnam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We focus on the Daegu region, namely Gumi, Chilgok, Gimcheon, Seongju, Daegu, and Goryeong, along the coast of the Nakdong River. The main task is to understand the existence of vows in this region and the role they played in the academic history of the region, which is summarized in the ‘Han gang's Academic style.’ There are 19 seowon honoring Jeonggu across the country, including Changnyeong's Saengsadang(生祠堂), which was established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jo. Among them, there are 5 seowon in the Daegu area: Yeongyeong Seowon(Daegu), Cheongok Seowon(Sungju), Hoeyeon Seowon(Sungju), Sayang Seowon (Chilgok), and Dodong Seowon(Daegu). As with Jeonggu, the promotion of Dohak centered on Jeongjuhak and the establishment of Dotong through Kim Goengpil were the most important thing ‘Han gang's Academic style’ of Hanganhak in the Daegu area. However, it was not depressed only in securing Dotong, but also showed an open tendency. This is because while converging Toegyehak and Nammyeonghak in this area, knowledge was created by storing a large number of writings and woodblocks of writings of scholars in the Giho area. We could call this 'independent openness'.
정우락 慶北大學校 退溪硏究所 2006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38 No.-
본고는 이진상의 문학관을 살피는데서 출발했다. 그는 '直心'과 '明理'를 그 문학관의 기반으로 삼았으므로 부화한 수식을 배격하며 達意를 강조하게 된다. 이것은 성리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진 문학론이기도 했다. 이진상 스스로는 그의 문학이 성글고 거칠다(踈而宕)고 자평했다. 그는 활달한 문학적 기상이 있었으므로, '산수벽'과 '문자벽'을 동시에 지닐 수 있었다. 산수벽이 있었으므로 조선의 산수를 두루 기행하였고, 문자벽이 있었으므로 만나는 사물마다 흥을 일으키고 또한 수많은 작품을 창작했다. 이진상의 산수 기행은 다양하게 이루어졌는데, 이를 통해 그는 道脈을 생각하며 스스로의 의무를 자각하기도 하고, 국토산하를 굽어보여 거대한 자아를 체험하기도 하며, 또한 역사유적을 만나면서 회고의 서정을 느끼기도 했다. 사물을 만나면서 창작된 그의 문학에는 어떤 사상이 작용하였을까? 사물의 인식방법과 존재방법으로 나누어 볼 수 있었는데, 전자는 사물을 사실적으로 그리는 즉물적 인식과 사물을 통해 성리학적 이념을 살피는 이념적 인식이 강조되었다. 그리고 후자는 보편자와 개별자가 동시에 강조되는 조화적 존재와 개별자보다 보편자가 더욱 강조되는 합일적 존재가 중시되었다. 이것은 다시 사물에 대한 이념적 인식을 통한 합일적 존재를 성취하자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이같은 사상이 그의 문학에 작용하면서 그의 문학은 다양하게 생산된다. 그리고 이 사상은 사물로부터 본원을 보는 倒看의 인식론과 경험적 사실에서 궁극적 원리를 추론하는 逆推의 추리법이 그 기저에 있었고, 이것은 '心則理設'을 강조한 그의 주리론과는 방향을 서로 달리하는 것이었다. 추상적 논리의 세계인 철학과 구체적 경험의 세계인 문학은 상호 경쟁 혹은 협동한다. 이것은 이진상의 경우에서도 충분히 확인된다. 철학적 논리로 위의 추상적 태극에서 아래의 구체적 사물을 보았다면, 문학적 직관으로 아래의 구체적 사물에서 위의 추상적 태극을 보았다는 것이다. 그는 다양하고 복잡한 용어들을 제시하면서 장황하고 정밀한 철학적 논설로 주리론을 갈파했다. 그러나 감성에 그 출발점을 마련해 둔 문학작품은 짧으면서도 함축적이다. 이진상 문학의 경우 觀物察理의 이념적 인식과 개개의 사물에 내재해 있는 보편성을 더욱 강조하는 합일적 존재가 문학의 이면에서 중요한 원리로 작용하였다. This study began with an examination on Lee Jin-sang's views of literature. His literary view was based on "jiksim(直心:to make mind upright)" and "myeogri(明理:to clarify reason)", so he rejected rhetorical flourish and emphasized to inform others his ideas enough, which was a general literary theory of Neo-Confucianism philosophers. Lee Jin-sang assessed his own literature as loose and coarse one himself. Since his literary spirit was active, he could have "Sansubyeok(山水癖:to like nature too much)" and "Munjabyeok(文字癖:to like writing too much)" at the same time. His "Sansubyeok" caused him to travel widely throughout Korean hills and waters, and his "Munjabyeok" led him to be inspires by every things he met with and write a number of works. He made various tours in hills and waters, which made him think a spirit of duty and realized his own duties. Looking down at a country, he experienced a huge ego, and watching historical remains, he felt lyricism of recollection. What ideas influenced his literature written through meeting with things? The ideas can be divided into a recognition method and an existence method of things. The former placed emphasis on sachlichkeit cognition that things are described realistically and ideological cognition that philosophical ideas are examined through things. The latter attached importance to a harmonious being who emphasizes a universal person and an individual person more than an individual person, which was brought into a conclusion that a united being had effects on his literature, which was produced variously. In addition, these ideas were based on Dogan(倒看:thinking in reversed views)'s epistemology to see an origin through things and Yeokchu(逆推:to reason in the reverse order) to reason ultimate principle based on empirical facts. In this respect, it is different from his theory of Li, which emphasized "Simchiriseol(心卽理設:a theory that mind is reason)". Philosophy, the world of abstract reasoning, and literature, the world the concrete experience, compete or cooperate with each other. This respect is identified enough in Lee Jin-sang's literature. That is, using philosophical reasoning, he looked down at concrete things from the upper abstract entity of the cosmos and looked up at the abstract entity of the cosmos from the lower concrete things using literacy intuition. Presenting various and complex terms, he proclaimed the theory of Li with long and minute philosophical reasoning. However, his literacy works based on susceptibility were short and significant. In case of Lee Jin-sang's literature, ideological cognition of Gwanmulchalli(觀物察理:the theory of watching landscapes and thinking reason) and a united being emphasizing universality immanent in each thing affected the background of his literature as important principles.
정우락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9 남명학연구 Vol.63 No.-
남명학 연구의 새로운 돌파구를 마련하기 위하여, 우리는 남명학의 대중성과 실천성을 염두에 두지 않을 수 없다. 본고는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 남명의 합천 유적을 주목한 것이다. 합천지역의 주요 남명 유적은 12개소이다. 삼가면 5개소, 합천읍 2개소, 쌍책면 2개소, 가야·용주·대병면 각 1개소가 그것이다. 이 가운데 삼가면은 남명의 탄생지이자 남명이 뇌룡정과 계부당을 지어놓고 강학을 하였던 곳이니 특별히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들 유적에는 복원된 생가처럼 유적으로 남은 곳도 있고, 이영공유애비처럼 비의 형태로 남아 있는 곳도 있으며, 함벽루처럼 문학경관으로 남아 있는 곳도 있다. 남명 유적은 이처럼 매우 다양한 형태로 존재한다. 남명의 합천 유적에는 남명학의 주요 부면들이 잘 드러나 있다. 탄생지에서는 위대한 학자의 등장에 대한 예감, 뇌룡정과 함벽루에서의 부동과 역동이라는 남명 자아의 역설구도, 부모 묘비에서의 과장되지 않는 효심, 황강정과 사미정에서의 진정성 있는 우정, 이영공유애비에 나타나는 관료와 백성의 이상적 관계, 「을묘사직소」에서의 비판적 현실인식 등이 그것이다. 합천지역 남명 유적에 대한 활용 방안으로는 뇌룡정에서의 神性 찾기 프로그램 개발, 합천의 내외적 연계망을 활용한 남명학 문화탐방 노선 개발, 함벽루를 중심으로 한 회통 문화의 재구성 등을 꼽을 수 있다. 이로써 합천 공간을 중심으로 남명학의 핵심은 더욱 부각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t is inevitable to keep the popularity and practicability of Nammyung studies in mind in order to make a new breakthrough in the study of Nammyung studies. In this aspect, this study focused on Nammyung's relics in Hapcheon. There are 12 major relics of Nammyung in the Hapcheon area including five in Samga-myeon, two in Hapcheon-eup, two in Ssangchaek-myeon, and one in Gaya-, Yongju- and Daebyeong-myeon. Of these places, Samga-myeon deserves special attention as the birthplace of Nammyung and the place where he pursued study after building Noiryongjeong and Gyebudang. Some of the relics are in the form of restored house of his birth; others in the form of a monument like Iyeonggongyuaebi; and still others in the form of literary scenery like Hambyeokru. Nammyung's relics exist in very diverse forms. The major aspects of Nammyung studies are well revealed in his relics in Hapcheon. They include a prediction of a great scholar at his birthplace, the paradoxical structure of his ego between Budong and Yeokdong at Noiryongjeong and Hambyeokru, his unexaggerated love for his parents on their tombstones, his sincere friendship at Hwanggangjeong and Samijeong, ideal relations between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people in Iyeonggongyuaebi, and his critical perception of the reality in Eulmyosajikso. Based on these, the study made proposals for the utilization of his relics in Hapcheon: a program of finding divine nature at Noiryongjeong, a route to explore the culture of Nammyung studies based on Hapcheon's internal and external network,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Hoitong culture around Hambyeokru. These measures will help Nammyung studies based on space secure practicability as well as popularity.
정우락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25 영남학 Vol.- No.92
본 연구는 상주 죽암촌의 서계 김담수 가문에 대한 학문과 문풍을 강안학적 시각에서 접근한 것이다. 서계 가문은 낙동강 연안의 학문 특징인 『소학』을 바탕으로 한 실천윤리와 杜詩를 통한 현실주의적 시정신을 갖고 있었다. 김담수와 그의 아들들인 김정룡과 김정견, 그리고 7대손 김동필이 주요 연구 대상이며, 이들은 모두 낙암서원과 관련되어 있다. 죽암촌 서계 가문의 학문은 『소학』을 중심으로 하며, 강안학의 특징 중 회통성과 실용성이 두드러진다. 문풍은 시대에 따라 변화했는데, 김담수와 김정룡은 전쟁 체험을 바탕으로 두보의 침울하고 비개한 풍격을, 김정견은 소식의 웅혼하고 상쾌한 풍격을, 김동필은 도연명의 은일사상과 주자의 吟詠性情을 추구하는 등 다양한 문학적 특징을 보였다. 상주 죽암촌의 서계 가문은 강인함과 유연함 사이의 조화를 추구했다. 『小學』을 기반으로 한 현실주의적 세계관을 견지하면서도, 두시를 통해 우국의 정서를 표현하고 소식, 도잠, 주자의 풍격을 수용하는 유연한 문풍을 보였다. 이러한 강인함과 유연함의 조화가 지역 사회에서 어떤 역할을 했는지는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과제로 남아있다. This study approaches the academic lineage and literary atmosphere of the Seogye Kim Dam-su family in Juk-am Village, Sangju, from the perspective of Riverbank Studies(江岸學). Seogye family possessed the practical ethics based on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and a realistic poetic spirit through Du Fu's poetry, which are characteristic of the scholarship along the Nakdong River. Kim Damsu, his sons Kim Jeongryong and Kim Jeonggyon, and his seventh-generation descendant Kim Dongpil are the main subjects of research, all of whom are associated with Nagam Seowon(Confucian academy). The scholarship of the Seo Gye family in Jugamchon centered around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Amo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angahn school of thought, convergence and practicality are particularly prominent. The literary style evolved over time, showing diverse literary features: Kim Damsu and Kim Jeongryong, based on their war experiences, pursued the melancholic and sorrowful style of Du Fu; Kim Jeonggyeon sought the grand and refreshing style of Su Shi; and Kim Dongpil pursued the reclusive ideology of Tao Yuanming and Zhu Xi's poetic expression of emotions and nature. The Seogye family of Jukamchon in Sangju sought to balance strength and flexibility. While maintaining a realistic worldview based on the "Elementary Learning"(小學), they also demonstrated a flexible literary style that expressed patriotic sentiments through Du Fu's poetry and incorporated the styles of Su Shi, Tao Qian, and Zhu Xi. How this harmony between strength and flexibility played a role in the local community remains a topic for further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