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제의 동화정책에 이용된 신화

        Hosaka, Yuji 한국일어일문학회 1999 日語日文學硏究 Vol.35 No.1

        일제시대 한국에서의 동화정책은 특히 1930년대에 들어와서 「일선동조론(日鮮同祖論)」을 철저화시키는 가운데 진행되었다. 1937년에 조선총독에 취임한 미나미지로오(南次郎)는「내선일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한국에서의 총동원 체제를 만들어 나갔다. 그리하여 조선총독부는「內鮮史實의 再認識」을 실천정책 목표들 중 하나로 삼았다. 이러한 정책의 일환으로 한국에서의 국사 교과서가 수차례 개정되어,「일선동조론」 애 대한 기술이 점차 강화되어 갔다. 즉 일본의 국조신인 아마테라스 오오미카미(天照大神)의 동생 수사노오(소전명존)가 신라에 강림하여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내용이 국사교과서에 등장하게 되었다. 그 뿐만 아니라 수사노오와 檀君이 異名 同一神이라는 연구도 활발히 나와,「일선동조론」에 일조하고 있었다. 일제는「일선동조론」 에 반대하는 입장에서서 학설을 주장했던 츠다(津田左右吉)에게 유죄를 선고하는 등 언론탄압을 강화해 갔다. 「일선동조론」 은 조선총독이 공개적으로 말할 정도로 한국통치이념으로 작용되고 있었다. 그 당시 친일파들은 이러한 역사적 동화이념을 받아들이는 논리를 펴고 있었다. 그 논리는 다음과 같다. 한일은 고대에서 같은 신을 모신 같은 민족이었는데 한국이 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화되어 본연의 모습을 잃어 버렸다. 그래서 한일병합은 본연의 모습으로 회귀하는 것이고 일본과 하나가 되는 길만이 한국의 회생의 길이다. 3.1독립운동선언문을 쓴 최남선도 친일행각을 했으나, 「일선동조론」 의 핵심인 수사노오(소전명존) 한국시조설에는 반대하고 있었다. 그는 한국어 말살정책이 진행되던 일제말인 1943년에 한국어로 쓴 역사책을 펴내, 수사노오가 한국의 시조가 되었다는 「일선동조론」을 조용히 부정했다. 신화를 동원한 일제의 동화정책은 최남선과 같은 학자의 반대에 부딪치기도 하면서 여러가지 모순이 내재된 상태였다고 하겠다.

      • KCI등재

        한국인의 연령별 일본 이미지와 관련 요인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카가미토미요 ( Kagami,Tomiyo ),박애스더 ( Esther Park ),오카무라카요 ( Okamura Kayo ),코마츠미도리 ( Komatsu Midor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日語日文學硏究 Vol.94 No.2

        이 연구는 한국인의 연령별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도가 일본 이미지와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으로 인터넷을 통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은 2012년 12월 현재 한국에 거주하고 있는 13-18세, 20세, 25-29세, 30대, 40대, 50대, 60대 이상의 각 연령, 총 1049명이다. 설문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일본 이미지 척도는 카가미 토미요, 박지선 외 (加賀美常美代·朴志仙 ほか, 2010)에서 사용한 형용사 19항목에 사회적, 환경적인 내용을 추가하여 40항목을 작성하였다. 국민의식 척도는 카라사와 미노루(唐澤穰, 1994)의 ‘국민의식 척도 일본어판’을 토대로 한국인 유학생 5명의 인터뷰를 통해 얻은 항목들을 추가하여 작성하였다. 일본에 대한 관심은 카가미 토미요, 박지선 외 (2010)의 18항목으로 구성된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은 SPSS에 의한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이미지의 요인 분석 결과, ‘신뢰성’, ‘집단주의적 선진성’, ‘재해·사회문제의 심각화’, ‘공격성’, ‘개방성’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둘째, 한국인의 국민의식에 관한 요인 분석 결과, ‘한국인으로서의 자존심’, ‘국가적 우월성’, ‘외국에 대한 개방성’, ‘저(低)자기 관여적 배타성’, ‘한국의 발전 우선’의 5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셋째, 일본에 대한 관심에 관한 요인 분석 결과,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 ‘국제적 문제’, ‘일본 대중문화’, ‘한일간 영토·역사문제’의 4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이, 일본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 일본 이미지를 종속변수, 국민의식·일본에 대한 관심을 독립변수로 한 중회귀 분석을 연령대별(10대, 20대, 30·40대, 50대 이상)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긍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일본에 대한 관심의 하위 요인 중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과 ‘일본 대중문화’의 2개 요인으로 밝혀졌으며, 이러한 요인들이 동시에 있을 경우, ‘신뢰성’, ‘개방성’과 같은 일본에 대한 친화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것(카가미, 2013)으로 나타났다. 10대~40대까지는 영토·역사문제에 대한 관심의 정도가 낮은 것이 신뢰성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일본과의 적극적 접촉’은 ‘집단주의적 선진성’과 같은 다양하고 다각적인 일본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점이 명확해졌다. 한편, 부정적 이미지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국제적 문제’임이 밝혀졌으며, 10-40대까지는 국제적인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경우, 이것이 일본의 공격성 이미지와 관련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터넷이나 TV에 의해 국제적인 문제를 일상적으로 접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더욱이 30대 이상의 연령층은 국민의식 중 ‘국가적 우월성’을 가진 경우, 이것이 일본의 공격성 이미지와 관련이 있었다. 이처럼 일본 이미지 형성 요인에 한국인의 사회적 아이덴티티가 관련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일본 이미지의 형성에 관한 새로운 측면으로, 한국인의 일본에 대한 적극적 접촉이나 일본의 대중문화에 대한 관심의 정도뿐만 아니라, 한국인의 국민의식이 관련 요인으로써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밝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s’ National Identity(NI)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ir interests in Japan relate to the perception of Japan.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hrough online survey. The survey, completed on December 2012,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049 samples in 5 different age groups: age 13-18, 20, 25-29, 30-39, 40-49, 50-59, and +60. In terms of the subjects’ residential distribu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reas: 374 for Seoul, 260 for Gyeonggi-do, 262 for metropolitan cities, and 180 for other areas. There was no skewed effect based on location. Conten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o assess barometer for image toward Japan, 40 items including 19 adjectives from Kagami, Park, et al(2010) and other social and environmental items were used. Barometer of NI was composed after inspecting ‘Scale of NI-Japanese version’devised by Karasawa(1994) as a reference. 18 items from Kagami, Park, et al(2010) were utilized to scrutinize interest toward Japa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pertaining to image toward Japan, five factors including ‘credibility’, ‘collectivistic advancement’, ‘deterioration of natural disaster and social problems’, ‘belligerence’, and ‘opennes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Koreans’ NI, five factors including ‘pride as Korean’, ‘national superiority’, ‘openness toward foreign nations’, ‘exclusivity toward low relevance’, ‘development of Korea first’ were also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interests in Japan, four factors including ‘active contact with Japan’, ‘international problems’, ‘popular culture of Japan’, ‘territorial and histor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Japan’ were extracted as well. Based on these findings, to investigate how NI and interests in Japan influence Koreans’ perception of Japan, regression analysis via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image toward Japa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NI’ and ‘interest regarding Japan’ as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age groups (13-18, 25-29, 30-49, +50). As a result, ‘active contact’ and ‘popular culture’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that affect Image of Japan positively. Furthermore, these two factors appeared to have influence on ‘credibility’ and ‘openness’ that endorse friendly image to Japan. Low interests in territorial and historical problem from teens to subjects in the 40s affected ‘credibility’. Furthermore, ‘active contact toward Japan’ appeared to affect various and multidimensional image of Japan, such as ‘collectivistic advancement’.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problems’ turned out be a factor that affects image of japan negatively. For subjects from teens to the 40s who showed concerned over ‘international problems’, they appeared to relate their opinions to ‘belligerence’. Furthermore, subjects +30 appeared to perceive that there are relations between ‘Japan’s belligerence’ and ‘national superiority’. Based on these outcomes, it can be stated that Korean’s social identity can have possible effect in forming image of Japan. As outcomes from the above indicate, this particular study revealed some of new factors that have tremendous influence in forming image of Japan. These factors include ‘active contact with Japan’, degree of interests in the‘popular culture of Japan’ as well as ‘Korean’s NI’.

      • KCI등재

        者敬語を表す文体における日韓比較 - 韓国ドラマの韓日対訳から見る文体使用の違い -

        김지은 한국일어일문학회 2022 日語日文學硏究 Vol.123 No.-

        한국어와 일본어의 청자 대우를 나타내는 문체에는 존댓말과 반말의 대응이 있다. 이런 공통점으로 인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는 일본어의 정녕체(丁寧体)와 보통체(普通体)의 문체도 한국어의 존댓말과 반말하고 똑같은 운용을 한다고 생각한다(田所2015). 그러나, 한국 드라마의 한일 번역 자료에서 두 언어의 문체 사용을 비교한 결과, 다른 점도 있었다. 발화 5개 중 1개 이상이 두 언어의 문체가 일치하지 않았는데, 이는 곧 두 언어의 청자 대우 문체의 운용이 반드시 같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두 언어의 각 문체의 사용 빈도를 보면, 원본의 한국어에 비해서 번역본의 일본어에서는 정녕체가 적은 반면에 문체생략체(文体省略体)와 보통체가 많았다. 두 언어의 문체가 불일치 하는 타입은 6가지가 있는데, 그 중 가장 많은 것은 한국어의 존댓말에 일본어 보통체가 대응하는 타입이었다. 먼저, 한국어의 반말에 일본어 정녕체가 대응하는 경우는, 한국어의 추량형과 명령형의 반말을 여성 화자가 사용할 때, 일본어로는 정녕체인「でしょう」「なさい」로 바뀌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한국어의 반말을 일본어에서는 문 말을 생략하는 문체생략체를 사용함으로써 공손함을 조절하는 양상이 보였다. 한편,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것은 합쇼체보다 해요체에 많았다. 그리고, 한국어의 존댓말이 일본어에서 보통체가 되는 요인으로는 화자의 속성과 심리 상태, 그리고 번역 상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는데, 그 중 변동적인 화자의 심적 요인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다.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구말 음조 패턴에 관한 고찰-일 한 동일 문장을 사용한 비교 대조-

        키타노타카시 ( Kitano Takash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9 日語日文學硏究 Vol.108 No.-

        이 연구는 한국어 서울 방언을 모어로 하는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에 나타나는 음조 패턴에 대해서 같은 내용의 문장을 사용해서 일본어와 한국어 양언어로 어떤 차이와 공통점들이 있는지 실험과 고찰을 실시한 것이다. 그 결과 모든 피험자의 일본어와 한국어의 음조 패턴이 높은 빈도로 같은 음조 패턴이 관찰되어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어미 상승은 발화 의도를 거의 가지지 않는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기존의 선행연구는 한국인의 어미 상승 현상은 그들의 모국어인 한국어 서울 방언의 특징인 무악센트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지만 일본어 모어화자 중에서 어미 상승현상이 많이 나타나고 있는 점을 근거로 한국인 학습자가 일본어 모국어 화자를 모방하고 있다는 견해도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에서 나타나는 어미 상승현상의 원인을 보다 확실히 할 목적으로 키타노(2017) 의 연구에서 같은 문장을 낭독해서 조사의 사용경향을 분석한 결과 특정 조사와의 공기관계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은 의도적인 발화 의도를 가지지 않는 단순한 모국어의 영향을 받은 것이라는 결과를 얻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키타노 (2017) 의 연구결과를 보강해서 한국인 학습자의 어미 상승 현상의 원인을 발화 의도를 가지고 있는 의식적인 언어 활동이라는 면보다 모국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언어 현상이라는 가설이 설득력을 얻게 되었다. The purpose of the paper is to describe the results of an examination of the UPTALK phenomenon among Korean learners, which is categorized by the pitch patterns made by Korean learners wi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that have the same meaning. Clear similarities were demonstrated in the position and patterns of UPTALK in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among many of the participants. Previous researchers have also demonstrated that UPTALK among Korean learners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and it is simply influenced by the Seoul Korean, which is known as a intonational dialect . It has also been observed that Korean learners imitate the UPTALK behavior of native Japanese speakers, especially among young females, such as when UPTALK has been observed in conversations. My previous research (Kitano 2015) provided clear evidence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providing evidence that Koreans learning Japanese use UPTALK for case-marking particles,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mostly use UPTALK for conjunctive particles. This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and it is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The results of this additional analysis, which is described in this paper, indicate clear differences between the UPTALK patterns of Korean learners and Japanese native speakers. Korean learners use UPTALK with both Japanese and Korean sentences with clear similarities in the position and pattern of the UPTALK phenomenon, while Japanese native speakers use less UPTALK with Japanese sentences. This again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Korean learners’ UPTALK is a language behavior mainly influenced by their mother language but not a conscious language behavior with intended meaning of intonation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심도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시점을 중심으로-

        윤호숙 ( Youn Ho-sook ),윤정훈 ( Yoon Jeong-hun ),최진희 ( Choi Jin-hu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국제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일본어 학습의 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의 중요성에 의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일본어교육의 관심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특히 문화에 관한 관심도 연구는 대부분이 제2언어에 있어서의 동기부여의 요인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관해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특히 식문화)` `일본 여행`이고 낮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개요` `일본의 대중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교육 시 필요한 학습항목에 관해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이 앞으로 일본어 수업과 교재개발 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학습내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관심도가 낮은 항목이라고 해도 교육적인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은 존재한다. 즉, 학습자가 관심이 높다고 해서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에만 너무 국한되면 교육의 기본 가치가 문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학습할 때 전제가 되는 `일본의 개요` 등은 교재개발과 수업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유학` 등 장기체류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일본의 생활 정보`에 관한 학습내용도 필요하다. 본고의 의의는 선행연구에 비해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추출하여 세부적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관심도를 조사할 수 있었으며 일본어교육과 교재개발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였고 학습내용의 방향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에 관한 관심도를 더욱 검토하여 금후 일본어 교육과 교재개발에 적극 활용하려고 한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understanding on learning Japanese and learning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est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required. However, there were not much research conducted on this area which concern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cultural impact has been merely dealt with as a motivational factor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as detailed the degree of the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s possible. In the result of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re highly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such as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Specially about food)” and “Travel to Japan” whereas “Overview of Japan” and “Japanese public Culture” are less popular. Thus, this issue of learning items is needed for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future and the items like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and “Travel to Japan” are considered to put in priority when people make lesson plans and its textbooks. However, the parts which the learners felt less interested in is also need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since there are some learnable contents in it. In other words, it would cause some problems when instructors only focus on this area which learners prefer to lear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ning and textbook development.Also“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is recommended to learners who want to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can examine the specific survey items which detailed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teres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will identify through this study.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Media`, `Japan`s daily life`, `Travel to Japa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 and textbook development. Also, `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 is recommended to the learners who want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were able to examine the extract specific survey items detailed in interest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y was uninteresting points to consider in the Japanese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considering the high learning content future needs was is tha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ill try to take advantag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 KCI등재

        일본문학(日本文學),일본학(日本學) : 소창문고본(小倉文庫本)「천주십계(天主十戒)」 필사의 배경 -「셩찰긔략」을 중심으로-

        정영아 ( Young Ah Jung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0 日語日文學硏究 Vol.75 No.2

        本稿では中村庄次郞が1932年小倉進平に寄贈した約27冊の本の中で珍しくカトリック關係のものである「天主十戒」という筆寫本について硏究した。中村庄次郞が「天主十戒」をどの書物、または資料をもとに筆寫したかを硏究するために、まずは朝鮮時代後期に存在したカトリック資料についてモリス·ク―ラントの『韓國書誌』に基づいて目錄を作成し、この中で天主十戒(十誡)の內容を含めている資料を調査し、「天主十戒」と比較、及び分析してみた。その結果、「天主十戒」と「省察記略」を告解の秘跡の準備用省察書と分類することができた。しかし、文末の表現以外の各誡命に相當する文章とその項目の數などで違いかかなり存在することを發見することができた。こういうところから、中村庄次郞は「省察記略」のような告解の秘跡の準備用省察書の性格を持っている別のカトリック關係の書物、または省察書をもとに「天主十戒」を筆寫した可能性があると考えられる。このような可能性について硏究するためには韓國だけではなく、日本の資料も調査して硏究した方が役に立つと思う。今後の硏究でその可能性のために、日本の明治時代のカトリック關係の資料にはどういうものが存在して、そのなかみはとういう內容と構成でできているのかを硏究することで、中村庄次郞が「天主十戒」を筆寫した當時に參考した可能性が高い資料について參考したいと思う。そして中村庄次郞の「天主十戒」が韓國及び日本のカトリック資料と歷史に持つ意味について考察したい。

      • KCI등재

        변화의 결과문에대한 한 일양국어의 대조연구 : 「 ボクハウナギニナル 」 문을 중심으로 Focusing on 「 Bokuwa Unagini Naru 」 sentence type

        황미옥 한국일어일문학회 1997 日語日文學硏究 Vol.30 No.1

        본 논문은 ウナギ文에 대한 한·일 양국어문법의 대조 연구중, 특히「ボクハ ウナギニ ナル」(변화의 결과문)을 중심으로 論을 전개하였다. 한·일 양국어의 변화의 결과문을「ダ」型文,「이다」 型文을 보문으로 하는 삽입구조로 보는 견해에서 출발하며, 일본어의 변화의 결과문은 「名詞十二」이외에, 形容動詞文(ナ形容詞文), 形容詞文(イ形容詞文), 動詞文등이 變化動詞 「ナル」의 보문으로써 사용되고 있으며, 한국어에 있어서도 「名詞+이/가」「名詞+으로」 이외에 형용사문, 동사문등이 변화동사「되다」의 보문으로써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변화의 결과문을 「ダ」型文,「이다」型文을 보문으로 하는 삽입구조로 볼 때, 일본어의 변화문에 사용되고 있는「명사+二」, 한국어의 변화의 결과문에 사용되는 『명사+이/가』『名詞+으로』의 『二』「이/가』『으로』의 분류상의 문제가 제기된다 하겠다. 일본어 「二」와 한국어 『이/가』『으로』는 의미상에 있어서는 指定詞와 일치점을 찾아 볼 수 있어, 일본어 『二』는 指定 助動詞 「ダ」의 활용형의 일종으로 파악되나, 한국어의 경우 指定詞「이다」의 활용형의 하나로 간주하기에는 무리가 따르리라 생각한다. 결과문의 의미구조를 살펴보면 주어와 결과어와의 일치, 意味의 多義性을 찾아 볼 수 있다. 한국어의 결과문 「이/가 되다」「으로 되다」를 변성과 속성으로 의미 구분을 하여, 변성의 경우에는「NP_1가 NP_2이다」의 主·述관계가 성립하지 않고 속성의 경우에만 「NP_1가 NP_2이다」의 主·述관계가 성립한다는 견해도 있으나, 변화의 결과문을「이다」型文을 보문으로 하는 삽입구조로 간주할 경우, 속성과 변성의 의미 해석문제는 해석되리라 본다. 결과문의 통사구조를 살펴보면, 「NP이/가, 으로」「NPに」의 생략불가,「NP이/가, 으로」「NPに」에 있어서 「이/가, 으로」「に」의 생략불가, 「NP」의 連體修飾 불가, 「NP 이/가, 으로」「NPに」의 이동불가, 부사구 삽입제약 등의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으나, 일본어의 경우 「NP」와 「に」사이에 격조사가 올 수 있으나, 한국어의 경우,「NP」와 「이/가, 으로」 사이에 격조사는 올 수 없으며 「NP으로」는 「부터, 까지」와 같은 특수조사는, 예를 들면, 「NP부터로, NP까지로」등과 같이 사용됨을 알 수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일본어와 한국어의 차용어 음운구조 -삽입모음의 유형과 특징에 관하여-

        손범기 ( Bum Ki Son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4 日語日文學硏究 Vol.89 No.1

        본고는 일본어와 한국어의 차용어적응에 나타나는 삽입모음의 유형과 그 특 징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삽입모음의 유형은 크게 기정치 모음, 자음동화,모음 조화로 분류되는데, 일본어는 이 세 가지 유형이 모두 나타나는데 비해, 한국어 는 기정치 모음과 자음동화만이 나타나고 있다. 본고는 일본어 차용어의 모음삽 입 중 원어가 /tw/연쇄일 경우 높이의 모음조화가 일어나는 것을 지적하고 이를 형식적으로 설명하였다. 또한 일본어와 한국어에 일어나는 삽입유형의 하나인 자음동화는 원어가 순음, 구개마찰음, 구개파찰음일 경우 그 순음성에 대한 지 각의 차이로 인해 순음 동화에 의한 /u/와 구개음 동화에 의한 /i/가 삽입되는데, 이러한 원어의 지각은 양 언어 간에 차이가 있다는 점을 논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the types of vowel epenthesis and its properties in Japanese and Korean loanword adaptation. There are three possible epenthesis strategies: (i) insertion of a default vowel, (ii) place assimilation from neighboring consonant (i.e., consonant to vowel assimilation), and (iii) vowel harmony (spreading of vocalic properties). Japanese shows all types of epenthesis strategies, but Korean reveals only two types of epenthesis: (i.e., (i)(ii)).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Firstly, I will clarify that there is a vowel height harmony in /tw/-cluster in Japanese loanword and analyze it formally based on autosegmental representation. Secondly, there have effects of perceptual assimilation in consonant to vowel assimilation in Japanese and Korean. In Japanese, /□, □/ of source language have strong acoustic cue, relatively longer duration of friction noise involving lip rounding, that Japanese listeners perceive as [□□, □□], but /□□, □/ have relatively shorter duration of friction noise involving lip rounding, so Japanese listeners perceive them as [t□i, □i] in which high front vowel [i] is inserted. In Korean, the same acoustic cues of /□, □, □□, □/ do not play a role of perception of native vowel [u], so Korean listeners perceive them as [t□i, t□i, t□hi, t□i]. There seems to be disagreement on perception of roundness of /□, □, □□, □/ in Japanese and Korean loanword adaptation.

      • KCI등재

        李箱「童骸」における橫光利一の受容 - 横光利一「頭ならびに腹」「皮膚」との比較を中心に -

        謝惠貞 한국일어일문학회 2020 日語日文學硏究 Vol.115 No.-

        During the 1920s and 1930s, the acceptance of Riichi Yokomitsu in Korea, China and Taiwan has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modernism in East Asia. The acceptance of Yokomitsu by the Korean writer, Yi-sang, has been based on the similar scene-settings written in “Nalgae” by Yi-Sang and “Me Ni Mieta Shirami” by Yokomitsu, with the parody of “Kim Youjung” by Yi Sang on “Kikai” by Yokomitsu serving as the basis. In this study, “Atama Narabini Hara” and “Hifu” are compared to analyse the acceptance of Yokomitsu in “Donghae” by Yi Sang. The study discovered that Yi Sang has inherited the image of children “scheming the fate” designed in “Atama Narabini Hara” and the shallowness of cities in “Hifu” by Yokomitsu to analyse the main character’s love and hatred for rapid modernity. What’s more, the connections and relations between both writers’ literature and art perspective are analysed as well. There is a great similarity between “Shinkankakuron (Theory of the New Sensation)” and the Theory of Literature on a Materialistic Basis” by Yokomitsu and “The Cradle of Modern Art.” He used the term “antenna” to include the subjectivity and features of materialism proposed by Yokomitsu, and he also reappraised the love experiment of a modern girl named Yim in “Donghae” by Yi Sang. In the story, the author used the, irony and meta-dialog of the conversation to observe the subjectivity of “terrifying” Yim. It is also to be noted that the main male character in “Donghae” desires to be exactly a replica of Yim, through the “fear” of his own subjectivity. The story, “Donghae”, was formed into a dead mask of text, passing on as an epigram to the readers. 1920 에서 1930 년대 한국, 중국, 대만의 요코미츠 리이치(橫光利一) 수용은 동아시아의 모더니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그 중 한국 작가 이상(李箱)에 의한 요코미츠 수용에 관해서는 「날개」와 요코미츠의 「눈에 띈 이」의 장면 설정의 유사성과 「김유정」에서 요코미츠의 「기계」 패러디 등을 중심으로 연구되었다. 하지만 이번 연구에서는 요코미츠의 「머리와 배」, 「피부」를 이상의 「동해」와 비교하여 요코미츠 수용에 관해 탐구해 보았다. 필자는 「머리와 배」에서는 요코미츠의 “운명의 계산”을 이어받은 아이 이미지를「피부」에서는 폄하된 도시의 피상을 따라 질주하는 모더니티(modernity)에 대한 주인공의 애증을 분석했다. 또한 양자의 문학·예술론의 영향 관계를 분석하여 요코미츠의 「신감각론」및 「유물론적 문학론」과 이상의 「현대 미술의 요람」의 고도의 유사성에 주목하였으며, “촉각(손) ”이라는 용어에 요코미츠의 유물론적“주관” 개념과 역할이 응축되어 있으며, 나아가 「동해」에서“평가”와 현대 여성 임(姙)에 대한 연애 장면을 실험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이상은 대화, 반어, 메타적 언어를 구사하고, “두려워하는” 자신의 주관이“무서운” 분신임(姙)의 주관을 관찰함으로써 이 작품을 문자화의 데스마스크로 만들어 경구(에피그램)로서 남겼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