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워드 클라우드 기법과 KJ법을 통한 교양교육 연구 동향
박애스더(Park, Esther),김정민(Joungmin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4
본 연구는 최근 대학의 교양교육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정량분석(빅데이터)과 KJ법을 활용한 정성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정량분석은 워드클라우드를 활용하여 교양 관련 키워드를 시각적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하였으며 더 나아가 도출된 키워드들의 전체상과 구조를 한눈에 파악하기 위하여 KJ법을 적용하였다. 지난 10년간(2010년 1월-2019년 12월) ‘교양교육’으로 검색된 등재후보지 이상의 학술지에 게재된 학술논문은 총 836건이었으며,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지에 게재된 교양교육에 대한 년도 별 동향은 2007년을 기점으로 점점 증가추세를 보이다가 2016년을 기점을 전체 교양교육 연구의 15%가 상승하였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교양교육 연구들은 워드클라우드 분석 결과, 교양교육과 관련하여 높은 빈도를 보인 키워드는 교육과정, 매개효과, 분석, 연구, 학습자, 자기효능감, 핵심역량 순이었다. 둘째, 키워드 분석 결과로 도출된 209개 키워드의 전체상을 파악하고자 KJ법을 활용하여 키워드 구조를 분석한 결과, ‘교육 분과(61)’, ‘교육 지향점(52)’, ‘교육 운영(42)’, ‘교육 주제(26)’, ‘교수법(21)’, ‘연구 방법(7)’이라는 6개의 그룹이 도출되었다. 그 결과, 미래산업에 대한 역량을 높이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양교육 운용에 대한 고민이 제기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교양교육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워드클라우드와 KJ법을 활용하였으며, 이를 통해 향후 교양교육 연구를 위한 현안 및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학문적 의의가 있다. This study conducted a quantitative analysis (big data) and a qualitative analysis using the KJ method to understand the recent trends in liberal arts education in universities. Quantitative analysis made it possible to visually recognize keywords related to culture using word cloud, and further applied the KJ method to grasp the overall image and structure of the derived keywords at a glance. In the past 10 years (January 2010-December 2019), a total of 836 academic papers were published in journals with nominations or higher searched for ‘liberal education’, and the main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can be seen that the annual trend of liberal arts education published in academic journals gradually increased from 2007, and then 15% of the total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increased from 2016. Second, liberal arts education studies were in the order of word cloud analysis, and keywords that showed high frequency related to liberal arts education were in the order of curriculum, mediating effect, analysis, research, learners, self-efficacy, and core competencie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keyword structure using the KJ method to grasp the overall picture of 209 keywords derived from the word cloud analysis result, ‘education division(61)’, ‘education direction(52)’, ‘management(42)’, ‘education subject(26)’, ‘teaching method(21)’, and ‘research method(7)’, 6 groups were derived. It can be seen that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management of liberal arts education as part of an effort to enhance capabilities for future industries. This study has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provides current issues and implications for future liberal arts education research through the use of word cloud and the KJ method to grasp the research trends of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last 10 years.
박애스더(Park Est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8 한국청소년연구 Vol.29 No.3
이 연구는 부모와 동행하여 중국에서 생활하다가 귀국한 학생의 대학생활은 어떠한지를 탐색하기 위해 서울 지역 대학생 6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사례 연구 중 하나의 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하였다. KJ법은 어떠한 현상을 드러내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연구자의 선입견에 의한 선지식을 배재한 상태에서 재구성한 후, 그것을 연구자가 최종적으로 해석 · 고찰하여 문제 요인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을 도모하는 연구방법론으로 어떠한 현상의 전체상을 파악하는데 적합하다. 분석 과정은 ‘취재→자료 전사→라벨 만들기→그룹 편성→도해화→서술화’의 순서로 진행된다. 분석 결과, 중국 귀국학생의 대학생활에 관해서는 총 6개 그룹이 도출되었다. 사례 수가 많은 순으로 보면, ‘불만족스러운 생활’, ‘만족스러운 생활’, ‘개방적인 태도’, ‘대인관계에 대한 바람’, ‘미래에 대한 걱정’, ‘학교생활관련 정보’의 순이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중국 귀국학생은 현재 대학생활에 대해 불만족스러워하고 있으며 그렇기에 자신의 미래에 대해서도 걱정하고 있었다. 한편,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개방적인 태도로 직면한 현실을 수용하였고 현재의 대인관계가 개선되기를 바라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대인관계의 중요성과 대학 문화의 문제점, 둘째, 귀국학생에 대한 대학 내 교육적 지원의 문제점, 셋째, 귀국학생의 체류 국가 및 출국 유형 관련 특성에 관해 논의하였다. 향후 과제로 귀국학생의 대학 졸업 후 진로선택에 관해 조사하여 학령기 해외생활의 영향과 이러한 해외생활 경험의 수용 양상을 보다 종합적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plored the university life of returnees (hereinafter returnees from China) who had came back to Korea during middle and high school, after staying in China with their parents.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ix university students within the Seoul region, and the KJ method was used for the analysi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for the university life of the returnees from China, six groups were extracted: “dissatisfaction in life”, “satisfaction in life”, “information regarding university life”, “extroverted attitude”, “desires related to social interactions”, and “concerns about the future”. From thes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returnees from China were dissatisfied with their current university lives, which can also reveal that they are concerned about their future. Yet, they were shown to be tolerating the reality that they face in an extroverted attitude, and they are currently hoping to improve their social relationships.
재한 일본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갈등과 대처에 관한 사례 연구
박애스더(Park Esther)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연구 Vol.32 No.2
본 연구는 국내 대학 내 문화 간 접촉의 맥락에서 일본인 유학생이 경험하는 사회적 갈등 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서울 및 부산 지역의 사립대학 학부 유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서면조사와 개별 면담을 실시하여 질적 사례 연구방법인 KJ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일본인 유학생의 대학생활 갈등은 대인관계 곤란, 한국인의 반일감정으로 인한 불쾌감, 한국어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주요내용으로 도출되었다. 둘째, 갈등 상황 귀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한국인 개인 및 집단에 귀인한 외집단 요인이 가장 많았고, 내외집단 공동 요인, 내집단 자기 요인, 문화 요인의 순이다. 셋째, 갈등 대처는 소극적으로 대처하기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하였으며, 주로 제3자 개입, 주장 및 통합하는 전략을 사용하였다. 넷째, 대처 시 감정은 부정적이었으며, 타인에 대한 외적 부정 감정보다 스스로에 대한 내적 부정 감정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처 후 감정 변화가 있는 경우는 소수였다. 갈등이 해소되었거나 학습 의욕으로 전환되어 긍정적으로 변화한 경우, 부정적인 감정이 악화된 경우, 스트레스 상황이 중단된 경우가 도출되었다. 다섯째, 갈등 내용부터 감정까지 각 과정의 관련을 검토한 결과, 일본인 유학생이 대학생활 중 직면한 갈등에 적극적으로 대처하여도 갈등이 해소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일본인 유학생이 대학생활 중 직면한 갈등 현상을 스스로의 노력만으로 해소할 수 없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유학생이 직면한 갈등 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대학 구성원의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논의하였다. This paper sought to understand the social conflicts experienced by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within the cultural contexts of Korean universities. The research methodology used centered on written surveys and interviews conducted upon 10 undergraduate students at private universities in Seoul and Busan using the KJ analysis method. As a result, ‘difficulties in interpersonal relations’ was derived as a major group. Second, the analysis of conflict attribution showed in order that ‘external group factors’ was the most common. Third, the analysis of conflict coping strategies showed that they are more ‘active’ than ‘passive’. Fourth, the emotions in coping were all negative, resulting in more internal negative emotions that in most cases remained the same or deteriorated. Fifth,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relevance of each process from conflicts to emotions, the conflicts remained unresolved even though Japanese international students actively dealt with what they faced during their university lives. Therefore, it has been concluded in this study that the following members of the university system, namely: the administrators, teaching staff, and students themselves evidently need to be more aware of the above mentioned difficulties experienced by the Japanese international undergraduates, and extend support towards this group.
전체 학부모 대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교육전문가집단 FGI 연구
권미경(Migyoung Kwon),박애스더(Esther Park) 한국다문화복지학회 2024 복지와 문화다양성연구 Vol.6 No.2
본 연구는 전체 학부모를 위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기 위한 기초연구의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학부모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설계 방안에 대한 FGI를 실시했으며, 분석 결과 5개의 대주제와 17개의 소주제가 도출되었다. 5개의 대주제는 ‘다문화 관련 학교 현황’, ‘학부모의 교육 참여’, ‘학부모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설계 방안’, ‘학부모 다문화교육 참여 유인 방안’, ‘교육 기대효과’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 학부모 대상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설계와 실행을 위해 다음을 제언하였다. 첫째, 학부모의 동기부여를 중요한 요소로 고려해야 한다. 둘째, 학부모의 특성을 반영하여 자녀교육과 연계되는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설계가 필요하다. 셋째, 다문화 학부모도 소외되지 않고 함께 참여할 수 있는 방향의 프로그램 설계가 필요하다.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reliminary research with the purpose of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in multicultural and non-multicultural families. An FGI(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12 educational experts to design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resulting in 5 major themes and 17 sub-themes. The 5 major themes are ‘Current State of Schools Regarding Multiculturalism,’ ‘Parental Participation in Education,’ ‘Strategies for Designing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Strategies to Encourage Parental Participation i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Expected Educational Outcome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were made for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for parents. First, it is important to consider motivating parents as a key factor. Second, it is necessary to design a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 linked to children’s education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parents. Third, the program should be designed in a way that ensures multicultural parents are not excluded and can participate together.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를 대상으로 한 비교과 교육 인식 및 제고 방안
김정민(Joungmin Kim),박애스더(Esther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15
목적 본 연구는 대학의 비교과에 대한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 및 비교과 경험이 있는 팀장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비교과 교육의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함이다. 방법 16명의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 및 팀장을 대상으로 FGI를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이질적인 정보로부터 새로운 발상을 이끌어 내기 위한 KJ법에 근거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KJ법의 분석 과정은 라벨 만들기, 그룹 편성, 도해화, 서술화의 4단계로 이루어진다. 결과 KJ법 분석 결과 최종적으로 도출된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와 팀장의 비교과 교육에 대한 인식을 라벨 수가 많은 것부터 보면, 비교과 교육 실무 운영자는 관리 운영 방안(58), 문제 상황 파악(38), 운영 실태(30), 운영 성과(29), 운영의 어려움(25), 운영 노력(13)의 순이며 이는 총 193개의 라벨로 구성된 6개 그룹으로, 그룹별 구성은 5단계 그룹 2개, 4단계 그룹 3개, 3단계 그룹 1개다. 팀장은 관리 운영 방안(33), 운영 성과(19), 문제 상황 파악(16), 비교과 인식(7)의 순으로 그룹이 도출되었으며 이는 총 75개의 라벨로 구성된 4개 그룹으로, 그룹별 구성은 5단계~2단계 그룹 각 1개다. 결론 본 연구의 시도와 결과는 향후 효율적으로 비교과 교육을 운영하여 성과를 도출하기 위한 방략을 세우는데 구체적인 정보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staffs and department team leaders about extra-curricular in universities and to explore the future development direction of non-specialty education based on thi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by performing FGI for 16 extra-curricular staffs and department team leaders, and the collected data were qualitatively analyzed based on the KJ method to derive new ideas from heterogeneous information. The analysis process of the KJ method consists of four steps: label making, group organization, illustration, and narrative. Results After going through the KJ method analysis process, finally looking at the employee's perception of extracurricular education in the order of the number of label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staff’s perceptions of extra-curricular are Suggestion of operation direction(58), Identification of problematic situation(38), Status(30), Performance(29), Difficulty in operation(25), and Operation effort(13) were derived in the order. There are 6 groups with a total of 193 labels, and each group consists of 2 groups at 5th level, 3 groups at 4th level, and 1 group at 3rd level. Second, the team leaders were derived from the group in the order of Suggestion of operation direction(33), Performance(19), Identification of problematic situation(16), Awareness of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extra- curricular(7), which consists of four groups consisting of a totla of 75 labels, with one group of five to two stages. Conclusions The trial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they provide specific information for establishing strategies to derive effective non-extra-curricular education operations and outcomes in the future.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 연구 동향 분석
이상희(Lee, Sang-Hee),박애스더(Park, Esther) 한국학습장애학회 2018 학습장애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사회성 발달 프로그램의 국내 연구 동향 파악을 목적으로 1998년부터 2018년 2월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21편의 연구를 분석하였다. 전반적인 연구 동향으로 연구 대상, 연구 유형, 프로그램 설계 및 결과, 중재 방법에 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대상은 장애위험 영아 14편, 장애 영아 7편으로 나뉘고, 실험 연구가 18편으로 다수였다. 프로그램은 주로 가정에서 진행하였고, 프로그램 효과의 유지 여부를 검토한 연구는 10편으로 과반에 못 미쳤다. 독립변인은 자연적 환경 중재 전략을 사용하였고, 종속변인은 어머니와 영아 또는 교사와 영아의 상호작용의 변화를 시도한 프로그램이 가장 많았다. 프로그램 실시 결과, 전반적으로 영아의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중재 방법은 부모를 대상으로 개별적 접근을 통해 과제 점검과 시범(모델링) 등을 실시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장애 및 장애위험 영아의 적절한 사회성 발달을 위한 교육적 지원 실행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domestic research trend of the sociability developmental programs targeting infants with disability and those at risk, by analyzing twenty-one studie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1998 to 2018. Our major focus in researching the studies was to analyze their research target, research type, program designs and results, as well as their mitigating methods. As a result, they were classified into 14 studies that involve infants at the risk of developing disability and 7 studies involving the infants with disability. As for the type of research, 18 studies were identified as research with experiments. In terms of program design, most of research setting was home. There was relatively a small portion of research, with 10 studies examining the maintaining effect of the program. The study implemented naturalistic intervention as the independent variable. For the dependent variable, it appears that many of studies attempted on using changes in the reciprocal relationship between the mother and the infant or the teacher and the infant. The overall study results suggest that the program positively effected on the sociability development of the infant. Parents were individually contacted to inspect and demonstrate the project. Therefore, further studies on the educational implementation and the support for infant’s optimal development in sociability will be needed and should be sustained in the future.
한국인의 연령별 일본 이미지와 관련 요인 -국민의식과 일본에 대한 관심을 중심으로-
카가미토미요 ( Kagami,Tomiyo ),박애스더 ( Esther Park ),오카무라카요 ( Okamura Kayo ),코마츠미도리 ( Komatsu Midor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5 일어일문학연구 Vol.94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Koreans’ National Identity(NI) in different age groups and their interests in Japan relate to the perception of Japan. This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hrough online survey. The survey, completed on December 2012,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049 samples in 5 different age groups: age 13-18, 20, 25-29, 30-39, 40-49, 50-59, and +60. In terms of the subjects’ residential distributi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different areas: 374 for Seoul, 260 for Gyeonggi-do, 262 for metropolitan cities, and 180 for other areas. There was no skewed effect based on location. Conten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to assess barometer for image toward Japan, 40 items including 19 adjectives from Kagami, Park, et al(2010) and other social and environmental items were used. Barometer of NI was composed after inspecting ‘Scale of NI-Japanese version’devised by Karasawa(1994) as a reference. 18 items from Kagami, Park, et al(2010) were utilized to scrutinize interest toward Japan.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pertaining to image toward Japan, five factors including ‘credibility’, ‘collectivistic advancement’, ‘deterioration of natural disaster and social problems’, ‘belligerence’, and ‘openness’ were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Koreans’ NI, five factors including ‘pride as Korean’, ‘national superiority’, ‘openness toward foreign nations’, ‘exclusivity toward low relevance’, ‘development of Korea first’ were also extracted. As a result of analysis pertaining to interests in Japan, four factors including ‘active contact with Japan’, ‘international problems’, ‘popular culture of Japan’, ‘territorial and historical dispute between Korean and Japan’ were extracted as well. Based on these findings, to investigate how NI and interests in Japan influence Koreans’ perception of Japan, regression analysis via stepwise method was conducted by setting ‘the image toward Japan’ as a dependent variable and ‘NI’ and ‘interest regarding Japan’ as independent variables. Respective analyses were conducted in different age groups (13-18, 25-29, 30-49, +50). As a result, ‘active contact’ and ‘popular culture’ turned out to be the factors that affect Image of Japan positively. Furthermore, these two factors appeared to have influence on ‘credibility’ and ‘openness’ that endorse friendly image to Japan. Low interests in territorial and historical problem from teens to subjects in the 40s affected ‘credibility’. Furthermore, ‘active contact toward Japan’ appeared to affect various and multidimensional image of Japan, such as ‘collectivistic advancement’. On the other hand, ‘international problems’ turned out be a factor that affects image of japan negatively. For subjects from teens to the 40s who showed concerned over ‘international problems’, they appeared to relate their opinions to ‘belligerence’. Furthermore, subjects +30 appeared to perceive that there are relations between ‘Japan’s belligerence’ and ‘national superiority’. Based on these outcomes, it can be stated that Korean’s social identity can have possible effect in forming image of Japan. As outcomes from the above indicate, this particular study revealed some of new factors that have tremendous influence in forming image of Japan. These factors include ‘active contact with Japan’, degree of interests in the‘popular culture of Japan’ as well as ‘Korean’s N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