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언택트 시대의 일본어교육 패러다임의 전환 - 한국의 일반대학과 사이버대학의 원격수업 현황 및 전망 과제 -

        尹鎬淑 ( Youn Ho-sook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1 일본어교육연구 Vol.- No.54

        본고에서는 코로나로 인해 대면수업이 중심이었던 한국의 일반대학에서 갑작스럽게 진행된 일본어 원격수업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또한 개교 때부터 전면 원격수업으로 진행되고 있는 사이버대학의 수업 운영사례와 비교해서 교수법과 언어습득법, 상호작용, 협동학습, 학습자주도형학습, 교수자 역할의 변화를 중심으로 원격수업의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모색했다. 앞으로 IT기술이 교육에 잘 적용되어 일반대학에서도 원격수업이 활성화되면 다양한 교육방식과 교육서비스 플랫폼이 일조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또한 원격수업의 갑작스런 진행으로 발생된 수업의 질 저하, 학력 격차, 평가의 공정성 등의 문제점도 해소될 것이다. IT시스템의 발전 속도가 빨라져 멀티 클라우드의 도입과 함께 클라우드 환경에 최적화된 차세대 LMS 등의 교육 플랫폼이 구축되고 에듀테크의 발전으로 VR, AR, MR, XR, 홀로그램 등의 실감형 교육 콘텐츠 개발을 위한 스튜디오의 고도화와 학습자 중심의 맞춤형 및 실감·체험형 콘텐츠 개발이 더욱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IT기술의 진보와 더불어 교육현장에서 에듀테크가 제대로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수자들도 테크놀로지에 대한 지식과 함께 활용능력이 필요한데 이는 교수자들의 과제로 남는다. This is a study on the situation of Japanese language remote lessons that had to be carried out due to the COVID-19 outbreak at universities in Korea where face-to-face lessons used to be normal. Compared with the cases of cyber university lessons that have been conducted entirely through remote lessons since the opening of the school, the problems of remote lessons have been addressed by focusing on teaching methods, language acquisition methods, interaction, cooperative learning, learner-centered learning, and changes in the role of instructors. This paper explores the solutions to these problems. In the future, if IT technology is properly applied to education and remote learning is place at universities in general,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introduction of various educational methods and educational service platforms. In addition,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lesson's quality, gaps in academic ability, and fairness of evaluation that could be caused by the sudden introduction of remote learning will also be resolved.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IT system, with the introduction of multi-cloud, education platforms such as a next-generation LMS optimized for the cloud environment are expected to be built, and with the development of Edutech, it is for the development of realistic educational contents such as VR, AR, MR, XR, and hologram. It is expected that the advancement of the studio and the development of learner-centered customized and realistic/experience-type contents will be further needed. However, with the advancement of IT technology, instructors will also need knowledge of technology and the ability to use it in order to properly apply it in the educational field, which remains a task for instructors.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심도에 관한 일고찰 -일본어교재를 개발하기 위한 시점을 중심으로-

        윤호숙 ( Youn Ho-sook ),윤정훈 ( Yoon Jeong-hun ),최진희 ( Choi Jin-hui ) 한국일어일문학회 2016 日語日文學硏究 Vol.99 No.1

        국제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일본어 학습의 문화 이해와 문화 학습의 중요성에 의해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구체적으로 어느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가 필요하다. 그러나 기존연구에서는 일본어교육의 관심도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고 특히 문화에 관한 관심도 연구는 대부분이 제2언어에 있어서의 동기부여의 요인 가운데 하나로 다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일본어학습자를 대상으로 일본문화에 대한 관심도에 관해 상세하게 고찰하였다. 그 결과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을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특히 식문화)` `일본 여행`이고 낮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문화는 `일본의 개요` `일본의 대중문화`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일본어교육 시 필요한 학습항목에 관해 알 수 있었으며 한국인일본어학습자가 높은 관심도를 나타내고 있는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이 앞으로 일본어 수업과 교재개발 시 가장 우선시되어야 할 학습내용이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관심도가 낮은 항목이라고 해도 교육적인 관점에서 필수적으로 학습해야 할 내용은 존재한다. 즉, 학습자가 관심이 높다고 해서 `일본의 미디어` `일본의 일상생활` `일본 여행`에만 너무 국한되면 교육의 기본 가치가 문제시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일본어와 일본 문화를 학습할 때 전제가 되는 `일본의 개요` 등은 교재개발과 수업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며 `유학` 등 장기체류를 희망하는 학생들에게는 `일본의 생활 정보`에 관한 학습내용도 필요하다. 본고의 의의는 선행연구에 비해 구체적인 조사항목을 추출하여 세부적으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관심도를 조사할 수 있었으며 일본어교육과 교재개발에 고려할 점을 시사하였고 학습내용의 방향성을 규명하였다는 점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규명된 한국인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에 관한 관심도를 더욱 검토하여 금후 일본어 교육과 교재개발에 적극 활용하려고 한다.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ultural understanding on learning Japanese and learning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 investigation on the interest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s required. However, there were not much research conducted on this area which concerned in Japanese language education in previous studies. Especially, cultural impact has been merely dealt with as a motivational factor in the second language acquisition. Therefore, this study tried to review as detailed the degree of the interest in Japanese culture of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s possible. In the result of that, Korean learners of Japanese are highly interested in Japanese culture such as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Specially about food)” and “Travel to Japan” whereas “Overview of Japan” and “Japanese public Culture” are less popular. Thus, this issue of learning items is needed for the Korean learners of Japanese in future and the items like “Japanese Media”, “Japanese daily life style” and “Travel to Japan” are considered to put in priority when people make lesson plans and its textbooks. However, the parts which the learners felt less interested in is also needed to be considered carefully since there are some learnable contents in it. In other words, it would cause some problems when instructors only focus on this area which learners prefer to lear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ning and textbook development.Also“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is recommended to learners who want to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can examine the specific survey items which detailed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teres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will identify through this study. They can take advantage of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Media`, `Japan`s daily life`, `Travel to Japan`. Therefore, the part like `Overview of Japan`, a prerequisite to learning the Japanese language and its culture, must be considered in the process of lesson plan and textbook development. Also, `General information about living in Japan` is recommended to the learners who want stay in Japan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dentifying the direction and we were able to examine the extract specific survey items detailed in interest in Korean Japanese learners in comparison to the previous study was uninteresting points to consider in the Japanese education and textbook development considering the high learning content future needs was is that. To further examine the interest of the Japanese culture, Korean Japanese learners identified through this study will try to take advantage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Japanese language education and textbooks.

      • KCI등재

        일본문화의 한국어 번역 양상 -일한번역소설 및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한번역을 중심으로-

        윤호숙 ( Ho Sook You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8

        2000년대에 들어 무라카미 하루키, 요시모토 바나나 등의 작품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는데 이렇듯 매년 출판되는 번역서의 추이를 보면 번역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을 거라 생각한다. 이와 같은 분위기로 인해 최근 일한번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번역교육과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번역이라는 용어가 외국어학습과정에서도 쓰이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번역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 개관하고 일한번역소설과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련 번역문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한번역소설의 경우 역주가 많았는데 특히 설명이 장황하거나 정확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것과 일본어를 그대로 한국어로 표기하거나 한국어 식 일본어가 상당수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번역문에는 이와 같은 양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났는데 심지어 의미상 잘못된 번역과 잘못된 표기 등도 많았고 사전식 번역 등 오역도 많이 보였다. 어떤 번역이 잘 한 것인지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직역이나 초역을 자제하고 의미가 통하도록 가능한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정확히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정확한 번역을 위해서는 일본어교육현장에서도 번역에 관한 지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2000s, Murakami Haruki or Yoshimoto Banana`s publications were on the bestseller list. Increasing of published-translation books in every year can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In this atmosphere, the growing trend of translation becomes higher and the word ‘translation’ generally used in foreign language training courses. In this piece of writing, we compare and examine the concept and way of translation, and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Korean translation novel and Korean Japanese learner whether how they see the translation of Japanese culture translation. As a result, Japanese Korean translation novel has lots of annotations especially when the explanation is not understandable or redundant, they just write Japanese word to Korean or the ‘Korean-style Japanese’ are used frequently. This aspect is highly used in learner`s translation. They use semantically incorrect translation or incorrect dictionary translations. We cannot assure that which translation is better, but it is good to refrain from word for-word translation or an abridged translation. The natural Korean translation can be desirable. At last, in order to translate to the exact translation of Japanese education should systematically concern about the in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어 성차(性差) 교육에 관한 실태와 문제점 -일본어 회화 교재를 중심으로-

        윤호숙 ( Ho Sook You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09 일본어교육연구 Vol.17 No.-

        현대에는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에 의해 남녀의 언어 차이가 점차 없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늘고 있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어가 발달되어 남녀 언어차가 크다는 점이 일본어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지적되는 경우가 많다. 본 조사에서도 性差(gender)에 따른 남녀 언어차가 음운, 어휘, 문법, 담화 등 일본어 전반에서 보인다. 따라서 일본어 교육현장에서도 이와 같은 일본어 성차에 대한 지도가 필요시 되고 있으나 한국의 일본어 교육현장에서는 남녀의 언어차에 관한 지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일본어의 성차를 교육과 관련시켜 고찰한 연구도 많지 않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한국인일본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초, 중급 일본어 회화 교재의 性差表現의 사용실태를 언어 전반에 걸쳐 살펴보고 선행연구에 준해 검토한 후에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교육과 어떤 관련이 있는지를 고찰하였다. 고찰 결과 초, 중급 교재 모두 性差表現이 다용되고 있었으며 그 가운데서도 가장 많이 보이는 것이 종조사로 「ね」「よ」「よね」「わ」 순이었다. 다음으로 많은 것이 감동사로 「ああ」「あ」「まあ」「さあ」 순이었다. 이와 같이 초급과 중급 교재에는 性差表現이 많이 사용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관한 설명은 거의 없었다. 금후 커뮤니케이션의 운용능력 향상과 일본인과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의 실현을 위해서는 性差에 관한 지도와 교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現代では、女性の社會的地位の向上によって、男女の言語の差が次第になくなりつつあるという指摘が增えてきている。しかし、依然として女性語が發達しており、男女差が大きいという点が、日本語の代表的な特徵として指摘されることが多い。本調査においても、性差(gender)による男女の言語の差が、音韻、語彙、文法、談話等、日本語全般でみられる。從って、日本語敎育現場においても、このような日本語の性差に對する指導が必要とされているが、韓國の日本語敎育現場では男女の言語の差に關する指導が殆んど行われていないのが實狀である。また、日本語の性差を敎育と關連づけて考察した硏究も多くないと言える。よって、本稿では、韓國人日本語學習者を對象とした初·中級日本語會話の敎材に見られる性差表現の使用實態を言語全般に渡って考察し、先行硏究に基づいて檢討した上で、韓國人日本語學習者の日本語敎育とどういった關連があるのかを究明する。考察の結果、初、中級敎材ともに、性差の表現が多用されており、その中で最も多く見られるのが終助詞で、「ね」「よ」「よね」「わ」の順で多かった。次に多く用いられたのは、感動詞で「ああ」「あ」「まあ」「さあ」の順であった。このように初級と中級の敎材には、性差の表現が多く使用されているにも關わらず、これに關する說明は殆んどなかった。今後、實用的なコミュニケ―ションの運用能力の向上と日本人との円滑なコミュニケ―ションの實現のためには、性差に關する指導と敎材作りがなされるべきである。

      • KCI등재

        온라인 일한번역 교육방식과 학습효과

        윤호숙(尹鎬淑)(Youn, Ho-Sook) 일본어문학회 2012 일본어문학 Vol.56 No.-

        本研究では、学習者の関心が最も高い日韓翻訳の新しい教育パラダイムである、オンライン日韓翻訳教育におけるコンテンツの構成方式と、学習効果に対する考察を行い、望ましいオンライン日韓翻訳教育の方法を模索する。韓国人日本語学習者の日韓翻訳における誤訳の様相が深刻に現れる理由として、日韓両国の文法知識と翻訳に対する教育の不足が挙げられる。従って、日韓翻訳に関連した基本知識と合わせて、誤訳しやすい文法や表現などの意味・用法に対する充分な説明の後、どういった点に注意しながら翻訳しなければならないのかを指摘し、実際に翻訳の作業を通して翻訳能力を向上させることが必要である。また、翻訳能力を向上させるためには、様々なジャンルの作品を通して、語彙、文法及び翻訳の方法を習得した上で、実際の翻訳作品と学習者の誤訳実例を学び、翻訳練習を何度も繰り返さなければならない。こういう点から、インターネットの多様な機能を活用し、興味深く、繰り返し教育できるオンライン教育方式が効果的だといえる。また、最近の日本語学習者は、映像媒体やインターネットになれ親しんだ世代として、インターネットを利用した授業がより学習効果が高い。よって、本研究を通して学習者の関心と興味を引く、総体的で体系的なオンライン日韓翻訳教育の効果が得られると考えている。

      • KCI등재

        한국인 일본어 학습자의 일본어 사전 이용의 문제점 : 중 ·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윤호숙(Ho-sook Youn)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어 종합연구센터 언어연구소 2007 언어와 언어학 Vol.0 No.39

        If Japanese learners use them properly, dictionaries can be very effective. On the other hand, dictionaries can also lead to misuse of words and artificial expressions if learners are not taught how to use them correctly. It is true that many of us use dictionaries without knowing how to use them properly.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bring to light both problems with the dictionary itself and problems that learners have when using it. The results from the research tell us that it is essential to teach students how to use dictionaries properly. Moreover, it is the task of the Japanese specialists to make dictionaries more practical by considering the situation of the Korean students who learn Japanese, determining what they need in a diction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