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현황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최재영 慶北大學敎 社會科學大學 1998 社會科學 Vol.10 No.-

        최근 들어 대학사회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의 실태를 파악하고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연구하기 위하여 대구 경북지역의 4개 대학 소속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가 이루어졌다. 총 454개의 완성된 설문지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대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자원봉사활동의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그들의 자원봉사활동에 대하여 상당히 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과반수 이상의 응답자들이 동시에 그들의 자원봉사활동을 수행하는 동안 일정수준 이상의 중단충동을 느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생들은 그들이 소속된 학교에서 채택하고 있는 자원봉사활동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라 자원봉사활동에의 참여정도, 만족도, 지속도가 각각 유의미하게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사회의 대학생 자원봉사활동의 활성화 및 정착을 위한 정책적 함의로서 사회적 관심의 제고, 교육환경의 개선 및 전문가의 양성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정비, 그리고 관련 연구의 활성화 등을 제시하고 있다. Four hundred fifty four students from four universities in Taegu-Kyungpook providence were surveyed to explore the patterns of their voluntary activities and to examine its improvement plan. It was found that most of college students who are currently engaged in a certain type of voluntary activities were highly agreed on the necessity of their work in the community as well as they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ir current performance. However, more that half of respondents were also found to be impulsed to drop out from their voluntary activities throughout the work due to a certain reason. Moreover. it was also found that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between the types of voluntary activity program across different schools and students' level of satisfaction, level of involvement, and the level of continuation of voluntary activities. This study suggests that an improvement of general educational environment as well as an arrangement of systematic training programs for leaders of advisory level are highly necessary for further promotion of currently activating college students' voluntary activities in the community. In addition. more professional research studies on this field are also recommended for further development of voluntary activities in this society.

      • 네오 마르크스주의와 복지국가의 모순 : 이 논문은 1997년도 경북대학교 공모과제 연구비에 의해 씌여진 것임

        김영화 慶北大學敎 社會科學大學 1998 社會科學 Vol.10 No.-

        마크크스주의자들은 국가란 원래 지배계급의 이익을 위해 존재한다고 보고 있다. 그들은 일련의 사회개혁과 사회정책도 외부적으로는 노동자계층의 복지를 명분으로 하였으나, 사실은 사회경제적 효율성과 정치적 안정을 위한 것이었음을 지적한다. 그들은 복지국가란 노동자들의 투쟁에 의해 그나마 최소한의 정당성을 유지하고 있는 국가형태로 본다. 따라서 현대자본주의복지국가는 그들에 의하면 자본주의가 가진 특성과 국가로서의 정당성 유지를 위해 상호 모순적 요소를 지니게 된다. 네오 마르크스주의자들의 특징을 크게 두 가지로 나누면, 첫째 후기자본주의라는 새로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의 “국가 독점자본주의” 분석 틀로서는 그 파악이 불가능하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복지자본주의국가의 국가 개입적인 형태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이다. 본 연구는 네오 마르크스주의에서 본 복지국가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데, 이는 자본주의와 국가기능과의 관계를 가장 잘 설명해 주고 있기도 하지만, 더욱 더 궁극적인 이유는 복지국가를 가장 비판적으로 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러한 네오 마르크스주의적 시각에서 복지국가의 한계를 극복하고 그 문제를 해결하는 데 보다 직접적인 실마리를 찾을 수 있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정치, 경제학적 변수로 복지의 성격을 밝혀보려고 했던 고프(Ian Gough)와 오코너(James O'Connor), 해체된 자본주의와 복지국가와의 관련성에 중점을 두었던 오페(Claus Offe)의 시각을 통하며 복지국가의 특성을 분석해 보고, 복지국가의 기반을 다지기 위한 변증법적 과정을 모색해 보려고 한다. 오페가 지적한 대로 복지국가는 많은 모순과 한계를 가지고 있으나 다시 역으로 되돌릴 수도, 사회적 위기 속에서 몰락하지도 않은 불가역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지금까지 나타났던 많은 국가의 형태 중에서 복지국가보다 더 나은 대안이 없다는 이유만으로 복지국가는 앞으로 계속 존속될 충분한 근거를 제공한다. 따라서 복지국가의 모순을 완화하고, 그 계급적 성격과 자본주의 한계를 어떻게 극복하는가에 대한 해결점을 네오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서 찾아봄으로써 복지국가의 본질을 근원적으로 규명하고, 그 역할과 기능을 탐색해 보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According to the Marxist, the state exists for the sake of the capitalist. They point out that a series of social reforms and social policies introducd during the end of the 18th century and beginning of 19th century were in fact in the interrests of political stabilization and socio-economical efficiency although it was officially justified as for the welfare of the working class. They believe that the welfare state in a kind of state which maintains the least ligitimation only through the struggle of the working class. Consequently, an advanced capitalist welfare state has contradictions between the unremitting logics of accumulation and legitimation, which combined produce the inescapable crisis tendencies of late capitalism. The perspective of the Neo-Marxist is roughly divided into two categories. First, they think it is impossible to grasp the new phenomena of "late capitalism" within the framework of classical Marxist analysis. Second, they hold a critical view on the intervention of the capitalist welfare state. This study focuses on identifying the nature of the welfare stat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Neo-Maxism. An analysis of Neo-Maxism gives us a clear model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apitalism and the role of the state and, more importantly, how Neo-Marxism can most contribute to the welfare state as they are the most critical of it. Accordingly. through this analysis we will able to find a direct insight in order to exceed the limitation of the welfare state and solve its problems. In this study I attempt to analys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elfare state according to the viewpoints of Neo-Marxists, such as Ian Gough and James O'Connor who attempted to identify the nature of welfare using political economic factors, and Claus Offe who focused on the relation between disorganized capitalism and the welfare state. Ultimately this article may contribute to the consolidation of the welfare state through the so called "dialectical process". As Offe remarked, the welfare state has various limitations and contradictions but also has an inevitability which can not be reversed and has never broke down in a social crisis. Moreover the wefare state has enough reasons for a continued existence because there is no better alternative. The purpose for this study is initionally to discern ideas for solution from Neo-Marxism, ascertain how to relieve the contradictions in the classical character of the welfare state, and exceed the limitations of capitalism. Secondly, this clarification will them facilitate a critical diagnisis of the basic nature of the welfare state, both its role and its function.

      • 현대사회의 성찰적 자기기술로서의 삶의 질

        노진철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7 社會科學 Vol.9 No.1

        이 논문은 현대사회의 다양한 영역에서 제기되는 삶의 질 담론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현대사회에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긴장을 규명하고, 그것들이 현대사회의 자기성찰적 기술을 통해 불확실성의 상황 속에서 어떻게 사회환경과 자연환경에 연관되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현대사회는 미래를 현재에서 고려해야 하는 결정의 필요성 때문에 불확실성의 상황에 처하게 된다. 삶의 질은 이런 불확실성을 고려하여 미래를 현재에서 현시하는 대표적인 현대사회의 기술 형식이다. ‘어떻게 살아야 하느냐’는 문제는 정치, 경제, 법, 과학, 교육, 가족 등 사회환경과 공기, 물, 땅 등 자연환경의 환경적 측면을 고려하는 열린 접근방식으로 전환하고 있는 시각변화의 한 반영이다. 삶의 질 담론은 양적 분석방법에서 질적 분석방법으로의 전환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며, 삶의 새로운 질적 영역을 찾아내려는 것도 아니다. 그것은 사회환경과 자연환경의 변화가 삶에 영향을 미친다는 통찰에 근거하여 전체사회에 대해 총체적 성찰을 요청하고 있는 것이다. 따라서 삶의 질 향상은 종종 국가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만 전적으로 국가의 경계 안에만 한정될 수가 없다. 국가의 개입은 사회 외적으로 강제된 위험을 위험부담으로 전환시킬 뿐이다. 그런 상황에 대한 성찰이 오히려 문제 해결을 위한 동인을 제공해 줄 수 있다. 성찰적인 시민들의 동원은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을 연결시키는 사회운동에 의해 활성화된 담론 공간에서 주로 행해진다. In dieser Arbeit wird sich strukturelle Spannung aufgeklart durch die Analyse der Diskurse uber die Qualitat des Lebens, welche in verschiedenen Lebensbereichen der modernen Gesellschaft zur Frage gestellt wird, und wie diese Diskurse durch die Selbst-reflexion der modernen Gesellschaft mit der gesellschaftlichen und der naturlichen Umwelt zu tun haben. Die moderne Gesellschaft befindet sich in einer unsicheren Lage wegen der Notwendigkeit der Entscheidung, ihre Zukunft in der Gegenwart zu berucksichtigen. Die Qualitat des Lebens ist typische Beschreibungsform der modernen Gesellschaft, welche sich in bezug auf diese Unsicherheit ihre Zukunft vergegenwartigt. Die Problematik 'wie man lebt' spiegelt die Sichtweise wider, welche gesellschaftliche Umwelt―Politik, Okonomie, Recht, Wissenschaft, Erziehung, Familie etc.―und naturliche Umwelt―Luft, Wasser, Erde etc.―berucksichtigt. Der Diskurs von Qualitat des Lebens ist weder Umwandeln von quantitativer Analyse in qualitative Analyse noch Finden von neuen qualitativen Lebensbereichen. Der erfordert totalitarc Reflexion auf ganze Gesellschaft in Basis auf die Lebensbereiche sehr stark wirkt. Fur Verbesserung von Qualitat des Lebens ist notwendig die Intervention eines Staates, aber nicht nur in Grenzen des Staates. Eben die Intervention des Staates wandelt Gefahr in Risk um. Die Reflexion auf diese Situation kann zu einer besseren Problemlosung beitragen. Die reflektiven Burger versammeln sich in Diskuren, die mit sozialen Bewegungen in Gang gebracht werden, welche den privaten Bereich mit dem offentlichen Bereich verbinden.

      • 사회자본의 연구동향과 과제

        권경희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지리학과 2003 地理學論究 Vol.- No.23

        최근 들어 사회과학에서 활발히 논의되고 있는 사회자본(social capital)의 개념은 기존의 전통적인 자본의 개념만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경제적 현상의 영역을 설명하는데 있어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회자본의 개념과 특성, 그리고 사회자본 구성요소로서 신뢰, 네트워크, 규범의 특성을 중심으로 사회자본에 대한 그 동안의 연구동향을 고찰함으로써, 산업지역사회의 존립기반을 이해하기 위한 개념적 도구로서 사회자본의 개념을 적용해 보고자 한다. 사회자본은 자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창출되는 사회적 관계와 그러한 사회적 관계에 의해 형성된 신뢰, 네트워크, 규범 그리고 이러한 것들을 포함하는 공식적 제도와 관계구조이다. 변화하는 경제환경 속에서 지역발전에 필수적인 지식과 정보를 획득하려면, 기업이 서로 협력하여 학습해야 하는데 오늘날 파편화된 기업들이 협력하는데 필요한 요소가 바로 사회자본이다. 따라서 한 지역사회에 사회자본이 어떻게 작용하는지, 어떠한 긍 ·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는 산업지역사회 혹은 산업집적지의 존립기반을 해석하는데 있어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 The concept of social has recently drawn a great deal of attention by social scientists. It is generally acknowledge that the literature on social capital have focused on just analyzing the concept of social capital. As a result, such a tendency has prevented researchers from explaining the specific phenomena caused by social capital exactly and measuring the components of social capital effectively such as trust, norms and network. In order to balance this tendency, a study based on real experiences should be emphasized. By concentrating on the empirical study on the social capital, the components of the social capital can be more easily analyzed and measured than before. The spatial implications of social capital can be dealt with in view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which are essential elements in gaining competitiveness for a region and its industries. Most companies in a region have fairly separate and unique systems with others. So, it is very important for them to search for knowledge and information together through the learning deeply rooted in close corporation among them. It is social capital, as a resource for corporation between companies, that makes this organizational learning possible. Consequently, social capital is worthy enough to be discussed as a mechanism for analyzing the development of a region.

      • 대학 시간강사의 사회의식

        김규원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1999 社會科學 Vol.11 No.-

        한국은 세계적으로 드물게 급속한 고등교육의 팽창을 경험하였는데, 최근 들어 대학원 이상의 고학력자들 사이에서 고용 문제가 대두하고 있다. 특히 대학 시간강사의 고용 상태의 심각성은 지식기반경제에서 주요한 사회문제이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본 연구는 대학 시간강사의 사회의식을 분석 · 진단하고, 부정적인 사회의식을 강제하는 시간강사의 준실업문제의 해결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대학 시간강사 문제를 해결하는 최선의 길은 고등교육개혁과 대학발전방안과 연계해서 검토하는 것임을 주장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대학 시간강사는 소외의식이 강한 것이 특징인데, 이는 그 사회적 지위와 관련한 위신과 존경이 아주 낮은 데 기인한다. 그런 만큼, 문제의 해결책은 시간강사의 위상을 대학조직체와 연관하여 제고하는 것이 관건이다. 대학 생존전략의 일환으로써 해당 지역사회의 각종 조직체와의 밀착관계를 형성하는 연결고리로서의 시간강사 집단의 역할이 기대되는 것이다. 향후 고등교육의 개혁은 시간강사 집단의 대사회적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추진할 것이 요청된다. South Korea has experienced the fastest growth of higher education in the world. As a result, there is an increasing problem of underemployment among the recent Ph.D.'s, whose temporal occupations are called as part-time lecturers. Judging from the importance of a knowledge-based economy, the nowadays hardships of part-time lecturers should be a social issue, with which the Koreans have to deal sincerely. This paper intend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consciousness of Korean part-time lecturers at the university level, and then to find out a plausible solution for the problem in concern, centering upon the educational reform of higher education system. To be specific, Korean part-time lecturers are suffering from a very high level of alienation, for their social status is lacking for the prestige as well as the esteem that a professional work deserves. This study suggests that a desirable solution should be related with the empowerment of part-time lecturers such as enhancing their organizational roles in the processes of linking the university system to the civil organizations of the community. Finally, it argues that Korean educational reform in the near future should strengthen social functions of part-time lecturers, who are least utilized but most prepared in knowledge and skill for the national development.

      • 農産物 輸入開放과 그 對應政策의 摸索 : 大邱·慶北地域 農業專門家에 對한 事例調査를 中心으로 A Case Study of Agricultural Experts of Kyungpook Provincial Area in Korea

        李鎬撤,兪炳圭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991 社會科學硏究 Vol.7 No.-

        This study is to cope with the Uruguay Round negotiation, and to search for the realistic policy alternatives of the market openning of agri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field survey from Sep. to No. in 1990 covering 89 rural extention officiers and 75 professors of agricultural college at random. The conten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it is covered that the agricultural experts opinion in import liberalization and their evaluation and comparison of domestic & foreign agri-products considering price, packing, freshment, an chemical poison. Secondly, the optimum proceeding of import liberalization policy and the future agricultural prospect are showed. Thirdly, the agricultural experts' responses to the validity of the policy programs for rural-fishing society development are appeared. Fourthly, the farmers' countermeasure against import liberalization and the agricultural experts' view on the government policy of modulation are suggested. Finally, the weakest points in marketing and the method of improving them are indicated.

      • Risk, Territory Conflict, and Radioactive Wast Repository

        Park, Kyu-Taeg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1993 地理學論究 Vol.- No.12-13

        현재 미국내에는 110개의 상업용 원자로가 가동 중이며, 이들 언자로의 가동으로 인해서 2000년까지 약 40,000톤의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이 만들어질 것으로 추정된다. 이글의 주 관심사인 방사능 폐기물 처리는 1940-50년대에는 순수 기술적인 문제로 취급된 때도 있었지만 지금은 원자력 산업의 존립 자체를 위협하는 문제로 확대되었다. 1. 위험도(Risk)에 대한 상이한 견해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의 입지를 선택할 때 심한 논쟁이 되고 있는 것은 지역 주민과 생태계에 미치는 위험도이다. “누가 어떻게 위험도를 정의하고 또 안전하다고 결정할 것인가” 이것이 주된 논쟁점이다. 일반화된 위험도의 정의란 있을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안전한 위험도 수준이 과학적, 객관적인 근거에서만 결정되어 질 수가 없기 때문이다. 또, 전문가와 일반인의 위험도에 대한 견해 차이와 일반인들의 위험도 인식(risk perception)이 비과학적, 비합리적으로 취급된다는 점이다. 위험도에 관한 문헌을 종합해 보면 크게 세가지 접근 방법이 있다. 첫째, 과학적이고 객관적인 해석 둘째, 심리적이고 주관적인 해석 셋째, 사회, 정치, 문화적인 해석이다. 첫 번째의 관점에 따르면 위험도는 객관적인 사실(objective fact)에 의해 측정, 예측, 통제가능하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면, 원자력발전소의 폭발 위험성은 폭발가능성(probability)과 폭발 사고로 인한 부정적 결과들(negative consequences)을 곱하면 계산될 수 있다는 이야기이다. 두 번째 접근 방법을 발전시키고 있는 소수의 심리학자들에 의하면 사람들의 위험도 인지는 과학적, 객관적인 사실로 설명되어질 성질이 아니라 개개인이 위험 물질 혹은 행위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의해서 형성된다는 것이다. 마지막 견해는 인류학자와 사회학자들에 의해 발전되어 지는 것으로 위의 두가지 접근 방법과는 큰 차이를 나타낸다. 위험도는 과학적, 객관적인 인식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경제, 정치, 문화적인 요인에 의해 구조화되어 지는 사회의 가치 체계를 분석함으로써 위험도는 이해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상의 세가지 관점을 종합해 보면 앞의 두가지 접근 방법은 나름대로 설득력이 있다고 볼 수 있지만, 사실상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의 처리와 관련한 위험도의 해석과 안전 기준치의 설정은 사회, 정치, 문화적인 방법에 의해 결정되어지는 면이 많다고 생각된다. 2. 고준위 방사능 폐기물 처리 시설의 입지에 따른 영역 갈등 영역분쟁(territory conflict)의 주된 원인들은 1) 원자력 발전에 의한 전기 사용의 혜택(benefits)은 넓은 지역에 분산되어지는 반면, 원자력 발전의 부산물인 폐기물 처리 시설의 입지에 따른 직, 간접적인 비용(costs)은 특정 지역에 집중되어 나타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어떤 지역 사회도 그 지역 내에 폐기물 시설의 입지를 원하지 않는다는 사실이다. 그리고 2) 미국의 많은 주들이 이미 방사능 폐기물에 대한 까다로운 법률 조항과 핵 폐기물 시설의 입지를 막는 법률을 제정해 두고 있어, 이러한 여건하에서 미 정부가 해결해야할 문제점은 어떠한 합리성하에서 특정 주에 방사능 폐기물처리를 위해 그 영역의 사용을 요구하느냐 하는 것이다. 현대 사회가 풍요한 생활의 부산물로 유독성 폐기물을 계속해서 생산한다면, 이 폐기물들은 안전하고 최소의 비용으로 처리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우리가 알고 있는 바와 같이 이를 따르는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앞에서 서술한 점들을 요약해 보면 기술적이고 가치 중립적인 위험도의 해석과 계층적 정치 구조는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 시설과 관련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는커녕, 보다 많은 문제점들을 만들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사회가 서구 기술 사회에 접근함에 따라 이와 비슷한 문제점들이 예상되지만, 한국 사회는 서구와 상이한 정치, 문화, 사회구조를 가진 만큼 우리 풍토에 적합한 해결 방법이 강구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 國立大學 新聞社의 效率的 運營方案 硏究

        鄭然植 경북대학교 사회과학대학 1985 社會科學 Vol.4 No.-

        This paper is attemped to find out managemental problems of the Korean national university newspapers and suggest some ways to improve the established system. In order to achieve these aims, ten of the national university newspapers were made an object of empirical study to do with questionnaire of 94 items and interviews. Having been published in each university, the newspaper has not performed desirable function in consequence of defect of its system and organization. In the institutional aspect,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system of operations, to guarantee independence of it's organization in outward as well as in substance, and to increase a full-time staff. In the managemental aspect, in order to relieve a budgetary deficit, it is required to install a printing machine in the office, to abolish and amalgamate with similar organizations, and to manage the advertisement earnings efficiently. To settle down some troubles occurring in the process of editing, it is recommended to establish some democratic procedures which allow student newsmen to take part in an editorial conference.

      • 정치 생태학(political ecology)에 의한 자연 환경과 사회의 관계 이해

        박규택 慶北大學校 社會科學大學 地理學科 1998 地理學論究 Vol.- No.18

        자연과 사회의 관계에 대한 이해는 인간의 존재 혹은 물질적 풍요를 위해서 또는 심각해 지고 있는 현대 환경 문제를 이해하고 실천적 대안을 찾기 위해 중요한 일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연과 사회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는 정치 생태학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정치 생태학은 지역의 자연 환경과 사회 변화를 지역 외적인 국가, 세계의 경제, 정치와 관계시켜 이해하려는 개념적 접근 방법이다. 정치 생태학은 1950년대 시작한 문화 생태학과 1970년대 이후 논의가 활발해진 정치 경제학을 결합한 결과물이다. 정치 생태학의 방법론적 특징은 변증법이다. 이 방법은 자연과 사회 혹은 지역의 사회 공간과 지역 외적인 정치, 경제 공간의 상호 작용을 강조한다. 정치 생태학의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중요 지리학 잡지에 발표된 11개의 정치 생태학적 경험적 연구들을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개별 연구를 분석하기 위하여 자연 환경, 역사성, 그리고 국가, 세계와 공간이란 기준을 사용하였는데, 이들은 정치 생태학의 기본 개념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경험적 연구들은 정치 생태학의 중심 주제들을 충실히 다루고 있었지만, 개별적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 때문에 주제를 취급하는데 정도의 문제는 있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연구들은 자연 환경 체계나 생태계의 파괴와 지역 사회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논의하지 않고 있다. 경험적 연구가 후진국의 자원 이용, 자연 환경 파괴, 사회에 집중되었기 때문에 다양한 사회,즉 서구 선진 자본주의 국가, 사회 주의 국가, 개발 도상국가를 대상으로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들 지역에 대한 많은 연구가 기대되며, 연구 결과의 축적은 정치 생태학의 이론과 응용력을 높일 것이다. 그리고 지역의 사회, 경제적 공간과 지역 외적인 국가, 세계의 정치, 경제 공간을 역동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정치 생태학은 자연과 사회의 관계를 이해하는데 지대한 공헌을 했으며, 앞으로도 많은 연구가들이 다양한 사회와 주제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지식을 축적시킬 것이다. 정치 생태학은 화석이 아니라 사회가 만든 설명틀이기 때문에 인문학, 자연 과학, 사회 과학의 새로운 논의들을 지속적으로 흡수하면서 변화, 발전해나갈 것이다. This study reviews political ecology which combines the concerns of ecology and political economy. Political ecology, often called as regional political ecology is a new conceptual framework which can explain the interaction between natural environments and local society constrained by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It focuses on the dialectics of both natural environment and human society and local social space and non-local political economy. The dialectics as an analytic method of political ecology is theoretically very powerful to understand the continuously changing aspects occurred in nature and human society, but the dialectics is not easy to implement in real case studies. The eleven articles using political ecology which were published in major geographical journals were reviewed to clearly understand the key contents of political ecology. All the articles reviewed deal with the four subjects of political ecology: natural environments, local society, time and space, and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Each study emphases on those subjects differently mainly because of its purpose. However, both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natural environments and their relations to local society were largely neglected in the most of reviewed articles. One of the important aspects in political ecology is to find a way to dialectically combine local society and national and world economy and politics. Political ecology continues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theories and methods developed in social sciences after the 1970s. It contains various aspects of post-modernism, post-structurism, post-colonialism, feminism, even environmental history. There is no doubt that political ecology will give us a good perspective to study the relationship between natural environments and human society which have been socially and culturally constructed through time and spa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