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연결부채비율의 가치관련성

        권영도(Kwon Youngdo),김태완(Kim Tae-wan) 한국국제회계학회 2010 국제회계연구 Vol.0 No.32

        이 연구는 연결재무제표의 정보가 개별재무제표 정보보다 유용한 정보인지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시장에서 지배기업의 가치를 결정할 때 연결 부채비율이 개별부채비율에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는지를 실증분석하였다. 분석은 Ohlson 모형을 기초로 하였다. 이 모형에 의하면 기업가치 결정요인은 지분의 장부가치, 현행비기대이익, 그리고 현행비기대이익에 반영되어 있지 않은 미래비기대이익에 관한 정보이다. 이 연구는 암묵적으로 부채비율이 미래비기대이익에 관한 정보를 반영 한다고 가정한다. 연구에 사용한 표본은 우리나라 증권시장 상장된 기업 중 2002년에서 2007년 사이에 연결재무제표를 공시한 제조기업 1,517개사이다. 실증분석 결과는 연결부채비율이 지배기업의 시장가치를 결정할 때 개별부채비율이 제공하는 이상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다. 유통주식수를 디플레터로 사용한 모형에서는 연결부채비율이 지배기업의 가치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기초총자산을 디플레이터로 한 모형에서는 연결부채비율이 기업가치에 유의적으로 음의 영향을 준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연구의 결과는 연결부채비율이 가치관련성을 갖는다는 것이다. 따라서 적어도 주식시장 관점에서 보면, 현재 우리나라에서 작성하고 있는 개별재무제표를 연결재무제표로 대체하여도 문제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relevance of the information being presented on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combined debt ratio and separate debt ratio on the market value of parent company. The empirical model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Ohlson's model. The model shows the determinants of firm value are the book value of equity, current abnormal earnings, and information about future abnormal earnings which is not reflected in current abnormal earnings. This study assumes that debt ratio has information content regarding to future abnormal earnings. The sample is consisted of the korean listed companies presented the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during 2002 to 2007.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 shows that consolidated debt ratio may have additional information content beyond separate debt ratio on the market value of parent company. The model used share number as deflator does not show that the consolidated debt ratio is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rm's market value. But The model used beginning total assets as deflator shows that the consolidated debt ratio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the firm value. The findings in this study imply that consolidated debt ratio is value-relevant. Thus, it has no problem to replace separate financial statements with consolidated financial statements in stock markets.

      • KCI등재

        K-IFRS 영업손익의 가치관련성: 현금흐름표의 영업창출현금에 대응하는 손익과의 비교

        권영도(Kwon, Youngdo),박수경(Park, Sugyeong) 한국경영교육학회 2021 경영교육연구 Vol.36 No.4

        [연구목적] 이익은 다양한 형태의 계약(경영자보상제도, 부채계약 등)이나 기업가치 평가 과정에서 기업성과의 요약 척도로 사용되기 때문에 유용한 이익의 개념을 조사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손익계산서와 현금흐름표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하여 현금흐름표에 표시된 영업창출현금을 기초로 하여 다양한 영업 관련 손익을 계산하였으며, 이러한 이익이 이해관계자들에게 미치는 정보가치를 비교함으로써 유용한 영업손익의 개념을 평가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14년부터 2020년까지의 KOSPI 상장 제조기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한다. 다섯 가지 영업 관련 손익의 척도가 기업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한 후, 각각의 모형을 Ohlson(1995)의 기본모형과 비교하여 모형의 우수성(유용성)을 비교한다. [연구결과] 첫 번째로 포괄손익계산서 상의 영업손익의 별도 표시가 유용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다양한 방법으로 계산된 영업손익이 기업가치과 일관된 관련성을 가지므로 영업손익의 별도 표시는 유용한 것으로 보여진다. 두 번째로 기업가치와 관련성을 갖는 영업손익 중 가장 유용한 영업손익은 어떻게 정의하는 것이 타당한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영업창출현금에서 IFRS 영업이익 개념을 차감하여 계산한 영업손익이 기업가치와 관련성이 가장 높고 다른 모형에 비하여 우수하므로 가장 유용한 영업손익으로 평가된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다양한 영업 관련 이익 척도가 기업가치와 관련성을 갖는 것을 검증함으로써 영업손익의 별도 표시가 유용하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또한, 이러한 이익 척도 중 영업창출현금에서 IFRS 영업이익개념을 차감하여 계산한 영업손익이 가장 유용한 정보가치를 갖는다는 것을 실증분석함으로써, 향후 K-IFRS 개정 시 가이드라인으로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Since profit is widely used as a summary measure of corporate performance in various types of contracts (manager’s compensation system, debt contract, etc.) and in the enterprise valuation process, it is important to investigate the relative superiority of profits. Therefore, by using measures of operating profit or loss calculated in various ways, the information value that affects stakeholders is compared and the concept of useful operating profit or loss is evaluated. [Methodology] This study analyzes the KOSPI-listed manufacturing companies from 2014 to 2020. After comparing the effects of five operating profit and loss measures on corporate value, each model is compared with the basic model of Ohlson (1995) to compare the superiority (usefulness) of the model. [Finding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ince operating profit or loss calculated by various methods has a consistent relationship with corporate value, separate presentation of operating profit or loss in the comprehensive income statement seems to be useful. Second, the operating incom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IFRS operating income concept from the operating creation cash was the most relevant to the corporate value. Since this concept of profit is superior to other models, it is evaluated as the most useful operating income. [Implications] This study proved that separate presentation of operating income was useful by verifying that various operating income measures are related to corporate value. In addition, a meaningful result was presented that the operating income calculated by subtracting the IFRS operating income concept from the operating generated cash has the most useful information value. The results of this analysis are expected to be provided as a guideline when K-IFRS is revised in the future.

      • KCI등재

        결합재무제표 정보의 가치관련성

        권영도(Kwon Youngdo) 한국국제회계학회 2009 국제회계연구 Vol.0 No.26

        이 연구는 결합재무제표 정보의 가치관련성를 실증분석하기 위하여 결합재무제표에서 보고되는 두 가지 주요 변수인 결합순이익과 결합자본이 그 기업집단에 속해 있는 개별기업의 시장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모형은 당기의 초과이익과 미래의 이익에 대한 예측을 반영하는 정보에 의해 조정된 장부가치에 의해 기업가치가 결정된다는 Ohlson모형을 기초로 하고 있다. 이 연구에서 사용한 주가수준접근법은 사건접근법에 의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해줄 수 있다. 실증분석을 위한 표본은 2005년에서 2007년까지 결합재무제표를 작성한 기업집단에 속하는 국내상장회사이다. 분석결과 기업의 시장가치가 결합재무제표에서 보고되는 기업집단의 당기순이익과 순자산의 장부가치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이에 비해 개별 기업 순자산의 장부가치와 당기순이익은 기업의 시장가치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기업의 시장가치는 기업이 창출할 미래현금흐름의 가치에 대한 편의없는 추정치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기업의 미래현금흐름을 평가하는 데 기업집단의 재무제표 정보는 목적적합성을 가진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회계정보의 유용성을 결정하기 위한 정보의 질적 특성 관점에서 볼 때 현재 우리나라에서 일정요건을 충족하는 대규모 기업집단에 대해 작성하도록 요구하는 결합재무제표는 폐지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value-relevance of the information being presented on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mpact of combined earnings and combined net asset on the market value of individual firms included the combined accounting entities. The empirical model in this study is based on the Ohlson's model. The model shows the determinants of firm value are the book value of equity, current abnormal earnings, and information about future abnormal earnings which is not reflected in current abnormal earnings. The sample is consisted of the korean listed companies that included in the large business group presenting the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during 2005 to 2007. The result of the empirical test shows that combined earnings and combined net assets that are presented on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are not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rm's market value. But earnings and net assets that are presented on individual firm's financial statements a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firm's market value. The market value means the value of the future cash flows created by firm. So, The findings in this study imply that combined earnings and combined net assets are not value-releva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 that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are not useful to investors. The requirement of presenting combined financial statements in Korea, therefore, may have to be abolished.

      • A New Superlattice of Cyclohexanethiol Self-assembled Monolayers on Au(111) Formed at a Low Solution Temperature

        Kwon, Seungwook,Jeong, Youngdo,Lee, Youngil,Noh, Jaegeun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2007 Chemistry letters Vol.36 No.3

        <P>High-resolution 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 imaging revealed that cyclohexanethiols (CHTs) on Au(111) form high-density self-assembled monolayers (SAMs) with a (5 × 2√3)R35° superlattice at a low solution temperature of −20 °C. This packing structure is comparable to a (5 × 2√10)R48° superlattice formed at room temperature. From this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two-dimensional structure of CHT SAMs on Au(111) was strongly influenced by the solution temperature, unlike alkanethiol SAMs.</P>

      • High Ion Conducting Nanohybrid Solid Polymer Electrolytes <i>via</i> Single-Ion Conducting Mesoporous Organosilica in Poly(ethylene oxide)

        Kim, Youngdo,Kwon, Suk Jin,Jang, Hye-kyeong,Jung, Byung Mun,Lee, Sang Bok,Choi, U Hyeok American Chemical Society 2017 Chemistry of materials Vol.29 No.10

        <P>A novel mesoporous silica-based single-ion conductor for lithium-ion batteries was prepared via two-step selective functionalization of designated silica precursors into the inner pore wall of mesoporous silica. 2-[(Trifluoromethanesulfonylimido)-N-4-sulfonylphenyl]ethyl (TFSISPE) group was first incorporated as a silica precursor having an anionic weak-binding imide group, and a dense brush of oligo-poly(ethylene glycol) (oligo-PEG) moieties, solvating Li, was cografted to produce functionalized mesoporous silica (FMS-TFSISPE) nanoparticles. FMS-TFSISPE showed a 2D hexagonal nanopore structure and a regular spherical shape with an average diameter of 50 nm. Poly(ethylene oxide) (PEO) was used to form a dispersion of the mesoporous silica nanoparticles into the polymer matrix. This new polymer-mesoporous silica nanohybrid solid electrolyte with the sole mobile Li ions (FMS-TFSISPE-PEO) exhibits attractive electrical, mechanical, and electrochemical properties. The ionic conductivity and storage modulus both increase simultaneously upon addition of FMS-TFSISPE nanoparticles. A 30 wt % amount of FMS-TFSISPE nanop articles leads to the highest ionic conductivity (sigma(DC) similar to 10(-3) S/cm at 25 degrees C) and storage modulus (G' similar to 10(4) Pa at 30 degrees C) with a high lithium ion transference number (t(Li)(+) similar to 0.9). Compared to conventional nonporous silica nanoparticles-incorporated PEO matrix (SiO2-TFSISPE-PEO), FMS-TFSISPE-PEO exhibits 2 orders of magnitude higher ionic conductivity with lower activation energy, suggesting that the facile transportation of lithium ions is achieved through the continuous weak-binding and solvating nanopore channel of the mesoporous silica retaining a high surface area and pore volume.</P>

      • Two-Dimensional Fluid Simulation of Large-Scale, Capacitively-Coupled Plasma Discharge for Display Device Processes

        Jeong, YoungDo,Lee, Young Jun,Kwon, Deuk-Chul,Lee, Sang-Jin,Jeon, Jae-Hong,Seo, Jong Hyun,Tong, Lizhu,Choe, HeeHwan American Scientific Publishers 2017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Vol.17 No.11

        <P>A plasma simulation based on a fluid model is conducted for capacitively-coupled plasma (CCP), which is used for thin-film transistor fabrication in display devices. A two-dimensional cross section of a process chamber is used in the simulation. Simulation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ose of a 1D simulation method. The plasma characteristics were investigated using several process conditions such as applied voltage and pressure.</P>

      • 데이터 그리드를 위한 네트웍 퍼포먼스 측정

        권기환(Kihwan Kwon),한대희(Daehee Han),조기현(Kihyeon Cho),오영도(Youngdo Oh),서준석(JunSuhk Suh),손동철(Dongchul Son),이지수(Jysoo Lee)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A

        고에너지 물리연구분야에서는 입자가속기에서 배출되는 많은 양의 데이터 (테라 혹은 페타바이트급)를 분산처리하기 위해 데이터 그리드를 구축하려고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많은 양의 데이터를 다루는 데이터 그리드는 국제 간에 데이터를 신속하게 이동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현재 네트웍 인프라의 발전으로 초고속 대용량 네트웍 대역폭을 가지는 물리적인 경로가 생겨나고 있지만, 실제 퍼포먼스를 어떻게 테스트하고 어떤 요소들을 고려하여야 초고속 네트웍 상에서 좋은 퍼포먼스를 얻을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 논문에서는 한국과 외국의 초고속 연구용 네트웍을 중심으로 네트웍 퍼포먼스를 측정함으로써 초고속 네트웍 상에서의 네트웍 퍼포먼스 테스트의 이해를 돕고자 한다.

      • KCI등재

        2020 개정 성인 문해 중학 국정교과서 개발에 관한 연구

        권우진(Ujin Kwon),박영도(Youngdo Par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8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9년부터 2020년도에 개정된 성인 문해 중학 국정교과서의 개정 현황과 집필 특성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현재로서는 성인문해교육 국정교과서 개발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논의된 연구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문해교육 교과서가 지향하는 방향, 교과서 개정을 통하여 체계성을 더 높인 점 등을 밝히고, 중학과정 성인문해 교과서 개발 과정의 전모를 이해함으로서 교과서를 지도하거나 활용하고, 연계된 교육 자료를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문해교과서의 필요성, 교과서 개발의 의의, 관련 고시 점검, 학령기 중학 교과서와의 차이점, 초등 성인문해 교육과정과 중학 성인문해 교육과정의 연계성 문제 등을 점검하면서 개정 성인문해 중학교과서 개정의 현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결과 논의를 통하여 학습 적령기를 벗어난 성인 학습자의 문해 학습 자료 개발의 필요성을 밝히고, 2019-2020 성인 문해 중학 교과서 개정의 타당성을 설명하였다. 이전 교과서와의 차이점, 학령기 중학 교과서와의 차이점, 이번 개정 과정에서 중요하게 고려된 점 등을 명시화하였다. 결론 이번에 개정된 교과서는 ‘문해’에 대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고 생활 문해를 강화하는 교육부의 새로운 고시에 따른 것임을 밝혔다. 그리고 초등과정과 중학과정의 난이도 격차를 해소하고 연계성과 학습의 실용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노력하였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iscuss in detail the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adult literacy middle school national textbooks revised from 2019 to 2020.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necessity of literacy textbooks and the significance of textbook development were discussed. In addition, related examinations were reviewe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school-ag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adult literacy textbooks were reviewed. In addition, it checked whether the elementary adult literacy curriculum and the secondary adult literacy curriculum are well connected. Results Through various discussions, the necessity of developing textbooks for adult learners who have passed the age of learning and the reason why the revision of the 2019-2020 adult literacy middle school textbook was inevitable was explained. It revealed differences from previous textbooks, differences between school-age middle school textbooks and adult literacy middle school textbooks, and important considerations in this revision process. Conclusions It was clarified that the revised textbook responded to the changing demands of the times for ‘literacy’ and that it was in accordance with a new notice from the Ministry of Education, which strengthens literacy in daily life.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gap between elementary and secondary courses was resolved and the practicality of learning was further enh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