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종단간 순방향/역방향 전송지연 측정을 이용한 TCP Vegas의 성능 향상

        신영숙,김은기,Shin Young-Suk,Kim Eun-Gi 한국정보처리학회 200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C : 정보통신,정보보안 Vol.13 No.3

        TCP 구현의 하나인 Vegas는 패킷의 유실을 망의 혼잡으로 인지하는 Reno와 달리 RTT(Round Trip Time) 측정값을 바탕으로 혼잡을 인지하며, 이를 이용하여 윈도우 크기 등 혼잡 제어를 위한 주요 인자를 결정한다. 그러나, Vegas의 혼잡 회피 방안이 TCP 패킷 경로의 비대칭적 특성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며, 이것은 양 방향(순방향, 역방향) 패킷 전송 상태를 반영하는 RTT 측정값을 순방향 경로의 상태 해석에 이용하기 때문이다. RTT는 패킷의 왕복 시간만을 측정하기 때문에 패킷의 송수신시 순방향과 역방향에서 어느 정도의 혼잡이 발생하였는지 알 수 없다. 본 논문에서는 리눅스 커널 2.6의 TCP 소스에서 RTT 측정값으로 혼잡도를 측정하는 기존의 Vegas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수정하여 순방향 경로의 혼잡과 역방향 경로의 혼잡을 구별할 수 있는 새로운 Vegas 혼잡 제어 알고리즘을 설계하고 구현하여 그 성능을 분석하였다. Unlike TCP Reno, TCP Vegas recognizes network congestion through the measuring of RTT (Round Trip Time) and decides the main congestion control parameters, such as Windows size. But, congestion avoidance scheme of Vegas poorly reflects asymmetric characteristics of packet path because TCP Vegas uses the measuring of RTT that reflects forward/backward packet transmission delay as a forward delay. The RTT can't infer the forward/backward transmission delay variation because it only measures the packet's turn around time. In this paper, We have designed and implemented a new Vegas congestion control algorithm that can distinguish forward/backward network congestion. We have modified the source codes of TCP Vegas in Linux 2.6 kernel and verified their performance.

      • KCI등재

        쾌-불쾌 차원과 각성-수면 차원에 기반된 40, 52, 64개월 유아들의 성별차이

        신영숙 ( Young Suk Shin ) 한국아동교육학회 2011 아동교육 Vol.20 No.2

        본 연구는 정서의 이차원모델에 기반하여 얼굴표정변별에서 성별에 따른 유아들의 정서 발달을 조사한다. 연구그룹은 40개월, 52개월, 64개월 된 92명의 유아들로 이루어졌다. 참가자들에게는 두 차원상에서 9점 척도로 성인들에 의해 사전에 평정된 10개의 강하거나 약한 얼굴표정 사진들로 20개의 사진들이 제시되었다. 유아들은 각 정서들을 식별하도록 요구되었다. 실험 결과들에서 두려움과 슬픔의 정서들은 이차원 모델상에서 각각 ANOVA 모델(P<.05)에 따라 성별과 연령 요소들간의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보였다. 두려움은 두 차원 모두에서 성별과 연령 사이에서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보였다. 슬픔은 각성-수면 차원에서 성별과 연령간에 의미있는 상호작용을 보였다. 연구결과들은 40개월에서 64개월 된 여아들이 두려움과 슬픔 정서들을 인식하는 데 남아들보다 더 강한 각성 수준을 나타냈으며, 또한 정서들을 인식하는 데에 성별 차이들은 성인과 유사하게 닮아갔다. 본 연구는 정서의 이차원 모델이 유아들의 얼굴표정 변별상에서 성별의 잠재적인 작은 영향들을 나타낼 수 있으며, 또한 취학전 아동들의 정서변별에 대하여 그룹간 성별차이를 나타내기 위한 유용한 도구임을 제안한다. This paper examines children`s emotional development with respect to sex in facial expression discrimination, based on the two-dimensional model of emotion.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92 children, aged 40, 52, and 64 months. The participants were presented with 20 photos, which displayed 10 strong or weak facial expressions, pre-rated by adults on a nine-point scale in two dimensions. The children were required to identify such emotions. The experimental findings showed that the emotions of fear and sadnes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ex and age factors in the two-dimensional model, according to the respective ANOVA model (P<.05). Fear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ex and age factors in both dimensions. Sadnes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s between sex and age in the arousal-sleep dimension. The research results show that females aged 40-64 months showed stronger arousal levels than males in recognizing the fear and sadness emotions, and sex differences in recognizing emotions declined up to adulthoo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two-dimensional model of emotion can reveal the potentially small effects of sex on children`s facial expression discrimination, and is a useful tool for representing sex 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 respect to emotional discrimination for preschoolers.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정서의 이차원모델에서 아동의 얼굴표정 변별에서 성 차이

        신영숙(Young-Suk Shin) 한국인지과학회 2010 인지과학 Vol.21 No.1

        본 논문은 정서의 이차원 구조상에서 얼굴표정으로부터 아동의 정서변별에 대한 성별차이를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 그룹은 40개월, 52개월, 64개월의 92명의 아동들로 이루어졌으며, 남녀아동 비율은 남아 50%와 여아 50%였다. 92명의 아동들을 대상으로 12개의 정서 단어와 관계된 얼굴표정들을 선택하도록 하였다. 실험에 적용된 얼굴표정들은 54명의 대학생들로부터 9점 척도상에서 두 차원(쾌-불쾌차원과 각성-수면차원) 각각에서 표정의 강도가 평가된 사진들이 사용되었다. 실험결과에서 아동들은 쾌-불쾌차원 보다는 각성-수면차원에서 남녀간의 성별차이를 두드러지게 나타냈다. 각성-수면차원에서는 ‘졸리움, 화남, 편안함, 쓸쓸함’ 정서들이 1보다 큰 성별차이를 보였다. 특히 남아들은 ‘졸리움, 화남, 쓸쓸함’ 같은 정서들안에서 여아보다 높은 각성을 보인반면, 여아들은 ‘편안함’ 정서에서 남아보다 높은 각성을 보였다. This study explores children’s sex differences of emotion discrimination from facial expressions based on two dimensional model of emotion. The study group consisted of 92 children, of 40, 52, and 64 months of age, and the rate of male and female children was male children (50%) and female children (50%). Children of 92 were required to choose facial expressions related the twelve emotion terms. Facial expressions applied for experiment are used the photographs rated the degree of expression in each of the two dimensions (pleasure-displeasure dimension and arousal-sleep dimension) on a nine-point scale from 54 university students. The experimental findings appeared that the sex differences were distinctly the arousal-sleep dimension than the pleasure-displeasure dimension. In the arousal-sleep dimensionoussleepness, anger, comfort, and loneliness’ emotions showed large sex differences over 1 value. Especially, while male children showed high arousal more than female children in the emotions like ‘sleepiness, anger and loneliness’, female children showed high arousal more than male children in ‘comfort’ emotion.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건강보험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이 고령자 가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동두천시, 연천군 지역

        신영숙(Shin, Young-Suk),김은정(Kim, Eun-Jeong),김명용(Kim, Meong-Yong),양영애(Yang, Yeong-Ae)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 2020 대한고령친화산업학회지 Vol.12 No.1

        목적: 2018년 7월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이 고령자 가계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2022년 7월로 예정되어 있는 2단계 개편의 완성도를 높이는데 일조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 이전인 2018년 6월 보험료와 개편 이후인 2018년 7월 보험료를 소득분위별로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소득분위는 소득하위 10%까지는 1분위를 시작으로 상위 10%는 10분위로 분류하였다. 동두천시와 연천군을 선정하여 소득분위별 및 연령별 보험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직장가입자의 경우에는 고소득층 보험료가 인상된 것을 제외하고는 대체적으로 0.1% 내외의 인상폭을 보인 반면, 지역가입자의 경우 평균보험료가 대폭 인하되었다. 선정한 지역의 자료 분석 결과 65세 이상부터 1분위의 분포 비율이 높았다. 따라서 고령으로 갈수록 가계 경제가 어려워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결론: 부과체계 개편으로 저소득층의 고령자 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겠다. 2단계 보험료 부과체계 개편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저소득층의 보험료 부담 완화, 보험료 부과방법의 단순화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Objective: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impact of the reform of the Imposition-System reform on elderly households in July 2018, We hope to help improve the completeness of the second phase of the reorganization scheduled for July 2022. Methods: Insurance premiums were compared in June 2018, before the reform of the insurance premium levy system, and in July 2018, after the reform.The bottom 10% of income was classified as first and the top 10% as tenth. Dongducheon City and Yeoncheon County were selected to analyze insurance premiums by income group and age. Results: In the case of office subscribers, the increase rate was generally around 0.1 percent, except for higher insurance premiums for high-income earners. For local subscribers, the average insurance premium was drastically reduce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data in selected regions, the distribution rate of group 1 was high from 65 years old or older. Therefore, we could see that the older people get, the more difficult the household economy becomes. Conclusion: The Imposition-System reform had a positive effect on elderly households in low-income brackets. It is hoped that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easing the burden of insurance premiums on low-income households and simplifying the method of levying insurance premiums in order to increase the completeness of the second-phase insurance premium system.

      • 신경망을 이용한 얼굴 표정인식

        신영숙 ( Young Suk Shin ),이일병 ( Yil Byung Lee ) 한국감성과학회 1998 춘계학술대회 Vol.1998 No.-

        기존의 표정인식 연구는 Ekman의 기본정서모형의 특에 의하여 표정인식이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이러한 6가지 기본정서(행복, 놀람, 공포, 분노, 혐오, 슬픔)에 의한 표정인식은 6개 정서 중에서 선택하는 간제 선택법이 아닌 자유응답방식을 택했을때는 훨씬 인식률이 떨어진다. 이는 표정이 기본정서이외에도 여러 가지 미묘한 마음상태를 표현하고 있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섬세한 표정인식을 우한 방법으로, 차원모형을 근거로 MLP를 적용한 표정인식을 수행하였다. 차원 모형에 의한 표정은 3가지 차원으로 하나의 표정을 이룬다. 3가지 차원은 쾌-불쾌, 각성-수면과 외부지향-내부지향이다. 3가지 차원을 갖는 각각의 표정은 MLP에 의하여 쾌-불쾌차원 68%, 각성-수면차원 60%, 외부지향-내부지향차원 76%의 인식률을 보였다. 연구결과에서 차원모형에 근거한 표정인식을 통하여 기존의 표정인식을 통하여 기존의 기본정서모형의 한계성을 극복하고 섬세한 표정인식을 수행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자기위로능력의 매개효과

        신영숙 ( Young Suk Shin ),이지연 ( Jee Yon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4 중등교육연구 Vol.62 No.3

        본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하는 교사가 지각한 감정노동, 심리적 소진 및 자기위로능력의 관계 규명에 목적을 두고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의 감정노동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과 이러한 영향이 자기위로능력에 의해 매개되는지의 여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에 근무 중인 교사 300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소진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중 응답이 누락되었거나 불성실한 자료를 제외하고 283명의 자료를 최종분석에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상관분석 및 위계적 회귀분석 등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감정노동, 자기위로능력, 심리적 소진과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감정노동 중 표면적 행동은 심리적 소진과는 유의한 정적상관, 자기위로능력과는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감정노동 중 내면적 행동은 자기위로능력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위로능력은 표면적 행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부분 매개, 내면적 행동과 심리적 소진의 관계를 완전 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연구결과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의 제언을 덧붙였다.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mediating effect of self soothing abi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burnout among teacher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Methods i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The participants were 283 teachers working at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Incheon Metropolitan city, Gyeonggi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by convenience sampling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that consisted of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easures of emotional labor, self soothing ability and burnout.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were employed for analysis. The logic of Baron and Kenny(1986) was applied to prove mediation, and the Sobel test used to prove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the multiple regression were as follows: First,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burnout, however, Surface acting showe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self soothing ability.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self soothing ability. Second, when surface acting and self soothing ability were entered into the regression model at the same time, surface acting showed an significant effect on burnout. Finally, self soothing ability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surface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In addition, self soothing ability had a full mediating effect between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and burnout.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as a way to reduce burnout, teaching administrators should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for teachers to perform deep acting of emotional labor instead of surface acting at the moment of truth.

      • KCI등재

        교사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 전문적 정체성, 소진의 매개효과

        신영숙(Shin Young suk),이지연(Lee Jee y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8

        본 연구는 교사의 물질주의 가치관과 삶의 만족의 관계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관계에서 전문적 정체성과 소진이 매개역할을 하는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인천, 경기도, 경남, 충남, 경북 소재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고 있는 교사 457명 대상으로 2020년 2월 27일부터 4월 5일까지 수집한 자료를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교사의 물질주의 가치관이 삶의 만족을 직접적으로 예측하지는 못하였지만, 전문적 정체성과 소진을 단순매개하였을 때 삶의 만족에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체성과 소진의 이중매개효과도 유의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교사의 삶의 만족을 높이는 과정을 통합적으로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교사의 전문적 정체성과 소진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물질주의 가치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함으로써 교사의 삶의 만족을 높이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out in the influence of teachers materialistic values to life satisfaction. For this, the data collected from February 27 to April 5, 2020 we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457 teachers who work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Incheon, Gyeonggi-do, Gyeongnam, Chungnam, and Gyeongbuk. As for the measurement tool, the study used Materialism Value Scale, Professional Inventory, Maslach burnout inventory,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This study used SPSS WIN 23.0 and AMOS 23.0 to analyz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teachers materialistic value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rofessional identity and satisfaction of life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burnout. Professional identity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of life. Burnou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satisfaction of life. Second, the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materialistic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In addition, the medium effect of burnout was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materialistic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Third,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rofessional identity and burn was show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terialistic values and life satisfaction. This signifies that teachers with high materialistic values do not have a professional identity as teachers, and the lack of the professional identity can more easily lead to burnout of teachers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ir duties, and the burnout of teachers will eventually affects reducing satisfaction in life.Finally, the study discussed the result of study and limitation, and made suggestion for follow up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