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중국조선족집거구문제에 대한 사고

        허명철 전남대학교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소 2000 아시아태평양지역연구 Vol.3 No.1

        21세기 새로운 민족적 비전을 꿈꾸고 있는 중국조선족사회는 현재 인구감소와 인구류동에 의한 기존의 집거구해체와 이에 따라 나타나고 있는 사회성적인 문제들로 하여 고민을 겪고 있다. 집거구해체는 민족교육의 위기를 초래하게 되고 민족언어와 문자를 사용할 수 있는 문화공간을 좁아지게 하는바 이는 결국 민족동화를 가속화하게 되며 나중에는 민족정체성 유지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것이 일부 학자들의 주장이다. 그렇다면 집거구해체를 어떤 입장에서 평가해야 하고 이에 따라 초래되고 있는 문제들은 또 어떤 시각에서 풀어나가야 하는가? 이 문제어 대해서 우리는 기존의 집거구가 형성되고 보존되어 올 수 있었던 원인들을 검토해 보고 그 기초상에서 응당 시대성, 민족성, 발전성적인 시각에서 그 답안을 모색해야 한다. 여기에서 우선 중요한 것은 우리들의 의식전환이다. 오늘날 우리민족의 진로는 농촌에 있는 것이 아니라 도시어 있으며 현대문명에로의 이행에 있는 것이다. 우리는 연해개방도시들에 새로 일떠서고 있는 새로운 집거지 즉 "코리아타운'에 민족의 미래를 기탁하고 기존의 농촌집거구건설을 잘하여 질적으로 제고시키는 한편 보다 많은 정력을 도시집거구건설에 몰부어야 하고 새로운 집거구형성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산재지구에서의 민족교육실시, 민족문자와 언어보급, 민족정체성 보존등 문제들의 해결에 주력해야 한다. 그러고 이러한 문제점 해결에 있어서 그 시야를 보다 넓혀 세계화적 추세와 정보화문명에 입각점을 두어야 한다. In the 21st century, the Chinese-Korean(Korean minority in china) who are striving for a leap in their ethnical improvement is now vexed by population decline and migration which are disintegrating the old Chinese-Korean community. Some scholars believe that the disintegration of Chinese-Korean community will lead to a series of problems: a crisis of ethnic education, a reduction of the cultural space where the Chinese-Koreans can learn and use their language, ethic assimilation, and consequently disintegration of Chinese-Korean community. How can we solve the Problem on the disintegration of Chinese-Korean community? We should reconsider the reasons why Chinese-Korean community can de formed and developed. In addition to that, We should seek the answer to this problem from the perspective of time, ethology and development. thus, the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The approach towards the development of Chinese-Korean does not rely on the rural area, but on the more developed and civalized urban area.. the future of the Chinese-Korean lies on the "Korean Town", i · e · the new Chinese-Korean communities in the new opening cities along the east coast line of China. In addition to improve the qualits of the old Chinese-Korean communities which mainly inhabited in the hew Chinese-Korean communities which considerately live in the urban cities. During the course of the formation of the hew Chinese-Korean communities in the eastern urban area of China, we should put great effort on the ethnic education, popularization of Korean language, and maintenance of the integrity of the Chinese-Korean community. Furthermore, we should enlarge our perspective and focus our attention at the trends of globalization and informationalized civilization in the world.

      • KCI등재
      • KCI등재

        조선족가치의식 변천연구

        허명철(Xu, Ming Zh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5 통일인문학 Vol.62 No.-

        살길을 찾아 국경을 넘어 중국 동북지역으로 이주해 온 조선인들은 황무지를 개간하여 경제적 삶의 터전을 마련하였을 뿐만 아니라 삭발역복, 창씨개명에 항쟁하였으며 국권과 민족해방을 위한 반일무장운동도 활발히 전개하였다. 청조시기, 군벌통치, 민국시기, 만주국시기를 거쳐 오면서 자기 민족문화와 정체성을 확고히 지켜왔던 이들은 광복을 맞이하면서 한반도가 아닌 자신의 피땀으로 개척하고 지켜왔던 “제2의 고향”에 남아 있기를 선택하였다. 중국에 남아있기를 원했던 이들은 해방구에서 토지를 분배받았고 국내해방전쟁에도 적극 뛰어 들었으며 건국 후에는 중국의 한 개 소수민족으로 되었다. 그렇다면 이들의 이 같은 선택을 할 수 있었던 내면의 가치의식은 무엇이었으며 이러한 선택을 할 수밖에 없었던 외부적 요소는 무엇이었을까? 그리고 이 같은 선택이 향후 가치의식의 흐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었는가? 본 논문에서는 상기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조선족가치의식변동에 있어서 하나의 “블랙스완(Black swan)”으로 되고 있는 1945년 8.15광복에 초점을 맞추고 당시대 동북에 거주하고 있던 조선인들의 가치선택에 주목하면서 조국관을 비롯한 이들의 가치의식변동을 고찰해보고자 한다. 아울러 조선인들의 가치선택에 직간접적 영향을 미쳐왔던 중공의 민족정책, 토지개혁운동 및 기층당조직의 역할 등에 대해서도 전반적인 조명을 시도하였다. Since the migration to the Northeast China, Korean-Chinese cultivated wasteland to create their economic life. In addition, Korean-Chinese strongly resisted the Japanese colonial policies such as changing traditional Korean hairstyle, clothes style and family names, and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nti-Japanese movement for the national sovereignty and the national liberation. Going through the period of the Qing Dynasty, the Warlord, Republican China and Manchuria, Korean-Chinese who had firmly maintained their ethnic culture and identity chose to remain in “their second homeland” where they cultivated and defended with their blood and sweat, rather than the Korean Peninsula right before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in 1945. Those who wanted to remain in China were distributed land in the liberated areas. They actively joined the national liberation war and became one of the ethnic minorities after the founda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in 1949. Then, what is the internal consciousness of values that enabled them to make such choice? And what are the external elements that made them have no other choice? Moreover, what are the effects of the choice on the flow of the values later after? Based on the issues above, this paper focuses on the Restoration of Independence of Korea on August 15 in 1945, which is considered as one of the “Black Swan” of changing values of ethnic Korean in China. Thus, this paper pays close attention to the value orientation of ethnic Korean residing in the Northeast China at that time and aims to observe the change of values including the concept of motherland. In addition, this paper attempts to shed a light on the external elements of that choice such as ethnic policies of the Communist Party of China, the land reform and the role of grass-roots party organizations, etc.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민족적 시각에서 보는 통일담론

        허명철(Xu Ming Zhe) 건국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0 통일인문학 Vol.50 No.-

        일제의 패망과 함께 광복을 맞은 우리 민족은 냉전구도 속에서 남북분단이란 비운을 맞이해야 했다. 이때로부터 민족의 통일, 국토의 통합을 핵심으로 하는 통일담론은 반세기 넘도록 우리 민족의 중요한 화두로 되었으며 민족의식 저변에 깔려 있는 중요한 요인으로 되었다. 하지만 분단의 벽을 넘어서려는 국가의지는 통일담론에 있어서 국익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으며 국가통합을 목표로 하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정치적 제도적 요소와 이데올로기 등은 통일을 이룩하는데 또 하나의 걸림돌로 되고 있는바 국가이익과 민족소망이란 두 가치이념의 합일화는 통일의 전제 과제로 되고 있다. 만일 우리가 통일을 “하나의 국가”를 수립하는 것이라는 형태론적 차원에서 벗어나 민족의 통합과 새로운 사회문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라는 시각에서 접한다면 분단은 남과 북의 통합만이 아닌 해외 7백만 동포들도 포용한다는 민족대통합 · 민족대화합이 되어야 함이 마땅하다. 사실 남과북의 분단은 단지 국토의 분단, 민족의 분단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해외 동포사회에 있어서 분단은 민족역사와 문화의 혼돈을 의미하기도 한다. 따라서 해외 동포들도 분단의 아픔을 경험하게 되며 분단으로 인한 민족문화재정립에 고민하게 된다. 이러한 현실을 감안한다면 향후 우리의 통일담론은 단순 국토통합차원을 넘어서 해외동포들을 아우를 수 있는 민족대화합을 지향해야 하며 진정 우리민족을 상징할 수 있는 문화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 After the Japanese imperialism had been defeated, our nation was divided into two parts on the forming time of the Cold War Structure. Hence the discuss reunification which is national and territorial reunification-centric, has become the talking point over half a century. Discuss reunification is the key factor of burying the national consciousness to the base. National consciousness wants to exceed the division. Discuss reunification has to consider the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reunification for the target. Therefore, there are some obstacles to set up the reunification, such as political and institutional element and ideology. National interest and national aspirations are the valuable ideology of the prerequisite for the subject. Our reunification should free from the morphology which deems our reunification has to establish “One Nation” and consider the reunification as the process of national reunification and a new social culture. If so, the division has to become the national reunification that includes all of the seven million overseas Koreans instead of re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Korea. Actually, division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doesn’t mean the territorial and national division. For the overseas compatriot society, the division means the disorder of national history and culture. So overseas Koreans will experience the ache of the division and worry about there-establish national culture which is caused by division. Consider all of the reasons above, our discuss reunification should face the national fusion, that is to say, we should exceed the territorial reunification to build a cultural community which can truly symbolize our nation in the future.

      • 세계화시대 조선족공동체의 진로

        허명철 ( Ming Zhe Xu ) 한국민족학회 2009 민족학연구 Vol.8 No.-

        중국이란 다민족국가에서 이주민족으로서 자체의 민족적인 특성을 고스란히 간직할 수 있었고 주체적인 입지를 정립할 수 있었던 것은 조선족으로서의 민족공동체적 삶을 영위해 온 것과 갈라놓을 수 없으며, 오늘날 세계화시대를 맞이하면서 조선족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들도 역시 공동체적 삶의 방식의 약화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 열린 세계에서 열린 사고로 자체민족의 생존과 발전을 도모해야 하는 시점에서 조선족사회가 지향해야 할 공동체는 무엇이며 또 이를 위한 주체적인 자각과 노력은 무엇인가? 다민족국가에서 민족공동체적 삶의 지향은 국가차원의 법률적 보호와 제도적 장치가 보장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민족교육의 보급과 같은 주체적 노력도 필수적이다. 아울러 민족정체성 내지 공동체적 삶에 있어서 항상 근원적인 요소로 작용해 오고 있는 민족문화에 대한 새로운 인식전환을 이루어 공동체적인 삶을 지역적인 공동체가 아닌 ‘문화공동체’의 지향도 바람직한 것이며 나아가서는 한민족네트워크 가동 등을 통한 조선족공동체의 새로운 비전을 도모해야 한다. The Korean-Chinese is the immigrants who emigra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to China under certain historical environment and conditions. The Korean-Chinese keep its national characters in a multi-national country like China, because of their national community living as Korean-Chinese. Nowadays, the problems current Korean-Chinese society is facing, are also have direct relations to the weakening of the community living style. What kind of the community does the Korean-Chinese society oriented for surviving and developing in such an open world? The support from Chinese national policies and systems, as well as the popularization of national education in Korean-Chinese society, are also material to intention the national community living. In addition, one should change the understanding of the national cul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element of the community living, to accomplish a community living called “community of culture”, but not a local community. And operate the Korean Race network to promote a new vision of the Korean-Chinese commun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